KR20080037029A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029A
KR20080037029A KR1020087003817A KR20087003817A KR20080037029A KR 20080037029 A KR20080037029 A KR 20080037029A KR 1020087003817 A KR1020087003817 A KR 1020087003817A KR 20087003817 A KR20087003817 A KR 20087003817A KR 20080037029 A KR20080037029 A KR 20080037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
backrest
person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또시 간
가쯔노리 하마
다미오 사꾸라이
야스히로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토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37660A external-priority patent/JP48569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40740A external-priority patent/JP491937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46602A external-priority patent/JP5054917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토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토키
Publication of KR20080037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5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with a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6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 A47C1/0327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 A47C1/0327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characterised by elastic means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9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slidingly movable in the base frame, e.g. by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bstract

시트(2)의 전방부는 전방 지지 링크(7) 및 제1 지지축(8)에 의해 베이스(6)에 연결되어 있고, 시트(2)의 후방부는 후방 지지 링크(14)를 통해 요동 프레임(11)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지지축(8)은 베이스(6)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등받이(3)의 상부는 백 프레임(212)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다. 사람이 착좌하면 시트(2)가 하강 및 후퇴하고, 이 시트(2)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등받이(3)의 허리 지지부(17a)가 전진한다. 이로 인해, 사람이 의자의 앞쪽에 걸터앉아도 사람의 허리부를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연동 수단은 제1 내지 제5 연동 링크(43, 46, 48, 21, 20)로 이루어지는 연동 링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3 링크(48)는 제2 복귀용 스프링(49)의 탄성에 저항하여 복귀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깊숙히 앉는 것은 저해되지 않는다.
시트, 등받이, 연동 링크, 백 프레임, 허리 지지부

Description

의자{CHAIR}
본원 발명은,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고, 각각의 종류에 따라서 다양한 개량이 이루어져 있다. 그 예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착좌한 사람이 등받이에 기대면 시트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특허 문헌 2에는, 사람이 착좌하면 시트가 그 전후 대략 중간부를 중심으로 하여 측면에서 보아 기울어지고, 이 시트의 후방 기울어짐에 연동하여 등받이가 기울어지는 의자가 기재되어 있다. 양 특허 문헌 모두, 등받이를 시트에 연동시키는 수단으로서는 일종의 링크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의 것은, 사람이 착좌한 것만으로는 시트 및 등받이 모두 자세에 변화는 없고, 착좌자가 등받이에 기대어 등받이에 큰 모멘트가 걸리면, 지레의 원리로 시트의 후방부가 상향으로 밀어 올려져 시트를 전방으로 기울게 하는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로킹 상태에서 사람의 대퇴부에 대한 압박감을 없애고자 한 것이다.
한편, 특허 문헌 2에서는, 사람이 의자에 깊숙히 앉으면, 등받이에 기대지 않는 한 등받이의 자세는 변하지 않고, 예를 들어 사람이 시트의 전방부에 앉으면 등받이는 크게 전방으로 기울어, 등받이의 상부에 의해 사람의 등이 눌리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앞으로 눌린 상태가 되어 불쾌감을 느끼고, 그래서 앉는 위치를 후방으로 옮기게 된다. 특허 문헌 2는 사람이 시트의 전방부에 앉으면 불쾌감을 줌으로써, 사람에게 올바른 착좌 자세를 갖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것은 일종의 교정용 의자라고 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고 소44-2078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고 소46-27517호 공보
예를 들어, 사람이 사무실에서 의자를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깊숙히 앉는 것만은 아니며, 앞쪽에 걸터앉는 경우도 흔히 있다. 사람이 신체를 앞으로 쑥 내민 상태로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앞쪽에 걸터앉는 경우가 많다고 할 수 있다. 신체가 작기 때문에 깊숙히 앉기 어려운 경우도 있을 것이다. 또한, 앞쪽에 걸터앉는 것이 습관이 되어 있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어쨌든, 현실의 의자의 사용 형태로서, 앞쪽에 걸터앉는 경우가 많은 것은 사실이다. 한편, 최근의 의자에 있어서는, 착좌한 사람의 신체에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허리부를 후방으로부터 지지하는 허리 지지 기능의 중요성이 지적되고 있다. 즉, 허리부를 후방으로부터 지지하면, 사람은 등 근육을 늘인 상태로 유지되므로, 요추 및 골반에 대한 부담이 현저하게 적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최근, 사람의 요추 부분을 집중적으로 지지하는 허리 지지 기능이 구비된 의자가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사람이 앞쪽에 걸터앉으면 등받이와 허리 사이에 간격이 생기므로 사람은 새우등 상태로 되기 쉽고, 그러면 요추에의 부담이 증가하여 요통의 원인이 되거나, 내장이 압박되어 위장 장해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보다 사용자 친화적으로 진화한 의자로서, 앞쪽에 걸터앉은 경우라도 허리 지지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은 로킹 상태인 것밖에 상정하고 있지 않아, 앞쪽에 걸터앉은 경우에의 배려는 전혀 이루어져 있지 않다. 한편, 특허 문헌 2의 것은 앞쪽에 걸터앉으면 사람은 앞으로 굽은 자세로 눌리므로, 사용자의 허리에 대한 부담은 오히려 커진다. 따라서, 사무실용 의자에는 적용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원 발명의 의자는, 필수 요소로서 시트와 등받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는 사람이 착좌하면 하강과 후퇴와 기울어짐(傾動)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하도록 시트 받침체로 지지되어 있는 한편, 상기 등받이는 그 하부가 착좌한 사람의 허리부를 지지할 수 있는 허리 지지부로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허리 지지부를 크게 전진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등 지지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와 등받이에 더하여, 사람의 착좌에 의한 시트의 움직임에 의해 등받이의 허리 지지부를 전진 이동시키는 연동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본원 발명에 있어서는, 사람이 착좌함으로써 등받이의 허리 지지부가 전진 이동하므로, 앞쪽에 걸터앉은 경우라도 착좌자의 허리부(요추)를 후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 결과 등 근육을 늘여 부담이 적은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그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착좌에 의해 등받이의 허리 지지부를 크게 전진 이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실제 치수로서는 예를 들어 100 ㎜ 정도 전진하도록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트가 후퇴하는 경우는, 시트의 후퇴 치수와 허리 지지부의 전진 치수의 합을 100 ㎜ 정도로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숫자는 하나의 기준이며, 허리 지지부의 상대적인 전진 치수를 단계적(예를 들어, 30 ㎜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허리 지지부의 상대적인 전진 치수는 적어도 50 ㎜ 정도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의 구성을 기본 발명으로 하여,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많은 변형을 포함하고 있다.
(1) 제1 변형
제1 변형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사람이 착좌하면 측면에서 볼 때의 자세를 거의 바꾸지 않고 적어도 하강 이동하도록 시트 받침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시트가 적어도 하강 이동하는 움직임에 의해 등받이의 허리 지지부가 전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서 말하는「거의 바꾸지 않고」는, 전혀 바꾸지 않는 상태와, 다소는 바꾸는 상태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특허 문헌 2에서는 앞쪽에 걸터앉으면 시트가 전방으로 기울기 때문에 사람은 앞으로 굽은 상태가 되어 등 근육을 늘이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지만, 본원 발명의 제1 변형에서는 시트는 측면에서 볼 때의 자세는 거의 바뀌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시트에 의해 골반이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조작과 같은 데스크 워크에 사용하는 의자로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시트의 전방 기울어짐 또는 후방 기울어짐에 연동하여 등받이의 허리 지지부가 전진하는 구성도 포함하고 있다. 시트의 어떠한 움직임에 허리 지지부의 전진 이동을 연동시킬지는, 의자의 용도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2) 제2 변형
제2 변형의 발명은, 등받이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로킹 의자에 적용한 것이며, 의자는 시트나 등받이 외에, 다리의 상단에 설치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후방 기울어짐 가능하게 연결된 등 지지 프레임과, 상기 등 지지 프레임의 후방 기울어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로킹용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는, 사람이 착좌하면 측면에서 볼 때의 자세를 거의 바꾸지 않고 하강 이동 및 후퇴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와 등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등 지지 프레임은 상기 시트 지지체와 등 지지체를 겸용하고 있고, 또한 상기 로킹용 스프링의 스프링력은 사람이 착좌해도 탄성 변형하지 않고 착좌한 사람이 등받이에 기대면 비로소 탄성 변형하는 강도로 설정되어 있다.
제2 변형의 발명에서는, 시트는 사람이 착좌하면 하강 및 후퇴하므로, 등받이의 허리 지지부는 사람의 허리부에 근접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앞쪽에 걸터앉은 상태에서의 허리 지지 기능이 보다 정확하게 발휘된다. 또한, 로킹용 스프링은 착좌한 것만으로는 변형되지 않으므로, 앞쪽에 걸터앉은 경우의 허리 지지 기능을 저해하지 않고, 로킹 기능도 확실하게 유지되어 있다.
