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192Y1 -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192Y1
KR200432192Y1 KR2020060022944U KR20060022944U KR200432192Y1 KR 200432192 Y1 KR200432192 Y1 KR 200432192Y1 KR 2020060022944 U KR2020060022944 U KR 2020060022944U KR 20060022944 U KR20060022944 U KR 20060022944U KR 200432192 Y1 KR200432192 Y1 KR 2004321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hair
key
support brack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산업
Priority to KR2020060022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1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1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1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다리와, 상기 다리 상측에 연결되는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 일측면에 연결된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에 설치되는 허리받침으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은, 쿠션재가 내장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등받이에 고정시키고 탈부착 가능한 튜브 형상의 키가 조립된 지지브라켓과, 받침부를 조작하는 조절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의자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허리를 추가적으로 지지해 바른자세를 돕고 허리 부분에 무리를 줄여주며 제작비 절감에 도움을 준다.
의자, 허리받침, 지지브라켓, 키

Description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A CHAIR FOR LUMBAR SUPPRO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의자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자에서 허리받침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받침부를 전개하여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등받이
5 : 허리받침부
100 : 지지브라켓
110 : 체결부
120 : 날개부
130 : 키
140 : 제 1조절부
140' : 제 2조절부
143 : 나선형안내돌기
200 : 받침부
210 : 쿠션부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허리 부분에 마련된 허리받침을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자에 맞추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석부를 지지하는 다리와,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의 뒤쪽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로 이루어지며,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등받이의 상측에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이 구비되기도 한다.
한편, 근래에는 의자에서의 생활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장시간 앉아 있으므로 인해 무리가 가는 허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올바른 자세로 앉는 습관을 갖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장시간 앉아 공부나 일을 할 경우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힘들고 몸이 앞으로 굽어지기 쉽다. 그래서 장시간 의자에서의 생활로 인해 무리가 가는 허리 부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허리 부분을 보완해 주는 별도의 허리받침대를 등받이에 장착하여 구비하여 바른 자세를 돕고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의자도 있다.
이와 같은 허리받침을 포함한 의자에 대한 종래기술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 안공보 제20-0379971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의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10)에 형성되는 천공부(11)와, 상기 천공부(11) 내부에 삽입되는 받침대(20)와, 상기 받침대(20)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받침대 조정부와, 상기 받침대(20)에 삽입장착되어 회전하는 회전 손잡이(30)를 포함하며, 회전 손잡이(30)의 회전에 따라 요추지지부(50)의 돌출 정도를 조정하는 요추조정부로 구성된다. 요추조정부는 크게 회전손잡이(30)와 받침봉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천공부(11)는 등받이(10)에 연직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10)에 결합되는 받침대(20)는 상기 천공부(11)의 너비보다 넓게 형성되고, 그 양측 단부에는 받침대(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천공부(11)의 양측 단부가 삽입되는 받침홈(미도시)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손잡이(30)는 그 일측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삽입부(32)가 받침대(20)의 삽입공(25)에 끼워지며, 상기 삽입부(32)에는 요추지지부(50)에 부착되어 그 외주에 나사부가 형성된 지지봉이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2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3)과 상기 요추지지부(50)의 지지봉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손잡이(30)를 회전시킴에 따라 요추지지부(50)의 지지봉이 전후진하면서 요추지지부(50)의 돌출정도를 조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의자는 요추지지부가 돌아가지 않도록 받침대에 형 성된 가이드레일이 받침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삽입부 내측에 나사선을 같는 회전 손잡이가 원피스로 형성되어 사출에 어려움이 있고 복잡한 사출 조건에 맞추기 위해 단가가 상승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허리받침부를 이동시키는 구성들을 일체로 형성하지 않고 분리하여 사출성형한 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서 사출작업이 용이하고 제작효율을 증대시키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는, 다리와, 상기 다리 상측에 연결되는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 일측면에 연결된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리받침부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부는, 등받이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중앙부분에 마련된 체결부의 중앙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및 제 2조절부와, 상기 중앙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주면 일측에 돌출안내부가 형성된 키와, 상기 제 