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662B1 -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 Google Patents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662B1
KR102460662B1 KR1020210181852A KR20210181852A KR102460662B1 KR 102460662 B1 KR102460662 B1 KR 102460662B1 KR 1020210181852 A KR1020210181852 A KR 1020210181852A KR 20210181852 A KR20210181852 A KR 20210181852A KR 102460662 B1 KR102460662 B1 KR 10246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support
lumbar
support
backres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1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성
김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린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린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린백
Priority to KR1020210181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6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무실이나 가정 및 학교에서 사용되는 등받이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쉬형 등받이체의 등받이프레임으로부터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승강지지구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승강지지구에는 좌,우로 분할된 한 쌍의 요추부지지판을 결합 형성하며, 상기 승강지지구의 전면에는 요추부지지판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별도 구비의 탄성슬라이더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탄성슬라이더의 단계별 횡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요추부지지판과 간섭 또는 비간섭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등받이메쉬를 이용하여 받침구 전체가 가압 고정되므로 조립성이나 생산성 및 교체의 편리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이나 선호 위치에 따라 요추부지지판을 간편하게 상,하로 움직여 사용자가 원하는 가장 최선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요추 부분에 대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의 필요 혹은 선호에 따라 상기 요추부지지판이 체중에 의해 탄력 지지되게 하거나 등받이체의 전방으로 융출되어 요추 부분을 단계적으로 가압 지지하도록 가변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형태나 취향 혹은 신체적 조건 등을 고루 만족시켜 등받이 의자에 대한 사용상의 편리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Split-variable lumbar support structure for back chairs}
본 발명은 사무실이나 가정 및 학교에서 사용되는 등받이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쉬형 등받이체의 등받이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요추부지지판이 등받이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높이 조절되게 하거나 상기 분할의 요추부지지판이 필요에 의해 탄력지지 혹은 돌출 상태로의 가압지지 상태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필요 혹은 신체 구조에 따라 가장 최선의 요추부 받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탄력지지 혹은 가압지지로의 선택적인 조절을 통해 사용상의 편리함이 가일층 향상되도록 한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받이 의자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부와, 좌판부에 수직하게 위치되되 좌판부의 배면에 고정되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 또는 별도의 지지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의 일부인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받이를 포함한다.
나아가, 사용자의 등을 편하게 지지하기 위해 등받이부를 의자의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틸팅 장치(tilting apparatus)가 좌판부의 하단에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틸팅 장치가 더 구비될 경우 등받이부의 하단은 틸팅 장치에 결합된다. 따라서, 등받이부의 상단은 그 하단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사용자가 기지개를 펴거나 휴식을 위해 등을 뒤로 젖힐 때 등받이부가 이에 따라 전,후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등받이 의자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30508호와 같이, 흉추와 요추가 굽어 있는 만곡상태를 받쳐주도록 절곡 구조의 좌,우측 척추 등판부와, 상기 좌,우측 척추 등판부를 지지하는 세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의 중앙에 가로지지대를 구성하되, 상기 가로지지대의 상단에 장착된 경추를 받쳐주는 경판대와, 상기 세로지지대를 의자시트의 하단에 장착하여 구성함으로써, 인체의 기둥인 척추 경추, 흉추, 요추를 굽어있는 만곡상태 그대로 받쳐줌으로써, 척추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척추의 변위로 인해 자연 만곡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척추를 정상적인 만곡을 유지하는 척추커브를 만들어 줌으로써, 편안하고 건강한 척추를 유지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는 