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0029B1 - 기능성 의자 - Google Patents

기능성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0029B1
KR102400029B1 KR1020200150883A KR20200150883A KR102400029B1 KR 102400029 B1 KR102400029 B1 KR 102400029B1 KR 1020200150883 A KR1020200150883 A KR 1020200150883A KR 20200150883 A KR20200150883 A KR 20200150883A KR 102400029 B1 KR102400029 B1 KR 102400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ressure
unit
user
plate
functional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4612A (ko
Inventor
하종영
임영석
Original Assignee
나이스팩토리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스팩토리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나이스팩토리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00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64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4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0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0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기능성 의자가 개시된다. 기능성 의자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를 수용하는 제1 판부,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허리와 등 부위를 수용하는 제2 판부 및 제1 판부 및 제2 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2 판부에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허리 부위에 밀착되는 지압부가 형성되고, 지압부에는, 지압부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의자{FUNCTIONAL CHAIR}
아래 설명은 기능성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압부에 조절부가 장착된 좌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의 기본적인 기능은 착석자의 상체를 지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의자는 일반적으로 엉덩이와 요추를 지지하는 조립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최근에 출시된 의자는 스프링, 쿠션 또는 스프링에 놓여 있는 패드 등을 포함하기도 한다. 의자를 사용하는 경우, 착석자는 일반적으로 후방으로 몸을 기대어 휴식을 취하는 자세와 전방으로 몸을 숙여 작업을 수행하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의자는 착석자가 취하는 이러한 두 가지의 특정 자세에 대해 적절히 변형을 하여 착석자의 몸을 지지하여야 한다.
종래에 사용자가 휴식 시 사용자의 상체를 편안하고 좋은 자세로 유지시켜 주는 의자들은 많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는 등받이의 조절이 불가능한 구조가 대부분이어서, 장시간 착석한 착석자를 피로하게 하고, 요추의 신경 눌림 현상과 척추 변형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능성 의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는 사용자가 상기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를 수용하는 제1 판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허리와 등 부위를 수용하는 제2 판부; 및 상기 제1 판부 및 상기 제2 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부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허리 부위에 밀착되는 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압부에는, 상기 지압부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상기 지압부가 밀착되는 기울기를 조절하고, 상기 지압부의 하단에 가깝게 장착될수록,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기울어지고, 상기 지압부의 상단에 가깝게 장착될수록,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약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제2 판부에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압부의 배면에서 상기 지압부와 상기 제2 판부 간의 이격된 틈으로 고정 홈을 장착시키고, 상기 조절부를 상기 지압부의 일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지압부가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기울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압부의 배면에서 상기 지압부와 상기 제2 판부 간의 이격된 틈으로 고정 홈을 장착시켜 상기 지압부의 일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조절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지압부가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기울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압부의 앞면에서 상기 지압부와 상기 제2 판부 간의 이격된 틈으로 장착되고, 상기 지압부의 돌출부들에 의해 상기 지압부의 일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조절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지압부가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기울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압부의 하단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압부의 상단 및 측단들은, 상기 제2 판부와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여 상기 제2 판부에 등 부위를 기대였을 때, 상기 제2 판부와 상기 지압부는 탄성력을 가지고 변형되고, 상기 제2 판부와 상기 지압부는 서로 다른 복원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압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자극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부와 탄성도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압부의 기울기를 사용자의 허리 모양에 최적화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의 체형 또는 의도에 따라 지압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요추의 변형, 피로감 및 요통을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구멍들을 포함하는 공기 순환부를 통해 통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조절부가 장착되지 않은 기능성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측면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저면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장착된 지압부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6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지압부에 장착된 기능성 의자의 정면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지압부에 장착된 기능성 의자의 배면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장착된 지압부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1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지압부에 장착된 기능성 의자의 정면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지압부에 장착된 기능성 의자의 배면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장착된 지압부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16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지압부에 장착된 기능성 의자의 정면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지압부에 장착된 기능성 의자의 배면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8c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조절부가 장착되지 않은 기능성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사용자가, 조절부가 장착되지 않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지 않은 상태와,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한 상태를 도시한다.