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2788B1 - 틸팅 의자 - Google Patents

틸팅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2788B1
KR102322788B1 KR1020210032550A KR20210032550A KR102322788B1 KR 102322788 B1 KR102322788 B1 KR 102322788B1 KR 1020210032550 A KR1020210032550 A KR 1020210032550A KR 20210032550 A KR20210032550 A KR 20210032550A KR 102322788 B1 KR102322788 B1 KR 102322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pair
connecting bar
tilting chai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욱
김건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퍼스
Priority to KR1020210032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2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2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2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5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 A47C3/026Rocking chairs with seat, or seat and back-rest unit elastically or pivotally mounted in a rigid base frame with central column, e.g. rocking office chairs; Tilt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팅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 프레임을 파이프를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 및 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이와 더불어 좌판부가 과도하게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의자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틸팅 의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도록 형성되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리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틸팅 의자{tilting chair}
본 발명은 틸팅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 프레임을 파이프를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 및 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이와 더불어 좌판부가 과도하게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의자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틸팅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는 사무실이나 서재와 같은 개인업무공간에서 사용되며 다기능과 고가를 특징으로 하는 의자와, 회의실이나 강의실 등 대규모 공간에서 공용되는 의자로 이분되고 있다.
여기서, 전자의 개인용 사무의자는 대부분 장시간의 업무에도 피로감을 덜 느끼도록 등을 등받이에 기댈 때 뒤로 젖혀지는 틸트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후자의 공용 사무의자의 경우에는, 금속 파이프를 여러 번 밴딩하여 수평 및 수직 프레임을 구성하고, 이 프레임 상에 등받이와 좌판 혹은 팔걸이 등을 장착함으로써, 이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어느 정도의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의자는 사무용의자의 경우 다양한 기능을 위해서 스프링이나 탄성을 가진 소재로 된 별도의 틸트구조를 필요로 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며, 제조원가의 상승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공용 사무의자는 지지기능을 하는 프레임에 등판과 좌판이 견고히 결합되어 단순한 착석기능만을 갖추고 저가임을 특징으로 하나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8633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측면이 "
Figure 112021029317100-pat00001
"형상으로 되게 파이프를 절곡하여 양측에 지지각(1)을 형성하고 양측 지지각(1)을 두 개의 연결봉(2)(3)으로 연결하여 연결봉(2)(3)위에 좌대(4)를 올려 좌대(4)와 연결봉(2)(3)을 고정구(5)로 힌지결합하고 앞쪽 연결봉(2)의 저면에 안전판(6)을 부착하고 뒤쪽 연결봉(3)의 양측에는 팔걸이(7)를 형성하므로서 좌대가 뒤로 젖혀지는 의자가 되게 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가 저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8633호에 기재된 기술은 후방으로 용이하게 틸팅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은 있으나, 좌대(4)의 전후를 지지하는 연결봉(2,3)의 사이에는 별도의 보강부가 구비되지 않고 좌대(4)로만 연결되기 때문에 과도하게 상기 안전판(6)에 의해 후방 틸팅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고 하지만 안전판(6)만으로는 지지력에 한계가 있어 후방 틸팅 각도를 제어하기에는 문제가 있고, 전방으로 과도하게 틸팅될 경우 사용자가 전방으로 넘어질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0-0018633호(2000.10.25.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좌판부와 좌판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리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 프레임은 소정의 탄성력이 있는 파이프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제1,2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의 전부를 지지하는 제1연결바와 후부를 지지하는 제2연결바를 보강부재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제1,2 프레임이 휘어지더라도 상기 보강부재에 의해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좌판부의 틸팅이 가능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틸팅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리 프레임의 제1,2연결바와 좌판부의 하면을 연결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2연결바가 회전가능하도록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2연결바에는 회전방지부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부 부재에는 회전방지부재가 삽입되는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부 부재의 일측에는 회전방지부재의 제2지지면이 지지되는 제1지지면이 형성되어 좌판부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과도하게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되어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틸팅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도록 형성되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리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다리 프레임은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후단에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의 전방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바닥부의 전단에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의 후방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은 한 쌍의 바닥부의 후단에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세로부와, 상기 제1세로부의 상단에 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가로부와, 상기 한 쌍의 제1가로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바로 이루어져 상기 제1가로부는 상기 좌판부의 하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1연결바가 상기 좌판부의 전방 하부를 지지하여 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한 쌍의 바닥부의 