의자가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044430호와 같이 사용자의 등의 좌,우를 한꺼번에 지지하는 원 백 타입의 등판부와, 등판부를 지지하는 등판부 지지대와, 등판부의 상부와 등판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며 등판부의 상부를 등판부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고정 유닛과, 등판부의 하부와 등판부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며 외력이 등판부에 가해지면 등판부의 하부가 등판부 지지대를 기준으로 좌,우 움직일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유닛과, 등판부 지지대에 구비되며 등판부를 가압하여 사용자의 요추를 받치는 요추받이와; 그리고 요추받이를 전,후 이동시키는 전후 이동 유닛을 포함하여 된 의자의 등 지지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22122호의 경우 두개의 등받이 외판이 서로 측방향으로 떨어져 있음과 동시에 외판의 아래에 안락을 도모하는 요추를 받쳐주는 2개의 요추받이가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받이 외판은 중간가로대에 탄성요소로 볼트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등받이 외판의 구조 및 형상은 인체의 허리축 양측면의 등을 감싸주는 형상으로서, 시트 표면에 수직인 축방향(X축)으로 볼 때 2개의 등받이 외판의 구성 전체가 일렬상으로 등을 받칠 수 있도록 전체로 보아 타원형처럼 둥근형상을 하고 있으며, 시트표면에 수평면인 수평축방향(Y축)으로 보면 등받이 외판이 니은자(ㄴ)형으로 좌우측부에서 만곡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등받이 외판의 각각 형상 중 척추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은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탄성요소는 의자등받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다리꼴 형상으로 볼트에 의하여 의자등받이 중앙지점에서 상단이 고정되고, 의자등받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자등받이 중앙 하단지점에서 하단이 고정되며 중간가로대의 가로이동고정용 장공과 볼트에 의하여 고정되며 그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이어, 등록특허 제10-2057900호의 경우에는 의자의 등받이에 특정 구조의 요추지지체를 적용함에 따라 사용자는 신체조건에 맞춰 요추지지체의 높낮이를 조절한 후 안정적으로 인체의 요추부분이 지지된 상태로 의자에 착석할 수 있도록 한 의자 등받이의 요추지지 구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등받이 의자용 요추받침구는 사용자 개개인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이 아니라 범용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키가 작거나 왜소한 체구의 사용자는 요추받침구가 지나치게 높은 경향이 있고 반대로 키가 크거나 거구의 사용자는 요추받침구가 낮은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요추받침구에 대한 높낮이의 조절구조가 적용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높낮이 조절구조의 요추받침구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떨어져 지극히 비경제적인 것이고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폐단이 있는 것이다.
특히, 기존의 요추받침구는 단일 개체 혹은 양측으로의 분할 개체가 동시에 전,후로 이동하여 요추에 대한 지지력이 가변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일측 혹은 양측이 각기 다른 형태의 지지력을 갖도록 설정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비스듬한 자세를 반복하여 의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분할 개체가 각기 개별적으로 유동하지 못하므로 보다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요추받침구는 등받이체가 쿠션에 의해 만들어진 기존의 의자에 적합한 형태로 만들어진 것으로 근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메쉬형 등받이체에는 적용할 수 없는 구조인 것이고, 메쉬형 등받이체에 적용된 형태의 요추받침구라 하더라도 등받이체와는 별개로 장착되거나 등받이체의 전면에 개별적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고 있어 미관상으로도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등받이 메쉬 자체의 탄력도에도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아니하므로 효과적인 하중 지지 및 요추 받침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더불어, 기존의 요추받침구는 단순히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받쳐주는데 그 목적이 제한되므로 사용 과정에서 혹은 사용자의 요구로 인해 요추 받침이 불필요하거나 혹은 더욱 강력한 요추 받침이 필요한 경우 또는 오히려 요추 부분에서의 탄력이 필요한 경우 등 다양한 경우의 수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불가피하게 요추 받침구를 제거하거나 보다 크고 두꺼운 형태의 요추받침구로 교체 조립하는 등 지극히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230508 (2001.05.02.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44430 (2011.06.20.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22122 (2006.07.14.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57900 (2019.12.16.