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249B1 -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249B1
KR100478249B1 KR10-2002-0053921A KR20020053921A KR100478249B1 KR 100478249 B1 KR100478249 B1 KR 100478249B1 KR 20020053921 A KR20020053921 A KR 20020053921A KR 100478249 B1 KR100478249 B1 KR 10047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rt
chair
seat
connecting port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2087A (ko
Inventor
이용현
Original Assignee
이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현 filed Critical 이용현
Priority to KR10-2002-005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249B1/ko
Publication of KR2004002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2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석형 의자의 등받이부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기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보다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등받이부의 각도를 재조정하더라도 상기 등받이부를 시트부에 완전히 접히지 않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좌석형 의자의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부 저부측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시트부의 후방측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일측의 축을 중심으로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를 갖는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4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420)의 일단 내측에 수용되며,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기어 톱니(411a)를 갖는 한 쌍의 기어편(411)과; 상기 제2연결부(420)의 상기 제1연결부(410)가 수용된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걸림부(423)와; 상기 제1연결부(410)의 한 쌍의 기어편(411) 사이에 구비되고, 그 외측 끝단은 상기 제2연결부(420)의 걸림부(423)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연결부(410)가 상기 제2연결부(420)에 대하여 회동할 경우 상기 제1연결부(410)에 탄성을 부여하는 태엽형 탄성부재(450)와; 관통공(435)을 가지고 상기 제2연결부(420)의 내부에 탄력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410)의 각 기어 톱니(411a) 사이에 걸리는 래치부(430)와; 상기 제2연결부(42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둘레면상에는 상기 래치부(430)의 관통공(435)에 결합되는 걸림돌기(441)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래치부(430)가 상기 톱니(411a)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도록 조절하는 조작핸들(440)과; 상기 제1연결부(410)와 제2연결부(420) 간의 결합부위 중앙측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태엽형 탄성부재(450)의 내측 끝단을 고정하는 부싱부(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A ANGLE ADJUSTER FOR SEAT STYLE CHAIR}
본 발명은 좌석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좌석형 의자의 등받이 각도가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도록 한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석형 의자는 식당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방석과 의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의자이다.
하지만, 기존의 좌석형 의자는 통상 특정한 형태로써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각 착석자의 체형에 따른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착석자의 불편함을 유발하였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착석자의 체형에 따라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석형 의자가 개발되고 있는데, 도시한 도 1은 상기한 형태의 일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종래의 좌석형 의자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한 좌석형 의자는 착석자의 등부를 지지하는 등받이부(10)와, 방석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트부(20)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10) 및 시트부(20) 간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장치(30)로 크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존의 좌석형 의자에 따른 구조 중 각도 조절장치는 도시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20)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1연결부(41)와, 일단은 상기 제1연결부(3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등받이부(20)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32)와, 상기 각 연결부(31,32)의 선택적인 각도 조절을 위한 래치(33) 및 래치 조작편(34) 그리고, 복원 스프링(35)을 각각 가진다.
이 때, 상기 제1연결부(31)의 타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진 톱니 형상으로 형성된 톱니부(31a)를 가지고, 상기 래치(33)는 상기 톱니부(31a)의 각 톱니 사이에 선택적으로 걸린다.
특히, 상기 래치(33)는 상기 제2연결부(32)의 내측에 탄력 설치되어, 상기 제1연결부(3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경우 상기 톱니부(31a)의 톱니가 상기 래치(33)를 밀어올리더라도 다음 톱니 사이에서는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제1연결부(31)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래치(33)와 상기 톱니부(31a)간의 형상적인 특징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31)는 상기 제2연결부(32)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는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이 불가능한데, 이의 경우 래치 조작편(34)이 상기 래치(33)를 강제적으로 들어올려 상기 제1연결부(31)가 상기 제2연결부(32)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도 자유로운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는 상기 래치 조작편(34)에 의하여야만 상기 제1연결부(31)가 상기 제2연결부(32)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로운 회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상기 제1연결부(31)가 상기 제2연결부(32)와 대략 평형 상태 즉, 의자의 등받이부(10)가 상기 의자의 시트부(20)에 완전히 접혀야만 상기 래치 조작편(34)이 상기 제1연결부(31)에 의해 래치(33)의 구속력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등받이부(10)의 각도 조절 도중 원하는 각도를 초과하여 접혔을 경우 의자의 등받이부(10)가 상기 의자의 시트부(20)에 완전히 접은 후 다시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부(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밖에 없었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한 등받이의 각도 조절 방법이 사용자가 등받이부(10)를 직접 잡고 접히거나 펴야만 하였던 불편함 역시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좌석형 