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736B1 -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 Google Patents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736B1
KR101905736B1 KR1020170062046A KR20170062046A KR101905736B1 KR 101905736 B1 KR101905736 B1 KR 101905736B1 KR 1020170062046 A KR1020170062046 A KR 1020170062046A KR 20170062046 A KR20170062046 A KR 20170062046A KR 101905736 B1 KR101905736 B1 KR 101905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square groove
hemispherical
wais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일
Original Assignee
황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일 filed Critical 황성일
Priority to KR1020170062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3Lumbar supports portable with attachment to the back-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에 관한 발명으로, 원판 형상의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결합되되, 반구 형상의 제1 라운드 홈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받침부, 받침부의 상부에서 이격되어 위치되되, 제1 라운드 홈과 마주보는 반구 형상의 제2 라운드 홈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틸팅부, 받침부 및 틸팅부 사이에 위치되되, 제1 라운드 홈에 하부가 안착되는 구 형상의 볼, 볼의 중심부에서 소정의 높이를 지니고, 상면이 개방된 제1 스퀘어 홈, 제2 라운드 홈의 중심부에서 소정의 높이를 지니고, 하면이 개방되되, 제1 스퀘어 홈과 마주보는 제2 스퀘어 홈, 제1 스퀘어 홈 및 제2 스퀘어 홈에 동시에 삽입되는 스프링부, 받침부 및 틸팅부를 감싸되, 내부에 반구 형상의 중공상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 틸팅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개구부를 관통하는 샤프트부 및 샤프트부와 결합되는 쿠션부를 포함한다. 이로 인해, 틸팅부와 연결된 쿠션부의 각도를 탑승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허리가 불편한 탑승자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지지체를 시트백에 부착하여 자동차를 통한 이동 중 탑승자의 허리를 맞춤식으로 고정 및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A WAIST SUPPORT FOR EASY ADJUSTMENT IN VARIOUS ANGLES}
본 발명은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에 관한 발명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받침부에 안착되어 회전 가능한 구 형상의 볼에 형성된 제1 스퀘어 홈과 틸팅부에 형성된 제2 스퀘어 홈에 스프링부가 동시에 삽입되어 볼과 틸팅부의 동작이 일체화 되어 틸팅부가 틸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원하는 위치로 틸팅 동작 후 스프링부의 복원력으로 인해 틸팅부가 덮개부 내면에 밀착되어 해당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틸팅부와 연결된 쿠션부의 각도를 탑승자가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시트백의 형상 변형을 통해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시트백의 안락함은 운전자 혹은 탑승자의 피로도와 직결되는 것이므로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기술들은 시트백의 각도 조절을 통해 탑승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하는데 포커싱을 할 뿐, 허리 수술 등으로 허리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여 허리를 고정하여야 하는 탑승자에게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시트백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은 자동차 전방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시트백이며, 자동차 후방의 탑승석은 각도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여 허리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환자가 탑승할 경우에는 장시간 이동 시 허리 건강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받침부에 안착되어 회전 가능한 구 형상의 볼에 형성된 제1 스퀘어 홈과 틸팅부에 형성된 제2 스퀘어 홈에 스프링부가 동시에 삽입되어 볼과 틸팅부의 동작이 일체화 되어 틸팅부가 틸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원하는 위치로 틸팅 동작 후 스프링부의 복원력으로 인해 틸팅부가 덮개부 내면에 밀착되어 해당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틸팅부와 연결된 쿠션부의 각도를 탑승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허리가 불편한 탑승자가 본 발명에 따른 허리 지지체를 시트백에 부착하여 자동차를 통한 이동 중 탑승자의 허리를 맞춤식으로 고정 및 보호함과 동시에 언제든지 탈거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는, 원판 형상의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결합되되, 반구 형상의 제1 라운드 홈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받침부, 받침부의 상부에서 이격되어 위치되되, 제1 라운드 홈과 마주보는 반구 형상의 제2 라운드 홈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틸팅부, 받침부 및 틸팅부 사이에 위치되되, 제1 라운드 홈에 하부가 안착되는 구 형상의 볼, 볼의 중심부에서 소정의 높이를 지니고, 상면이 개방된 제1 스퀘어 홈, 제2 라운드 홈의 중심부에서 소정의 높이를 지니고, 하면이 개방되되, 제1 스퀘어 홈과 마주보는 제2 스퀘어 홈, 제1 스퀘어 홈 및 제2 스퀘어 홈에 동시에 삽입되는 스프링부, 받침부 및 틸팅부를 감싸되, 내부에 반구 형상의 중공상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 틸팅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개구부를 관통하는 샤프트부 및 샤프트부와 결합되는 쿠션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는, 틸팅부와 덮개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상인 반구 형상의 이너캡부를 포함하고, 샤프트부가 개구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의 