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932Y1 - 맞춤형 의자 - Google Patents

맞춤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932Y1
KR200438932Y1 KR2020070003015U KR20070003015U KR200438932Y1 KR 200438932 Y1 KR200438932 Y1 KR 200438932Y1 KR 2020070003015 U KR2020070003015 U KR 2020070003015U KR 20070003015 U KR20070003015 U KR 20070003015U KR 200438932 Y1 KR200438932 Y1 KR 200438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upport member
customized
suppor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0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영
Original Assignee
신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영 filed Critical 신재영
Priority to KR20200700030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9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9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착부의 너비를 조절할 수 있는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 평판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밀착되고 횡 방향으로 가이드장공이 형성된 제1ㆍ제2받침부재와,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의 상면에 밀착되고 다수개의 삽입홀이 형성된 안착부재와, 상기 삽입홀 및 상기 가이드장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체결부재와, 및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맞춤형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 크기에 따라 제1ㆍ제2받침부재의 폭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자세를 안정되게 교정할 수 있다.
의자, 조절부, 맞춤형, 받침부, 안착부

Description

맞춤형 의자{Adjustable chair}
도 1은 종래의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좌식의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의 분리 사사도,
도 5a는 본 고안의 맞춤형 의자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 3에 표기된 A-A 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맞춤형 의자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상태를 도시한 A-A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맞춤형 의자 110 : 지지부재
120 : 조절부 121 : 회전바
122 : 조작부재 123,124 : 고정부재
125 : 동력전달부재 130 : 제1받침부재
140 : 제2받침부재 131, 141 : 돌출부재
132, 142 : 가이드장공 133, 143 : 회전안내부재
150 : 안착부재 151 : 밀착부재
152 : 삽입홀 160, 161 : 체결부재
170 : 보호부재
본 고안은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엉덩이 크기에 맞게 폭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앉은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맞춤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의자 및 좌식의자는 일상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도구로서,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몸을 기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의자 및 좌식의자는 사용자의 요구, 사용장소, 및 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특히, 최근에는 의자 및 좌식의자의 형태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의자 및 좌식의자의 기능적인 측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실정이다.
종래의 의자(10)는 첨부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착부(11), 등받이부(12), 지지부(13), 로 구비되거나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식의자(20)는 안착부(11'), 등받이부(12')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의자(10)들은 학교, 학원, 음식점, 가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사용자들의 직업이 사무직인 경우 하루 10시간 이상의 시간을 도 1과 같은 의자(10)에 앉아서 일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앉는 자세에 따라 신체의 경추, 척추, 요추 및 다리관절부의 변형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즉, 사용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하게 되면 쉽게 피로해지며 신체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의 나쁜 자세가 습관화될 경우에는 신체 척추의 기형을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안착부(11,11')에 앉게 되면 사용자에 따라 꼬리뼈 및 엉덩이뼈 등이 맞닿아 불편을 격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의자들은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안착부가 구비되어 제공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어린이 또는 청소년인 경우에 동일 연령 때라 할지라도 성장발육에 따라 안착부의 너비가 조절되지 않아 종래와 같은 의자를 다시 구입해야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의 엉덩이 크기에 따라 안착부의 폭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는 맞춤형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맞춤형 의자는, 평판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밀착되고, 횡 방향으로 가이드장공이 형성된 제1ㆍ제2받침부재;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의 상면에 밀착되고, 다수개의 삽입홀이 형성된 안착부재; 상기 삽입홀 및 상기 가이드장공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한 맞춤형 의자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관통되도록 구비된 회전바;
상기 회전바의 일부분에 구비된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상ㆍ하 외주면에 각각 밀착되고,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에 구비된 한 쌍의 회전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회전바의 회전 조작에 따라 한 쌍의 상기 회전안내부재가 위치이동되어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한 맞춤형 의자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회전바를 조작하도록 일측 끝부분에 조작부재;가 더 구비된다.
