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031B1 -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031B1
KR101538031B1 KR1020140194605A KR20140194605A KR101538031B1 KR 101538031 B1 KR101538031 B1 KR 101538031B1 KR 1020140194605 A KR1020140194605 A KR 1020140194605A KR 20140194605 A KR20140194605 A KR 20140194605A KR 101538031 B1 KR101538031 B1 KR 101538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xing
insertion hole
rotat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남요
Original Assignee
허남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남요 filed Critical 허남요
Priority to KR1020140194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에 앉아 등받이부에 기댈 때 등받이부가 탄성적의 뒤로 기대는 힘에 따라 뒤로 젖혀지면서 편안함을 주면서 내부 판스프링에 의하여 복귀하려는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하단은 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평행한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하단은 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경사지게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평행한 한 쌍의 제2 프레임과,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하는 좌석부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는 팔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원형으로 좌우로 관통하는 제1 회전홀과, 상기 제1 회전홀을 중심으로 하고 제1 프레임 방향으로 부채꼴로 확장되는 제1 위치보상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에 삽입되어 억지끼움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중간에 이격된 삽입절개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원판과, 상기 고정원판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1 볼트홀과, 상기 고정원판의 좌우 측에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1 안착홈과, 상기 고정원판의 좌우 측에 원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커버장착홈과, 상기 커버장착홈에 3~4개 함몰 형성되는 제1 고정홈과, 상기 커버 장착홈에서 볼트홀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10 ~ 20° 연장 관통되는 회전제한홀과, 상기 삽입절개부에서 제1 회전홀로 관통하되 제1 회전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판스프링 관통홀을 구비하는 고정브라켓과;
일측은 등받이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절개부에 삽입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제2 볼트홀과, 상기 판스프링 관통홀에서 연장되는 제1 판스프링 삽입홀과, 상기 제1 판스프링 삽입홀에서 분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판스프링 삽입홀과, 상기 제1 판스프링 삽입홀의 입구 하단에서 돌출되어 판스프링 관통홀에 삽입되는 스프링 절곡돌기와, 상기 제1 판스프링 삽입홀의 상단에서 원형으로 좌우로 관통되는 제2 회전홀과, 상기 제2 회전홀에서 등받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방지홈과, 양측면에 3 ~ 4개 함몰 형성되는 제2 고정홈과, 상기 회전제한홀과 연통하는 제1 핀삽입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브라켓과;
일측 끝단은 제1 회전홀과 제1 위치보상홈에 삽입되는 제1 판스프링 삽입부재에 삽입되고, 판스프링 관통홀과 제1 판스프링 삽입홀을 관통하며, 타측은 분기되어 일부는 제2 회전홀과 회전방지홈에 삽입되는 제2 판스프링 삽입부재에 삽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판스프링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절곡되는 복수 개의 판형 부재가 겹쳐 이루어지는 판스프링 결합체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관통된 제3 볼트홀과, 제1 핀삽입홀과 연통하는 제2 핀삽입홀과, 제2 고정홈에 삽입되는 제2 고정돌기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브라켓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내부커버와;
상기 제1 내지 제3 볼트홀을 관통한 후 고정너트가 결합하여 상기 회전브라켓이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축볼트와;
상기 회전제한홀과 제1 내지 제2 핀삽입홀을 관통하는 회전 단속핀과;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장착홈에 삽입되며 일면에는 제1 고정홈에 상응하는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외부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The chair that have a variable armrest}
본 발명은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의자에 앉아 등받이부에 기댈 때 등받이부가 탄성적의 뒤로 기대는 힘에 따라 뒤로 젖혀지면서 편안함을 주면서 내부 판스프링에 의하여 복귀하려는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부와 좌석부를 지지하는 다리 그리고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를 주요 구성으로 함은 공통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과 좌석부 또는 등받이의 양측에 팔걸이가 형성되기도 한다.