이너캡부의 재질은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의 베이스부는 흡착 패드로 구성되어 시트백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의 쿠션부의 양측부에는 힌지스프링에 의해 결합되어 폴딩이 가능한 한 쌍의 보조 쿠션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의 베이스부가 흡착패드로 구성되어, 언제든지 부착 및 탈거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의 볼에 형성된 제1 스퀘어 홈 및 틸팅부에 형성된 제2 스퀘어 홈에 동시에 삽입되는 스프링부의 구성으로 인해,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로 쿠션부를 기울이고자 할 때 최초에 쿠션부를 가압하고 쿠션부를 기울인 후 해당 위치에서 손을 때면 스프링부의 복원력으로 인해 해당 위치에서 쿠션부가 고정되어 다각도로 용이하게 쿠션부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의 실리콘 재질의 이너캡부로 인해, 충격을 흡수하여 수명이 증대되고, 점성으로 인해 틸팅부의 고정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의 제1 링 및 복수 개의 제2 링의 걸림 결합구조로 인해 단구조로 편리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고, 고정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쿠션부 및 힌지스프링 결합구조로 인해, 지지 범위를 편의에 따라 넓힐 수 있으며, 힌지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고도 최초의 접힘상태로 복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의 수직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의 틸팅부의 틸팅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의 수직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의 보조쿠션부의 폴딩 동작을 도시한 도면에 관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가 시트백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의 수직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는, 베이스부(100), 받침부(200), 틸팅부(300), 볼(400), 스프링부(500), 덮개부(600), 이너캡부(700), 샤프트부(800) 및 쿠션부(90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00)는 허리 지지체의 각 구성요소를 가장 하부에서 지지하는 역할로, 원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볼(400)의 회전 반경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베이스부(100)의 하면은 탑승자의 허리와 맞닿는 시트백에 결합된다.
이때, 베이스부(100)는 흡착 패드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 패드는 공지의 구성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베이스부(100)가 흡착 패드로 구성되면, 시트백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가 탈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탑승자(특히 허리가 안좋은 환자)가 종래에 타던 차와 다른 차를 타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를 휴대하여 다른 차의 시트백에 다시 부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편의성 및 휴대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백 뿐만 아니라, 기타 의자류에도 결합할 수 있어 범용성이 존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베이스부(100)의 중심부의 상면에는 받침부(200)가 결합된다. 받침부(20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고, 원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부(200)는 후술할 볼(400)을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받침부(200)의 중심부에는 반구 형상의 제1 라운드 홈(2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라운드 홈(201)은 받침부(2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라운드 홈(201)에는 구 형상의 볼(400)이 안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볼의 수평방향으로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의 중심선의 하부가 제1 라운드 홈(201)에 안착되어, 제1 라운드 홈(201)이 볼(400)의 수평방향의 중심선의 하부를 감싸고 있는 형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볼(400)의 하부가 제1 라운드 홈(201)에 감싸져 제1 라운드 홈(201)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하다.
받침부(200)의 상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틸팅부(300)가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틸팅부(300)는 반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반구 형상의 절단면이 하부 방향으로 향하는 형상으로 소위 '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틸팅부(300)의 중심부에는 제1 라운드 홈(201)과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반구 형상의 제2 라운드 홈(3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라운드 홈(301)은 틸팅부(300)의 상부 방향으로 함몰되는 형상이다.
제2 라운드 홈(301)은 후술하겠지만, 틸팅부(300)의 위치를 변경할 때 스프링부(500)를 압축된다. 따라서, 틸팅부(300)와 볼(400)이 가까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틸팅부(300)와 볼(400)이 충돌하여 볼(400)의 회전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틸팅부(300)가 볼(4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2 라운드 홈(301)의 수평방향으로의 폭은 제1 라운드 홈(201)의 수평방향으로의 폭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가사, 틸팅부(300)와 볼(400)이 충돌할 때, 볼(400)의 외주면을 틸팅부(300)의 제2 라운드 홈(301)이 감쌀 수 있도록 예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볼(400)의 중심부에는 상면(도 2 기준으로 상부 방향)이 개방되고 소정의 높이를 지니는 제1 스퀘어 홈(4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스퀘어 홈(401)에는 스프링부(500)의 하부가 삽입된다.