(3) 제3 변형
제3 변형의 발명에 있어서도, 의자는 시트와 등받이 외에, 다리의 상단에 설치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후방 기울어짐 가능하게 연결된 등 지지 프레임과, 상기 등 지지 프레임의 후방 기울어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로킹용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3 변형에서는, 상기 시트는 사람이 착좌하면 측면에서 볼 때의 자세를 거의 바꾸지 않고 하강 이동 및 후퇴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와 등 지지 프레임에 제1 링크 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시트는 스프링에 의해 상승 이동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한편, 상기 등 지지 프레임에 상기 시트의 후퇴 이동 및 하강 이동을 등받이의 허리 지지부의 전진 이동으로 변환하는 제2 링크 기구를 설치하고 있어, 상기 제2 링크 기구가 상기 연동 수단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착좌에 의해 시트를 움직이는 수단으로서는 다양한 태양을 채용할 수 있고, 또한 연동 수단도 다채로운 전개가 가능하지만, 제3 변형과 같이 시트를 움직이는 기구 및 연동 수단으로서 링크 기구를 채용하면, 단순한 구조로 확실한 움직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4) 제4 변형
제4 변형의 발명에서는, 상기 연동 수단에는 착좌에 의한 시트의 움직임을 등받이의 허리 지지부의 전진 이동으로 변환하는 전동 부재로서 스프링 수단이 포함되어 있어, 전진한 허리 지지부가 스프링 수단에 저항하여 후퇴하는 것이 허용되고 있다.
사람은 항상 의자의 앞쪽에 걸터앉는 것은 아니며, 깊숙히 앉는 경우도 있다. 또한, 앉는 전후 위치는 다양하다. 그리고, 제4 변형의 발명에서는, 전진한 허리 지지부는 스프링 수단에 저항하여 후퇴 이동할 수 있으므로, 허리 지지부를 사람의 앉는 위치에 따른 전후 위치에 보유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사람이 의자의 앞쪽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하반신을 후방으로 옮겨 이동시키는 경우는, 전진하고 있었던 허리 지지부를 스프링 수단에 저항하여 후퇴시키게 된다. 한편, 당초부터 깊숙히 앉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는 착좌한 시점에서 허리 지지부에 허리부가 닿아 있으므로, 허리 지지부는 전혀 또는 거의 전진하지 않고 시트만이 하강 및 후퇴하게 된다.
(5) 제5 및 제6 변형
제5 변형의 발명은 등받이에 특징을 갖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등받이는 착좌한 사람의 압박에 의해 측면에서 볼 때의 형상 및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변형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상부는 상기 등 지지체에 연결되어 있고 허리 지지부는 상기 연동 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등받이는 측면에서 볼 때 상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울어짐으로써 허리 지지부가 전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6 변형은 제5 변형의 바람직한 예이며, 제6 변형의 발명은 제5 변형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엘라스토머를 포함한 합성 수지제로 이루어지는 등판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등판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 혹은 전후 양면에 다수의 세로로 긴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제5 및 제6 변형의 발명은, 사람의 신체에 대한 등받이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제6 변형의 발명은, 등판이 엘라스토머를 포함하고 있는 고무질 합성 수지를 소재로 하고 있는 것에 의해, 신체에의 피트성이 우수한 동시에 사람의 신체에의 접촉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런데, 등받이는 너무 지나치게 부드러우면 오히려 사람에게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즉, 등받이는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에서, 제6 변형의 발명과 같이 다수의 세로로 긴 리브를 형성하면, 측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과도하게 변화하지 않도록 적절한 강성이 유지되면서, 평면에서 볼 때에는 사람의 신체를 둘러싸도록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6 변형의 발명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제6 변형의 발명에 있어서 등판을 노출시키는 것(즉, 쿠션을 대지 않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등판의 전방면에 세로로 긴 리브를 형성하면 통기성이 우수하다는 이점이 있다.
(6) 제7 변형
제7 변형의 발명에서는, 기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측면에서 볼 때 굽힘 변형할 수 있는 유연한 허리 지지부와, 허리 지지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유연성은 거의 없는 메인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의 메인 지지부는 등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한편, 상기 허리 지지부는 그 상단을 상부 지지부(upper support part) 또는 등 지지 프레임에 연결하고 하단은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한, 허리 지지부는 하방으로부터의 떠받침 작용을 받아 하부가 상승하면 측면에서 볼 때 전방 방향 볼록 형상으로 크게 만곡하여 전진하도록 변형의 방향성이 부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등 지지 프레임에, 사람이 착좌하면 상기 허리 지지부의 하부를 상향 이동시키는 가이드 수단을 마련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 수단이 상기 연동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7 변형의 발명에서는, 허리 지지부에 떠받침력이 작용하면 허리 지지부가 전방 방향 볼록 형상으로 탄성 변형하고, 이 탄성 변형에 의해 허리 지지부는 전진 이동한다. 그리고, 제7 변형의 발명은, 허리 지지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전진시키는 것이므로, 연동 수단은 매우 간단해진다. 이 점이 제7 변형의 큰 특징이다.
(7) 제8 변형
제8 변형은 제7 변형의 바람직한 예이다. 제8 변형의 발명은, 제7 변형의 발명에 있어서, 다리의 상단에 설치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후방 기울어짐 가능하게 연결된 등 지지 프레임과, 등 지지 프레임의 후방 기울어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로킹용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시트는, 사람이 착좌하면 측면에서 볼 때의 자세를 거의 바꾸지 않고 후퇴 이동 및 하강 이동하도록 가이드 수단을 통해 상기 베이스와 등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이로 인해 등 지지 프레임은 시트 받침체와 등 지지체를 겸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허리 지지부의 하부에는 유연성을 갖는 하향 연장부가 연속되어 있고 그 선단은 시트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등 지지 프레임에, 상기 시트가 하강 및 후퇴하면 상기 허리 지지부의 하향 연장부를 등받이의 메인 지지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8 변형의 발명에서는, 허리 지지부의 하향 연장부를 시트로 누른다고 하는 단순한 구조이므로, 구성의 간단화가 한층 확실해진다.
(8) 그 외의 변형
본원 발명은 그 외의 변형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6 변형을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착좌에 의해 등받이의 허리 지지부가 전진 이동하는 상태와, 착좌해도 등받이의 허리 지지부가 전진하지 않는 상태를 선택하는 절환 수단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원 발명은, 이하에 서술하는 구체예의 설명을 통해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의자의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2A는 의자의 정면도, 도2B는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3은 의자의 배면도이다.
도4는 의자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5는 시트의 지지 수단을 도시하는 일부 파단 분리 측면도이다.
도6은 도5의 VI-VI에서 볼 때의 분리 평면도이다.
도7A는 베이스의 부분 사시도, 도7B는 제1 링크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의 분리 사시도, 도7C는 시트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도5의 VIIC-VIIC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8은 연동 수단을 구성하는 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9는 연동 수단을 구성하는 부재를 중심으로 한 일부 파단 분리 평면도이다.
도10A는 연동 수단을 구성하는 부재의 일부 파단 분리 평면도, 도10B는 도10A의 B-B에서 볼 때의 분리 단면도, 도10C는 스프링을 내장한 상태에서의 도10A의 C-C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11은 연동 수단을 구성하는 부재를 중심으로 한 평단면도이다.
도12는 연동 수단을 구성하는 부재를 중심으로 한 일부 파단 분리 측면도이다.
도13A는 도11의 XIII-XIII에서 볼 때의 단면도, 도13B는 도11의 XIIIB-XIIIB에서 볼 때의 단면도, 도13C는 도11의 XIIIC-XIIIC에서 볼 때의 단면도, 도13D는 도13C의 D-D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14는 연동 수단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도15는 등받이의 장착 구조를 도시하는 분리 측면도이다.
도16은 등받이의 배면도이다.
도17은 등받이를 등 지지 프레임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일부 생략 배면도이다.
도18은 도17의 XVI-XVI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19는 도16의 XIX-XIX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분리 평단면도이다.
도20은 도16의 XX-XX에서 볼 때에 있어서의 분리 평단면도이다.
도21은 도20의 XXI-XXI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22는 도16의 XXII-XXII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23은 시트와 등받이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골격 구조도이다.
도24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의자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25는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26A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의자의 측면도, 도26B는 도26A의 부분적인 확대도, 도26B는 도26A의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27은 제4 실시 형태의 분리 측면도이다.
