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721Y1 -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 Google Patents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721Y1
KR200189721Y1 KR2020000005150U KR20000005150U KR200189721Y1 KR 200189721 Y1 KR200189721 Y1 KR 200189721Y1 KR 2020000005150 U KR2020000005150 U KR 2020000005150U KR 20000005150 U KR20000005150 U KR 20000005150U KR 200189721 Y1 KR200189721 Y1 KR 200189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hair
coupling
pres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영옥
Original Assignee
길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길영옥 filed Critical 길영옥
Priority to KR2020000005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7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7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말하면 등받이가 분할된 기능성 의자의 등받이 지지를 안정되고 편안하게 하며 또, 상기 등받이가 등의 굴곡에 따라 유연히 밀착될 수 있도록 이를 견고히 지지시켜줌과 동시에 등받이의 유동범위를 상.하.좌.우 뿐만 아니라 전.후로도 자유자재로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체적인 수단은 『양측에는 나사 고정을 위한 고정공(12)이, 중앙에는 슬라이딩바(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공형상으로 외주 각 사방 측면에 다수의 이탈방지돌기(11')가 돌설된 삽입돌부(11)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10)와, 상면 중앙에 체결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저부 내주연 각 사방 측면에 다수의 장홈(22')이 구비된 결합관(22)이 일체로 형성된 결합구(20)로 되어 있어 상기 삽입돌부(11)의 이탈방지돌기(11')를 상기 결합구(20)의 장홈(22')에 끼워 결합시켜주되, 상기 고정구(10) 및 결합구(20)의 사이에 스프링(30)을 개재,결합하여 된』 구조로서, 본 고안은 분할구성된 기능성 의자의 등받이 지지를 더욱 안정되게 하고 특히 등받이의 유순한 밀착구조를 의자의 안락감을 극대화 시키는 한편, 간단한 구조로 조립설치가 용이하며 본 고안 등받이 지지구에 의해 기능성 의자의 기능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Upholding body to use the back of chair}
본 고안은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말하면 등받이가 분할된 기능성 의자의 등받이 지지를 안정되고 편안하게 하며 또, 상기 등받이가 등의 굴곡에 따라 유연히 밀착될 수 있도록 이를 견고히 지지시켜줌과 동시에 등받이의 유동범위를 상.하.좌.우 뿐만 아니라 전.후로도 자유자재로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미 알려진 바와같이 신체의 등부위가 의자의 등받이에 긴밀히 밀착되어 기댈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의자 등받이가 제공되고 있다.
이들중에서도 특히 일반적인 의자는 뒤쪽의 한 방향으로 만 젖혀지도록 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등받이가 다수로 분할되어 상기 각 등받이가 신체의 허리 및 등 부위 전반을 감싸듯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마련된 기능성 의자는 뒤쪽 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학습 및 업무용으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대표적인 몇가지의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우선, 1995년 10월 20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5-29649호로 출원하여 실용신안등록 제127425호로 등록된 고안의 명칭 '의자의 등판 결착구'에 대한 기술적 요지를 살펴보면, 의자의 등받이대에 착설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양단에 부설되어 의자의 등판에 착설되는 지지체들과, 이들 지지체를 몸체 양단에 각각 일체로 연결되게 하여 주는 고탄력성 힌지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체들의 전면에는 수개의 마찰돌기들을 각각 돌출성형한 것을 그 구조로 하고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몸체와 지지체가 경질의 합성수지로 되어 있고 특히, 힌지체가 고탄력성의 고무등과 같은 재질로 되어 있어 좌.우로는 어느정도 유연성이 있으나 전.후로는 자유자재로 유연성이 발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키 위하여 본 출원인은 1999년 11월 2일자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23771호 고안의 명칭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로 하여 특허청에 출원하였으며, 상기 본출원인의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에 대한 청구범위를 살펴보면, 기능성 의자의 분할된 등받이 지지를 위한 통상의 지지구에 있어서, 상면 중앙에 돌설되고 외주 각 사방 측면에 다수의 이탈방지돌기가 돌설된 삽입돌부 및 양측에 나사 고정을 위한 고정공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면 중앙에 체결관이 매설되고 저부 내주연 각 사방 측면에 다수의 장홈이 요설된 결합관이 일체로 형성된 결합구를 구비하여 상기 삽입돌부의 이탈방지돌기를 상기 결합구의 장홈에 끼워 결합시켜주되, 상기 고정구 및 결합구의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결합하여 된 것이다.