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메쉬형 등받이체의 등받이프레임으로부터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승강지지구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승강지지구에는 좌,우로 분할된 한 쌍의 요추부지지판을 결합 형성하며, 상기 승강지지구의 전면에는 요추부지지판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별도 구비의 탄성슬라이더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탄성슬라이더의 단계별 횡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요추부지지판과 간섭 또는 비간섭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분할의 요추부지지판이 상,하로 간편하게 승강하므로 가장 최선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받쳐주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탄성슬라이더를 움직여 요추부지지판이 체중에 의해 탄력적으로 요추 부분을 지지하도록 하거나 요추부지지판이 돌출된 상태로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가압 지지할 수 있도록 가변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의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에 등받이메쉬가 고정되는 등받이 의자용 등받이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전면 하측에 별도 구비의 승강지지구가 상기 등받이프레임으로부터 상,하 유동되도록 횡방향으로 결합 형성하고, 상기 승강지지구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요추부지지판을 결합 형성하며, 상기 승강지지구의 전면에는 상기 요추부지지판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별도 구비의 탄성슬라이더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탄성슬라이더가 승강지지구로부터 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요추부지지판은 배면 일측에 체결부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의 체결부가 승강지지구에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탄성슬라이더가 요추부지지판의 후측에서 요추부지지판과 간섭/비간섭의 형태로 유동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등받이메쉬를 이용하여 받침구 전체가 가압 고정되므로 조립성이나 생산성 및 교체의 편리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이나 선호 위치에 따라 요추부지지판을 간편하게 상,하로 움직여 사용자가 원하는 가장 최선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요추 부분에 대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의 필요 혹은 선호에 따라 상기 요추부지지판이 체중에 의해 탄력 지지되게 하거나 등받이체의 전방으로 융출되어 요추 부분을 단계적으로 가압 지지하도록 가변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형태나 취향 혹은 신체적 조건 등을 고루 만족시켜 등받이 의자에 대한 사용상의 편리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가 적용된 등받이 의자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가 적용된 등받이 의자의 부분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정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배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요부 정면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요부 배면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평면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평면 분리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탄성슬라이더 1단계 작용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탄성슬라이더 2단계 작용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탄성슬라이더 3단계 작용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탄성슬라이더 4단계 작용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탄성슬라이더 결합부의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가 적용된 등받이 의자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가 적용된 등받이 의자의 부분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정면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배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요부 정면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요부 배면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평면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에 대한 평면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요추부 받침구조는 기존의 다양한 메쉬형 등받이 의자에 적용되는 것으로, 가스실린더와 승강축 및 사방으로의 지지각을 갖는 하부지지체와; 쿠션재 혹은 메쉬형 좌판과; 상기 좌판의 후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세워 장착되는 등받이체와; 상기 좌판의 양측에 장착되는 팔걸이체와; 상기 하부지지체 및 좌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동시에 상기 등받이체의 하단이 장착되는 록킹장치;로 구성된 등받이 의자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체에 본 발명의 요추부 받침구조를 적용함에 따라 등받이 의자에 대한 사용 편리성을 가일층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면에 등받이메쉬(100)가 고정되는 등받이 의자용 등받이프레임(200)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프레임(200)의 전면 하측에 별도 구비의 승강지지구(3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200)으로부터 