2조절부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안내돌기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주에 나사부가 형성되되, 상기 나사부의 일측에 상기 키에 형성된 돌출안내부에 결합되는 안내부가 형성된 연결봉이 일측에 돌출되게 구비된 쿠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체결부에 형성된 중앙홀 내주면에 체결되는 후크부가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가 형성된 키의 면에는 통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키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앙홀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키의 유동을 방지하는 돌기부가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는 후크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조절부는 그 일측이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내주면에 고정후크를 형성하여 상기 제 1조절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제 2조절부에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의 체결부 양측에는 하향 경사지게 날개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날개부의 끝단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날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홈의 중앙에는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볼이 돌출되게 삽입되고, 상기 등받이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의 양 측면에는 제어돌기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사이드바를 서로 대향되게 결합하고, 상기 양 사이드바 사이에 지지브라켓의 날개홈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안내부는 그 중앙부에 홈이 형성된 것으로 키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안내부에 삽입되는 연결봉의 안내부는 상기 연결봉의 하측을 상기 홈에 삽입되는 부분만큼을 남긴채 그 양쪽을 제거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허리받침 기능을 갖는 의자의 최적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 도면 중 동일부분에 대해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의자에서 허리받침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허리받침부를 전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의자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의자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바퀴가 부착된 다리(1)와, 상기 다리(1) 상측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좌석부(미도시)와, 좌석부(미도시)의 일측 후방에 등받이(3)가 구비된다.
여기서, 등받이(3) 혹은 좌석부(미도시)의 양측에는 팔걸이(미도시)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팔을 받칠 수 있도록 하고, 등받이의 상측에는 머리받침(4)이 구비되어 머리를 받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는 지지브라켓(100)과 받침부(200)로 구성된 허리받침부(5)가 등받이(3)에 연결되어 사용자에 따라 상기 허리받침부(5)를 자신의 허리 부분에 맞추어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3)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의 양 측면에는 사이드바(300)가 부착되고, 상기 사이드바(300)에 후술되는 허리받침부(5)의 지지브라켓(100)이 끼워진다. 여기서 사이드바(300)에는 제어돌기(310)가 등 간격으로 형성되어 허리받침부(5)의 상하 이동시 고정을 돕는다.
상기 허리받침부(5)는 허리받침부(5)를 등받이에 고정하며 상하로 움직임이 가능하게 하는 지지브라켓(100)과, 허리에 직접 닿아 허리를 받쳐주는 받침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100)은 그 중앙부분에 양 끝단보다 높게 형성된 체결부(110)와, 상기 체결부(110)의 양쪽에서 아래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된 날개부(120)와, 상기 체결부(110)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홀(111) 일측에 끼워지는 키(130)와, 상기 중앙홀(111)의 타측에 조립되어 받침부(200)가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조절하는 제 1 및 제 2조절부(140, 14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날개부(120)의 끝단 양측에는 사이드바(300)에 조립 가능하도록 날개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날개홈(121)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양 끝단이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턱을 형성하여 사이드바(300)를 양쪽에서 감싸며 끼워지도록 한다. 여기서 날개홈(121)의 폭은 사이드바(30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또한, 날개홈(121)의 내측 중앙에는 볼(122)이 스프링 등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돌출되도록 끼워져 있어 지지브라켓(100)을 상하로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하며, 지지브라켓(100)의 돌출된 볼(122)이 사이드바(300)의 제어돌기(310) 사이에서 고정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부(110)의 중앙에 형성된 중앙홀(111)에는 그 내측에 원통형 홈이 형성된 제 1조절부(140)가 홀의 뒷쪽에서 삽입되도록 하고, 양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제 2조절부(140')는 중앙홀(111) 앞쪽으로부터 삽입되며 상기 제 1조절 부(140)의 내측 홈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또한, 제 1조절부(140)의 홈 내주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고정후크(141)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제 2조절부(140')에는 고정후크(141)에 상응하는 위치에 고정홀(142)이 형성되어 서로 체결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조절부(14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한쪽 단면 즉, 의자의 뒷편에서 보이는 단면은 막혀 있도록 형성되고, 제 2조절부(140')의 내측에는 후술되는 받침부(200)의 연결봉(220)에 형성된 나사부(221)와 상응하는 나선형안내돌기(143)가 제 2조절부(14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제 1조절부(140)의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돌릴 때 미끄러지는 것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제 1, 2조절부(140, 140')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브라켓(100)의 체결부(110)에 형성된 중앙홀(111)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의자의 뒷편에서 제 1조절부(140)를 잡고 돌림으로 해서 받침부(200)가 앞뒤로 움직이도록 한다.