전단에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세로부와, 상기 제2세로부의 상단에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가로부와, 상기 한 쌍의 제2가로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바로 이루어져 상기 제2가로부는 상기 좌편부의 하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2연결바가 상기 좌판부의 후방 하부를 지지하여 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는 보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좌판부의 하면 전부와 후부에는 상기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좌판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상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연결바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2연결바에는 상기 좌판부의 회전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방지부재가 제1,2연결바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부재의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면이 접하도록 제1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면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좌판부와 좌판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리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 프레임은 소정의 탄성력이 있는 파이프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제1,2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의 전부를 지지하는 제1연결바와 후부를 지지하는 제2연결바를 보강부재를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제1,2 프레임이 휘어지더라도 상기 보강부재에 의해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좌판부의 틸팅이 가능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리 프레임의 제1,2연결바와 좌판부의 하면을 연결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1,2연결바가 회전가능하도록 회전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2연결바에는 회전방지부재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부 부재에는 회전방지부재가 삽입되는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부 부재의 일측에는 회전방지부재의 제2지지면이 지지되는 제1지지면이 형성되어 좌판부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과도하게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되어 사용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틸팅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틸팅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틸팅 의자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의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의자의 결합부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의자의 결합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의자의 틸팅된 상태의 결합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의자의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의자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의자의 결합부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의자의 결합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의자의 틸팅된 상태의 결합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의자의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틸팅 의자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좌판부(100)와 상기 좌판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리 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좌판부(10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판(110)과 상기 좌판(110)의 후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1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다리 프레임(200)은 파이프 또는 봉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다리 프레임(200)을 형성하는 파이프는 일정 이상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부에 구비되는 좌판부(100)가 전후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그래서, 의자 전체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면서도 사용자가 작업시에 자세를 변경하게 되면 그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좌판부(100)가 틸팅되도록 하여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다리 프레임(200)은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부(210)와 상기 바닥부(210)의 후단에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프레임(220)과 상기 바닥부(210)의 전단에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프레임(2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220)의 상단은 상기 좌판부(100)의 하면 전방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제2 프레임(230)의 상단은 상기 좌판부(100)의 하면 후방을 지지하게 되어 좌판부(100) 전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프레임(220)은 한 쌍이 구비되는 상기 바닥부(210)의 후단에 각각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세로부(222)와 상기 제1세로부(222)의 상단에 각각 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가로부(224)와 상기 한 쌍의 제1가로부(224)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바(226)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연결바(226)는 상기 좌판부(100)의 하면 전부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프레임(230)은 한 쌍이 구비되는 상기 바닥부(210)의 전단에 각각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세로부(232)와 상기 제2세로부(232)의 상단에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가로부(234)와 상기 한 쌍의 제2가로부(234)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바(236)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연결바(236)이 상기 좌판부(100)의 하면 후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바(226)와 제2연결바(236)는 보강부재(240)에 의해 결합되는데,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상기 제1프레임(220)과 제2프레임(230)이 휘어지더라도 상기 보강부재(240)에 의해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좌판부(100)가 틸팅이 가능하면서도 과도하게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전방으로 각도를 기울이게 되면 바닥부(210)의 후부에 형성되어 전방으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상기 좌판부(100)의 하면 전부를 지지하는 제1프레임(22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휘어지게 되고, 상기 바닥부(210)의 전부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상기 좌판부(100)의 하면 후부를 지지하는 제2프레임(230)의 단부는 제1,2연결바(226,236)를 연결하는 보강부재(24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휘어진다.