이때, 소정의 높이는, 볼(400)의 단면의 반지름 길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프링부(500)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부(500)가 제1 스퀘어 홈(401) 및 후술할 제2 스퀘어 홈(302)에 동시에 삽입된다. 이때, 틸팅부(300)의 틸팅 동작으로 스프링부(500), 제1 스퀘어 홈(401) 및 후술할 제2 스퀘어 홈(302)이 동시에 하나의 축으로 움직일 때, 볼(400)의 단면의 반지름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볼(400)의 무게중심으로 인해 스프링부(500)의 휨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지속적인 휨 현상은 스프링부(500)의 파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소정의 높이는 볼(400)의 단면의 반지름 길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프링부(500)의 길이가 제1 스퀘어 홈(401)의 소정의 높이보다 짧은 경우, 스프링부(500)가 제2 스퀘어 홈(302)과 동시에 삽입되지 않고, 제1 스퀘어 홈(401)에만 삽입되어 볼(400)과 틸팅부(300)의 동작이 연결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틸팅부(300)가 틸팅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소정의 높이는, 스프링부(500)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스퀘어 홈(401)에 대응하여, 틸팅부(300)의 제2 라운드 홈(301)의 중심부에는 소정의 높이를 지니는 제2 스퀘어 홈(30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스퀘어 홈(302)은 제1 스퀘어 홈(401)과 마주보도록 하면(도 2 기준으로 하부 방향)이 개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스퀘어 홈(302)의 소정의 높이는 스프링부(500)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스퀘어 홈(302)에서 설명한 바,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이를 생략하나, 이로 인한 특징을 제1 스퀘어 홈(302)과 공유한다.
제1 스퀘어 홈(401)과 제2 스퀘어 홈(302)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스프링부(500)가 동시에 삽입된다. 여기서 길이방향이라 함은 도 2를 기준으로 상하부 방향을 일컫는다. 스프링부(500)는 압축 및 복원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틸팅부(300)가 틸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동작 메커니즘은 도 3에서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덮개부(600)는 받침부(200) 및 틸팅부(300)를 감싼다. 또한, 내부에는 반구 형상의 중공상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반구 형상의 중공상이라 함은, 제2 라운드 홈(301)과 같은 방향의 반구 형상임을 말하고, 속이 빈 돔 형상인 것을 말하며, 상부의 개구부라 함은 샤프트부(8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샤프트부(800)의 직경보다 큰 개구부가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덮개부(600) 내부의 반구 형상의 중공상의 직경은 틸팅부(300)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틸팅부(300)를 수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틸팅부(300)는 덮개부(600) 내부의 반구 형상의 중공상의 범위에서 틸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틸팅 동작이라 함은, 볼(400)의 360도 회전 반경에 대응하여 틸팅부(300)의 기울기가 변하는 것을 일컫는다.
따라서, 덮개부(600)는 틸팅부(300)의 틸팅 동작 시, 틸팅부(300)의 이탈을 방지하여 틸팅부(30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틸팅부(300)가 해당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틸팅부(300)가 해당 위치에서 고정되는 메커니즘은 도 3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덮개부(600)와 틸팅부(300) 사이에는 이너캡부(700)가 위치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캡부(70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고 덮개부(600)와 같이 내부가 중공상인 반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에 덮개부(600)와 같이 개구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캡부(700)의 개구부 또한, 샤프트부(800)가 관통된다.