우리의 생활문화는 점점 의자에서 생활하는 좌식문화가 점점 증가하게 되어 에에 따라 의자는 장시간 앉아 있으면서 인체에 무리가 가지 않고 보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순한 의자의 기능에서 인체공학적인 측면에서의 발전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중에 등받이부는 기대는 힘에 의하여 뒤로 젖혀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락함을 느끼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러한 등받이 완충구조는 등받이부 또는 등받이부를 연결하는 부분의 재질이 어느 정도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것 또는 형상적으로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살짝 기대었을 때는 등받이부가 젖혀지지 않거나 큰 힘에 의하여 심하게 젖혀지거나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오래 사용하면 등받이부가 너무 쉽게 젖혀지거나 평상시에도 젖혀진 상태로 변형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98237-0000호 (2002년12월02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01417-0000호 (2003년01월06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72420-0000호 (2014년04월21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72420-0000호 (2014년04일2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의자의 등받이부가 사용자가 기대면 자연스럽게 젖혀지면서 안락함을 줄 수 있는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의자의 등받이부가 회전하는 각도에 제한을 두어 지나치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단은 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평행한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하단은 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경사지게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평행한 한 쌍의 제2 프레임과,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하는 좌석부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는 팔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원형으로 좌우로 관통하는 제1 회전홀과, 상기 제1 회전홀을 중심으로 하고 제1 프레임 방향으로 부채꼴로 확장되는 제1 위치보상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단에 삽입되어 억지끼움 고정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중간에 이격된 삽입절개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원판과, 상기 고정원판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1 볼트홀과, 상기 고정원판의 좌우 측에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1 안착홈과, 상기 고정원판의 좌우 측에 원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커버장착홈과, 상기 커버장착홈에 3~4개 함몰 형성되는 제1 고정홈과, 상기 커버 장착홈에서 볼트홀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10 ~ 20° 연장 관통되는 회전제한홀과, 상기 삽입절개부에서 제1 회전홀로 관통하되 제1 회전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판스프링 관통홀을 구비하는 고정브라켓과;
일측은 등받이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절개부에 삽입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제2 볼트홀과, 상기 판스프링 관통홀에서 연장되는 제1 판스프링 삽입홀과, 상기 제1 판스프링 삽입홀에서 분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판스프링 삽입홀과, 상기 제1 판스프링 삽입홀의 입구 하단에서 돌출되어 판스프링 관통홀에 삽입되는 스프링 절곡돌기와, 상기 제1 판스프링 삽입홀의 상단에서 원형으로 좌우로 관통되는 제2 회전홀과, 상기 제2 회전홀에서 등받이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방지홈과, 양측면에 3 ~ 4개 함몰 형성되는 제2 고정홈과, 상기 회전제한홀과 연통하는 제1 핀삽입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브라켓과;
일측 끝단은 제1 회전홀과 제1 위치보상홈에 삽입되는 제1 판스프링 삽입부재에 삽입되고, 판스프링 관통홀과 제1 판스프링 삽입홀을 관통하며, 타측은 분기되어 일부는 제2 회전홀과 회전방지홈에 삽입되는 제2 판스프링 삽입부재에 삽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판스프링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절곡되는 복수 개의 판형 부재가 겹쳐 이루어지는 판스프링 결합체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관통된 제3 볼트홀과, 제1 핀삽입홀과 연통하는 제2 핀삽입홀과, 제2 고정홈에 삽입되는 제2 고정돌기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브라켓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내부커버와;
상기 제1 내지 제3 볼트홀을 관통한 후 고정너트가 결합하여 상기 회전브라켓이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축볼트와;
