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595B1 -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 - Google Patents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595B1
KR101532595B1 KR1020140194601A KR20140194601A KR101532595B1 KR 101532595 B1 KR101532595 B1 KR 101532595B1 KR 1020140194601 A KR1020140194601 A KR 1020140194601A KR 20140194601 A KR20140194601 A KR 20140194601A KR 101532595 B1 KR101532595 B1 KR 101532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housing
chai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남요
Original Assignee
허남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남요 filed Critical 허남요
Priority to KR1020140194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4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 A47C3/045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with tipping-up seat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의 좌석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접을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상부 방석에 이물질이 묻는 경우를 줄 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하단은 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평행한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하단은 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경사지게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평행한 한 쌍의 제2 프레임과,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하는 좌석부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는 팔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1 프레임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제2 프레임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프레임을 연결하는 보조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좌석부는 좌우측 끝단이 하우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결프레임이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와, 하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 연결프레임에 삽입되는 끼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The chair that have a folded sit}
본 발명은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의자의 좌석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접을 수 있도록 하여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상부 방석에 이물질이 묻는 경우를 줄 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부와 좌석부를 지지하는 다리 그리고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를 주요 구성으로 함은 공통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과 좌석부 또는 등받이의 양측에 팔걸이가 형성되기도 한다.
우리의 생활문화는 점점 의자에서 생활하는 좌식문화가 점점 증가하게 되어 에에 따라 의자는 장시간 앉아 있으면서 인체에 무리가 가지 않고 보다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순한 의자의 기능에서 인체공학적인 측면에서의 발전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인체공학적인 의자의 개발과는 반대로 편의성을 위한 의자로 의자를 접어 최소한의 부피로 보관하다가 필요에 의하여 이를 펼쳐 사용하도록 하는 접이식 의자도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사용되고 있다.
접이식 의자의 장점은 보관과 이동이 용이하다는 측면뿐만 아니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접으면 좌석부에 먼지가 가라앉는 등의 이물질에 오염될 경우가 줄어든다는 부분도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강당과 같은 곳에 접이식 의자를 펼쳐 배치를 하면 전후 의자 사이의 간격이 상당히 좁아 이동이 불편한 경우가 많지만 배치가 끝난 의자를 접어 바닥에 놓을 수도 없는 난처한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36011-0000호 (2003년12월03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021383-0000호 (2011년03월03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55249-0000 (2011년08월19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468009-0000 (2014년11월2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의자의 착석부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회전하여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의자의 좌석부가 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면서 외력이 없을 경우에는 후방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단은 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평행한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하단은 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경사지게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평행한 한 쌍의 제2 프레임과,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하는 좌석부와,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단에 장착되는 팔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1 프레임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제2 프레임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프레임을 연결하는 보조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좌석부는 좌우측 끝단이 하우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결프레임이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와, 하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 연결프레임에 삽입되는 끼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교차하는 곳을 관통하는 힌지축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중간에 회전가능한 힌지와, 상기 힌지를 기준으로 보조프레임이 하부로는 꺾어지나 상부로 꺾이지 않도록 하는 걸림리브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장공을 구비하는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의 내측 후방에 장착되는 제1 압축코일스프링과, 후방에는 상기 제1 압축코일스프링의 내경면에 삽입되는 제1 스프링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제2 연결프레임이 관통하도록 하면서 제1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제1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끼움부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장공과 상기 제2 장공의 전방 끝단에서 수직하부로 절개되는 끼움홈을 구비하는 제2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내측 후방에 장착되는 제2 압축코일스프링과, 후방에는 상기 제2 압축코일스프링의 내경면에 삽입되는 제2 스프링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하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 연결프레임이 삽입된 후 걸리는 걸림훅을 구비하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자의 좌석부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의자 사이의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하여 다수의 의자를 배치하여도 다수의 인원이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착석한 후 등받이에 등을 기대면 자연스럽게 엉덩이는 앞으로 밀리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좌석부가 탄성적으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석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끼움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석부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절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하단은 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평행한 한 쌍의 제1 프레임(1)과. 하단은 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경사지게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평행한 한 쌍의 제2 프레임(2)과,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하는 좌석부(3)와, 상기 제1 프레임(1)의 상부에 장착되는 등받이부(4)와, 상기 제2 프레임(2)의 상단에 장착되는 팔걸이(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1 프레임(1)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11)과, 한 쌍의 상기 제2 프레임(2)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프레임(22)과,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프레임(11, 22)을 연결하는 보조프레임(12)이 장착되고;
상기 좌석부(3)는 좌우측 끝단이 하우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결프레임(22)이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31)와, 하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 연결프레임(11)에 삽입되는 끼움부(3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를 나타내었다.