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기 전에는 돌출부(145)들을 포함하는 지압부(140)가 제2 판부(130)의 주위 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여 후면으로 몸을 기대는 경우, 연결부(120)와 제2 판부(130)는 탄성력을 가지고 변형되게 된다.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앉게 되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제1 판부(110)의 전방은 아래로 내려가고, 제1 판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120)와 제2 판부(130)가 사용자의 허리 부위와 및 등 부위에 특정한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밀착되게 된다. 제2 판부(130)는 길이 방향으로 전방으로 만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형상을 통해 제2 판부(130)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 시 만곡되는 허리 부위와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등 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허리 부위와 등 부위가 제2 판부(130)에 밀착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여 후면으로 몸을 기대는 경우, 지압부(140)도 탄성력을 가지면서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맞게 변형될 수 있다. 지압부(140)는 제2 판부(130)의 다른 부분보다 강한 복원력으로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지압부(140)에 형성된 돌출부(145)들은 이러한 지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제1판부, 제2 판부(130), 연결부(120) 및 지압부(140)가 일체로 형성된 기능성 의자는 지압부(140)의 탄성력을 기초로 지압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앉아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 시 지압부(140)를 기준으로 제2 판부(130)가 좌편과 우편으로 분리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 판부(130)가 사용자의 등 부위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기능성 의자는 지압부(140)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가해지는 힘을 조절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도 1의 기능성 의자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공장에서 생성되어 나온 일률적인 강도의 지압만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마다 사용자의 체형이나 체격 또는 자극을 원하는 세기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도 1의 기능성 의자는 일관된 세기의 지압을 가하여, 사용자가 심한 통증을 느끼거나, 지압 효과를 느끼지 못하는 것과 같은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기능성 의자는, 의자 등판과 이격되어 구비된 지압부를 사용자 또는 착석자의 체형이나 기호에 맞게 사용자의 허리 쪽으로 기울어진 기울기를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는 지압부의 전면 또는 배면에 위치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조절부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지압부가 밀착되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는 지압부의 상단에 가깝게 위치할수록 지압부가 사용자의 허리를 지압하는 강도를 낮출 수 있고, 지압부의 하단에 가깝게 위치할수록 지압부가 사용자의 허리를 지압하는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지압부에 조절부가 장착된 기능성 의자는 지압부가 돌출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체형 또는 기호에 맞는 허리 지압의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성 의자는 조절부에 고정부가 포함된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 고정부 없이 조절부가 상하로 슬라이드 형태로 이동하고 고정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 및 지압부의 정면에 장착되고 돌출부의 위, 아래 또는 사이에 위치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측면 부분을 도시하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저면 부분을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장착된 지압부를 도시하고, 도 6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지압부에 장착된 기능성 의자의 정면 부분을 도시하며, 도 6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지압부에 장착된 기능성 의자의 배면 부분을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8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기능성 의자로서 구체적으로는 지압부(240)에 조절부(260)가 장착된 좌식 의자가 도시된다. 기능성 의자는 제1 판부(210), 제2 판부(230), 제1 판부(210)와 제2 판부(230)를 연결하는 연결부(220), 지압부(24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260) 및 통풍을 위한 공기 순환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부(210)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를 수용하고, 제2 판부(230)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허리와 등 부위를 수용한다. 제1 판부(210), 제2 판부(230) 및 연결부(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판부(210), 제2 판부(230) 및 연결부(220)는 하나의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다른 재질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판부(210)는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와 엉덩이 부위가 안착 또는 배열되는 좌판으로서, 전방이 상부 쪽으로 살짝 들어 올려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판부(210)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판형의 방석(215)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판부(210)와 방석(215)은 벨크로부를 통해 탈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한 필요에 따라 방석(215)을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방석(215)을 세탁하거나 다른 방석을 사용하기 위해 제1 판부(210)에 존재하는 방석(215)을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능성 의자의 방석(215)을 세탁할 수 있게 되고, 여름에는 시원한 소재의 방석을 사용하거나 겨울에는 발열 소재의 방석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판부(230)는 연결부(220)의 후방에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위와 등 부위를 지지하는 등판일 수 있다. 제2 판부(230)는 허리 및 등 부위와의 밀착을 위한 적합한 만곡을 가질 수 있고, 연결부(220)를 통해 제1 판부(2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판부(230)는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전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20)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 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이 위치하는 곳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20)와 제2 판부(230)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연결부(220) 및 제2 판부(230)뿐만 아니라 제1 판부(210)도 플렉서블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판부(230)에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허리 부위에 밀착되는 지압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압부(240)는 제2 판부(230)의 중앙 위치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가압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압부(240)는 제2 판부(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압부(240)에는 지압부(24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260)가 장착될 수 있다. 조절부(260)는 실시예에 따라 지압부(240)의 앞면에서 배면으로 지압부(240)를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고, 또는 지압부(240)의 배면에서 앞면으로 지압부(240)를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다.