도28은 도26A의 XXVIII-XXVIII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29는 제4 실시 형태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다리
2 : 시트
3 : 등받이
6 : 베이스
7 : 전방 지지 링크
8 : 제1 지지축
11 : 등 지지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요동 프레임
12 : 등 지지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백 프레임
13 : 제2 지지축
17 : 등판
18, 19 : 등판의 리브
20 : 제5 연동 링크
21 : 제4 연동 링크
31 : 로킹용 스프링
36 : 제1 복귀용 스프링
41 : 받침 상자
42 : 구동축
43 : 제1 연동 링크
46 : 제2 연동 링크
48 : 제3 연동 링크
49 : 제2 복귀용 스프링
다음에, 본원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사무용 등의 회전 의자에 적용하고 있다. 우선, 도1 내지 도23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1)-1. 제1 실시 형태의 개략
우선, 주로 도1 내지 도7을 기초로 하여 의자의 개략을 설명한다. 의자는 다리(1)와 시트(2)와 등받이(3)를 구비하고 있다. 다리(1)는 수평 형상으로 연장되는 갈래 발(4)군과 다리 지지 기둥(가스 실린더)(5)을 구비하고 있고, 다리 지지 기둥(5)의 상단에는 상향으로 개구된 금속판제 베이스(6)가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5나 도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2)는, 수지제 시트 이너 쉘(시트판)(2a)과 그 상면에 댄 쿠션(2b)을 구비하고 있다.
도7C에 명료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2)의 전방측 부분은 좌우 전방 지지 링크(7)와 좌우 가로로 긴 제1 지지축(8)을 통해 베이스(6)에 연결되어 있다. 시트 이너 쉘(2a)의 전방부에는 전방 지지 링크(7)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좌우 한 쌍씩의 전방 브래킷(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 브래킷(9)과 전방 지지 링크(7)는 전방 핀(10)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시트(2)는 정면에서 볼 때 상향 오목 형상으로 완만하게 움푹 패여 있다.
베이스(6)의 좌우 양측에는, 측면에서 볼 때 후방으로 기운 자세이며 또한 베이스(6)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요동 프레임(11)이 배치되어 있고, 좌우 요동 프레임(11)의 후단에 배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인 백 프레임(12)이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도11이나 도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프레임(11)의 후단에 보스부(11c)를 설치하여, 이 보스부(11c)를 백 프레임(12)에 형성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넣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요동 프레임(11)과 백 프레임(12)에 의해, 청구항에 기재한 등 지지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요동 프레임(11)과 백 프레임(12)은 일체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백 프레임(12)은 등 지지 기둥이라 바꾸어 말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동 프레임(11)은 그 전방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기울도록 베이스(6)의 후방부에 제2 지지축(13)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2)의 후방부와 요동 프레임(11)은 좌우 한 쌍의 후방 지지 링크(14)를 통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사람이 착좌하고 있지 않은 중립 상태에서 전방 지지 링크(7) 및 후방 지지 링크(14)를 측면에서 볼 때 약간 후방으로 기운 자세로 되어 있어, 이로 인해 사람이 착좌하면 링크(7, 14)가 후방으로 기울고, 이에 수반하여 시트(2)는 측면에서 볼 때의 자세는 거의 바꾸지 않고 하강하면서 후퇴한다(혹은 비스듬히 후방으로 평행 이동한다). 또한, 양 지지 링크(7, 14)는 금속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 이너 쉘(2a)의 후방부에는 후방 지지 링크(14)를 좌우로부터 끼우는 좌우 한 쌍의 후방 브래킷(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후방 브래킷(15)과 후방 지지 링크(14)는 좌우로 긴 후방 핀(16)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방 지지 링크(7)와 후방 지지 링크(14)는 일종의 평행 링크 기구로 되어 있고, 이들 전방 지지 링크(7)와 후방 지지 링크(14)에 의해 청구항에 기재한 제1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후방 지지 링크(14)와 요동 프레임(11)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등받이(3)는 유연성을 가진 수지제 등판(17)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등받이(3)와 등판(17)은 같은 의미이다. 등판(17)의 전방면과 후방면에는 다수의 세로로 긴 리브(18, 19)가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상세는 후술함). 등판(17)은 상하 각 부위 모두 평면에서 볼 때 전방 방향 오목 형상으로 완만하게 만곡되어 있다. 또한, 비착좌 상태에 있어서 등판(17)의 하단은 시트(2)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등판(17)의 하부는 측면에서 볼 때 전방 방향 볼록 형상으로 완만한 곡률로 만곡된 허리 지지부(lumber support part)(17a)로 되어 있다.
등판(17)은, 그 상단부는 백 프레임(12)에 이반(離反)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한편 허리 지지부(17a)의 정점부는 연동 수단을 구성하는 제5 연동 링크(20)에 연결되고, 허리 지지부(17a)의 하단부는 연동 수단을 구성하는 제4 연동 링크(21)에 연결되어 있어, 시트(2)가 하강 및 후퇴하면 허리 지지부(17a)는 크게 전진 이동한다.
또한, 도6에 나타내는 부호 21은, 착좌해도 시트(2)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 장치(21)를 구성하는 부재이다. 항상 깊숙히 앉는 습관이 있는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로크 장치(21)에 의해 시트(2)가 움직이지 않도록 유지해 두면 좋다. 이하, 각 부위의 상세를 설명한다.
(1)-2. 베이스 주변부의 상세
우선, 주로 도5 내지 도7을 기초로 하여 베이스(6)를 중심으로 한 부분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6)는 상향으로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서 또한 후방부에 보강 브래킷(25)이 고착되어 있고, 베이스(6)와 보강 브래킷(25)에 고착된 부시(26)(도5 참조)에 다리 지지 기둥(5)의 상단을 끼움 장착하고 있다.
베이스(6)의 좌우 측판의 전방부에는, 제1 지지축(8)이 대략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측면에서 볼 때 사각형인 긴 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27)에는 수지제 부시(28)가 형성되어 있다. 부시(28)에는 베어링체(29)가 외측으로부터 회전 불가능하고 슬라이드 자유 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좌우 베어링체(29)에 제1 지지축(8)이 끼워져 있고, 제1 지지축(8)은 나사(30)로 베어링체(29)에 고정되어 있다. 베어링체(29)는 금속제 또는 수지제이다.
베이스(6)의 내부에는 좌우 2개의 로킹용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31)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고, 축(8)에는 전방 스프링 받침부(32)가 후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져 있고, 한편 상기 보강 브래킷(25)에는 고정식 후방부 스프링 받침부(33)를 지지하는 받침벽(25a)이 형성되어 있다. 본원과 관계가 적으므로 상세한 것은 생략하지만, 후방부 스프링 받침부(33)는 고정부와 가동부로 이루어져 있고, 조작 로드(34)에 설치한 핸들(34a)(도2A 참조)을 회전 조작하면 가동부가 전후 이동하여 로킹용 스프링(31)의 초기 탄성력이 변화한다.
전방 지지 링크(7)는 수평 형상의 통형부(7a)를 구비하고 있고, 통형부(7a)에 이미 서술한 베어링체(29)가 끼워 넣어져 있다. 도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어링체(29)는 부시(28)에 회전 불가능하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각형부(29a)와, 전방 지지 링크(7)의 통부(7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소직경 원통부(29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소직경 원통부(29b)의 뿌리 부위에는, 소직경 원통부(29b)와 간격을 둔 상태에서 외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스토퍼부(29c)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스토퍼부(29c)는 축심을 사이에 둔 양측에 배치되어 있고, 전방 지지 링크(7)의 통형부(7a)에는, 스토퍼부(29c)가 어느 정도의 각도(예를 들어, 50 내지 55도 정도)만큼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원호 형상 홈(35)(도7C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체(29)의 소직경 원통부(29b)에, 제1 복귀용 스프링(36)을 끼워 넣고 있다. 제1 복귀용 스프링(36)은 비틀림 스프링이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단부(36a)는 하나의 스토퍼부(29c)에 접촉하고, 축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단부(36b)는 전방 지지 링크(7)의 통형부(7a)에 형성한 스토퍼 구멍(37)에 끼워 넣어져 있다. 스토퍼 구멍(37)은 제1 복귀용 스프링(36)의 타단부(36b)가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비(非)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사람이 착좌하면 전방 지지 링크(7)는 제1 복귀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기울고, 사람이 의자에서 일어나면 전방 지지 링크(7)는 제1 복귀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복귀용 스프링(36)을 전방 지지 링크(7)에 내장하면, 콤팩트화되는 동시에, 조립이 용이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물론, 전방 지지 링크(7) 및 시트(2)를 중립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스프링 수단의 배치 장소나 종류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을 시트(2)의 하면과 베이스(6) 사이에 배치하는 것과 같은 것도 가능하다.