상기 회전제한홀과 제1 내지 제2 핀삽입홀을 관통하는 회전 단속핀과;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장착홈에 삽입되며 일면에는 제1 고정홈에 상응하는 제1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한 쌍의 외부커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브라켓의 스프링 절곡돌기는 좌우방향으로 홀이 관통되는 로울러와, 상기 회전브라켓에 로울러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로울러 고정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의 삽입절개부에서 고정원판을 관통하도록 하되 삽입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의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각도 단속핀 삽입홀과;
헤드가 상기 각도 단속핀 삽입홀의 내경이 확장된 부분에 삽입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각도 단속핀과;
각도 단속핀이 삽입되어 고정원판과 외부커버의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상기 회전브라켓의 각도 단속핀과 밀착하는 일면에 등받이 완충부의 회전 경로에 따라 2개 이상 형성되는 각도 결정홈과;
외부커버를 관통한 각도 단속핀이 고정되는 손잡이와;
일측은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고 타측은 외부커버를 관통한 후 고정원판에 삽입하되 삽입되는 끝단의 외경은 단턱지게 확장되는 한 쌍의 각도 고정핀과;
내경이 다른 두 홀이 겹쳐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도 고정핀의 확장된 외경이 삽입되고 손잡이를 가압하여 각도 단속핀이 각도 결정홈에 삽입된 후 회전시키면 좁은 내경면으로 삽입되어 돌출된 외경이 내측에서 걸려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각도 고정홀로 구성되는 각도 고정부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부가 사용자가 등을 기대는 힘에 따라 자연스럽게 젖혀지면서 복귀하려는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착석한 사용자가 보다 안락함을 느끼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나친 힘으로 등받이부를 젖히려는 힘이 작용할 경우 크게 젖혀지지 않고 일정각도 안으로만 젖혀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등받이부가 크게 젖혀짐으로 발생하는 불안함 또는 의자가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의 동작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의 동작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의 동작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의 동작을 나타낸 정단면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의 동작을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하단은 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평행한 한 쌍의 제1 프레임(1)과. 하단은 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경사지게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평행한 한 쌍의 제2 프레임(2)과,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하는 좌석부(3)와, 상기 제1 프레임(1)의 상부에 장착되는 등받이부(4)와, 상기 제2 프레임(2)의 상단에 장착되는 팔걸이(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원형으로 좌우로 관통하는 제1 회전홀(611)과, 상기 제1 회전홀(611)을 중심으로 하고 제1 프레임(1) 방향으로 부채꼴로 확장되는 제1 위치보상홈(61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1)의 상단에 삽입되어 억지끼움 고정되는 삽입부(61)와;
상기 삽입부(61)와 일체로 연결되어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중간에 이격된 삽입절개부(621)가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원판(622)과, 상기 고정원판(622)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1 볼트홀(623)과, 상기 고정원판(622)의 좌우 측에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1 안착홈(624)과, 상기 고정원판(622)의 좌우 측에 원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커버장착홈(625)과, 상기 커버장착홈(625)에 3~4개 함몰 형성되는 제1 고정홈(626)과, 상기 커버 장착홈(625)에서 볼트홀(62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10 ~ 20° 연장 관통되는 회전제한홀(627)과, 상기 삽입절개부(621)에서 제1 회전홀(611)로 관통하되 제1 회전홀(611)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판스프링 관통홀(628)을 구비하는 고정브라켓(62)과;
일측은 등받이부(4)에 고정되고 타측은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절개부(621)에 삽입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제2 볼트홀(631)과, 상기 판스프링 관통홀(628)에서 연장되는 제1 판스프링 삽입홀(632)과, 상기 제1 판스프링 삽입홀(632)에서 분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판스프링 삽입홀(633)과, 상기 제1 판스프링 삽입홀(632)의 입구 하단에서 돌출되어 판스프링 관통홀(628)에 삽입되는 스프링 절곡돌기(634)와, 상기 제1 판스프링 삽입홀(632)의 상단에서 원형으로 좌우로 관통되는 제2 회전홀(635)과, 상기 제2 회전홀(635)에서 등받이부(4)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방지홈(636)과, 양측면에 3 ~ 4개 함몰 형성되는 제2 고정홈(637)과, 상기 회전제한홀(627)과 연통하는 제1 핀삽입홀(63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브라켓(63)과;