조절부(260)는, 지압부(240)의 하단에 가깝게 장착될수록,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안쪽으로 기울어지고, 지압부(240)의 상단에 가깝게 장착될수록,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약하게 밀착되도록 제2 판부(230)에 가까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압부(240)의 하단은 연결부(220)와 연결되고, 지압부(240)의 상단 및 측단들은 제2 판부(230)와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지압부(240)는 제2 판부(230)의 표면을 기준으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여 제2 판부(230)에 등 부위를 기대였을 때, 제2 판부(230)와 지압부(240)는 탄성력을 가지고 변형되나, 제2 판부(230)와 지압부(240)는 서로 다른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지압부(240)가 제2 판부(230)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2 판부(230)에 등 부위를 기댄 경우, 지압부(240)에 밀착된 신체 부위인 허리 부위에 나머지 제2 판부(230)에 밀착된 신체 부위보다 더 강한 힘이 작용하게 될 수 있다. 조절부(260)는, 지압부(240)가 제2 판부(230)의 안쪽으로 기울어진 기울기를 조절하여, 지압부(240)에 밀착된 신체 부위인 허리 부위에 작용되는 힘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260)가 지압부(240)의 상단에 장착되게 되면, 지압부(240)에 밀착된 허리 부위에 작용되는 힘을 약하게 할 수 있고, 하단에 장착되게 되면, 허리 부위에 작용되는 힘을 강하게 할 수 있다. 조절부(260)는 사용자가 원하는 요추에 대한 지압 효과에 적절하도록 지압부(240)가 제공하는 압력과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공기 순환부(270)는 제1 판부(110)에서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를 수용하게 되는 중앙 부분 또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수용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기 순환부(270)는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구멍들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통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기 순환부(270)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기능성 의자에 장시간 착석해 있는 동안에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조절부(260)는 지압부(240)의 배면에서 지압(240)부와 제2 판부(230) 간의 이격된 틈으로 고정 홈(255)을 장착시킬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260)는 조절부(260)를 지압부(240)의 일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26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260)의 위치에 기초하여, 지압부(240)가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기울기가 결정될 수 있다. 고정부(265)는 지압부(240)의 배면을 감싸는 부분에 손잡이와 연결된 나사 형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부(265)를 조여 조절부(260)를 지압부(240)의 일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지압부(24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압부(240)와 제2 판부(230)는 서로 탄성도가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압부(240)와 제2 판부(230)에 포함된 소재의 차이로 인하여 제2 판부(230)보다 지압부(240)가 보다 복원력이 클 수 있다. 또한, 지압부(240)는 사용자의 허리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만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압부(240)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자극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24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45)의 재질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245)는 푹신푹신한 텐션을 제공하는 소재나 단단한 강성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45)들은 제2 판부(23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나열될 수 있으며, 좌우 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45)들은 기능성 의자의 허리 지압 효과를 보다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기능성 의자는 복잡한 구조나 힌지 수단 없이도 제1 판부(210) 및 제2 판부(230)와 일체로 형성된 지압부(240)를 통해 허리 부위에 지압 효과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지압부(240)와 다른 구성 요소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기능성 의자를 제작하기 위한 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고 기능성 의자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압부(240)를 구비한 기능성 의자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요추의 변형이나 피로감 및 요통 등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기능성 의자를 통해 요추의 통증 없이 안락함을 느끼면서 편안하게 오랜 시간 동안 기능성 의자에 앉아 있을 수 있으며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능성 의자가 바닥과 맞닿는 제1 판부(210)의 일면(바닥면 또는 저면)에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기능성 의자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 지지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지지부(250)는 좌/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앉아 허리 부위를 지압부(240)에 밀착시키는 경우, 제1 판부(210)에 형성된 지지부(250)는 기능성 의자가 뒤로 더 넘어가지 않도록 기능성 의자의 좌면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250)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부위와 기능성 의자의 지압부(240)가 더욱 더 밀착되게 되고, 지압부(240)와 지압부(240)에 형성된 돌출부(245)의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대한 지압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고정부(265)의 나사가 조여진 정도에 따른 지압부(240)의 기울기 변화를 도시한다. 