지지 링크(7, 14)는 정면에서 볼 때 비스듬히 외향으로 경사진 자세로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것은, 베이스(6)의 좌우 폭 치수가 시트(2)의 좌우 폭 치수보다도 상당히 작으므로, 시트(2)를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시트(2)는 그 좌우 양단에 가까운 부분이 지지 링크(7, 14)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사람이 착좌하면 하향 오목 형상으로 휨 변형하는 것이 허용되어 있다. 이 휨 변형에 의해 시트(2)에 쿠션성이 부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요동 프레임(11)은 부시(38)를 통해 베이스(6)의 측판에 끼워져 있다. 제2 지지축(13)은, 나사나 스냅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요동 프레임(11)에 빠짐 불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요동 프레 임(11)의 전방 단부에는, 외향으로 개구된 전후로 긴 돌출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1a)는 팔걸이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요동 프레임(11)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제품과 같은 금속제이다. 물론, 판금 제품이나 수지 성형품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좌우 요동 프레임(11)의 후방 단부에 있어서 일체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1)-3. 연동 수단의 상세(1)
다음에, 연동 수단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8 내지 도14를 중심으로 하여 연동 수단의 대략 하반부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연동 수단은, 상향으로 개구된 금속제 받침 상자(받침 부재)(41)와, 좌우의 후방 지지 링크(14)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진 사각형 구동축(42)과, 구동축(42)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진 좌우 한 쌍의 제1 연동 링크(43)와, 제1 연동 링크(43)에 제1 핀(45)을 통해 연결된 제2 연동 링크(46)와, 제2 연동 링크(46)에 제2 핀(47)을 통해 연결된 제3 연동 링크(48)와, 제3 연동 링크(48)의 상하 중도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4 연동 링크(21)와, 제3 연동 링크(48)의 상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5 연동 링크(20)를 구비하고 있다.
제4 연동 링크(21)와 제5 연동 링크(20)는 이미 서술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내지 제5 연동 링크에 의해 청구항에 기재한 연동 링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제2 연동 링크(46)는 금속판제로 천장판(46a)과 좌우 측판(46b)을 구비하고 있고, 천장판(46a)의 하방에는 제2 복귀용 스프링(49)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복귀용 스프링(49)도 연동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하, 각 구성 부재의 상세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8이나 도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침 상자(41)는 좌우 돌출부(41a)가 높게 되어 있어 정단면에서 볼 때 단차 형상으로 되어 있고, 좌우 돌출부(41a)를 요동 프레임(11)의 내향 돌출부(11b)에 나사(50)로 고정하고 있다. 또한, 받침 상자(41)를 구성하는 좌우 측판의 전방 단부는 둥근 구멍이 뚫린 베어링부(41b)로 되어 있고, 이 베어링부(41b)에 부시(52)를 통해 후방 지지 링크(14)의 소직경 통부(14a)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후방 지지 링크(14)는, 외관에 있어서는 전방 지지 링크(7)와 유사하지만, 하기와 같은 특유의 구조를 갖고 있다. 우선, 예를 들어 도13D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 지지 링크(14)에는 이미 서술한 구동축(42)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구동축(42)은 나사(53)에 의해 후방 지지 링크(14)에 빠짐 불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후방 지지 링크(14)는 요동 프레임(11)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상향 오목부(54)에 겹쳐지는 겹침부(14b)를 구비하고 있고, 이 중합부(14b)에, 요동 프레임(11)에 접촉하여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부(14c)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1 연동 링크(43)를 설명한다. 제1 연동 링크(43)의 선단부에는, 제1 연동 핀(45)에 끼워지는 절개 홈(4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연동 링크(43)의 한쪽 면에는, 수지제 보호 부재(55)가 겹쳐져 있다. 예를 들어, 도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 부재(55)는 제1 연동 링크(41)에 덮여 있고, 또한 제1 연 동 링크(41)의 절개 홈(43a)에 대응하여 선단부는 2갈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연동 링크(41)와 제2 연동 링크(46)가 연동하여 회전함에 있어서 금속음이 발성하는 일은 없다.
제1 연동 링크(41)는 구동축(42)에 끼워지는 사각형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 부재(55)에는 구동축(42)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추어지는 하향 홈(5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호 부재(55)는 착탈이 용이하다. 또한, 제1 연동 링크(41)는 용접 등에 의해 구동축(42)에 어긋남 불가능하게 고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1)-4. 연동 수단의 상세(2)
다음에, 제2 연동 링크(46)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11이나 도13B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연동 링크(46)의 후방 단부는 받침 상자(41)에 지지축(57)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 연동 링크(46)를 구성하는 좌우 측판(46b)은 전방 방향 연장부(46c)를 갖고 있고, 전방 방향 연장부(46c)에 형성된 긴 구멍(58)에 제1 핀(45)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또한, 긴 구멍(58)에는 주머니 형상의 수지제 부시(46d)가 장착되어 있다[예를 들어, 도10B 참조. 도면에 따라서는 부시(46d)를 생략하고 있는 것도 있음].
제1 핀(45)에 제1 연동 링크(41)의 절개 홈(43a)이 끼워져 있는 것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다. 제1 연동 링크(43)가 하향으로 회전하면, 제2 연동 링크(46)는 지지축(57)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회전한다. 또한, 도13B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연동 링크(43)는 받침 상자(41)의 저 면(底面)에 닿음으로써 회전 범위가 규제되어 있다.
제2 연동 링크(46)의 천장판(46a)에는 하향 편(片)(59)이 꺾어 세워져 형성되어 있고, 하향 편(59)과 한쪽 측판(46b)에 핀(60)을 통해 통체(61)를 장착하고, 통체(61)에 제2 복귀용 스프링(49)이 외측으로부터 끼워져 있다[또한, 도9 및 도10A와 도8에서는, 하향 편(59)을 형성하기 위한 구멍의 위치를 좌우 반대로 표시하고 있음]. 제2 복귀용 스프링(49)은 비틀림 스프링이며, 일단부(49a)와 타단부(49b)는 모두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13B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복귀용 스프링(49)의 일단부(49a)는 제2 연동 링크(46)의 천장판(46a)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한편, 제3 연동 링크(48)는 상기한 지지축(57)에 의해 받침 상자(41)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제3 연동 링크(48)의 하단부에는 전방 방향 돌출부(48a)가 형성되어 있고, 제2 복귀용 스프링(49)의 타단부(49b)가 제3 연동 링크(48)의 전방 방향 돌출부(48a)에 상방으로부터 접촉되어 있다. 또한, 도13B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연동 링크(48)의 전방 방향 돌출부(48a)에는 하향으로 개구된 오목부(62)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연동 링크(46)의 좌우 측판(46b)에 걸쳐진 스토퍼 핀(63)에 오목부(62)가 끼워져 있다.
제2 연동 링크(46)가 하향으로 회전하면, 제3 연동 링크(48)는 지지축(59)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기운다. 그리고, 제3 연동 링크(48)의 전방 방향 돌출부(48a)는 제2 복귀용 스프링(49)에 의해 압박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므로, 전방으로 기운 제3 연동 링크(48)는 제2 복귀용 스프링(49)의 탄성에 저항하여 독자적으 로 후방으로 기울(복귀 회전) 수 있다. 또한, 제3 연동 링크(48)는 전방으로 기울지 않고, 제2 연동 링크(46)만이 하향으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연동 수단 중 등받이(3)와 관련된 상부 부분을 설명한다. 도15 이하의 도면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연동 수단과 제4 연동 링크(21)와 제5 연동 링크(20)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15, 도16, 도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4 연동 링크(21)는 제3 연동 링크(48)의 상하 중도부와 등판(17)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것이다.
제4 연동 링크(21)와 제3 연동 링크(48)의 상하 중도부는 좌우로 긴 핀(64)(도14 참조)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등판(17)의 좌우 중간부의 하단에는, 제4 연동 링크(21)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좌우 한 쌍 하부 베어링부(65)가 돌출되어 있고, 제4 연동 링크(21)와 하부 베어링부(65)가 좌우로 긴 핀(66)(도14 참조)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4 연동 링크(21)의 좌우 폭 치수는 작지만, 도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연동 링크(20)는 등판(17)의 좌우 폭 치수보다 약간 작은 정도의 큰 좌우 길이를 갖고 있고, 또한 제5 연동 링크(20)는 평면에서 볼 때 전방 방향 오목 형상으로 궁처럼 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14나 도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5 연동 링크(20)의 좌우 중간부에 좌우 한 쌍의 베어링 브래킷(67)을 설치하고, 이 베어링 브래킷(67)과 제3 연동 링크(48)의 상단부가 좌우로 긴 핀(68)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5 연동 링크(20)의 좌우 양단부에는 전방 방향으로 돌출된 3매의 베 어링 편(69)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도8에서는 베어링 편(69)은 2매밖에 표시되어 있지 않음], 등판(17)에 있어서의 허리 지지부(17a)의 좌우 양단부에는, 제5 연동 링크(20)의 베어링 편(69)과 끼워 맞추어지는 2매의 상부 베어링 브래킷(70)이 돌출되어 있고, 이들 상부 베어링 브래킷(70)과 베어링 편(69)이 좌우로 긴 핀(71)으로 연결되어 있다.