물론, 사용자가 후방으로 기울일 경우에는 반대의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좌판부(100)는 적절하게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판부(100)의 하면 전부와 후부에는 상기 제1연결바(226)와 제2연결바(236)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300)가 구비되는데, 상기 결합부재(300)는 상기 좌판부(100)의 하면에 설치되는 상부 부재(310)와 상기 상부 부재(3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부재(3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부 부재(310)와 하부 부재(32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부 또는 후부에는 상기 제1,2연결바(226,236)의 상부 또는 하부가 삽입되는 상부 회전홈(312)과 하부 회전홈(322)이 각각 형성되어 제1,2연결바(226,236)가 상부 부재(310)와 하부 부재(320)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래서, 사용자가 상기 좌판부(100)에 착석한 상태로 자세를 기울일 경우 제1프레임(220)과 제2프레임(230)이 휘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1,2연결바(226,236)를 기준으로 상기 좌판부(100)의 하부에 설치된 결합부재(300)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좌판부(1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연결바(226)와 제2연결바(236)에는 상기 좌판부(100)의 회전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방지부재(400)가 제1,2연결바(226,236)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바(226)에 설치된 상기 회전방지부재(400)는 그 단부가 상기 좌판부(100)의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바(236)에 설치된 상기 회전방지부재(400)는 그 단부가 좌판부(100)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방지부재(400)는 길이방향 단부에 상기 제1연결바(226) 또는 제2연결바(236)의 하부가 삽입되는 결합홈(4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410)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고정볼트(부호 미도시)가 삽입되어 제1,2연결바(226,236)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회전방지부재(400)에 의해 상기 좌판부(100)가 과도하게 후방으로 틸팅되어 의자가 후방으로 넘어지거나 과도하게 전방으로 틸팅되어 사용자가 의자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300)를 구성하는 하부 부재(320)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공(324)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용공(324)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400)가 삽입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연결바(226,236)에 형성되는 상부 회전홈(312) 및 하부 회전홈(322)은 상기 회전방지부재(400)의 삽입홈(410)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2연결바(226,236)가 회전시에 회전방지부재(400)가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방지부재(400)는 상기 제1,2연결바(226,236)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부분의 상면에는 제2지지면(42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부재(31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2지지면(420)이 접하도록 제1지지면(314)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좌판부(100)가 틸팅됨에 따라 제1,2프레임(220,230)이 휘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1,2연결바(226,236)와 함께 상기 회전방지부재(400)가 회전하여 상기 제2지지면(420)이 상기 제1지지면(314)에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300)가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여 좌판부(100)가 과도하게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지지면(314)과 제2지지면(420)은 수평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회전시 안정적으로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300)를 형성하는 상부 부재(310)에 형성되는 제1지지면(314)의 양측에는 이탈방지턱(316)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방지부재(400)는 상기 이탈방지턱(316)의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좌판부(100)의 틸팅에 의해 결합부재(30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회전방지부재(400)는 상기 이탈방지턱(316) 사이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제1,2지지면(314,420)이 안정적으로 접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틸팅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 프레임을 파이프를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방 및 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이와 더불어 좌판부가 과도하게 틸팅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의자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틸팅 의자에 관한 것이다.
100 : 좌판부 110 : 좌판
120 : 등받이 200 : 다리 프레임
210 : 바닥부 220 : 제1프레임
230 : 제2프레임 240 : 보강부재
300 : 결합부재 310 : 상부 부재
320 : 하부 부재 400 : 회전방지부재
410 : 결합홈 420 : 제2지지면

Claims (7)

  1. 사용자가 앉도록 형성되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리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 프레임은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후단에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의 전방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바닥부의 전단에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의 후방을 지지하는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리 프레임은 탄성력이 있는 파이프로 이루어져 상기 좌판부가 전방 및 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한 쌍의 바닥부의 후단에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세로부와, 상기 제1세로부의 상단에 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가로부와, 상기 한 쌍의 제1가로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1연결바로 이루어져 상기 제1가로부는 상기 좌판부의 하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1연결바가 상기 좌판부의 전방 하부를 지지하여 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한 쌍의 바닥부의 전단에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세로부와, 상기 제2세로부의 상단에 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가로부와, 상기 한 쌍의 제2가로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2연결바로 이루어져 상기 제2가로부는 상기 좌판부의 하면과 이격되고 상기 제2연결바가 상기 좌판부의 후방 하부를 지지하여 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는 보강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의 하면 전부와 후부에는 상기 제1연결바와 제2연결바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좌판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상부 부재와,
    상기 상부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연결바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바에는 상기 좌판부의 회전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방지부재가 제1,2연결바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부재의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수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지지면이 접하도록 제1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의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면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가 측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의자.