일측 끝단은 제1 회전홀(611)과 제1 위치보상홈(612)에 삽입되는 제1 판스프링 삽입부재(641)에 삽입되고, 판스프링 관통홀(628)과 제1 판스프링 삽입홀(632)을 관통하며, 타측은 분기되어 일부는 제2 회전홀(635)과 회전방지홈(636)에 삽입되는 제2 판스프링 삽입부재(642)에 삽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판스프링 삽입홀(633)에 삽입되도록 절곡되는 복수 개의 판형 부재가 겹쳐 이루어지는 판스프링 결합체(64)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관통된 제3 볼트홀(651)과, 제1 핀삽입홀(638)과 연통하는 제2 핀삽입홀(652)과, 제2 고정홈(637)에 삽입되는 제2 고정돌기(653)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브라켓(63)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내부커버(65)와;
상기 제1 내지 제3 볼트홀(623, 631, 651)을 관통한 후 고정너트(661)가 결합하여 상기 회전브라켓(63)이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축볼트(66)와;
상기 회전제한홀(627)과 제1 내지 제2 핀삽입홀(638, 652)을 관통하는 회전 단속핀(67)과;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장착홈(625)에 삽입되며 일면에는 제1 고정홈(626)에 상응하는 제1 고정돌기(681)가 형성되는 한 쌍의 외부커버(6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인 원리는 판스프링 결합체(64)를 이용하여 등받이부(4)가 뒤로 기대는 힘에 탄성적으로 젖혀지도록 하는 것으로 판스프링 결합체(64)는 단순한 모양이 아니라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과 절곡된 부분이 같이 사용되어 절곡 변형시 보다 부드러운 곡선으로 절곡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판스프링의 끝단은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2 판스프링 삽입부재(641, 642)를 이용하여 보호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제1 판스프링 삽입부재(641)의 경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4)의 기울어짐에 따라 약간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위치보상롤(612)는 이러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 회전 단속핀(67)은 등받이부(4)가 힘을 가하는 만큼 젖혀지도록 하면 강한 힘에는 완전히 뒤로 젖혀질 우려가 있는 것으로 일정한 각도 범위에서만 등받이부(4)가 움직일 수 있도록 폭을 제한하기 위하여 형성한 실시 예이다.또한 본 발명은 회전브라켓(63)이 고정브라켓(62)의 삽입절개부(621)에 삽입되면서 장착되는 부품이 회전에 방해를 주지않도록 내부커버(65)를 장착하고, 또 외관에서 심플한 느낌을 주기 위하여 외부커버(68)를 형성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의 동작을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상기 회전브라켓(63)의 스프링 절곡돌기(634)는 좌우방향으로 홀이 관통되는 로울러(634a)와, 상기 회전브라켓(63)에 로울러(634a)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로울러 고정핀(634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본원의 스프링 걸림돌기(634)는 판스프링 결합체(64)가 절곡되는 기준을 만듬으로 보다 부드럽게 절곡되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가능한 로울러(634a)의 외경면에 판스프링 결합체(64)가 밀착하면서 굴곡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의 동작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완충부의 동작을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상기 고정브라켓(62)의 삽입절개부(621)에서 고정원판(622)을 관통하도록 하되 삽입절개부(621)가 형성된 부분의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각도 단속핀 삽입홀(691)과;
헤드가 상기 각도 단속핀 삽입홀(691)의 내경이 확장된 부분에 삽입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각도 단속핀(692)과;
각도 단속핀(692)이 삽입되어 고정원판(622)과 외부커버(68)의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코일스프링(693)과;
상기 회전브라켓(63)의 각도 단속핀(692)과 밀착하는 일면에 등받이 완충부(6)의 회전 경로에 따라 2개 이상 형성되는 각도 결정홈(694)과;
외부커버(68)를 관통한 각도 단속핀(692)이 고정되는 손잡이(695)와;
일측은 상기 손잡이(695)에 고정되고 타측은 외부커버(68)를 관통한 후 고정원판(622)에 삽입하되 삽입되는 끝단의 외경은 단턱지게 확장되는 한 쌍의 각도 고정핀(696)과;
내경이 다른 두 홀이 겹쳐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도 고정핀(696)의 확장된 외경이 삽입되고 손잡이(695)를 가압하여 각도 단속핀(692)이 각도 결정홈(694)에 삽입된 후 회전시키면 좁은 내경면으로 삽입되어 돌출된 외경이 내측에서 걸려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각도 고정홀(697)로 구성되는 각도 고정부(69)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등받이부(4)가 힘에 의하여 뒤로 젖혀지도록 할 경우에 안락함을 느끼게 되는 효과는 있으나 운반중 또는 다양한 이유로 이러한 기능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등받이부(4)의 각도를 설정하여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한 것이다.