등판(17)은 제5 연동 링크(20)에 의해 양단부 지지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착좌한 사람의 체압에 의해 등판(17)의 허리 지지부(17a)가 평면에서 볼 때 후방으로 가라앉는 것과 같이 변형하는 것이 허용되어 있다.
(1)-5. 등판
다음에, 등판(17)의 구조와 그 상부의 장착 구조를 설명한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등판(17)은 고무질 강성 수지를 소재로 하여 제조되어 있고, 단일 부재의 상단에서 일반 성인이 손으로 크게 휨 변형시킬 수 있을 정도의 유연성을 갖고 있다. 단일 부재 상태에서는, 사람이 양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고 있음으로써 측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도 크게 바꿀 수 있다. 그 정도의 유연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등판(17)의 전후 양면에 다수의 세로로 긴 리브(18, 19)가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도20이나 도22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브(18, 19)군은, 좌우 중간부로부터 좌우 양단으로 감에 따라서 높이가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고, 또한 도15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리브(18)군은, 허리 지지부(17a)의 정점부 부근에서 높이가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등판(17) 중 허리 지지부(17a)는 측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그다지 변형하지 않고,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변형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후 리브(18, 19)는 정면에서 볼 때(혹은 배면에서 볼 때)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이로 인해, 등판(17)이 평면에서 볼 때 변형하는 것이 한층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방면 리브(18)군과 후방면 리브(19)군은, 대체로 전후 대칭에 가까운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전방면 리브(18)와 후방면 리브(19)를 좌우로 어긋나게 하여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전방면에 리브(18)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리브(18)의 간격은 예를 들어 15 ㎜ 전후의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등판(17)으로 사람의 신체를 직접적으로 지지해도 사람이 위화감을 느끼는 일은 없다. 또한, 리브(18, 19)의 두께는 등판(17)의 두께와 동일한 정도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18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등판(17)의 상부에는 후방 방향 오목 형상으로 만곡한 장착부(17b)가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부(17b)에 백 프레임(12)의 상부(12a)가 후방으로부터 끼워 맞추어져 있다. 등판(17)의 장착부(17b)와 백 프레임(12)의 상부(12a)는, 예를 들어 나사 고정에 의해 이반 불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다. 등판(17)은 그 상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울어질 수 있는 상태에서 백 프레임(12)의 상부(12a)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 프레임(12)의 상부(12a)는 등판(17)의 좌우 단부 가까이까지 연장되어 있고, 따라서 등판(17)의 상부는 평면에서 볼 때 변형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등판(17)의 상부를 좌우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백 프레임(12)으 로 지지하고 있는 것은, 등판(17)이 과도하게 변형되면 신체의 안정성을 악화시켜 오히려 착좌감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착좌한 사람은 등받이(3)[등판(17)]에 허리를 댄 상태에서 허리를 비트는 동작을 취하는 경우가 있지만, 등판(17)의 중간부보다도 하방 부분은, 좌우 단부가 후방으로 도피 이동하도록 변형하는 것이 허용되므로, 허리를 비틀거나 상반신을 옆으로 향하게 할 때, 등판(17)은 사람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용이하게 변형한다. 이로 인해, 피트성이 우수하다. 한편, 등의 상부는 등판(17) 중 변형하지 않는 상부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신체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다.
(1)-6. 정리
상기한 의자의 움직임 전체는 도23에 도시되어 있다. 즉, 사람이 착좌하면 전후 지지 링크(7, 14)가 후방으로 기울어져 시트(2)는 하강하면서 후퇴한다. 그리고, 후방 지지 링크(14)가 후방으로 기울어짐에 연동하여 구동축(42)이 회전함으로써 제1 연동 링크(43)가 후방으로 기울고, 제1 연동 링크(43)의 회전이 제2 연동 링크(46) 및 제2 복귀용 스프링(49)을 통해 제3 연동 링크(48)에 전달되어, 제3 연동 링크(48)가 전방으로 기운다. 이에 의해, 등판(17)의 허리 지지부(17a)가 전진 이동한다. 본 실시 형태는, 시트(2)의 후퇴 치수는 50 ㎜ 정도, 허리 지지부(17a)의 전진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사람이 착좌한 것만으로는 백 프레임(12)은 후방으로 기울지 않으므로, 등판(17)의 상단부는 이동 불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4 연동 링크(21) 및 제5 연동 링크(20)가 회전함으로써, 등판(17)의 허리 지지부(17a)가 전진 이동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등판(17)은 그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허리 지지부(17a)가 전진한다. 따라서, 허리 지지부(17a)는 전진하면서 높이가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사람이 착좌하고 있지 않은 중립 상태에서는 허리 지지부(17a)는 상당히 하방에 위치하고 있지만, 사람이 착좌하면 시트(2)가 하강하는 것과 허리 지지부(17a)가 전진하면서 높아지는 것에 의해, 허리 지지부(17a)는 착좌한 사람의 요추(특히 제3 요추) 부근을 지지하는 최적의 높이가 된다.
제3 연동 링크(46)는 제2 복귀용 스프링(49)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앞쪽에 걸터앉은 상태에서 신체를 후방으로 옮기는 것이나, 당초부터 깊숙히 앉아 등판(17)은 전진시키지 않고 시트(2)만을 하강 및 후퇴시키는 것이 허용된다. 이 점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다.
그런데, 로킹 의자에서는, 등받이에 기대었을 때, 사람의 엉덩이부와 시트의 상대 위치는 일정한 것에 대해 시트와 등받이가 이반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에 기인한 이른바 셔츠가 말려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착좌한 사람이 등판(17)에 기대는, 제4 연동 링크(20) 및 제5 연동 링크(21)는 측면에서 볼 때 하향 회전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등판(17)은 하향으로 신장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이로 인해 시트(2)와 등판(17)의 상대 거리가 커지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여 셔츠가 말려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 또는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 점이, 본 실시 형태의 이점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동 수단을 구성하는 각 부재는, 받침 상자(41)를 주요 부재로 하여 하나로 유닛화되어 있다. 따라서, 연동 수단을 구성하는 부재를 미리 조립하여 유닛화해 두고, 받침 상자(41)를 요동 프레임(11)에 고정함으로써, 유닛화된 연동 수단(연동 장치)을 착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의자의 조립이 용이한 동시에, 각 연동 링크의 움직임도 부드러워진다. 이 점도 본 실시 형태의 큰 이점이다.
(2) 제2 실시 형태
도24에서는 제2 실시 형태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며,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은, 등받이(3)가 합성 수지제인 등 이너 쉘(3a)과 그 전방면에 댄 쿠션재(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뿐이다.
등 이너 쉘(3a)은 제1 실시 형태의 등판(17)과 마찬가지로 엘라스토머를 포함한 수지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비용면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범용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범용 수지를 등 이너 쉘에 사용한 경우에 유연성을 갖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좌우 가로로 긴 슬릿을 다수 형성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3) 제3 실시 형태
도25에서는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1 내지 제3 연동 링크의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들 용어는 본 실시 형태에 특유의 것으로, 제1 실시 형태와는 부합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등받이(3)는 등 이너 쉘(3a)의 전방면에 쿠션재(3b)를 댄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지지축(8)과 등 지지 프레 임(74)에 중간 부재(75)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중간 부재(75)에 전후 지지 링크(7, 14)가 연결되어 있다. 중간 부재(75)와 등 지지 프레임(74)은 제3 지지축(76)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시트(2)의 하면에는 강성체로 제작된 보강재(77)가 배치되어 있고, 전후 지지 링크(7, 14)의 상단은 보강재(76)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지지 링크(7, 14)는 시트 이너 쉘의 변형의 영향을 받지 않고 부드럽게 회전한다. 중간 부재(75)는 정면에서 볼 때 하향으로 개구된 형태로 되어 있다. 로킹용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류는 생략하고 있다.
등 지지 프레임(74)에는, 대략 수평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연동 링크(78)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전방으로 기운 자세인 제2 연동 링크(80)가 공통의 축(80)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제2 연동 링크(80)의 상단과 등 이너 쉘(3a)에 있어서의 허리 지지부(3c)의 하부는 제3 연동 링크(81)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연동 링크(78)의 전방 단부에는 긴 구멍(8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긴 구멍(82)에, 시트(2)에 하면에 설치한 가이드 핀(83)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또한, 제1 연동 링크(78)는 축(8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후방 단부와 제2 연동 링크(79)의 상하 중도부에 신축 가능한 가스 실린더(84)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스 실린더(84)는, 통상은 로크가 해제되어 연장되기 편리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2)가 하강하면서 후퇴하면, 제1 연동 링크(78)는 도25의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2 연동 링크(79)가 가스 실린더(84)에 의해 밀림으로써, 등받이(3)의 허리 지지부(3c)가 전진 이동한다. 또한, 제2 연동 링크(79)는 가스 실린더(84)를 압박하여 수축시킴으로써 독립하여 원상 자세로 복귀할 수 있다. 가스 실린더(84)는 스프링 수단의 일예이며, 이것은 코일 스프링으로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등 지지 프레임(74)의 상부(74a)는, 그 하방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부(74a)와 그 하방 부분은 코일 스프링(85)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등 지지 프레임(74)의 상단부(74a)는 코일 스프링(85)의 탄성에 저항하여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기울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등받이(3)는 상단보다도 어느 정도 하방 부위에 있어서 등 지지 프레임(74)에 장착되어 있다.