본원의 구성은 두 개의 제1 내지 제2 프레임(1, 2)이 'X'자의 형상으로 교차하여 가장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되며, 좌석부(3)의 후방에 회전 중심이 되는 연결부(31)를 형성하고 전방에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한 끼움부(32)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좌석부(3)를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일정 공간에 다수의 의자를 배치할 경우 좌석부(3)는 전후 의자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지도록 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나 본 발명은 좌석부(3)를 접을 경우 이동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첩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은 교차하는 곳을 관통하는 힌지축(1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조프레임(12)은 중간에 회전가능한 힌지(121)와, 상기 힌지(121)를 기준으로 보조프레임(12)이 하부로는 꺾어지나 상부로 꺾이지 않도록 하는 걸림리브(122)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의자를 접이식 의자의 기능을 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힌지축(13)을 중심으로 제1 내지 제2 프레임(1, 2)이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사용시에는 보조프레임(12)이 펴진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였다.
또한 의자를 접을 경우에는 힌지축(13)을 중심으로 접으면서 힌지(121)를 이용하여 보조프레임(12)을 아래 방향으로 꺾어 접히도록 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석부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끼움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좌석부가 전진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연결부(31)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장공(311)을 구비하는 제1 하우징(312)과, 제1 하우징(312)의 내측 후방에 장착되는 제1 압축코일스프링(313)과, 후방에는 상기 제1 압축코일스프링(313)의 내경면에 삽입되는 제1 스프링 끼움돌기(314)가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제2 연결프레임(22)이 관통하도록 하면서 제1 하우징(312)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제1 이동부재(3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끼움부(32)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장공(321)과 상기 제2 장공(321)의 전방 끝단에서 수직하부로 절개되는 끼움홈(322)을 구비하는 제2 하우징(323)과, 제2 하우징(323)의 내측 후방에 장착되는 제2 압축코일스프링(324)과, 후방에는 상기 제2 압축코일스프링(324)의 내경면에 삽입되는 제2 스프링 끼움돌기(325)가 형성되고 하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 연결프레임(11)이 삽입된 후 걸리는 걸림훅(326)을 구비하면서 상기 제2 하우징(322)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제2 이동부재(327)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일반적으로 의자에 착석한 후 등을 등받이부(4)에 기대면 엉덩이는 전방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며, 척추교정을 위한 의자는 이런 작용에도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엉덩이를 최대한 좌석부(3)의 후방으로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착석하도록 하고 있으나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안함에 목적을 두어 등을 등받이부(4)에 기대면서 힘을 주면 좌석부(3)가 전방으로 밀리도록 하고, 힘을 줄이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보다 편안하게 의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 : 제1 프레임
11 : 제1 연결프레임
12 : 보조프레임
121 : 힌지 122 : 걸림리브
13 : 힌지축
2 : 제2 프레임
22 : 제2 연결프레임
3 : 좌석부
31 : 연결부
311 : 제1 장공 312 : 제1 하우징
313 : 제1 압축코일스프링 314 : 제1 스프링 끼움돌기
315 : 제1 이동부재
32 : 끼움부
321 : 제2 장공 322 : 끼움홈
323 : 제2 하우징 324 : 제2 압축코일스프링
325 : 제2 스프링 끼움돌기 326 : 걸림훅
327 : 제2 이동부재
4 : 등받이부
5 : 팔걸이

Claims (3)

  1. 하단은 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평행한 한 쌍의 제1 프레임(1)과. 하단은 후방에 위치하고 상단은 경사지게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교차하는 평행한 한 쌍의 제2 프레임(2)과, 사용자가 착석하도록 하는 좌석부(3)와, 상기 제1 프레임(1)의 상부에 장착되는 등받이부(4)와, 상기 제2 프레임(2)의 상단에 장착되는 팔걸이(5)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제1 프레임(1)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프레임(11)과, 한 쌍의 상기 제2 프레임(2)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제2 연결프레임(22)과, 상기 제1 및 제2 연결프레임(11, 22)을 연결하는 보조프레임(12)이 장착되고; 상기 좌석부(3)는 좌우측 끝단이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결프레임(22)이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31)와, 하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 