도 12를 살펴보면 평상시에는 각도 단속핀(692)이 회전브라켓(63_의 회전을 ㅂg해하지 않는 위치에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등을 기대는 힘에 따라 후방으로 등받이부가 젖혀지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도 단속핀(692)의 외경이 확장된 끝단은 압축코일스프링(693)의 힘에도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손잡이(695)를 눌러 각도 단속핀(692)의 외경이 확장된 끝단이 각도 결정홈(694) 중 하나에 삽입되면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은 각도 고정핀(696)을 두어 손잡이(685)를 회전시키면 단턱지게 외경이 확장되는 끝단이 각도 고정홀(697)의 내경이 축소되는 부분에 삽입되면서 압축코일스프링(693)의 힘에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1 : 제1 프레임
2 : 제2 프레임
3 : 좌석부
4 : 등받이부
5 : 팔걸이
6 : 등받이 완중부
61 : 삽입부
611 : 제1 회전홀 612 : 제1 위치보상홈
62 : 고정브라켓
621 : 삽입절개부 622 : 고정원판
623 : 제1 볼트홀 624 : 제1 안착홈
625 : 커버장착홈 626 : 제1 고정홈
627 : 회전제한홀 628 : 판스프링 관통홀
63 : 회전브라켓
631 : 제2 볼트홀 632 : 제1 판스프링 삽입홀
633 : 제2 판스프링 삽입홀 634 : 스프링 절곡돌기
634a : 로울러 634b : 로울러 고정핀
635 : 제2 회전홀 636 : 회전방지홈
637 : 제2 고정홈 638 : 제1 핀삽입홀
64 : 판스프링 결합체
641 : 제1 판스프링 삽입부재 642 : 제2 판스프링 삽입부재
65 : 내부커버
651 : 제3 볼트홀 652 : 제2 핀삽입홀
653 : 제2 고정돌기
67 : 회전 단속핀
68 : 외부커버
681 : 제1 고정돌기
69 : 각도 고정부
691 : 각도 단속핀 삽입홀 692 : 각도 단속핀
693 : 압축코일스프링 694 : 각도 결정홈
695 : 손잡이 696 : 각도 고정핀
697 : 각도 고정홀

Claims (3)

  1. 하단은 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평행한 한 쌍의 제1 프레임(1)과. 하단은 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경사지게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평행한 한 쌍의 제2 프레임(2)과,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하는 좌석부(3)와, 상기 제1 프레임(1)의 상부에 장착되는 등받이부(4)와, 상기 제2 프레임(2)의 상단에 장착되는 팔걸이(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원형으로 좌우로 관통하는 제1 회전홀(611)과, 상기 제1 회전홀(611)을 중심으로 하고 제1 프레임(1) 방향으로 부채꼴로 확장되는 제1 위치보상홈(61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프레임(1)의 상단에 삽입되어 억지끼움 고정되는 삽입부(61)와;
    상기 삽입부(61)와 일체로 연결되어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중간에 이격된 삽입절개부(621)가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원판(622)과, 상기 고정원판(622)의 중앙을 관통하는 제1 볼트홀(623)과, 상기 고정원판(622)의 좌우 측에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1 안착홈(624)과, 상기 고정원판(622)의 좌우 측에 원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커버장착홈(625)과, 상기 커버장착홈(625)에 3~4개 함몰 형성되는 제1 고정홈(626)과, 상기 커버 장착홈(625)에서 볼트홀(623)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10 ~ 20° 연장 관통되는 회전제한홀(627)과, 상기 삽입절개부(621)에서 제1 회전홀(611)로 관통하되 제1 회전홀(611)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판스프링 관통홀(628)을 구비하는 고정브라켓(62)과;
    일측은 등받이부(4)에 고정되고 타측은 원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절개부(621)에 삽입되며, 중앙을 관통하는 제2 볼트홀(631)과, 상기 판스프링 관통홀(628)에서 연장되는 제1 판스프링 삽입홀(632)과, 상기 제1 판스프링 삽입홀(632)에서 분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판스프링 삽입홀(633)과, 상기 제1 판스프링 삽입홀(632)의 입구 하단에서 돌출되어 판스프링 관통홀(628)에 삽입되는 스프링 절곡돌기(634)와, 상기 제1 판스프링 삽입홀(632)의 상단에서 원형으로 좌우로 관통되는 제2 회전홀(635)과, 상기 제2 회전홀(635)에서 등받이부(4)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방지홈(636)과, 양측면에 3 ~ 4개 함몰 형성되는 제2 고정홈(637)과, 상기 회전제한홀(627)과 연통하는 제1 핀삽입홀(63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브라켓(63)과;
    일측 끝단은 제1 회전홀(611)과 제1 위치보상홈(612)에 삽입되는 제1 판스프링 삽입부재(641)에 삽입되고, 판스프링 관통홀(628)과 제1 판스프링 삽입홀(632)을 관통하며, 타측은 분기되어 일부는 제2 회전홀(635)과 회전방지홈(636)에 삽입되는 제2 판스프링 삽입부재(642)에 삽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판스프링 삽입홀(633)에 삽입되도록 절곡되는 복수 개의 판형 부재가 겹쳐 이루어지는 판스프링 결합체(64)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관통된 제3 볼트홀(651)과, 제1 핀삽입홀(638)과 연통하는 제2 핀삽입홀(652)과, 제2 고정홈(637)에 삽입되는 제2 고정돌기(653)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브라켓(63)의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내부커버(65)와;
    상기 제1 내지 제3 볼트홀(623, 631, 651)을 관통한 후 고정너트(661)가 결합하여 상기 회전브라켓(63)이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축볼트(66)와;