본 고안에 의한 맞춤형 의자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피니언기어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안내부재는 랙기어로 구비된 것을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한 맞춤형 의자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의자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전면에 부착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맞춤형 의자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의자는,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안착부재에 결합되는 등받이부;를 더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100)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100)는 크게 지지부재(110), 조절부(120),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 안착부재(150), 및 체결부재(160,161)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110)에는 고정홈(111,112) 및 관통홀(113)이 포함된다. 상기 지지부재(110)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직사각형의 평판으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및 다각의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111,112)은 상기 직사각형의 평판 중앙부분에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홈(111,112)은 그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110)에 일정 깊이로 홈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고정홈(111,112)은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고정홈(111)과 제2고정홈(112)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홈(111)은 상기 지지부재(110)의 전방에 상기 제2고정홈(112)은 후방에서 형성된 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113)은 상기 고정홈(111,112)의 양측방향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관통홀(113)은 후술되는 체결부재(160)가 위치되어 체결되는 홀이다.
상기 조절부(120)는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를 좌ㆍ우측 방향으로 각각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회전바(121), 조작부재(122), 고정부재(123,124), 및 동력전달부재(125)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바(121)는 그 단면이 원형을 갖는 바로 형성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재(122)는 상기 회전바(121)의 일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바(12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조작부재(122)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 돌기 또는 다수의 골과 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23,124)는 상기 회전바(121)에 하나 이상으로 각각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121)의 위치를 전술된 지지부재(110)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123,124)는 제1고정부재(123) 및 제2고정부재(124)로 구비되며, 상기 제1고정부재(123)는 상기 회전바(121)의 타측 끝단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부재(124)는 상기 회전바(121)의 중간부분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123,124)는 상기 회전바(121)와 결합되었을 때, 자체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123,124)에 베어링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재(123)는 상기 제1고정홈(111)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부재(124)는 상기 제2고정홈(112)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125)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pinion gear)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재(125)는 상기 제1고정부재(123)와 제2고정부재(124)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바(121)와 동일하게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면에 밀착되고, 돌출부재(131,141), 가이드장공(132,142), 및 회전안내부재(133,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받침부재(13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평판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신체의 엉덩이 부분을 받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재(131)는 상기 제1받침부재(130)의 일측 끝부분에 호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131)는 그 끝단이 라운딩 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재(131)는 신체의 엉덩이 측부가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장공(132)은 상기 제1받침부재(130)의 평판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받침부재(130)를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안내부재(133)는 상기 제1받침부재(130)의 타측 하단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안내부재(133)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랙 기어(rack gear)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제2받침부재(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받침부재(130)에 대향되는 위치에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재(141)는 상기 제2받침부재(140)의 타측 끝부분에 호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재(141)는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그 끝단이 라운딩 되어 구비되며, 신체의 엉덩이 측부가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장공(142)은 상기 제1받침부재(130)와 같이 평판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받침부재(140)를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안내부재(143)는 상기 제2받침부재(140)의 일측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랙 기어로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받침부재(130)에 구비된 회전안내부재(133)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재(125)의 하단과 밀착되도록 횡측에서 슬라이딩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받침부재(140)에 구비된 회전안내부재(143)는 상기 동력전달부재(125)의 상단과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회전안내부재(133,143)와 동력전달부재(125)가 결합되면 상기 조작부재(1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의 폭이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부재(150)는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의 상면에 밀착되고, 그 상면에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받쳐지는 편을 갖도록 구비된다. 또한, 밀착부재(151)와 삽입홀(152)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재(150)는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에 밀착되도록 저면이 평면의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면으로는 밀착부재(151)가 상기 안착부재(150)의 중간 부분에 돌출되어 곡선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밀착부재(151)는 사용자의 엉덩이 사이에 구비되어 허벅지에 밀착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홀(152)은 상기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113) 및 가이드장공(132,142)과 동일한 선상에서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152)은 후술되는 체결부재(160,161)가 관통되며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부재(150)는 금속재 및 목재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합 성수지로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재(160,161)는 상기 맞춤형 의자(100)를 고정해주는 것으로, 볼트(160)와 너트(161)로 구비된다. 상기 볼트(160)는 상기 삽입홀(152), 가이드장공(132,142), 및 관통홀(113)을 관통하여 너트(161)와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부재(160,161)는 도시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트와 너트로 구비된다.