연결프레임(11)에 삽입되는 끼움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프레임(1)과 제2 프레임(2)은 교차하는 곳을 관통하는 힌지축(1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보조프레임(12)은 중간에 회전가능한 힌지(121)와, 상기 힌지(121)를 기준으로 보조프레임(12)이 하부로는 꺾어지나 상부로 꺾이지 않도록 하는 걸림리브(122)를 구비한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1)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장공(311)을 구비하는 제1 하우징(312)과, 제1 하우징(312)의 내측 후방에 장착되는 제1 압축코일스프링(313)과, 후방에는 상기 제1 압축코일스프링(313)의 내경면에 삽입되는 제1 스프링 끼움돌기(314)가 형성되고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제2 연결프레임(22)이 관통하도록 하면서 제1 하우징(312)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제1 이동부재(3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끼움부(32)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장공(321)과 상기 제2 장공(321)의 전방 끝단에서 수직하부로 절개되는 끼움홈(322)을 구비하는 제2 하우징(323)과, 제2 하우징(323)의 내측 후방에 장착되는 제2 압축코일스프링(324)과, 후방에는 상기 제2 압축코일스프링(324)의 내경면에 삽입되는 제2 스프링 끼움돌기(325)가 형성되고 하부가 절개되어 상기 제1 연결프레임(11)이 삽입된 후 걸리는 걸림훅(326)을 구비하면서 상기 제2 하우징(322)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제2 이동부재(327)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
  2. 삭제
  3. 삭제
KR1020140194601A 2014-12-31 2014-12-31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 KR101532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601A KR101532595B1 (ko) 2014-12-31 2014-12-31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601A KR101532595B1 (ko) 2014-12-31 2014-12-31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595B1 true KR101532595B1 (ko) 2015-07-01

Family

ID=53787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601A KR101532595B1 (ko) 2014-12-31 2014-12-31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25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640B1 (ko) * 2016-08-17 2017-02-08 원영근 의자
KR102055096B1 (ko) 2019-06-17 2019-12-11 정윤산 좌판부가 절첩되는 의자
KR102189085B1 (ko) * 2020-05-15 2020-12-17 조효석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31Y1 (ko) * 2004-11-19 2005-03-11 홍화옥 접의자
JP2009082684A (ja) * 2007-09-10 2009-04-23 Kokuyo Co Ltd 椅子
KR101013013B1 (ko) * 2008-07-14 2011-02-10 성용기업 주식회사 접철가능한 자립식 의자
JP2011244960A (ja) * 2010-05-25 2011-12-08 Kokuyo Co Ltd 椅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431Y1 (ko) * 2004-11-19 2005-03-11 홍화옥 접의자
JP2009082684A (ja) * 2007-09-10 2009-04-23 Kokuyo Co Ltd 椅子
KR101013013B1 (ko) * 2008-07-14 2011-02-10 성용기업 주식회사 접철가능한 자립식 의자
JP2011244960A (ja) * 2010-05-25 2011-12-08 Kokuyo Co Ltd 椅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640B1 (ko) * 2016-08-17 2017-02-08 원영근 의자
KR102055096B1 (ko) 2019-06-17 2019-12-11 정윤산 좌판부가 절첩되는 의자
KR102189085B1 (ko) * 2020-05-15 2020-12-17 조효석 좌판 위치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604B1 (en) Waist supporting structure of a dual-layer chair back
KR101532595B1 (ko) 좌석부가 절첩되는 의자
KR101538342B1 (ko) 의자
JP2002191462A (ja) 椅子における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6172988B2 (ja) 椅子
JP2006174931A (ja) マルチチェア
AU2018344896A1 (en) Posture adaptive work chair
JP5606767B2 (ja) 椅子
KR20190021966A (ko) 리클라이너용 컨트롤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하는 리클라이너
JP6777281B2 (ja) 椅子
KR200371544Y1 (ko) 머리받침대 및 옷걸이가 구비된 의자
KR101538029B1 (ko) 가변식 팔걸이를 가지는 의자
KR20200003987A (ko) 틸팅 및 슬라이딩 장치가 구비된 의자
JP6491049B2 (ja) 椅子及び椅子の調整方法
KR102322788B1 (ko) 틸팅 의자
KR20190140133A (ko) 의자의 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JP2009112397A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7312010B2 (ja) 折り畳み式椅子
KR101829131B1 (ko) 공연장용 의자
JP7172378B2 (ja) 椅子
JP2017104352A (ja) 椅子
KR200377422Y1 (ko) 의자용 머리받침부
KR101447702B1 (ko) 안락의자
KR101388208B1 (ko) 낚시용 절첩식 회전 의자
KR20150144606A (ko) 삼각화 시트를 구현한 객석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