이때, 덮개부(600)의 개구부와 이너캡부(700)의 개구부의 직경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캡부(700)의 개구부의 직경이 덮개부(600)의 직경보다 큰 경우, 틸팅부(300)의 틸팅 시 샤프트부(800)가 이너캡부(700)에 걸려 움직임이 제한된다. 또한, 이너캡부(700)의 개구부의 직경이 덮개부(600)의 직경보다 작은 경우, 덮개부(600)와 이너캡부(700)가 단차가 발생하여 덮개부(600)의 개구부 근방의 단부가 하부로 휘어져 파손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너캡부(700)는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틸팅부(300)가 지속적으로 틸팅하여 덮개부(600)의 반구형의 내면과 지속적으로 맞닿아 마찰을 일으키는 경우, 덮개부(600)의 반구형의 내면 또는 틸팅부(300)의 외면이 마모가 되어 수명이 단축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허리 지지체에 이너캡부(700)를 포함하는 경우, 덮개부(600)의 반구형의 내면은 이너캡부(700)에 보호되어 마모되지 않아 덮개부(600)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리콘 소재는 탄성이 있어 쿠션 역할을 하게 되므로 틸팅부(300)의 외면 및 덮개부(600)의 내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지속적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틸팅부(300)가 원하는 위치로 틸팅하여, 해당 위치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틸팅부(300)의 외면이 덮개부(600)의 내면에 밀착되어야 한다. 이때, 실리콘 재질은 점성이 있으므로, 틸팅부(300)가 덮개부(600)의 내면이 아닌 이너캡부(700)의 내면에 밀착되는 경우, 밀착의 강도가 높아져 해당 위치에서의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받침부(200)의 외주면에는 단차부(20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너캡부(700)의 하단부가 단차부(20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이너캡부(700)의 결합력이 상승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틸팅부(300)의 상부에는 틸팅부(300)의 상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샤프트부(800)가 결합된다. 샤프트부(800)는 원통형 상의 지지축이다. 샤프트부(800)의 상단부에는 쿠션부(900)가 결합된다. 쿠션부(900)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 지지체를 시트백에 결합하는 경우, 탑승자의 허리가 직접적으로 맞닿는 곳이다.
틸팅부(300), 샤프트부(800), 쿠션부(900) 모두 하나의 중심축(C, 도 3 참조)을 기준으로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틸팅부(300)의 틸팅 동작으로 인해, 샤프트부(800) 및 쿠션부(900)도 틸팅이 이루어진다.
도 3(a) 내지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의 틸팅부의 틸팅 메커니즘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틸팅부(300)가 스프링부(500)의 압축으로 인해 하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틸팅부(300)가 C 축을 기준으로 최초로 위치될 때, 이를 C' 축으로 틸팅하기 위해서는 스프링부(500)의 압축이 선행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쿠션부(900)를 베이스부(100) 방향으로 가압하여 틸팅부(300)를 하강시킨다.
이때, 틸팅부(300)가 하강되면, 제1 스퀘어 홈(401)은 받침부(200)에 의해 고정되고, 제2 스퀘어 홈(302)은 고정되지 않는 바, 제2 스퀘어 홈(302)이 스프링부(500)를 가압하여 스프링부(500)가 압축된다. 압축 후의 스프링부의 도면부호를 500'이라 표기한다.
이로 인해, 제2 라운드 홈(301)과 볼(400)의 간격(t1)은 가압 전보다 좁아지고, 틸팅부(300)의 외면과 이너캡부(700)의 내면의 간격(t2)은 가압 전보다 넓어진다. 틸팅부(300)의 외면과 이너캡부(700)의 내면의 간격(t2)이 넓어지면, 틸팅부(300)가 틸팅할 수 있는 반경이 확보되어 틸팅부(300)의 기울기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3(b)는 탑승자가 틸팅부(300), 샤프트부(800) 및 쿠션부(900)의 축이 C' 축이 되도록 쿠션부(900)를 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주어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틸팅부(300)는 여전히 가압되어 있으며, 탑승자는 쿠션부(900)를 가압한 상태에서 이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쿠션부(900)의 기울기를 변경하면, 최종적으로 기울어진 각도만큼 볼(400)이 회전된다. 이러한 매커니즘은 스프링부(500) 및 스퀘어 홈의 구조가 틸팅부(300) 및 볼(400)을 동시에 구속하기 때문에 형성된다.