도 8a는 고정부(265)가 가장 많이 조여진 상태를 도시하며, 이때, 지압부(240)가 제2 판부(230)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여, 지압부(240)의 기울기가 도 8a 내지 도 8c 중에서 가장 큰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힘은 세 도면들이 도시하는 상태 중에서 가장 셀 수 있다. 도 8c는 고정부(265)가 가장 덜 조여진 상태를 도시하며, 이때, 지압부(240)가 제2 판부(230)가장 멀게 위치하며, 지압부(240)의 기울기가 도8a 내지 도 8c 중에서 가장 작은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힘은 세 도면들이 도시하는 상태 중에서 가장 약할 수 있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장착된 지압부를 도시하고, 도 11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지압부에 장착된 기능성 의자의 정면 부분을 도시하며, 도 11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지압부에 장착된 기능성 의자의 배면 부분을 도시한다. 도 12 내지 도 13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는 제1 판부(910), 제2 판부(930), 제1 판부(910)와 제2 판부(930)를 연결하는 연결부(920), 지압부(94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960) 및 통풍을 위한 공기 순환부(9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부(910)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를 수용하고, 제2 판부(930)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허리와 등 부위를 수용한다. 제1 판부(910), 제2 판부(930) 및 연결부(9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판부(910), 제2 판부(930) 및 연결부(920)는 하나의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다른 재질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판부(910)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판형의 방석(915)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판부(930)에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허리 부위에 밀착되는 지압부(94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압부(940)는 제2 판부(9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압부(940)에는 지압부(94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960)가 장착될 수 있다.
조절부(960)는, 지압부(940)의 하단에 가깝게 장착될수록,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안쪽으로 기울어지고, 지압부(940)의 상단에 가깝게 장착될수록,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약하게 밀착되도록 제2 판부(930)에 가까워질 수 있다.
조절부(960)는, 지압부(940)가 제2 판부(930)의 안쪽으로 기울어진 기울기를 조절하여, 지압부(940)에 밀착된 신체 부위인 허리 부위에 작용되는 힘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부(960)가 지압부(940)의 상단에 장착되게 되면, 지압부(940)에 밀착된 허리 부위에 작용되는 힘을 약하게 할 수 있고, 하단에 장착되게 되면, 허리 부위에 작용되는 힘을 강하게 할 수 있다. 조절부(960)는 사용자가 원하는 요추에 대한 지압 효과에 적절하도록 지압부(940)가 제공하는 압력과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공기 순환부(970)는 제1 판부(910)에서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를 수용하게 되는 중앙 부분 또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수용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공기 순환부(970)는 공기가 순환할 수 있는 구멍들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통풍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기 순환부(970)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기능성 의자에 장시간 착석해 있는 동안에도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조절부(960)는 지압부(940)의 배면에서 지압부(940)와 제2 판부(930) 간의 이격된 틈으로 고정 홈(955)을 장착시켜 지압부(940)의 일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절부(960)의 위치에 기초하여 지압부(940)가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기울기가 결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960)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지압부(940)의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이동하며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절부(960)를 지압부(940)의 일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지압부(94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지압부(940)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자극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94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945)들은 기능성 의자의 허리 지압 효과를 보다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조절부(960)의 양 날개(975)와 고정 홈(955) 간의 높낮이에 따른 지압부(940)의 기울기 변화를 도시한다. 양 날개(975)은 제2 판부(930)와 맞닿을 수 있고, 양 날개(975)의 제 2판부(930)와 맞닿는 부분과 고정 홈(955)간의 높낮이에 기초하여 지압부(940)의 기울기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3a는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조절부(960)의 상태 중에서 양 날개(975)의 제 2판부(930) 맞닿는 부분과 고정 홈(955)간의 높낮이가 가장 큰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지압부(940)가 제2 판부(930)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여, 지압부(940)의 기울기가 도 13a 내지 도 13c 중에서 가장 큰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힘은 세 도면들이 도시하는 상태 중에서 가장 셀 수 있다. 도 13c는 조절부(960)의 양 날개의 제 2판부(930)와 맞닿는 부분과 고정 홈(955)간의 높낮이가 가장 작은 상태를 도시하며, 이때, 지압부(940)가 제2 판부(930)와 가장 멀게 위치하며, 지압부(940)의 기울기가 도13a 내지 도 13c 중에서 가장 작은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힘은 세 도면들이 도시하는 상태 중에서 가장 약할 수 있다.