즉, 본출원인의 선출원은 삽입돌부의 이탈방지돌기가 결합관 내측에 형성된 장홈에 끼워 결합되고 고정구 및 결합구의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함으로서 탄성력을 부여하여 상.하.좌.우 자유자재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종래기술보다 더욱 향상된 기술임은 분명하나, 본출원인의 선출원은 등받이가 상.하.좌.우로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는 있으나 등받이 자체가 앞. 뒤 즉 전.후로 슬라이딩은 되지 아니하며 따라서, 유연함과 안락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의 기술 또는 본출원인의 선출원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해결적 수단은 『양측에는 나사 고정을 위한 고정공이, 중앙에는 슬라이딩바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공형상으로 외주 각 사방 측면에 다수의 이탈방지돌기가 돌설된 삽입돌부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와, 상면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저부 내주연 각 사방 측면에 다수의 장홈이 구비된 결합관이 일체로 형성된 결합구로 되어 있어 상기 삽입돌부의 이탈방지돌기를 상기 결합구의 장홈에 끼워 결합시켜주되, 상기 고정구 및 결합구의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결합하여 된』 구조로서, 본 고안은 분할구성된 기능성 의자의 등받이 지지를 더욱 안정되게 하고 특히 등받이에 고정된 고정구의 삽입돌부가 결합구에 끼워져 상.하.좌.우로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삽입돌부가 결합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구의 이탈방지돌기가 결합구의 결합관 내주면에 형성된 장홈을 따라 슬라이딩 바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함으로서 등받이을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며 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등받이가 원위치로 자동복귀될 수 있도록 있도록 하여 의자 등받이에 편안하고 안정하게 지지시켜 주며 의자의 안락감을 극대화 시키는 한편, 간단한 구조로 조립설치가 용이하여 기능성 의자의 기능을 일층 향상시킴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결합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한 상태에서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구 11 : 삽입돌부
11': 이탈방지돌기 12 : 고정공
13 : 슬라이딩 바 20 : 결합구
21 : 체결공 22 : 결합관
22': 장홈 30 : 스프링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본 고안 결합구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 4는 본 고안의 결합한 상태에서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지시부호 10은 고정구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구(10)은 양측에는 나사 고정을 위한 고정공(12)이, 중앙에는 슬라이딩바(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공형상으로 외주 각 사방 측면에 다수의 이탈방지돌기(11')가 돌설된 삽입돌부(11)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지시부호 20은 결합구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구(20)는 상면 중앙에 체결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저부 내주연 각 사방 측면에 다수의 장홈(22')이 구비된 결합관(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지시부호 30은 스프링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30)은 삽입돌부(11)의 이탈방지돌기(11')를 상기 결합구(20)의 장홈(22')에 끼워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구(10) 및 결합구(20)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끼우는 것이다.
도면부호중 (100)은 등받이 기대, (102)은 설치부재, (104)은 조절손잡이, (200)은 등받이, (S)는 나사를 나타낸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 기대(100)에 결합된 설치부재(102)에 결합되며 조절손잡이(104)의 나선봉에 체결되는 결합구(20)와 또, 상기 결합구(20)에 결합되며 분할된 각 등받이(200)의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200)가 신체의 등부분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이를 안정되게 지지시켜주기 위한 고정구(10) 그리고 상기 결합구(20) 및 고정구(10)는 그 사이에 상반신이 등받이(200)에서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등받이(200)가 다시 원상태로 원상복귀 될 수 있도록 스프링(30)이 개재되어 있다.
본 고안 고정구(10)는 양측에는 나사 고정을 위한 고정공(12)이, 중앙에는 슬라이딩바(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공형상으로 구성된 삽입돌부(11)의 외주 각 사방 측면에 다수의 이탈방지돌기(11')가 돌설되어 결합시 상기 이탈방지돌기(11')가 결합관(22)의 장홈에 끼워져 등받이(20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시켜주게 된다.