상기 맞춤형 의자(100)는 보호부재(1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술되어진 동력전달부재(125)와 회전안내부재(133,143)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보호부재(170)는 전면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되고, 배면은 평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맞춤형 의자(100)의 전면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부재(170)는 상기 안착부재(150)와 지지부재(110) 전면에 부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170)는 금속재 및 목재로 구비될 수 있으나 합성수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100)의 사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관통홀(113)과 고정홈(111,112)이 형성된 지지부재(110) 상부에 조절부(120)를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부재(123,134)는 고정홈(111,11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제1받침부재(130)를 일측에서 상기 지지부재(110)에 밀착시킨 후, 동력전달부재(125)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킨다. 이때, 회전안내부재(133) 상면이 동력전달부재(125)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1받침부재(130)가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받침부재(140)를 상기 제1받침부재(130)의 타측에서 지지부재(110)의 상면에 밀착시킨다. 여기서 회전안내부재(143)를 상기 동력전달부재(125) 상부로 결합한다. 다음으로, 안착부재(150)를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 상부로 밀착시킨다. 그리고, 볼트(160)가 상기 관통홀(113), 가이드장공(132,142), 삽입홀(152)을 관통하여 너트(161)와 체결시킨다.
이후, 보호부재(170)가 상기 지지부재(110)와 안착부재(150)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보호부재(170)가 최종적으로 고정되면 배면 부분에 돌출되어 형성된 조절부(120)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엉덩이 크기에 맞도록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를 좌ㆍ우측 방향으로 위치 이동 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5a 또는 도 5b를 참조하여 보는 바와 같이 여기서, 상기 조절부(120)를 오른쪽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의 거리는 줄어들고, 왼쪽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의 거리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의 평소의 간격이 L1 만큼 공간이 되는 것이고, 사용자에 따라 상기 조절부(120)을 조절하여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의 공간을 형성시키게 되면 L2 만큼의 거리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200)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100)와 비교하여,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 구성의 안착홈(210) 및 등받이부(220)만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200)는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 구성의 안착홈(210) 및 등받이부(220)만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맞춤형 의자(200)는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에 구성된 안착홈(210)과 등받이부(22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130,140)는 상기 등받이부(22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안착홈(21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210)은 상기 등받이부(220)를 탈ㆍ부착시 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등받이부(22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는 라운드 형상을 갖는다. 이 라운드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맞춤형 의자(200)의 안착홈(210)에 탈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220)의 형상은 다각 또는 원형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등받이부(220)는 등 부위를 편안하게 받쳐주기 위한 것으로 맞춤형 의자(200)와 탈ㆍ부착되는 것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3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300)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200)와 비교하여, 지지부(310)만 상이하고, 다른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300)는 상기 지지부(310)만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310)는 상기 맞춤형 의자(300)을 지지해주며 지면에서 일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높이가 구비되는 것으로, 단면이 원통을 갖는 바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310)는 상기 맞춤형 의자(300)의 각각의 모서리 부분에 결합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4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400)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300)와 비교하여, 높낮이부(410) 및 베이스프레임(420)만 상이하고, 다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의자(400)의 높낮이부(410) 및 베이스프레임(420)만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상기 맞춤형 의자(400)는 높낮이부(410) 및 베이스프레임(420) 를 포함한다.
상기 높낮이부(410)는 일측이 지지부재(410)에 결합되고, 타측은 후술되는 베이스프레임(420)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높낮이부(410)는 도시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높낮이를 할 수 있도록 실린더로 구비된다. 상기 높낮이부(410)는 맞춤형 의자(4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레버(411)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411)의 조정에 따라 상기 맞춤형 의자(400)의 높낮이를 사용자의 원하는 위치가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20)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맞춤형 의자(400)의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롤러부재(430)를 더 포함하 여 구비된다. 상기 롤러부재(430)는 바람직하게는 바퀴로 구비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맞춤형 의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맞춤형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 크기에 맞춰 제1ㆍ제2받침부재의 폭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자세를 안정된 자세로 교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엉덩이 크기에 맞추어 폭을 조절하게 되면, 사용자는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신체를 바른 자세로 유지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가 앉을 때, 사용자의 허벅지 사이의 공간에 밀착되어 편안한 감을 줄 수 있다. 이때, 밀착부재가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안으며 형성되어 무게 중심이 꼬리뼈, 또는 엉덩이뼈로 가지 않고 허벅지로 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맞춤형 의자는 사용자에 따라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안착부가 조절되어 연령층에 관계없이,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 다.