(4)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도26 내지 도29를 기초로 하여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의자는 제1 지지축(8)과 등 지지 프레임(74)에 연결된 중간 부재(7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점은,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중간 부재(3)의 전후 양단부에 좌우로 긴 회전축을 갖는 가이드 롤러(87)(슬라이더라도 좋음)를 횡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한편, 시트(2)의 하면의 좌우 양측부이고 또한 전후 2군데의 부위에, 중간 부재(75)의 외측면에 위치하는 수지제(금속제라도 좋음)이며 판 형상인 브래킷판(88)을 설치하고, 브래킷판(88)에 형성한 측면에서 볼 때 후방으로 기운 형상의 가이드 구멍(89)에 상기 가이드 롤러(87)를 끼워 넣고 있다. 따라서, 시트(2)는 측면에서 볼 때 자세를 바꾸지 않고 하강하면서 후퇴할 수 있다.
등받이(3)는 등 지지 프레임(74)의 상부에 고정한 메인 지지부(3d)와, 그 하방에 배치한 허리 지지부(3c)를 구비하고 있다. 허리 지지부(3c)는 측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변형 가능한 변형 허용부로 되어 있다. 또한, 등 지지 프레임(74)은, 그 전방부를 구성하는 좌우 아암(74a)과 이것에 장착된 좌우 등 지지 기둥(74b)으로 구성되어 있고, 등받이(3)의 메인 지지부(3d)는 등 지지 기둥(74b)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다리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형태이다.
등받이(3)의 메인 지지부(3d)는, 상부 이너 쉘의 전방면에 쿠션을 댄 구조로 되어 있다(쿠션이 없어도 좋음). 한편, 허리 지지부(3c)는 주요 부재로서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판(하부 이너 쉘)(90)을 구비하고 있고, 수지판(90) 중 사람에게 닿는 부분의 전방면에는 쿠션(91)을 대고 있다. 물론, 쿠션 없는 상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사람에의 접촉을 부드럽게 하는 수단으로서는, 엘라스토머 등의 고무질 소재를 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수지판(90) 대신에 판 스프링과 같은 금속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26B에 명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판(90)의 상단은, 메인 지지부(3d)의 하단부 이면에 설치한 지지체(92)에 힌지(93)를 통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수지판(90)은 그 상단을 중심으로 하여 용이하게 전후 회전할 수 있다. 지지체(92)는 메인 지지부(3d)의 이너 쉘에 일체 성형해도 좋고, 이너 쉘과는 별개의 부재라도 좋다. 또한, 수지판(90)의 상단은 등 지지 기둥(74b)에 장착해도 좋다.
수지판(90)은 시트(2)의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90a)를 구비하고 있고, 연장부(90a)의 선단은 시트(2)의 후방부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즉, 도2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이너 쉘(2a)의 하면에 형성한 좌우 복수의 베어링부(94)에 좌우로 긴 로드(95)를 장착하고, 이 로드(95)에 수지판(90)의 연장부의 선단부를 권취함으로써, 수지판(90)의 연장부(90a)의 선단을 통 형상으로 형성하고, 통 형상의 상태를 나사로 보유 지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수지판(90)에 있어서의 연장부(90a)의 선단은 로드(95)를 중심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수지판(90)에 있어서의 연장부(90a)의 선단은 시트(2)의 하면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해도 좋다.
비착좌 상태에서 시트(2)의 후단과 등 지지 기둥(74b) 사이에는 상당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등 지지 기둥(74b)에는, 측면에서 볼 때 시트(2)의 후방 단부를 향하도록 비스듬히 상향으로 오목 형상으로 만곡한 가이드면(96a)을 갖는 가이드체(96)가 고착되어 있다. 가이드체(96)는 수지제이며, 도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등 지지 기둥(74b)에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등 지지 기둥(74)에 가이드체(96)를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수지판(90)의 배면 중, 비착좌 상태에 있어서 가이드체(96)의 오목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블록 형상이며 복수단의 변형 규제체(97)를 고착 또는 일체 성형하고 있다. 변형 규제체(97)는 좌우 가이드체(96)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이로 인해 변형 규제체(97)는 수지판(90)의 좌우 진동 멈춤 기능도 하고 있다. 수지판(90) 중 변형 규제체(97)를 설치한 부분은, 전방 오목 형상으로는 변형하지만 전방 볼록 형상으로는 변형하지 않는다. 즉, 변형 규제체(97)에 의해, 수지판(90)의 변형의 방향성이 부여되어 있다.
수지판(90) 중 상단과 가이드체(96) 사이의 부위는, 측면에서 볼 때 약간이기는 하지만 전방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고 있다. 이것은, 사람이 착좌함으로써 수지판(90)이 전방 방향으로 돌출하는 것의 초기의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가이드체(96)는 수지판(90)의 상단부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사람이 착좌하면, 시트(2)는 측면에서 볼 때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 하강하면서 후퇴하고, 이 시트(2)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수지판(90)의 연장부(90a)는 가이드체(96)의 하단부를 향해 밀어내어진다. 그러면, 수지판(90)의 전체 길이는 불변이므로, 떠받침 작용을 받은 수지판(90)은 가이드체(96)에 있어서의 만곡한 가이드면(96a)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 도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체(96)의 상방의 부위에 있어서 전방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면서 적극적으로 돌출된다. 이에 의해, 사람이 시트(2)에 살짝 걸터앉아도, 사람의 허리부를 수지판(90)[허리 지지부(3c)]으로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지판(90)에 변형 규제체(97)를 설치한 것에 의해, 수지판(90) 중 변형 규제체(97)를 설치한 부분은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직선 형상의 상태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수지판(90)이 전방 방향 볼록 형상으로 만곡하여 돌출하는 것이 확실해지는 동시에, 사람의 체압이 수지판(90)에 작용해도 전방 방향 볼록 형상으로 만곡한 형상이 흐트러질 일은 없다. 즉, 수지판(90)은 변형 규제체(97)에 의해 일정한 상태로 만곡하고, 또한 만곡한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사람이 시트(2)에 깊숙히 앉아도 수지판(90)은 동일한 양만큼 적극적으로 돌출되지만, 수지판(90)은 유연성을 갖고 있으므로, 깊숙히 앉은 상태에서도 압박감 을 받을 일은 없고, 오히려 수지판(90)이 허리에 확실히 닿게 된다.
사람이 깊숙히 앉거나 걸터앉거나 가지각색이라도 적당한 피트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허리 지지부(3c)의 전방 방향 돌출량이 착좌 상태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절되면 좋다. 그러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수지판(90)을 평면에서 볼 때 변형시키는 것 외에, 다음과 같은 것이 고려된다.
즉, (a) 수지판(90)의 상단이 도피 이동하는 것을 스프링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지지하고, 어느 정도 이상의 저항이 걸리면 수지판(90)을 스프링 수단에 저항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도피시킨다, (b) 상기 (a)와는 반대로, 수지판(90)의 하단과 시트(2) 사이에 스프링 수단을 배치하고, 수지판(90)을 시트(2)의 하방으로 도피시킴으로써, 어느 정도 이상의 저항이 걸리면, 시트(2)는 슬라이드해도 수지판(90)은 변형하지 않도록 한다, (c) 가이드체(96)를 후퇴 이동 또는 후방 기울어짐이 가능한 상태로 등 지지 프레임(74)에 장착하여, 가이드체(96)의 후퇴 이동 또는 후방 기울어짐을 스프링 수단으로 지지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압박력이 가해지면 수지판(90)이 전진하지 않도록 한다, (d) 수지판(90) 중 사람의 허리에 닿는 부분 이외의 적당한 부위에, 외력이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측면에서 볼 때 볼록 형상이나 지그재그 형상으로 변형하는 버퍼부를 설치한다, 와 같은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또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판(90)과 같은 변형 허용부의 변형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조절 수단으로서는, 수지판(90)의 상단 또는 하단의 장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시트(2)가 슬라이드하기 시작한 후 수지판(90)에 떠받침력이 작용할 때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5) 그 외
본원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 외에도 다양하게 구체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착좌함으로써 시트를 움직이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과 롤러의 끼워 맞춤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트의 움직임을 허리 지지부의 전진 이동으로 바꾸는 연동 수단으로서는, 링크 기구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시트의 하강 이동에 의해 오일 압력을 가하여, 이 압유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피스톤)로 허리 지지부를 밀어내는 것과 같은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동 수단의 다른 예로서는, 착좌에 의한 시트의 하강 이동을 와이어의 인장력으로 바꾸어, 이 와이어의 인장에 의해 허리 지지부를 밀어내는 것과 같은 것도 가능하다. 물론, 유압이나 와이어와 링크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적용 대상은 캐스터가 구비된 회전식 의자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다리를 프레임 구조로 한 의자와 같은 다른 방식의 의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등 지지 프레임의 형태나 소재는 필요에 따라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본원의 명세서에 있어서는, 우선권 주장 출원에서 개시한 출원의 실시 형태의 일부밖에 게재하고 있지 않다. 이것은 명세서의 분량을 줄이기 위함이며, 본원 발명에는 각 실시 형태 전부가 포함되어 있다.