KR1020210032550A 2021-03-12 2021-03-12 틸팅 의자 KR102322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550A KR102322788B1 (ko) 2021-03-12 2021-03-12 틸팅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550A KR102322788B1 (ko) 2021-03-12 2021-03-12 틸팅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2788B1 true KR102322788B1 (ko) 2021-11-09

Family

ID=78487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550A KR102322788B1 (ko) 2021-03-12 2021-03-12 틸팅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278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633U (ko) 1999-03-19 2000-10-25 채우섭 좌대가 뒤로 젖혀지는 의자
KR200415955Y1 (ko) * 2006-02-08 2006-05-09 최병주 의자
KR200428384Y1 (ko) * 2006-07-05 2006-10-16 주식회사 코아스웰 프레임 의자
KR20100007411A (ko) * 2008-07-14 2010-01-22 성용기업 주식회사 접철가능한 자립식 의자
KR20110074342A (ko) * 2009-12-24 2011-06-30 김효진 기능성 의자
KR101074490B1 (ko) * 2010-07-13 2011-10-18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
KR20200086948A (ko) * 2019-01-10 2020-07-20 이재오 접이식 의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633U (ko) 1999-03-19 2000-10-25 채우섭 좌대가 뒤로 젖혀지는 의자
KR200415955Y1 (ko) * 2006-02-08 2006-05-09 최병주 의자
KR200428384Y1 (ko) * 2006-07-05 2006-10-16 주식회사 코아스웰 프레임 의자
KR20100007411A (ko) * 2008-07-14 2010-01-22 성용기업 주식회사 접철가능한 자립식 의자
KR20110074342A (ko) * 2009-12-24 2011-06-30 김효진 기능성 의자
KR101074490B1 (ko) * 2010-07-13 2011-10-18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
KR20200086948A (ko) * 2019-01-10 2020-07-20 이재오 접이식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65274B2 (ja) 可撓性を有する積重ね可能な椅子
JP6641000B2 (ja) 椅子の構造及び椅子
CA1227117A (en) Rocking chair
US6722735B2 (en) Chair with synchronously moving seat and seat back
JPH0146126B2 (ko)
US3179466A (en) Reclining chair
JP3330145B2 (ja) 椅子の背,座部の連動支持機構
JPH0523079Y2 (ko)
JPH0852039A (ja) プレロードをかけた基部アッセンブリを有するスイベル式リクライニング/ロッキングチェア
JP2003024175A (ja) 椅子の背もたれの支持機構
CN114468638A (zh) 一种全动态座椅
US10206508B2 (en) Chair, in particular office chair
KR102322788B1 (ko) 틸팅 의자
JP2013000446A (ja) 椅子
CN211559432U (zh) 一种椅背调节扶手结构
JP6777281B2 (ja) 椅子
JPH03114408A (ja) 肘掛け椅子
CA2655276C (en) Chair having support base
US3870364A (en) Reclinable chairs and seats
KR102574701B1 (ko) 자세 교정형 의자
CN210870605U (zh) 一种椅背机构和椅子
KR102499915B1 (ko) 의자 좌판 지지 구조
KR102545154B1 (ko) 3d 모션 의자
CN219460696U (zh) 一种靠背装置及座椅
JP2006141859A (ja) 腰支持部を有する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