의자의 등받이부 각도 조절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상기 등받이부를 시트부에 완전히 접히지 않고 상기 각도의 재조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된 좌석형 의자의 등받이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의 등받이부 저부측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시트부의 후방측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일측의 축을 중심으로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를 갖는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4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420)의 일단 내측에 수용되며,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기어 톱니(411a)를 갖는 한 쌍의 기어편(411)과; 상기 제2연결부(420)의 상기 제1연결부(410)가 수용된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걸림부(423)와; 상기 제1연결부(410)의 한 쌍의 기어편(411) 사이에 구비되고, 그 외측 끝단은 상기 제2연결부(420)의 걸림부(423)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연결부(410)가 상기 제2연결부(420)에 대하여 회동할 경우 상기 제1연결부(410)에 탄성을 부여하는 태엽형 탄성부재(450)와; 관통공(435)을 가지고 상기 제2연결부(420)의 내부에 탄력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410)의 각 기어 톱니(411a) 사이에 걸리는 래치부(430)와; 상기 제2연결부(42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둘레면상에는 상기 래치부(430)의 관통공(435)에 결합되는 걸림돌기(441)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래치부(430)가 상기 톱니(411a)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도록 조절하는 조작핸들(440)과; 상기 제1연결부(410)와 제2연결부(420) 간의 결합부위 중앙측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태엽형 탄성부재(450)의 내측 끝단을 고정하는 부싱부(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4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좌석형 의자는 첨부된 도 4 내지 도 5c와 같이 제1연결부(410)와, 제2연결부(420)와, 래치부(430)와, 조작 핸들(440)과, 태엽형 탄성 부재(450) 그리고, 부싱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1연결부(410)는 일단이 착석자의 등부를 지지하는 등받이부(10)의 저부측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그 저부는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기어 톱니(411a)가 형성된 한 쌍의 기어편(411)을 가진다.
이 때, 상기 제1연결부(410)의 양측면 중앙부분에는 부싱부(460)가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중앙부분은 폐쇄됨과 더불어 상기 중앙부분을 제외한 여타의 부위는 전반적으로 원형을 이루면서 절개된 절개공(4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420)는 그 일단이 방석의 역할을 수행하는 시트부(20)의 후방측 양단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연결부(410), 래치부(430), 태엽형 탄성부재(450) 등이 수용된다.
이 때, 상기 제2연결부(420) 내부 중 상기 래치부(430)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되는 제2연결부(420)의 어느 한 둘레면을 랜싱(lancing) 가공하여 상기 제2연결부(420)의 내부로 절곡한 결합부(421)를 형성함과 더불어 이 결합부(421)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래치부(430) 일단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421a)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부(421)는 제2연결부(420)와는 별도로 제조한 후 상기 제2연결부(420)에 장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제2연결부(420)의 일단을 랜싱 가공하여 형성함으로써 재료비의 절감 및 조립 공정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함께, 상기 제2연결부(420)의 양측면에는 상기 래치부(4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슬릿(422)을 각각 형성한다. 이 때,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각 슬릿(422)의 절개 폭은 대략 래치부(43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래치부(430)의 양측면이 상기 각 슬릿(422)의 안내를 받아 탄력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420)의 내부 일측면에는 상기 태엽형 탄성 부재(450)의 외측 끝단이 걸릴 수 있도록 걸림부(423)를 형성한다.
이 때, 상기 걸림부(423)는 상기 제2연결부(420)의 일측면 소정 부위를 절개한 후 상기 제2연결부(420)의 내부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420)의 양측면 중앙부분에는 부싱부(460)의 결합을 위한 제1관통공(4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420)의 양측면 일측부분에는 조작 핸들(440)의 결합을 위한 제2관통공(4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430)는 상기 제2연결부(420)의 내부에 탄력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410)의 각 톱니(411a) 사이에 걸리면서 상기 제1연결부(41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래치부(430)는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연결부(410)를 향하는 일단은 상기 제1연결부(410)에 형성된 각 톱니(411a)와 톱니(411a) 사이의 거리에 비해 그 두께가 얇아야 함은 당연하고, 타단은 상기 제2연결부(420)에 형성된 결합부(421)의 결합공(421a)에 관통 결합되는 결합 돌기(431)가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래치부(430)의 양측면은 상기 제2연결부(420)의 슬릿(422)에 삽입된 상태로 그 이동을 안내받는 안내편(432)이 형성되고, 상기 래치부의 중앙부위에는 관통공(43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돌기(431)는 대략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결합 돌기(431)의 둘레에는 코일형 탄성 부재(433)를 장착하여 상기 래치부(430)가 탄력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안내편(432)은 상기 래치부(430)의 양측면을 외향 돌출시킴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상기 래치부(430)의 양측 상면 혹은, 저면에 다수의 엠보싱(434)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래치부(430)의 양측면 끝단부터 상기 엠보싱(434)이 돌출된 부위까지가 상기 안내편(433)이 되도록 하여 상기 제2연결부(420)의 슬릿(422) 내부에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핸들(440)은 상기 제2연결부(42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둘레면 상에는 상기 래치부(430)의 관통공(435)에 결합되는 걸림 돌기(441)가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조작 핸들(440)은 상기 제2연결부(4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를 절곡 형성하여 상기 조작 핸들(440)을 회동시킬 경우 상기 래치부(430)가 상기 걸림 돌기의 회동력을 전달받아 후진하면서 제1연결부(410)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만일, 상기 조작 핸들(440)의 회동시키는 힘을 제거할 경우 상기 래치부(430)에 연결된 코일형 탄성 부재(433)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태엽형 탄성 부재(450)는 철판이 다수번 감기어 형성된 태엽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제1연결부(410)를 이루는 한 쌍의 기어편(411)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부(410)가 상기 제2연결부(420)에 대하여 그 회전 방향으로의 탄성을 부여한다.