상,하 유동되도록 횡방향으로 결합 형성하고, 상기 승강지지구(300)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요추부지지판(400)(400')을 결합 형성하며, 상기 승강지지구(300)의 전면에는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별도 구비의 탄성슬라이더(500)(50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승강지지구(300)로부터 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등받이프레임(200)으로부터 상,하 유동되는 승강지지구(300)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가장 최선의 위치에서 요추부에 대한 받침 및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 분할된 한 쌍의 요추부지지판(400)(400')은 사용자의 요추부 양측에 대한 효과적인 받침과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탄성슬라이더(500)(500')로 인해 요추부지지판(400)(400')이 사용자의 요추부에 작용하는 받침 및 지지력을 탄력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가압 돌출 형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은 배면 일측에 체결부(401)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의 체결부(401)가 승강지지구(300)에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체결부(401)를 제외한 요추부지지판(400)(400')의 후측에서 요추부지지판(400)(400')과 간섭/비간섭의 형태로 유동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탄성슬라이더(500)(500')의 인위적인 유동을 통해 체결부(401)를 제외한 요추부지지판(400)(400')이 하중에 의해 탄력적으로 사용자의 체중을 안정적으로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합성수지재에 의해 사출 성형되는 등받이프레임(200)의 양측 전면에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유동홈(201)(201')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지지구(300)의 배면 양측에는 끼움구(301)(301')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유동홈(201)(201')으로 삽입되는 끼움구(301)(301')에 의해 승강지지구(300)가 등받이프레임(200)으로부터 자유롭게 상,하로 유동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전기한 요추부지지판(400)(400')이 결합된 승강지지구(300)는 등받이프레임(200)에 고정되는 등받이메쉬(100)의 밀착 가압력에 의해 등받이프레임(200)과의 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의 등받이프레임(200) 전면에 요추부지지판(400)(400')이 결합되는 동시에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조립된 상태의 승강지지구(300)를 결합한 후, 상기 등받이프레임(200)에 등받이메쉬(100)를 밀착 고정시키게 되면, 등받이메쉬(100)의 밀착력 및 등받이메쉬(100) 자체에 부여되는 장력으로 인해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요추부지지판(400)(400')에 작용하는 가압력으로 인해 상기 승강지지구(300)는 등받이프레임(200)의 전면에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승강지지구(300)는 등받이메쉬(100)의 가압력으로 인해 조립된 상태일 것이므로 사용자가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승강지지구(300)를 상,하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승강지지구(300)는 등받이프레임(200)의 유동홈(201)(201')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는 것으로, 등받이메쉬(100)의 가압력은 보통의 사용자가 가할 수 있는 인위적인 힘 보다는 작아야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프레임(200)의 유동홈(201)(201') 내면 혹은 인접부에 상,하로 반복되는 돌기를 연속하여 형성하고, 승강지지구(300)의 끼움구(301)(301') 측면 또는 승강지지구(300)의 배면 양측부에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홈부를 형성하여 이들 돌기와 홈부의 상호 계지력에 의해 승강지지구(300)의 조정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추가 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상기 승강지지구(300)를 상,하로 유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인위적인 힘에 의해 돌기로부터 홈부가 이탈되면서 용이하게 승강지지구(300)를 유동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프레임(200)으로부터 승강지지구(300)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임의로 승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 결합부 또는 인접부에 별도의 걸림 혹은 멈춤수단이나 상호 저항수단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러한 걸림 혹은 멈춤이나 저항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용 가능한 구조여야 할 것이다.