상기 제 2조절부(140')가 조립된 체결부(110)의 중앙홀(111) 외주면에는 키(130)의 외주 테두리에 형성된 돌기부(132)와 후크부(133)에 상응하는 홈이 각각 형성되어 키(130)가 탈부착이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후크부(133)가 형성된 위치에 키(130) 면에는 통공부(1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부(134)는 키(130)가 체결부(110)에 조립될 때 조립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키(130)에 형성된 돌출안내부(131)는 받침부(200)의 연결봉(220)에 형성된 안내부(222)에 끼워져 제 1조절부(140)를 조작할 때 받침부(200)가 회전하지 않고 앞뒤로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돌출안내부(131)는 그 중앙부에 홈이 형성된 것으로 키(130)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안내부(131)에 삽입되는 연결봉(220)의 안내부(222)는 상기 연결봉(220)의 하측을 상기 홈에 삽입되는 부분만큼을 남긴채 그 양쪽을 제거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허리를 직접 받치는 받침부(200)는 등받이의 앞면에 설치되며, 허리를 받쳐주는 쿠션부(210)와, 상기 쿠션부(210) 후부에 설치되며 지지브라켓(100)에 삽입되는 연결봉(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쿠션부(210)는 허리가 받쳐졌을 때 허리 부분을 바르게 펴고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허리 굴곡에 맞추어 완만한 곡면부를 형성하고 쿠션재를 내장하여 허리에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상기 연결봉(220)의 외주에는 제 1조절부(140) 내측에 형성된 나선형안내돌기(143)에 결합되어 전후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나사부(221)가 형성되어 있고 체결부(110)의 중앙홀(111)에 끼워진 키(130)의 하측 내부에 형성된 돌출안내부(131)에 상응하여 끼워지도록 안내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지지브라켓(100), 키(130), 제 1조절부(140), 제 2조절부(140') 및 받침부(200)가 전개된 도면으로, 지지브라켓(100)의 양쪽에 제 1조절부(140)와 제 2조절부(140')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키(130)는 지지브라켓(100)의 체결부(110)에 형성된 홀에 1차 조립되고, 이후 키(130)가 조립된 지지브라켓(100)와 받침부(200)가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관계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등받이 뒤쪽에서 제 1조절부(140)를 회전시켜 받침부(200)의 전후 거리를 조절한다.
이후, 사용자가 좌석부(2)에 앉아 등받이(3)에 기댄 후 받침부(200)가 사용자의 허리부분에 맞도록 지지브라켓(100)을 상하 방향으로 조절하면 사이드바(300)에 끼워진 지지브라켓(100)의 홈 내측에 삽입된 볼(122)이 사이드바(300)에 형성된 제어돌기(310)를 넘어 움직이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자에 의하면, 지지브라켓과 키, 제 1 및 제 2조절부가 각각 분리되어 제작된 후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사출이 보다 용이하여 사출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켜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6)

  1. 다리(1)와, 상기 다리(1) 상측에 연결되는 좌석부(2)와, 상기 좌석부(2) 일측면에 연결된 등받이(3)와, 상기 등받이(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리받침부(5)로 이루어진 의자에 있어서,
    상기 허리받침부(5)는, 등받이(3)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브라켓(100)과; 상기 지지브라켓(100)의 중앙부분에 마련된 체결부(110)의 중앙홀(1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 1 및 제 2조절부(140, 140')와; 상기 중앙홀(1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주면 일측에 돌출안내부(131)가 형성된 키(130)와; 상기 제 2조절부(1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안내돌기(121)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주에 나사부(221)가 형성되되, 상기 나사부(221)의 일측에 상기 키(130)에 형성된 돌출안내부(131)에 결합되는 안내부(222)가 형성된 연결봉(220)이 일측에 돌출되게 구비된 쿠션부(2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지지브라켓(100)의 체결부(110)에 형성된 중앙홀(111) 내주면에 체결되는 후크부(133)가 다수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133)가 형성된 키(130)의 면에는 통공부(1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키(130)의 외주면에는 상기 중앙홀(111)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키(130)의 유동을 방지하는 돌기부(132)가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132)는 후크부(133)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절부(140)는 그 일측이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내주면에 고정후크(141)를 형성하여 상기 제 1조절부(14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제 