이 때, 상기 태엽형 탄성 부재(450)의 외측 끝단은 상기 제2연결부(420)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423)를 감싸도록 절곡하며, 상기 태엽형 탄성 부재(450)의 내측 끝단 역시 그 권선 방향을 따라 절곡하되, 상기 태엽형 탄성 부재(450)의 중앙부위가 상기 절곡된 내측 끝단을 중심으로 대략 반원(반달)형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부싱부(460)는 상기 각 연결부(410,420) 간의 결합부위 중앙측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태엽형 탄성 부재(450)의 내측 끝단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두 개의 피스로 분할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부싱부(460)를 형성하는 두 개의 피스는 통상적인 파이프의 중앙을 그 길이 방향으로 절개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부싱부(460)는 제2연결부(420) 내에서 제1연결부(410)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제1연결부(410)와 연동하면서 상기 제1연결부(410)의 각 기어편(411) 사이에 삽입되는 태엽형 탄성 부재(450)의 내측 끝단을 감을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부싱부(460)가 제2연결부(420)의 측면에 형성된 제1관통공(424) 및 제1연결부(410)의 측면 중앙에 형성된 한 쌍의 절개공(412)을 관통하여 태엽형 탄성 부재(450)의 내측 끝단에 의해 형성되는 반원형 공간에 각각 삽입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물론, 상기 부싱부(460)는 그 중앙부위가 소정 깊이(대략 제2연결부의 두께)만큼 절개된 단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파이프를 절개하여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재료비의 절감을 이룰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절개의 용이함과 제조상의 용이함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 도시한 도 5a 내지 도 5c는 전술한 각도 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일련의 구성 부품이 장착된 상태에 따른 동작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상기 각도 조절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한다.
우선, 최초의 상태는 도시한 도 5a와 같다.
즉, 평상시에는 코일형 탄성 부재(433)의 복원력에 의해 래치부(430)가 제1연결부(410)를 구속하고 있음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410)의 회동이 방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의 상태에서, 해당 의자의 착석자가 등받이부(10)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조작 핸들(440)을 조작할 경우 즉, 상기 조작 핸들(440)을 도면상 후방측으로 회동시킨다면 도시한 도 5b와 같이 상기 조작 핸들(440)의 걸림 돌기(441)에 연결된 래치부(430)가 제2연결부(420)의 슬릿(422)에 의한 이동 경로를 안내 받으면서 도면상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연결부(410)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이 때, 태엽형 탄성 부재(450)는 부싱부(460) 및 제1연결부(410)에 의해 감겨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연결부(410)는 상기 태엽형 탄성 부재(450)의 복원력을 전달받아 점차 등받이부(10)를 시트부(20)측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의 경우 착석자가 의자의 등받이부(10)를 조금씩 뒤로 밀어 원하는 각도를 조절한 뒤 도시한 도 5c와 같이 조작 핸들(440)의 조작을 해제하면 래치부(430)는 코일형 탄성 부재(433)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도면상 후방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연결부(410)의 각 톱니(411a)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1연결부(410)의 회동을 구속하게 된다.