특히, 전기한 승강지지구(300)에 요추부지지판(400)(400')을 결합함에 있어, 상기 승강지지구(300)의 전면 양측에는 전기한 요추부지지판(400)(400')의 체결부(401) 외곽과 일치하는 형태의 수용홈부(302)(302')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의 체결부(401)를 수용홈부(302)(302')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401)의 외측으로부터 내부를 관통하여 수용홈부(302)(302')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승강지지구(300)에 대한 요추부지지판(400)(400')의 견고한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들 각각의 요추부지지판(400)(400')은 편향 고정된 체결부(401)로 인해 상기 체결부(401)를 제외한 요추부지지판(400)(400')의 일측이 탄력적인 유동이 가능한 결합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탄력 결합구조로 인해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에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하중으로 인해 요추부지지판(400)(400')이 후퇴 절곡되면서 탄력적인 하중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기한 요추부지지판(400)(400')에는 체결부(401)의 일측에 위치하는 수직의 절개슬롯(403)을 관통 형성하여, 상기 절개슬롯(403)에 의해 승강지지구(300)에 결합된 체결부(401) 이외의 요추부지지판(400)(400')에 대한 가압시 상기 절개슬롯(403)이 형성된 부분의 단면적이 감소되므로 해당 부분에서의 절곡성이 증대하여 결국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에 대한 탄력성이 증대될 수 있어 사용자의 요추 부분에 대한 통증을 주지 않고 자연스러운 탄력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절개슬롯(403)은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의 탄력 지지를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절개슬롯(403)이 형성된 위치에 절개슬롯(403) 대신 상,하로 반복된 통공 또는 주름부 혹은 잘록부 등으로 대체하여 적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어, 전기한 승강지지구(300)의 전면 양측에는 상,하로 형성된 이동홈(303)(303')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슬라이더(500)(500')의 배면 상,하에는 상기 이동홈(303)(303')으로 삽입되게 한 걸림구(501)를 갖는 끼움홈(502)(502')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탄성슬라이더(500)(500')의 끼움홈(502)(502')으로 승강지지구(300)의 전면 상,하측에 형성된 돌출조(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가 삽입되게 하고, 상기 끼움홈(502)(502') 내 걸림구(501)는 승강지지구(300)의 상,하면에 각기 형성된 이동홈(303)(303')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탄성슬라이더(500)(500')는 승강지지구(300)의 전면 양측으로부터 상호 분리없이 자유롭게 횡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전기한 이동홈(303)(303')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걸림구(501)가 이동홈(303)(303')으로 삽입되기 위한 개방의 진입홈(304)을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상기 진입홈(304)을 통해 이동홈(303)(303')으로 삽입된 탄성슬라이더(500)(500')의 걸림구(501)에 의해 승강지지구(300)로부터 탄성슬라이더(500)(500')가 횡방향으로 안내 유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탄성슬라이더(500)(500')는 사용자가 이를 직접 쥐고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동개체인 것으로, 탄성슬라이더(500)(500')의 상,하부를 승강지지구(300)의 후측으로 더욱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해당의 연장부를 사용자가 직접 파지하여 이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장 형성의 파지부를 추가로 더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의 배면에는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계단형가이더(402)(40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탄성슬라이더(500)(500')의 전면에는 상,하로 이격된 가이드홈(503)(503')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503)(503')에 계단형가이더(402)(402')가 삽입된 상태로 탄성슬라이더(500)(500')의 횡방향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승강지지구(300)로부터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의 계단형가이더(402)(402')와 상호 비간섭 상태에서 상호 간섭 상태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은 탄력 지지 상태에서 돌출 가압 지지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탄성슬라이더(500)(500')의 이동량 혹은 이동 위치에 따라 요추부지지판(400)(400')에 대한 돌출 지지력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전기한 요추부지지판(400)(400')의 계단형가이더(402)(402')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점차 후향 돌출의 제1~4단턱(402a)(402b)(402c)(402d)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1~4단턱(402a)(402b)(402c)(402d)과 대응하는 위치에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이동됨에 따라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은 탄력 지지 상태 또는 단계별 돌출 가압 지지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단턱(402a)은 요추부지지판(400)(400')의 배면으로부터 가장 적은 돌출량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의 계단형가이더(402)(402') 중 제1단턱(402a)의 후측에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1단턱(402a)의 외측단과 가이드홈(503)(503')의 내측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상기 등받이메쉬(100)에 체중이 작용하는 경우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호 이격 거리만큼 요추부지지판(400)(400')이 