    상기 회전제한홀(627)과 제1 내지 제2 핀삽입홀(638, 652)을 관통하는 회전 단속핀(67)과;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장착홈(625)에 삽입되며 일면에는 제1 고정홈(626)에 상응하는 제1 고정돌기(681)가 형성되는 한 쌍의 외부커버(6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63)의 스프링 절곡돌기(634)는 좌우방향으로 홀이 관통되는 로울러(634a)와, 상기 회전브라켓(63)에 로울러(634a)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로울러 고정핀(634b)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62)의 삽입절개부(621)에서 고정원판(622)을 관통하도록 하되 삽입절개부(621)가 형성된 부분의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각도 단속핀 삽입홀(691)과;
    헤드가 상기 각도 단속핀 삽입홀(691)의 내경이 확장된 부분에 삽입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연장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각도 단속핀(692)과;
    각도 단속핀(692)이 삽입되어 고정원판(622)과 외부커버(68)의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코일스프링(693)과;
    상기 회전브라켓(63)의 각도 단속핀(692)과 밀착하는 일면에 등받이 완충부(6)의 회전 경로에 따라 2개 이상 형성되는 각도 결정홈(694)과;
    외부커버(68)를 관통한 각도 단속핀(692)이 고정되는 손잡이(695)와;
    일측은 상기 손잡이(695)에 고정되고 타측은 외부커버(68)를 관통한 후 고정원판(622)에 삽입하되 삽입되는 끝단의 외경은 단턱지게 확장되는 한 쌍의 각도 고정핀(696)과;
    내경이 다른 두 홀이 겹쳐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각도 고정핀(696)의 확장된 외경이 삽입되고 손잡이(695)를 가압하여 각도 단속핀(692)이 각도 결정홈(694)에 삽입된 후 회전시키면 좁은 내경면으로 삽입되어 돌출된 외경이 내측에서 걸려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각도 고정홀(697)로 구성되는 각도 고정부(69)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
KR1020140194605A 2014-12-31 2014-12-31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 KR101538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605A KR101538031B1 (ko) 2014-12-31 2014-12-31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605A KR101538031B1 (ko) 2014-12-31 2014-12-31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031B1 true KR101538031B1 (ko) 2015-07-22

Family

ID=5387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605A KR101538031B1 (ko) 2014-12-31 2014-12-31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0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585B1 (ko) * 2018-11-09 2020-03-20 이성훈 우수한 내구성과 장 수명을 보장하는 의자의 등판용 틸팅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624A (ja) * 1996-07-17 1998-02-03 Araco Corp 座椅子等の角度調節機構
KR100478249B1 (ko) * 2002-09-06 2005-03-24 이용현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
JP2014104027A (ja) * 2012-11-26 2014-06-09 Koyo Giken Kk 無段階角度調整金具
CN203662307U (zh) * 2013-02-15 2014-06-25 东莞向阳金属制品有限公司 角度调整金具以及无腿座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624A (ja) * 1996-07-17 1998-02-03 Araco Corp 座椅子等の角度調節機構
KR100478249B1 (ko) * 2002-09-06 2005-03-24 이용현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
JP2014104027A (ja) * 2012-11-26 2014-06-09 Koyo Giken Kk 無段階角度調整金具
CN203662307U (zh) * 2013-02-15 2014-06-25 东莞向阳金属制品有限公司 角度调整金具以及无腿座椅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585B1 (ko) * 2018-11-09 2020-03-20 이성훈 우수한 내구성과 장 수명을 보장하는 의자의 등판용 틸팅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342B1 (ko) 의자
CN110430787B (zh) 座椅
KR101593116B1 (ko) 의자 등받이 틸팅장치
KR20100106677A (ko)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KR101763159B1 (ko)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KR101538031B1 (ko)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
JP3177652U (ja) 椅子の座部ガイド装置
KR101532595B1 (ko)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
KR200436739Y1 (ko) 헤드레스트
JP5860513B2 (ja) 椅子
JP6860321B2 (ja) 椅子
JP2011255070A (ja) 椅子
KR102468097B1 (ko) 의자
JP5601818B2 (ja) ロッキング椅子
JP2011092475A (ja) ロッキング椅子
JP6777281B2 (ja) 椅子
KR200342421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KR200427731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JP6448126B2 (ja) 椅子
JP2020058760A (ja) 椅子
KR20140015182A (ko) 회동지지부가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이 구비된 의자
JP7312010B2 (ja) 折り畳み式椅子
JP2023064536A (ja) 折り畳み式椅子
JP5650491B2 (ja) 椅子
JP7382187B2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