2조절부(140')의 고정홀(142)에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100)의 체결부(110) 양측에는 하향 경사지게 날개부(120)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날개부(120)의 끝단 양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날개홈(121)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홈(121)의 중앙에는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볼(122)이 돌출되게 삽입되고, 상기 등받이(3)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통공의 양 측면에는 제어돌기(310)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사이드바(300)를 서로 대향되게 결합하고, 상기 양 사이드바(300) 사이에 지지브라켓(100)의 날개홈(121)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안내부(131)는 그 중앙부에 홈이 형성된 것으로 키(130)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안내부(131)에 삽입되는 연결봉(220)의 안내부(222)는 상기 연결봉(220)의 하측을 상기 홈에 삽입되는 부분만큼을 남긴채 그 양쪽을 제거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
KR2020060022944U 2006-08-28 2006-08-28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 KR2004321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944U KR200432192Y1 (ko) 2006-08-28 2006-08-28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944U KR200432192Y1 (ko) 2006-08-28 2006-08-28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192Y1 true KR200432192Y1 (ko) 2006-11-30

Family

ID=4178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944U KR200432192Y1 (ko) 2006-08-28 2006-08-28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19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410Y1 (ko) * 2009-04-22 2011-09-05 한봉현 의자
KR101107900B1 (ko) * 2009-10-21 2012-01-25 성용기업 주식회사 의자용 허리지지장치
KR200458497Y1 (ko) 2009-08-03 2012-02-29 한봉현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1174458B1 (ko) 2012-03-05 2012-08-23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등받이
KR101581333B1 (ko) 2015-07-31 2015-12-3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등받이 및 그의 조립방법
KR20180059220A (ko) * 2016-11-25 2018-06-04 임정현 척추 교정 기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410Y1 (ko) * 2009-04-22 2011-09-05 한봉현 의자
KR200458497Y1 (ko) 2009-08-03 2012-02-29 한봉현 등받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1107900B1 (ko) * 2009-10-21 2012-01-25 성용기업 주식회사 의자용 허리지지장치
KR101174458B1 (ko) 2012-03-05 2012-08-23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등받이
KR101581333B1 (ko) 2015-07-31 2015-12-3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의자용 등받이 및 그의 조립방법
KR20180059220A (ko) * 2016-11-25 2018-06-04 임정현 척추 교정 기기
KR101865539B1 (ko) 2016-11-25 2018-06-08 임정현 척추 교정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2192Y1 (ko) 허리받침부가 구비된 의자
KR20080037029A (ko) 의자
KR101348803B1 (ko) 척추 및 허리 보호를 위한 의자
JPH0568965B2 (ko)
JPS5929244B2 (ja) 調節自在背付椅子
JP2006218047A (ja) 椅子
US20220167748A1 (en) Chair having open shoulder backrest
JP2007151582A (ja) 身体支持板及び椅子
CN215650076U (zh) 一种人体工学健康椅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KR101174458B1 (ko) 의자용 등받이
JP2008055134A (ja) 椅子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200438932Y1 (ko) 맞춤형 의자
JP2020127679A (ja) シャワー装置およびシャワー装置付き浴室用椅子
KR101056745B1 (ko) 의자용 좌판 틸팅장치
KR200379971Y1 (ko) 요추지지 의자
KR101056076B1 (ko) 허리받이와 머리받이로 겸용 가능한 받침부재를 갖는 의자
KR101062298B1 (ko) 회동좌판이 구비된 의자
KR100734166B1 (ko) 체형에 따라 조절 가능한 의자
JP4448098B2 (ja) 着座家具及び/又は横臥家具
CN217565420U (zh) 一种可缓解腰椎压力的座椅
KR100904742B1 (ko) 의자
JP2012143634A (ja) 身体支持板及び椅子
JP6994896B2 (ja) 浴室用椅子のオプション部品取付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