후측으로 탄력 변형되면서 사용자의 체중에 대한 탄력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제2단턱(402b)은 제1단턱(402a)에 비하여 요추부지지판(400)(400')의 배면으로부터 보다 더 돌출된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제2단턱(402b)의 후측에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2단턱(402b)의 외측단과 가이드홈(503)(503')의 내측단이 서로 맞닿도록 구성하여, 등받이메쉬(100)에 체중이 작용하는 경우 도 11의 도시와 같이 등받이메쉬(100)와 함께 요추부지지판(400)(400')이 바로 체중에 대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3단턱(402c)은 제2단턱(402b)에 비하여 요추부지지판(400)(400')의 배면으로부터 보다 더 돌출된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제3단턱(402c)의 후측에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3단턱(402c)의 외측단과 가이드홈(503)(503')의 내측단이 서로 간섭하여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이 등받이메쉬(100)의 전면방향으로 상호 간섭량만큼 돌출됨에 따라 등받이메쉬(100)에 체중이 작용하는 경우 도 12의 도시와 같이 돌출된 요추부지지판(400)(400')에 의해 사용자의 요추부에 대한 돌출 형태로의 가압 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 상기 제4단턱(402d)은 제3단턱(402c)에 비하여 요추부지지판(400)(400')의 배면으로부터 보다 더 돌출된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 제4단턱(402d)의 후측에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4단턱(402d)의 외측단과 가이드홈(503)(503')의 내측단이 제3단턱(402c)에 비해 더욱 증대된 상태로 서로 간섭하여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이 등받이메쉬(100)의 전면방향으로 더욱 돌출됨에 따라 도 13의 도시와 같이 등받이메쉬(100)에 체중이 작용하는 경우 돌출된 요추부지지판(400)(400')에 의해 사용자의 요추부에 대한 더욱 증대된 돌출 형태로의 가압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계단형가이더(402)(402')의 제1~4단턱(402a)(402b)(402c)(402d)은 전기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1단턱(402a) 보다 더 짧은 형태의 마이너스 단턱을 추가로 형성하여 더욱 탄력도가 향상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제4단턱(402d) 보다 더 긴 형태의 플러스 단턱을 추가로 형성하여 더욱 향상된 가압 돌출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각 단계별 단턱의 길이 차이를 미세하게 다단으로 형성하거나 이들 단턱 간의 경계부에 탄성슬라이더(500)(500')의 원활한 유동을 위한 경사부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의 단턱 전체를 하나의 연속된 경사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하로 이격 형성된 상기 계단형가이더(402)(402')를 두꺼운 단면의 단일 개체로 구성하여 단일 개체의 계단형가이더(402)(402')가 탄성슬라이더(500)(500')의 중앙으로 삽입된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는 것으로, 상기 탄성슬라이더(500)(500')의 횡방향 이동으로 인해 요추부지지판(400)(400')이 후측으로 탄력 절곡되는 상태에서 점진적으로 전방 돌출 지지될 수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든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때, 전기한 승강지지구(300)의 이동홈(303)(303') 일측에는 도 14의 도시와 같이 등간격의 계지홈(305)(305')을 형성하고, 탄성슬라이더(500)(500')의 걸림구(501) 일측에는 상기 계지홈(305)(305')을 향하는 계지구(504)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승강지지구(300)의 이동홈(303)(303')을 따라 유동하는 탄성슬라이더(500)(500')가 계지홈(305)(305')에 대한 계지구(504)의 순차 계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상호 계지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탄성슬라이더(500)(500')의 이동 상태를 시각 및 촉각에 의해 채득할 수 있는 것이고, 이들의 상호 계지력은 상기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임의로 횡방향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겸하게 될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에 대한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는 조립성과 생산성이 뛰어나 원가 절감에 이바지할 수 있는 것이고, 사용자는 누구나 손쉽게 요추부 받침구에 해당하는 승강지지구(300)를 빠르게 상,하로 승강시켜 가장 최선의 위치에서 사용자의 요추부에 대한 받침 및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분할된 한 쌍의 요추부지지판(400)(400')에 대한 탄력 지지 혹은 돌출에 의한 가압 지지를 단계별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개별의 요추부지지판(400)(400')에 대한 탄력 지지 혹은 돌출에 의한 가압 지지를 별개로 설정할 수 있어 등받이 의자를 사용하는 이용자의 특성이나 자세 혹은 사용 과정에서의 다양한 방식 등에 모두 만족스런 상태의 사용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등받이메쉬
200 : 등받이프레임 201,201' : 유동홈
300 : 승강지지구 301,301' : 끼움구
302,302' : 수용홈부 303,303' : 이동홈
304 : 진입홈 305,305' : 계지홈
400,400' : 요추부지지판 401 : 체결부
402,402' : 계단형가이더
500,500' : 탄성슬라이더 501 : 걸림구
502,502' : 끼움홈 503,503' : 가이드홈
504 : 계지구

Claims (8)