한편, 결합구(20)는 등받이 기대(100)에 결합된 설치부재(102) 내측에 결합되게 되며 상기 설치부재(102)의 결합공에 조절손잡이(104)의 나선봉을 삽입하여 상기 나선봉의 선단이 결합구(20) 상면 중앙에 형성된 체결관(21)에 체결되어 그 고정을 견고히 하게 되며 결합구(20)는 그 저부에 고정구(10)의 삽입돌부(11)가 결합되는 결합관(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관(22)은 그 내주연 각 사방에 측면에 상기 삽입돌부(11)의 이탈방지돌기(11')가 돌기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관(20)의 길이방향으로 장홈(22)이 요설되어 이에 결합관(22)의 둘레에 스프링(30)을 끼워준 상태에서 상기 결합구(20)의 삽입돌부(11)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11')를 상기 장홈(22')의 입구측에 일치시켜 통상의 등받이(200)가 고정된 고정구(10)를 밀어 넣어 이를 결합시켜주게 되면 상기 이탈방지돌기(11')가 결합관(22)의 장홈(22')에 탄력적으로 끼워지게 되며 이때 삽입돌부(11)의 이탈방지돌기(11')가 결합관(22)의 장홈을 따라 상.하.좌,우로 유동가능한 상태되며 더욱 상기 삽입돌부(11)의 이탈방지돌기(11')가 결합관(22)의 장홈(22')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삽입돌부(11)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딩바(13)가 결합관(22)의 내주면으로 슬라이딩 가능함으로서 등받이(200)가 상.하.좌.우 뿐만 아니라 전.후로도 자유자재로 유동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서 등받이(200)가 신체에 유연하게 밀착되게 되며 등받이(200)가 상기 결합구조에 의해 그 회동이 제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유연한 등받이(200)의 밀착구조로 신체의 상반신이 경직되지 아니하고 상기 등받이(200)의 자유로운 밀착, 지지에 의해 등받이(200)가 분할된 기능성 의자의 안정감을 일층 향상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분할구성된 기능성 의자의 등받이 지지를 더욱 안정되게 하고 특히 등받이에 고정된 고정구의 삽입돌부가 결합구에 끼워져 상.하.좌.우로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삽입돌부가 결합구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구의 이탈방지돌기가 결합구의 결합관 내주면에 형성된 장홈을 따라 슬라이딩 바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함으로서 등받이을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며 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등받이가 원위치로 자동복귀될 수 있도록 있도록 하여 의자 등받이에 편안하고 안정하게 지지시켜 주며 의자의 안락감을 극대화 시키는 한편, 간단한 구조로 조립설치가 용이하여 기능성 의자의 기능을 일층 향상시킨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양측에는 나사 고정을 위한 고정공(12)이, 중앙에는 슬라이딩바(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공형상으로 외주 각 사방 측면에 다수의 이탈방지돌기(11')가 돌설된 삽입돌부(11)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구(10)와,
    상면 중앙에 체결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저부 내주연 각 사방 측면에 다수의 장홈(22')이 구비된 결합관(22)이 일체로 형성된 결합구(20)로 되어 있어 상기 삽입돌부(11)의 이탈방지돌기(11')를 상기 결합구(20)의 장홈(22')에 끼워 결합시켜주되, 상기 고정구(10) 및 결합구(20)의 사이에 스프링(30)을 개재,결합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KR2020000005150U 2000-02-24 2000-02-24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KR200189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150U KR200189721Y1 (ko) 2000-02-24 2000-02-24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150U KR200189721Y1 (ko) 2000-02-24 2000-02-24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721Y1 true KR200189721Y1 (ko) 2000-07-15

Family

ID=1964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150U KR200189721Y1 (ko) 2000-02-24 2000-02-24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72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193B1 (ko) * 2001-07-31 2004-04-14 주식회사 리바트 요추받이 의자
KR100722991B1 (ko) 2006-01-04 2007-05-29 주식회사늘푸름가구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KR101388963B1 (ko) 2013-04-04 2014-04-24 조영혁 사용자 맞춤형 시트장치
KR101862535B1 (ko) * 2018-04-20 2018-05-29 황성일 휴대성이 있는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KR101905736B1 (ko) * 2017-05-19 2018-10-08 황성일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WO2019078397A1 (ko) * 2017-10-18 2019-04-25 (주) 파트라 후렉시블 등판부를 구비한 의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193B1 (ko) * 2001-07-31 2004-04-14 주식회사 리바트 요추받이 의자
KR100722991B1 (ko) 2006-01-04 2007-05-29 주식회사늘푸름가구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KR101388963B1 (ko) 2013-04-04 2014-04-24 조영혁 사용자 맞춤형 시트장치
KR101905736B1 (ko) * 2017-05-19 2018-10-08 황성일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WO2019078397A1 (ko) * 2017-10-18 2019-04-25 (주) 파트라 후렉시블 등판부를 구비한 의자
KR101862535B1 (ko) * 2018-04-20 2018-05-29 황성일 휴대성이 있는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3384B2 (en) Flexible chair back
US4869552A (en) Flexible backrest assembly for a chair
EP1115309B1 (en) Chair with variable pitch
US4316632A (en) Ergonomic chair
US6523900B1 (en) Chair seat
KR200189721Y1 (ko)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US7264312B1 (en)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US20170340121A1 (en) Waist support structure of seat back
AU2008203055A1 (en) Toilet Seat Elevator Assembly
JP5479801B2 (ja) 背凭れの支持構造
KR200178519Y1 (ko)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US20020194672A1 (en) Deflector arrangements
KR200407479Y1 (ko)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
KR200189719Y1 (ko) 의자 등받이의 높이 조절장치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KR100499339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US9700145B1 (en) Quick assembly armrest connecting device
KR200189720Y1 (ko)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KR200323370Y1 (ko) 기능성 사무용의자
KR200178232Y1 (ko)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KR101481531B1 (ko) 사무 의자용 연결 장치
KR200250519Y1 (ko) 의자 등받이용 지지장치
KR200250139Y1 (ko) 조립식 등밀이기
KR200331205Y1 (ko) 탄성경첩이 구비된 침대 프레임
KR200336085Y1 (ko) 의자용 허리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