Claims (6)

  1. 상면이 평판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설치되고, 회전 조작에 따라 자체 회전되는 동력전달부재가 구비된 조절부;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연결되어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왕복 운동되는 한 쌍의 회전안내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안내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제1ㆍ제2받침부재; 및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의 상면에 얹혀지고, 체결부재로 인해 제1ㆍ제2받침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연결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는,
    상기 조절부의 회전 구동에 따라 상기 안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서 내ㆍ외측 방향으로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피니언기어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상기 회전안내부재는 각각 랙기어로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맞춤형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ㆍ제2받침부재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도록 횡 방향으로 각각 가이드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맞춤형 의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의자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안착부재의 전면에 부착되는 보호부재;를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맞춤형 의자.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의자는,
    상기 지지부재 또는 상기 안착부재에 결합되는 등받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맞춤형 의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의자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맞춤형 의자.
KR2020070003015U 2007-02-21 2007-02-21 맞춤형 의자 KR200438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015U KR200438932Y1 (ko) 2007-02-21 2007-02-21 맞춤형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015U KR200438932Y1 (ko) 2007-02-21 2007-02-21 맞춤형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932Y1 true KR200438932Y1 (ko) 2008-03-12

Family

ID=4162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015U KR200438932Y1 (ko) 2007-02-21 2007-02-21 맞춤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9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394B1 (ko) * 2016-04-22 2017-04-05 이상곤 좌골 힌지 및 골반의 전후방 토크 값이 제로식 구조를 갖는 알람체어
JP7035195B2 (ja) 2017-12-20 2022-03-14 エイチアンドイ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起立補助椅子
KR102423173B1 (ko) * 2021-06-03 2022-08-23 주식회사 제이엘 등받이의자장치
KR20220131630A (ko) * 2021-03-22 2022-09-29 김은경 방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394B1 (ko) * 2016-04-22 2017-04-05 이상곤 좌골 힌지 및 골반의 전후방 토크 값이 제로식 구조를 갖는 알람체어
JP7035195B2 (ja) 2017-12-20 2022-03-14 エイチアンドイ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起立補助椅子
KR20220131630A (ko) * 2021-03-22 2022-09-29 김은경 방석
KR102538739B1 (ko) * 2021-03-22 2023-05-31 김은경 방석
KR102423173B1 (ko) * 2021-06-03 2022-08-23 주식회사 제이엘 등받이의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480B1 (ko) 자세교정, 견인치료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
KR200438932Y1 (ko) 맞춤형 의자
KR101091283B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0763474B1 (ko) 자세교정, 견인치료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
CN202445565U (zh) 鱼骨弓型的椅背结构
KR200432192Y1 (ko)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
AU2015200734A1 (en) A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20110050388A (ko) 등받이 조절 기능을 갖춘 자세 교정용 의자
EP1711083A1 (en) Sitting support and method for ergonomically supporting a sitting person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JP3671031B2 (ja) 背凭れ兼胸部支持体付き椅子
KR200323355Y1 (ko) 등받이의 조절기능이 부여된 의자
JP3137036U (ja) 椅子
JP5635572B2 (ja) 椅子の座部構造
KR101605830B1 (ko) 자세교정용 의자 보조기구
HRP20020456A2 (en) Adaptable massage working chair
KR20060028465A (ko) 척추 보호용 의자 시트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JP3146343B2 (ja) 椅 子
KR200163618Y1 (ko) 요통을 방지하는 의자
KR101062298B1 (ko) 회동좌판이 구비된 의자
EP4059380B1 (en) Chair for reducing load on buttocks and waist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KR102458967B1 (ko) 허리 밀착 의자
KR200274321Y1 (ko) 등받이 경사각 조절수단이 구비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