  1. 전면에 등받이메쉬(100)가 고정되는 등받이 의자용 등받이프레임(200)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프레임(200)의 전면 하측에 별도 구비의 승강지지구(300)가 상기 등받이프레임(200)으로부터 상,하 유동되도록 횡방향으로 결합 형성하고, 상기 승강지지구(300)의 양측부에는 한 쌍의 요추부지지판(400)(400')을 결합 형성하며, 상기 승강지지구(300)의 전면에는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별도 구비의 탄성슬라이더(500)(50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승강지지구(300)로부터 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은 배면 일측에 체결부(401)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의 체결부(401)가 승강지지구(300)에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요추부지지판(400)(400')의 후측에서 요추부지지판(400)(400')과 간섭/비간섭의 형태로 유동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등받이프레임(200)의 양측 전면에는 상,하로 길게 연장된 유동홈(201)(201')을 형성하고, 상기 승강지지구(300)의 배면 양측에는 끼움구(301)(301')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유동홈(201)(201')으로 삽입되는 끼움구(301)(301')에 의해 승강지지구(300)가 등받이프레임(200)으로부터 상,하로 유동되도록 구성하되,
    전기한 요추부지지판(400)(400')이 결합된 승강지지구(300)는 등받이프레임(200)에 고정되는 등받이메쉬(100)의 밀착 가압력에 의해 등받이프레임(200)과의 조립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승강지지구(300)의 전면 양측에는 전기한 요추부지지판(400)(400')의 체결부(401) 외곽과 일치하는 형태의 수용홈부(302)(302')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의 체결부(401)를 관통하여 수용홈부(302)(302')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승강지지구(300)에 대한 요추부지지판(400)(400')의 견고한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승강지지구(300)의 전면 양측에는 상,하로 형성된 이동홈(303)(303')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슬라이더(500)(500')의 배면 상,하에는 상기 이동홈(303)(303')으로 삽입되게 한 걸림구(501)를 갖는 끼움홈(502)(502')을 형성하되,
    상기 이동홈(303)(303')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걸림구(501)가 이동홈(303)(303')으로 삽입되기 위한 진입홈(304)을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상기 이동홈(303)(303')으로 삽입된 탄성슬라이더(500)(500')의 걸림구(501)에 의해 승강지지구(300)로부터 탄성슬라이더(500)(500')가 횡방향으로 안내 유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승강지지구(300)의 이동홈(303)(303') 일측에는 등간격의 계지홈(305)(305')을 형성하고, 탄성슬라이더(500)(500')의 걸림구(501) 일측에는 상기 계지홈(305)(305')을 향하는 계지구(504)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승강지지구(300)의 이동홈(303)(303')을 따라 유동하는 탄성슬라이더(500)(500')가 계지홈(305)(305')에 대한 계지구(504)의 순차 계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요추부지지판(400)(400')의 배면에는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계단형가이더(402)(402')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탄성슬라이더(500)(500')의 전면에는 상,하로 이격된 가이드홈(503)(503')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503)(503')에 계단형가이더(402)(402')가 삽입된 상태로 탄성슬라이더(500)(500')의 횡방향 유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요추부지지판(400)(400')의 계단형가이더(402)(402')는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점차 후향 돌출의 제1~4단턱(402a)(402b)(402c)(402d)으로 구성되되,
    제1단턱(402a)의 후측에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1단턱(402a)의 외측단과 가이드홈(503)(503')의 내측단이 서로 이격되어 있어 등받이메쉬(100)에 체중이 작용하는 경우 상호 이격 거리만큼 요추부지지판(400)(400')에 대한 탄력 지지가 이루어도록 구성하고,
    제2단턱(402b)의 후측에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2단턱(402b)의 외측단과 가이드홈(503)(503')의 내측단이 서로 맞닿아 있어 등받이메쉬(100)에 체중이 작용하는 경우 요추부지지판(400)(400')이 바로 체중에 대한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제3단턱(402c)의 후측에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3단턱(402c)의 외측단과 가이드홈(503)(503')의 내측단이 서로 간섭하여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이 등받이메쉬(100)의 전면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등받이메쉬(100)에 체중이 작용하는 경우 돌출된 요추부지지판(400)(400')에 의해 사용자의 요추부에 대한 돌출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제4단턱(402d)의 후측에 탄성슬라이더(500)(500')가 위치된 상태에서는 제4단턱(402d)의 외측단과 가이드홈(503)(503')의 내측단이 제3단턱(402c)에 비해 증대된 상태로 서로 간섭하여 상기 요추부지지판(400)(400')이 등받이메쉬(100)의 전면방향으로 더욱 돌출됨에 따라 등받이메쉬(100)에 체중이 작용하는 경우 돌출된 요추부지지판(400)(400')에 의해 사용자의 요추부에 대한 증대된 