Claims (9)

  1. 시트와 등받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시트는, 사람이 착좌하면 하강과 후퇴와 기울어짐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하도록 시트 받침체로 지지되어 있는 한편, 상기 등받이는 그 하부가 착좌한 사람의 허리부를 지지할 수 있는 허리 지지부로 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허리 지지부를 크게 전진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등 지지체에 장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시트와 등받이에 더하여, 사람의 착좌에 의한 시트의 움직임에 의해 등받이의 허리 지지부를 전진 이동시키는 연동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사람이 착좌하면 측면에서 볼 때의 자세를 거의 바꾸지 않고 적어도 하강 이동하도록 시트 받침부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시트가 적어도 하강 이동하는 움직임에 의해 등받이의 허리 지지부가 전진하도록 되어 있는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다리의 상단에 설치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후방 기울어짐 가능하게 연결된 등 지지 프레임과, 상기 등 지지 프레임의 후방 기울어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로킹용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시트는 사람이 착좌하면 측면에서 볼 때의 자세를 거의 바꾸지 않고 하강 이동 및 후퇴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와 등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등 지지 프레임은 상기 시트 지지체와 등 지지체를 겸용하고 있고, 또한 상기 로킹용 스프링의 스프링력은 사람이 착좌해도 탄성 변형하지 않고 착좌한 사람이 등받이에 기대면 비로소 탄성 변형하는 강도로 설정되어 있는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다리의 상단에 설치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후방 기울어짐 가능하게 연결된 등 지지 프레임과, 상기 등 지지 프레임의 후방 기울어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로킹용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시트는 사람이 착좌하면 측면에서 볼 때의 자세를 거의 바꾸지 않고 하강 이동 및 후퇴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와 등 지지 프레임에 제1 링크 기구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시트는 스프링에 의해 상승 이동하는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는 한편, 상기 등 지지 프레임에, 상기 시트의 후퇴 이동 및 하강 이동을 등받이의 허리 지지부의 전진 이동으로 변환하는 제2 링크 기구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제2 링크 기구가 상기 연동 수단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에는, 착좌에 의한 시트의 움직임을 등받이의 허리 지지부의 전진 이동으로 변환하는 전동(傳動) 부재로서 스프링 수단이 포함되어 있고, 전진한 허리 지지부가 스프링 수단에 저항하여 후퇴하는 것이 허용되어 있는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착좌한 사람의 압박에 의해 측면에서 볼 때 의 형상 및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이 변형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상부는 상기 등 지지체에 연결되어 있고 허리 지지부는 상기 연동 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등받이는 측면에서 볼 때 상부를 중심으로 하여 기울어짐으로써 허리 지지부가 전후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엘라스토머를 포함한 합성 수지제로 이루어지는 등판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등판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 혹은 전후방 양면에 다수의 세로로 긴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측면에서 볼 때 굽힘 변형할 수 있는 유연한 허리 지지부와, 허리 지지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유연성은 거의 없는 메인 지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등받이의 메인 지지부는 등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한편,
    상기 허리 지지부는 그 상단을 상부 지지부 또는 등 지지 프레임에 연결하고 하단은 이동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어 있고, 허리 지지부는 하방으로부터의 떠받침 작용을 받아 하부가 상승하면 측면에서 볼 때 전방 볼록 형상으로 크게 만곡하여 전진하도록 변형의 방향성이 부여되어 있고,
    또한, 상기 등 지지 프레임에, 사람이 착좌하면 상기 허리 지지부의 하부를 상향 이동시키는 가이드 수단을 마련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 수단이 상기 연동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의자.
  9. 제8항에 있어서, 다리의 상단에 설치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후방 기울어짐 가능하게 연결된 등 지지 프레임과, 등 지지 프레임의 후방 기울어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로킹용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시트는, 사람이 착좌하면 측면에서 볼 때의 자세를 거의 바꾸지 않고 후퇴 이동 및 하강 이동하도록 가이드 수단을 통해 상기 베이스와 등 지지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이로 인해 등 지지 프레임은 시트 받침체와 등 지지체를 겸용하고 있고,
    상기 허리 지지부의 하부에는 유연성을 갖는 하향 연장부가 연속되어 있고 그 선단은 시트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등 지지 프레임에, 상기 시트가 하강 및 후퇴하면 상기 허리 지지부의 하향 연장부를 등받이의 메인 지지부를 향해 이동시키는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는 의자.
KR1020087003817A 2005-08-18 2006-08-18 의자 KR200800370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37660 2005-08-18
JP2005237660A JP4856911B2 (ja) 2005-08-18 2005-08-18 背もたれ付き椅子
JP2005240740A JP4919376B2 (ja) 2005-08-23 2005-08-23 背もたれ付き椅子
JPJP-P-2005-00240740 2005-08-23
JP2005346602A JP5054917B2 (ja) 2005-11-30 2005-11-30 椅子
JPJP-P-2005-00346602 2005-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029A true KR20080037029A (ko) 2008-04-29

Family

ID=3775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817A KR20080037029A (ko) 2005-08-18 2006-08-18 의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94017B2 (ko)
EP (1) EP1915925B1 (ko)
KR (1) KR20080037029A (ko)
AU (1) AU2006280691A1 (ko)
CA (1) CA2619738A1 (ko)
DE (1) DE602006017384D1 (ko)
MY (1) MY144523A (ko)
WO (1) WO200702100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215B1 (ko) * 2008-10-10 2009-06-18 주식회사 시디즈 틸팅 가능 의자
KR101009490B1 (ko) * 2010-04-28 2011-01-21 주식회사 토치 앉는 위치가 조절되는 좌판부의 이동구조를 갖는 의자
KR101107615B1 (ko) * 2011-07-06 2012-01-30 주식회사 다원산업 요추지지장치가 장착된 의자
KR102088189B1 (ko) * 2019-10-22 2020-03-12 성용기업 주식회사 텐션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KR102366836B1 (ko) * 2021-08-23 2022-02-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KR20230000569A (ko) * 2021-06-25 2023-01-03 정원욱 개량된 압박 고정 구조를 갖는 스트레칭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5176B2 (ja) * 2006-07-07 2012-04-25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TWM355061U (en) * 2008-06-12 2009-04-21 Huang-Chang Liu Structure of backrest cushion
SE533354C2 (sv) * 2009-01-29 2010-08-31 Officeline Ab Kontorsstol
KR100919418B1 (ko) * 2009-04-15 2009-09-29 (주) 에이포 등받이가 이동되는 좌석가구
EP2467044B1 (en) * 2009-08-18 2015-05-13 Integrated Furniture Technologies Limited Adjustable furniture
US8944507B2 (en) * 2009-10-13 2015-02-03 Herman Miller, Inc. Ergonomic adjustable chair mechanisms
US8449037B2 (en) * 2010-04-13 2013-05-28 Herman Miller, Inc. Seating structure with a contoured flexible backrest
SG186286A1 (en) 2010-06-15 2013-02-28 Claudia Plikat Chair
CN201743286U (zh) * 2010-07-20 2011-02-16 杭州中泰实业有限公司 滚动轴调节转椅托盘
GB201014953D0 (en) * 2010-09-08 2010-10-20 Birkbeck Hilary R Slide chair action
GB201015414D0 (en) 2010-09-15 2010-10-27 Birkbeck Hilary R Link chair action
CN102078094B (zh) * 2011-01-30 2012-11-28 傅建华 椅子
BR112014008240B1 (pt) 2011-10-04 2021-01-05 Formway Furniture Limited cadeira
TWM433879U (en) * 2011-12-07 2012-07-21 Ruoey Lung Entpr Corp Electric beds and chairs with waist-pushing devices
SE536454C2 (sv) * 2012-02-06 2013-11-12 Lt Office Line Ab Kontorsstol med ett justerbart ländryggsstöd
US11304528B2 (en) 2012-09-20 2022-04-19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with upholstery covering
US9706845B2 (en) 2012-09-20 2017-07-18 Steelcase Inc. Chair assembly