도 1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장착된 지압부를 도시하고, 도 16a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지압부에 장착된 기능성 의자의 정면 부분을 도시하며, 도 16b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가 지압부에 장착된 기능성 의자의 배면 부분을 도시한다. 도 17 내지 도 18c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는 제1 판부(1410), 제2 판부(1430), 제1 판부(1410)와 제2 판부(1430)를 연결하는 연결부(1420), 지압부(144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1455) 및 통풍을 위한 공기 순환부(14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부(1410)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를 수용하고, 제2 판부(1430)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허리와 등 부위를 수용한다. 제1 판부(1410), 제2 판부(1430) 및 연결부(14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판부(1410), 제2 판부(1430) 및 연결부(1420)는 하나의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다른 재질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1 판부(1410)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판형의 방석(1415)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판부(1430)에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허리 부위에 밀착되는 지압부(144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압부(1440)는 제2 판부(14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압부(1440)에는 지압부(144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1455)가 장착될 수 있다.
조절부(1455)는, 지압부(1440)의 하단에 가깝게 장착될수록,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안쪽으로 기울어지고, 지압부(1440)의 상단에 가깝게 장착될수록,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약하게 밀착되도록 제2 판부(1430)에 가까워질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조절부(1455)는 지압부(1440)의 앞면에서 지압부(1440)와 제2 판부(1430) 간의 이격된 틈으로 제2 판부(1430) 뒷면에 고정 홈(1460)을 장착시킬 수 있다. 조절부(1455)의 위치에 기초하여 지압부(1440)가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기울기가 결정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의자의 배면을 바라보았을 때, 조절부(1455)의 고정 홈(1460)이 보일 수 있다.
지압부(1440)는 사용자가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자극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1445)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1455)는 돌출부(1445)들 사이 또는 돌출부(1445)들 위, 아래에 위치함으로써, 돌출부(1445)들에 의해 지압부(1440)의 일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c는 조절부(1455)의 고정 홈(1460)과 조절부(1455)의 앞면 간의 높낮이에 따른 지압부(1440)의 기울기 변화를 도시한다. 조절부(1455)의 고정 홈(1460)은 제2 판부(1430)과 맞닿을 수 있고, 조절부(1455)의 고정 홈(1460)과 조절부(1455)의 앞면 간의 높낮이에 기초하여 지압부(1440)의 기울기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8a는 도 18a 내지 도 18c에 도시된 조절부(1455)의 상태 중에서 조절부(1455)의 고정 홈(1460)과 조절부(1455)의 앞면 간의 높낮이가 가장 큰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 지압부(1440)가 제2 판부(1430)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여, 지압부(1440)의 기울기가 도 18a 내지 도 18c 중에서 가장 큰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힘은 세 도면들이 도시하는 상태 중에서 가장 셀 수 있다. 도 18c는 조절부(1455)의 고정 홈(1460)과 조절부(1455)의 앞면 간의 높낮이가 가장 작은 상태를 도시하며, 이때 지압부(1440)가 제2 판부(1430)와 가장 멀게 위치하며, 지압부(1440)의 기울기가 도 18a 내지 도 18c 중에서 가장 작은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허리에 가해지는 힘은 세 도면들이 도시하는 상태 중에서 가장 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8)

  1. 기능성 의자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를 수용하는 제1 판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허리와 등 부위를 수용하는 제2 판부; 및
    상기 제1 판부 및 상기 제2 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부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허리 부위에 밀착되는 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압부에는, 상기 지압부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가 장착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압부의 배면에서 상기 지압부와 상기 제2 판부 간의 이격된 틈으로 고정 홈을 장착시켜 상기 지압부의 일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조절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지압부가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기울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상기 지압부가 밀착되는 기울기를 조절하고,