도 3(c)는 탑승자가 자신의 허리에 맞도록 쿠션부(900)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했다고 판단하여, 더 이상 쿠션부(900)를 가압하지 않고 손을 땠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쿠션부(900)를 더 이상 가압하지 않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부(500')는 스프링 고유의 복원력으로 인해 다시 펴지게 된다. 제1 스퀘어 홈(401)은 받침부(200)에 의해 고정되고, 제2 스퀘어 홈(302)은 고정되지 않는 바, 틸팅부(300)는 다시 C'축을 기준으로 상승하고, 스프링부(500)는 최초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때, 해당 기울기가 유지된 상태에서, 틸팅부(300)의 외면은 이너캡부(700)의 내면을 향해 상승하고, 최종적으로 상호 맞닿게 된다. C' 축을 기준으로 틸팅부(300)의 양측부를 이너캡부(700)가 지지하고 있는 바, 틸팅부(300)가 해당 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허리 지지체에 의하면, 허리가 안좋은 탑승자는 본인의 허리를 감싸도록 쿠션부(900)의 기울기를 다각도로 조절할 수 있어, 장시간 이동 중에도 허리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최초에 쿠션부(900)를 가압하여 기울기를 변경하고, 손을 놓으면 해당 위치에서 쿠션부(900)가 고정되어 기울기 변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의 수직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는 제1 링(310) 및 제2 링(710)을 더 포함한다.
제1 링(310)은 틸팅부(300)의 외면의 둘레를 따라 결합된다. 원통형 튜브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링(310)의 중심점과 샤프트부(800)의 중심점은 일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링(710)은 이너캡부(700)의 내면을 따라 결합된다. 제1 링(310)과 같은 원통형 튜브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링(710)은 복수 개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제2 링(710)의 직경은 모두 상이하며, 각각의 직경은 결합되는 이너캡부(700)의 위치의 직경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제1 링(310)은 제2 링(710)에 걸림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는 이너캡부(700)의 밀착력 및 스프링부(500)의 복원력으로 쿠션부(900)를 고정하고 있어, 고정력에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링(310)과 제2 링(710)의 걸림 결합구조로 인해, 고정력이 상승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복수 개의 제2 링(710)이 '단'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제1 링(310)이 선택적으로 단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도 4를 기준으로 틸팅부(300)가 우측방향으로 일부 회전한다고 가정하면, 단면도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된 제1 링(310) 부분은 복수 개의 제2 링(710) 중 가장 상부에 결합된 제2 링(710)에 걸리게 되고, 단면도를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된 제1 링(310) 부분은 복수 개의 제2 링(710) 중 가장 상부의 바로 아래에 결합된 제2 링(710)에 걸리게 되어 쿠션부(900)가 일부 회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원하는 위치로 쿠션부(900)를 기울이고, 제1 링(310)을 제2 링(710)에 걸어 고정력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의 보조쿠션부의 폴딩 동작을 도시한 도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는 일 실시예 혹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를 포함하고, 보조쿠션부(910)의 구성이 추가된다.
보조쿠션부(910)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도 5와 같이 각각이 쿠션부(900)의 양측부에서 힌지스프링(920)을 통해 결합된다. 따라서, 보조쿠션부(910)는 폴딩 동작이 가능하다. 보조쿠션부(910)가 접혔을 경우에는 쿠션부(900)의 상면을 덮는 형상이 되고(점선 표시 참조), 보조쿠션부(910)가 펼쳐졌을 경우에는 쿠션부(900)의 쿠션 범위를 양측부로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탑승자의 허리를 감쌀 수 있는 범위가 넓어져 탑승자가 더욱 안락함을 느끼게 되고, 허리가 좋지 않은 탑승자의 허리를 고정할 수 있는 범위도 넓어지게 된다.
힌지스프링(920)의 경우 폴딩 동작 시 복원력이 존재한다. 따라서, 탑승자가 소정의 힘을 가하여 보조쿠션부(910)를 펼치고, 쿠션부(900) 및 보조쿠션부(910)에 허리를 대는 경우에는 허리가 보조쿠션부(910)를 시트백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보조쿠션부(910)가 지속적으로 펼쳐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의 사용이 끝나 허리 지지체에 더 이상 허리를 대지 않는 경우에는, 보조쿠션부(910)를 가압하는 힘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때문에 힌지스프링(920)의 복원력으로 인해 폴딩되어 보조쿠션부(910)가 접힘상태가 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고도 보조쿠션부(910)를 최초의 접힘 상태로 돌릴 수 있고, 부피를 축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가 시트백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에 관한 것이다. 도 6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 혹은 또 다른 실시예 모두 동일한 위치에 결합 가능하다.