USD697726S1 (en) 2012-09-20 2014-01-21 Steelcase Inc. Chair
CN103445539A (zh) * 2013-08-06 2013-12-18 常州大学 一种坐姿矫正座椅机构
CN112373362B (zh) * 2013-10-07 2022-10-04 约翰逊控制技术公司 座椅结构
KR101398686B1 (ko) * 2013-10-10 2014-05-27 주식회사 시디즈 틸팅 타입 의자
EP2896325B1 (en) * 2014-01-20 2018-02-28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Tilt mechanism for a seating furniture and seating furniture including the same
CN106455821A (zh) * 2014-04-17 2017-02-22 Hni技术公司 椅子和椅子控制组件、系统和方法
CN104083009A (zh) * 2014-06-28 2014-10-08 梁功宇 一种保健坐具
CN104116340A (zh) * 2014-07-08 2014-10-29 梁功宇 一种保健坐具
GB2530297B (en) * 2014-09-18 2019-06-05 Perch Dynamic Solutions Ltd A chair back
NO339052B1 (no) * 2014-10-27 2016-11-07 Sykkylven Staal As Anordning ved sittemøbel
EP3270733B1 (de) * 2015-03-14 2019-05-08 Herman Miller, Inc. Mechanikbaugruppe für einen stuhl und stuhl mit einer derartigen mechanikbaugruppe
US10182656B2 (en) * 2015-04-13 2019-01-22 Steelcase Inc. Seating components with laminated bonding material
US11259637B2 (en) 2015-04-13 2022-03-01 Steelcase Inc. Seating arrangement
EP3984413A1 (en) 2015-04-13 2022-04-20 Steelcase Inc. Seating arrangement
US10966527B2 (en) 2017-06-09 2021-04-06 Steelcase Inc. Seat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10194750B2 (en) 2015-04-13 2019-02-05 Steelcase Inc. Seating arrangement
EP3313689B1 (en) 2015-06-29 2020-11-04 Safran Seats USA LLC Ramp mount
US9596941B1 (en) 2016-02-02 2017-03-21 Office Master Inc. Chair back with height and lumbar adjustment
DE102016104638A1 (de) 2016-03-14 2017-09-14 Burkhard Schmitz Stuhl
US9687079B1 (en) * 2016-04-25 2017-06-27 James E. Grove Back support assembly for the back of a chair
US10021985B2 (en) * 2016-04-28 2018-07-17 James E. Grove Adjustable back support assembly for the back of a chair
US10463153B2 (en) * 2016-06-09 2019-11-05 Steelcase Inc. Seating arrangement
CA3026413C (en) * 2016-06-20 2023-01-17 Kokuyo Co., Ltd. Chair and seat support mechanism
DE202016105769U1 (de) * 2016-10-14 2016-11-10 Topstar Gmbh Sitzmöbel
TWM543007U (zh) * 2017-02-22 2017-06-11 Xin-Hua Chen 椅背結構
US10231546B2 (en) * 2017-03-02 2019-03-19 Knoll, Inc. Chair back tilt mechanism
DE102017107636A1 (de) * 2017-04-10 2018-10-11 Bock 1 Gmbh & Co. Kg Synchronmechanik für einen Bürostuhl
USD869890S1 (en) 2017-12-05 2019-12-17 Steelcase Inc. Chairback
USD869872S1 (en) 2017-12-05 2019-12-17 Steelcase Inc. Chair
US10813463B2 (en) 2017-12-05 2020-10-27 Steelcase Inc. Compliant backrest
USD869889S1 (en) 2017-12-05 2019-12-17 Steelcase Inc. Chairback
US11291305B2 (en) 2017-12-05 2022-04-05 Steelcase Inc. Compliant backrest
USD870479S1 (en) 2017-12-05 2019-12-24 Steelcase Inc. Chair
FR3082108B1 (fr) * 2018-06-06 2020-06-05 Herve Thomas Dispositif d'assise physiologique
KR101917582B1 (ko) * 2018-08-17 2018-11-09 주식회사 대하정공 텐션 등판이 구비된 의자
US11109683B2 (en) 2019-02-21 2021-09-07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KR20200123569A (ko) * 2019-04-22 2020-10-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럼버 서포트 장치
USD907935S1 (en) 2019-05-31 2021-01-19 Steelcase Inc. Chair
USD907383S1 (en) 2019-05-31 2021-01-12 Steelcase Inc. Chair with upholstered back
JPWO2020255195A1 (ko) * 2019-06-17 2020-12-24
CN110584361B (zh) * 2019-08-27 2022-04-26 华中科技大学 一种可收集人体动能的辅助人体坐下的装置
US11357329B2 (en) 2019-12-13 2022-06-14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US11197548B2 (en) * 2019-12-16 2021-12-14 Allseating Corporation Reclining control system for a chair
US11369203B2 (en) * 2020-02-10 2022-06-28 X-Chair, LLC Chair assemblies, systems, and apparatuses having integrated technologies, and related methods
WO2021178206A1 (en) 2020-03-02 2021-09-10 Steelcase Inc. Body support assembly and methods for the use and assembly thereof
USD953049S1 (en) * 2020-06-19 2022-05-31 Allseating Corporation Chair
WO2022173799A1 (en) 2021-02-10 2022-08-18 Steelcase Inc. Body support structure
CN215776739U (zh) * 2021-05-20 2022-02-11 广东联友办公家具有限公司 腰枕支撑力调节结构和座椅
US11744375B2 (en) * 2021-07-14 2023-09-05 Anthro Form, Llc Seat configuration
CN114587102A (zh) * 2022-03-28 2022-06-07 安吉卡贝隆家具有限公司 一种可摇摆椅背结构及椅子
WO2024010494A1 (ru) * 2022-07-21 2024-01-11 Амир ФАТКУЛЛИН Кресло
WO2024014990A1 (ru) * 2022-07-25 2024-01-18 Амир Анварович ФАТКУЛЛИН Кресло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140A (en) * 1880-10-12 candrian
JPS4420784Y1 (ko) 1966-11-17 1969-09-04
GB8425908D0 (en) 1984-10-12 1984-11-21 Anderle E Seat with dynamic lumbar support
WO2000078185A2 (en) 1999-06-17 2000-12-28 Steelcase Inc. Chair construction
JP2002119375A (ja) * 2000-10-16 2002-04-23 Kokuyo Co Ltd 椅 子
WO2002032264A1 (fr) 2000-10-16 2002-04-25 Kokuyo Co., Ltd. Chaise
JP3834502B2 (ja) * 2001-11-05 2006-10-18 株式会社岡村製作所 リクライニング椅子
JP4420784B2 (ja) 2004-05-06 2010-02-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215B1 (ko) * 2008-10-10 2009-06-18 주식회사 시디즈 틸팅 가능 의자
WO2010041895A3 (ko) * 2008-10-10 2010-07-29 주식회사 시디즈 틸팅 가능 의자
US8544955B2 (en) 2008-10-10 2013-10-01 Sidiz, Inc. Tiltable chair
KR101009490B1 (ko) * 2010-04-28 2011-01-21 주식회사 토치 앉는 위치가 조절되는 좌판부의 이동구조를 갖는 의자
KR101107615B1 (ko) * 2011-07-06 2012-01-30 주식회사 다원산업 요추지지장치가 장착된 의자
KR102088189B1 (ko) * 2019-10-22 2020-03-12 성용기업 주식회사 텐션 등받이가 형성된 의자
KR20230000569A (ko) * 2021-06-25 2023-01-03 정원욱 개량된 압박 고정 구조를 갖는 스트레칭 의자
KR102366836B1 (ko) * 2021-08-23 2022-02-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의 좌판 깊이 조절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21005A1 (ja) 2007-02-22
EP1915925A1 (en) 2008-04-30
US20090146476A1 (en) 2009-06-11
EP1915925B1 (en) 2010-10-06
DE602006017384D1 (de) 2010-11-18
US7794017B2 (en) 2010-09-14
EP1915925A4 (en) 2009-10-28
AU2006280691A1 (en) 2007-02-22
MY144523A (en) 2011-09-30
CA2619738A1 (en)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7029A (ko) 의자
JP4856911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JP6343118B2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椅子
JP7429275B2 (ja) 椅子
JP6262937B2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椅子
JP4943114B2 (ja) 椅子
JP2023112111A5 (ko)
JP2007151582A (ja) 身体支持板及び椅子
JP5339548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JP4950701B2 (ja) 椅子
JP4996240B2 (ja) 椅子
JP2007152145A (ja) 椅子
JP5514425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JP4857146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JP2007175520A (ja) 椅子
JP7469860B2 (ja) 椅子
JP4255804B2 (ja) 椅子
JP4960670B2 (ja) 椅子
JP6196438B2 (ja) ロッキング椅子
JP2021106758A (ja) ヘッドレスト付き椅子
JP7385405B2 (ja) 椅子
JP6412300B2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椅子
JP4960689B2 (ja) 椅子
JP2015157224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JP2021106757A (ja) ヘッドレスト付きリクライニング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