    상기 지압부의 하단에 가깝게 장착될수록,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강하게 밀착되도록 기울어지고, 상기 지압부의 상단에 가깝게 장착될수록,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에 약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제2 판부에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압부의 배면에서 상기 지압부와 상기 제2 판부 간의 이격된 틈으로 고정 홈을 장착시키고,
    상기 조절부를 상기 지압부의 일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지압부가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기울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4. 삭제
  5. 기능성 의자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엉덩이와 허벅지 부위를 수용하는 제1 판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허리와 등 부위를 수용하는 제2 판부; 및
    상기 제1 판부 및 상기 제2 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부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허리 부위에 밀착되는 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압부에는, 상기 지압부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가 장착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압부의 앞면에서 상기 지압부와 상기 제2 판부 간의 이격된 틈으로 장착되고, 상기 지압부의 돌출부들에 의해 상기 지압부의 일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조절부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지압부가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밀착되는 기울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부의 하단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지압부의 상단 및 측단들은, 상기 제2 판부와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여 상기 제2 판부에 등 부위를 기대였을 때, 상기 제2 판부와 상기 지압부는 탄성력을 가지고 변형되고, 상기 제2 판부와 상기 지압부는 서로 다른 복원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기능성 의자에 착석하였을 때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를 자극하기 위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지압부는,
    상기 제2 판부와 탄성도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지압부는,
    상기 사용자의 허리 부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의자.
KR1020200150883A 2020-11-12 2020-11-12 기능성 의자 KR102400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883A KR102400029B1 (ko) 2020-11-12 2020-11-12 기능성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0883A KR102400029B1 (ko) 2020-11-12 2020-11-12 기능성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612A KR20220064612A (ko) 2022-05-19
KR102400029B1 true KR102400029B1 (ko) 2022-05-20

Family

ID=8180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0883A KR102400029B1 (ko) 2020-11-12 2020-11-12 기능성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00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737B1 (ko) * 2015-09-30 2016-04-04 (주)코아스 요추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의자의 등받이유닛
KR102163201B1 (ko) * 2020-02-06 2020-10-08 주식회사 디에스앤 기능성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430B1 (ko) * 2009-09-25 2011-06-27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737B1 (ko) * 2015-09-30 2016-04-04 (주)코아스 요추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의자의 등받이유닛
KR102163201B1 (ko) * 2020-02-06 2020-10-08 주식회사 디에스앤 기능성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4612A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201B1 (ko) 기능성 의자
US6079782A (en) Seat construction which corrects the pelvis so that it influences a proper alignment of the human body
US5704689A (en) Chair having separable back
US7607738B2 (en) Contoured seat and method
US6595586B2 (en) Two platform motion seat
EP0130229A1 (en) One-piece shell chair
EP0700653A2 (en) Spinal support system for seating
KR100970602B1 (ko) 작동부를 갖는 의자 시트
KR102206733B1 (ko) 입체적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KR200493915Y1 (ko) 좌식의자
US20020180249A1 (en) Back support system
KR102400029B1 (ko) 기능성 의자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EP1342438A2 (en) Seat structure
JP7495586B2 (ja) 機能式椅子
CN212698226U (zh) 分布式脊柱减震椅
KR102482778B1 (ko) 의자용 등받이 쿠션
KR102597324B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등받이가 구비되는 좌대로 이루어진 의자.
KR200215221Y1 (ko) 의자 등받이
KR200263969Y1 (ko) 허리보조받침장치를 구비한 분리형 의자
US20050054491A1 (en) Massage seat cushion
KR100280388B1 (ko) 좌판과 분리형 등받이가 일체로 형성된 의자
CN113974359A (zh) 腰椎支撑坐垫的靠背角度调节装置
CN118078059A (zh) 一种人体工学可调靠背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