탑승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를 한 쌍으로 구비하고, 각각을 베이스부(100)의 흡착력을 이용하여 시트(10) 중 시트백(11)에 결합시킨다. 이때, 둔부가 좋지 않은 환자의 경우에는 좌판(12) 부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를 결합할 수 있다. 이는 둔부를 지지하여 장시간 이동 중 둔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탑승자는 자동차에서 내릴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허리 지지체를 시트백(11)으로부터 탈거할 수 있고, 다시 다른 자동차 혹은 기타 의자류에 결합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베이스부 200...받침부
300...틸팅부 400...볼
500...스프링부 600...덮개부
700...이너캡부 800...샤프트부
900...쿠션부

Claims (5)

  1. 탑승자의 허리와 맞닿는 시트백에 결합되는 허리 지지체에 있어서,
    원판 형상의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되, 반구 형상의 제1 라운드 홈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서 이격되어 위치되되, 상기 제1 라운드 홈과 마주보는 반구 형상의 제2 라운드 홈이 중심부에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틸팅부;
    상기 받침부 및 상기 틸팅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제1 라운드 홈에 하부가 안착되는 구 형상의 볼;
    상기 볼의 중심부에서 소정의 높이를 지니고, 상면이 개방된 제1 스퀘어 홈;
    상기 제2 라운드 홈의 중심부에서 소정의 높이를 지니고, 하면이 개방되되, 상기 제1 스퀘어 홈과 마주보는 제2 스퀘어 홈;
    상기 제1 스퀘어 홈 및 상기 제2 스퀘어 홈에 동시에 삽입되는 스프링부;
    상기 받침부 및 상기 틸팅부를 감싸되, 내부에 반구 형상의 중공상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
    상기 틸팅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는 샤프트부; 및
    상기 샤프트부와 결합되는 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부와 상기 덮개부 사이에 위치되되, 상부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가 중공상인 반구 형상의 이너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부가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캡부의 재질은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흡착 패드로 구성되어 상기 시트백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5. 삭제
KR1020170062046A 2017-05-19 2017-05-19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KR101905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046A KR101905736B1 (ko) 2017-05-19 2017-05-19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046A KR101905736B1 (ko) 2017-05-19 2017-05-19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187A Division KR101862535B1 (ko) 2018-04-20 2018-04-20 휴대성이 있는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5736B1 true KR101905736B1 (ko) 2018-10-08

Family

ID=63864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046A KR101905736B1 (ko) 2017-05-19 2017-05-19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7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8466A (zh) * 2019-10-12 2019-12-20 团团网约车(杭州)有限公司 一种车载安全座椅
CN110901552A (zh) * 2019-11-18 2020-03-24 天津大学 一种可调节汽车后排显示屏空间姿态的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721Y1 (ko) * 2000-02-24 2000-07-15 길영옥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KR200197766Y1 (ko) 2000-04-26 2000-09-15 차석출 지압돌부를 형성한 의자 등받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721Y1 (ko) * 2000-02-24 2000-07-15 길영옥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KR200197766Y1 (ko) 2000-04-26 2000-09-15 차석출 지압돌부를 형성한 의자 등받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8466A (zh) * 2019-10-12 2019-12-20 团团网约车(杭州)有限公司 一种车载安全座椅
CN110901552A (zh) * 2019-11-18 2020-03-24 天津大学 一种可调节汽车后排显示屏空间姿态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09165B (zh) 椅子的足部支撑装置
US5634223A (en) Hollow body for use as seat pad
JP5969652B1 (ja) ランバーサポートアセンブリ
US20150108803A1 (en) Ergonomic Gobelek Chair
KR101905736B1 (ko) 다각도로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US9079514B2 (en) Vehicle seat comprising an adjustable backrest shape
KR101862535B1 (ko) 휴대성이 있는 자동차용 허리 지지체
US20150164232A1 (en) Chair having a dynamically-flexible back and seat
JP2015199447A (ja) 車両用シート
US9820575B2 (en) Rotation adjustment system for seats
TWI499409B (zh) Massage facilities and massage equipment with massage facilities
JP6845642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US10131253B2 (en) Automobile seat
WO2017221312A1 (ja) 椅子及び座の支持機構
JP2006068223A (ja) 座部の傾動機構付き椅子
JP2005104425A (ja) 車両用シート
JP6053657B2 (ja) 車両用シートの頚支持装置
US10299604B2 (en) Massage motor suspension system
KR101558413B1 (ko) 의자의 틸팅장치
JP6000871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144623B1 (ko) 넥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KR101475947B1 (ko) 차량 시트의 머리받침대용 베개
JP6855199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KR20200123569A (ko) 자동차용 시트의 럼버 서포트 장치
JP6926897B2 (ja) 着座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