만일, 착석자가 의자의 등받이부(10) 각도를 재조정하고 싶다면 상술한 도 5b 및 도 5c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좌석형 의자의 등받이부 각도 조절을 위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손쉽게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자가 직접 등받이부를 당기지 않더라도 태엽형 탄성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동되기 때문에 단지 상기 등받이부를 미는 일련의 동작만으로 상기한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등받이부의 각도 조절이 잘못되었다 하더라도 그 재조정 과정이 단순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은 종래 좌석형 의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종래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
도 4 은 본 발명에 따른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 는 본 발명 각도 조절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동작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제1연결부 411: 기어편
411a: 톱니 412: 절개공
420: 제2연결부 421: 결합부
421a: 결합공 422: 슬릿
423: 걸림부 424: 제1관통공
430: 래치부 431: 결합 돌기
432: 안내편 433: 코일형 탄성 부재
434: 엠보싱 435: 관통공
440: 조작 핸들 441: 걸림 돌기
450: 태엽형 탄성 부재 460: 부싱부

Claims (5)

  1. 의자의 등받이부 저부측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시트부의 후방측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일측의 축을 중심으로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연결부를 갖는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4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420)의 일단 내측에 수용되며,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기어 톱니(411a)를 갖는 한 쌍의 기어편(411)과;
    상기 제2연결부(420)의 상기 제1연결부(410)가 수용된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걸림부(423)와;
    상기 제1연결부(410)의 한 쌍의 기어편(411) 사이에 구비되고, 그 외측 끝단은 상기 제2연결부(420)의 걸림부(423)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연결부(410)가 상기 제2연결부(420)에 대하여 회동할 경우 상기 제1연결부(410)에 탄성을 부여하는 태엽형 탄성부재(450)와;
    관통공(435)을 가지고 상기 제2연결부(420)의 내부에 탄력 장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410)의 각 기어 톱니(411a) 사이에 걸리는 래치부(430)와;
    상기 제2연결부(42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둘레면상에는 상기 래치부(430)의 관통공(435)에 결합되는 걸림돌기(441)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래치부(430)가 상기 톱니(411a)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도록 조절하는 조작핸들(440)과;
    상기 제1연결부(410)와 제2연결부(420) 간의 결합부위 중앙측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태엽형 탄성부재(450)의 내측 끝단을 고정하는 부싱부(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2-0053921A 2002-09-06 2002-09-06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 KR100478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921A KR100478249B1 (ko) 2002-09-06 2002-09-06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921A KR100478249B1 (ko) 2002-09-06 2002-09-06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792U Division KR200298199Y1 (ko) 2002-09-06 2002-09-06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087A KR20040022087A (ko) 2004-03-11
KR100478249B1 true KR100478249B1 (ko) 2005-03-24

Family

ID=3732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921A KR100478249B1 (ko) 2002-09-06 2002-09-06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2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031B1 (ko) * 2014-12-31 2015-07-22 허남요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
KR20180083102A (ko) * 2017-01-12 2018-07-20 유한회사 애니체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231Y1 (ko) * 2010-03-18 2010-09-13 김광현 수유용 방석
KR101479647B1 (ko) * 2013-07-05 2015-01-09 김채연 유아용 식탁 의자
CN104960440A (zh) * 2015-06-12 2015-10-07 苏州中航中振汽车饰件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靠背的调整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3449U (ko) * 1986-05-30 1987-12-09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3449U (ko) * 1986-05-30 1987-12-09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031B1 (ko) * 2014-12-31 2015-07-22 허남요 등받이 완충구조를 가지는 의자
KR20180083102A (ko) * 2017-01-12 2018-07-20 유한회사 애니체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KR101966660B1 (ko) * 2017-01-12 2019-04-09 유한회사 애니체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2087A (ko) 200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5141B2 (ja) 定点復帰機能付きリクライニング装置並びに同リクライニング装置を備える車両用シート
US4435013A (en) Recliner-back tilting mechanism
KR20020079470A (ko) 차일드 시트
JP2006513814A (ja) 一般にシート、特に自動車のシートの背部、ヘッドレスト及び座部のためのフレームと凸状クッションプレートを備えており、クッションプレートの凸状及び位置を手動又はモーター駆動によって調節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された解剖学的支持構造体
JP2005137893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0478249B1 (ko)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
JPH11299563A (ja) 自動車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のガタ防止方法及びその構造
KR200298199Y1 (ko)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
JP2004189137A (ja)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JPH0336291Y2 (ko)
JP2000168497A (ja) シートベルトショルダアジャスタ構造
JP2016154844A (ja) 角度調整金具及びソファー
JP4672170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2301964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H10137072A (ja) アームレスト
JPH03108Y2 (ko)
JPH0223175Y2 (ko)
JP2014083116A (ja) 椅子
JP7390146B2 (ja) 端子固定装置
KR200268999Y1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 후면의 레그레스트 장착 구조
KR910004410Y1 (ko) 의자 등판의 각도 조절장치
JPH11318632A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4064680B2 (ja) 椅子
JP3715558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EP3829398A1 (en) Lumbar supporting assembly for a seat back and seat back comprising said lumbar support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