돌출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요추부지지판(400)(400')에는 체결부(401)의 일측에 위치하는 수직의 절개슬롯(403)을 관통 형성하여, 상기 절개슬롯(403)에 의해 승강지지구(300)에 결합된 체결부(401) 이외의 요추부지지판(400)(400')에 대한 가압시의 탄력성이 증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KR1020210181852A 2021-12-17 2021-12-17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KR10246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852A KR102460662B1 (ko) 2021-12-17 2021-12-17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1852A KR102460662B1 (ko) 2021-12-17 2021-12-17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0662B1 true KR102460662B1 (ko) 2022-10-31

Family

ID=8380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1852A KR102460662B1 (ko) 2021-12-17 2021-12-17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662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508Y1 (ko) 2001-02-08 2001-07-19 강규수 척추가 편한 의자
KR200422122Y1 (ko) 2006-04-27 2006-07-24 차석출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20090114223A (ko) * 2008-04-29 2009-11-03 박영숙 의자의 등받이 체결구조
KR101044430B1 (ko) 2009-09-25 2011-06-27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101465039B1 (ko) * 2013-06-26 2014-11-25 계원예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칭적으로 조절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JP2015058311A (ja) * 2013-09-20 2015-03-30 コクヨファニチャー株式会社 椅子
JP2015092924A (ja) * 2013-11-08 2015-05-18 株式会社内田洋行 椅子
US20160157617A1 (en) * 2014-12-04 2016-06-09 Lear Corporation Thoracic region comfort seating system
KR20180116730A (ko) * 2017-07-10 2018-10-25 성용기업 주식회사 다용도 구조 변경이 가능한 의자
KR102057900B1 (ko) 2019-07-22 2019-12-20 주식회사 듀오백 의자 등받이의 요추지지 구조
KR20200110966A (ko) * 2019-03-18 2020-09-28 (주)광일체어 의자의 요추지지부 구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508Y1 (ko) 2001-02-08 2001-07-19 강규수 척추가 편한 의자
KR200422122Y1 (ko) 2006-04-27 2006-07-24 차석출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20090114223A (ko) * 2008-04-29 2009-11-03 박영숙 의자의 등받이 체결구조
KR101044430B1 (ko) 2009-09-25 2011-06-27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101465039B1 (ko) * 2013-06-26 2014-11-25 계원예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칭적으로 조절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JP2015058311A (ja) * 2013-09-20 2015-03-30 コクヨファニチャー株式会社 椅子
JP2015092924A (ja) * 2013-11-08 2015-05-18 株式会社内田洋行 椅子
US20160157617A1 (en) * 2014-12-04 2016-06-09 Lear Corporation Thoracic region comfort seating system
KR20180116730A (ko) * 2017-07-10 2018-10-25 성용기업 주식회사 다용도 구조 변경이 가능한 의자
KR20200110966A (ko) * 2019-03-18 2020-09-28 (주)광일체어 의자의 요추지지부 구조
KR102057900B1 (ko) 2019-07-22 2019-12-20 주식회사 듀오백 의자 등받이의 요추지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5914B2 (en) Back support for a chair
US10893752B2 (en) Chair with activated back flex
JP6572266B2 (ja) 椅子
US7344194B2 (en) Device for lumbar support
US9480339B2 (en) Seat with pelvic support
JP5603329B2 (ja) シーティングユニット用の同調背もたれ
US20040140701A1 (en) Backrest for a seating structure with an adjustable sacral support
EP2068677A2 (en) A chair
US20200069064A1 (en) Chair having flection adjustment module for lumbar support part
KR101910413B1 (ko) 틸팅 의자
CN215650076U (zh) 一种人体工学健康椅
KR102460662B1 (ko) 등받이 의자용 분할 가변식 요추부 받침구조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102506194B1 (ko) 3d 탄력구조의 분할형 요추받침구를 갖는 의자용 등받이체
CN107485210B (zh) 用于就坐表面的可调节背部支撑件
EP1786293A1 (en) A self-adjusting chair back
KR101730880B1 (ko) 허리지지부의 곡률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JP2012143634A (ja) 身体支持板及び椅子
KR101052551B1 (ko) 의자
KR102574254B1 (ko) 탄력적인 입체 지지구조의 요추받침구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프레임
KR102193999B1 (ko) 조절 가능한 요추지지부재를 갖는 의자
CN113768303A (zh) 一种脊柱健康拉伸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