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660B1 -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660B1
KR101966660B1 KR1020170005098A KR20170005098A KR101966660B1 KR 101966660 B1 KR101966660 B1 KR 101966660B1 KR 1020170005098 A KR1020170005098 A KR 1020170005098A KR 20170005098 A KR20170005098 A KR 20170005098A KR 101966660 B1 KR101966660 B1 KR 101966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ackrest
seat
fixing bracket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3102A (ko
Inventor
김창용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애니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애니체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애니체
Priority to KR1020170005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6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83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는, 일측은 의자의 좌석 하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타측의 끝 양측에 링크 결합부가 형성되는 좌석 고정 브라켓, 등받이의 배면에서 상기 등받이와 결합되며 하측의 끝 양측에 링크 결합부가 형성되는 등받이 고정 브라켓,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일단은 상기 좌석 링크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등받이 링크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좌석 고정 브라켓과 상기 등받이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이중 링크부, 다단 치합부와 상기 다단 치합부에 연속되어 형성되는 치합 해제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좌석 링크 결합부의 중심에서 상기 제1 링크의 일단과 결합되고 복원 방향으로 선회력을 제공하는 제1 리턴 스프링과 결합하여 상기 제1 링크와 일체로 회전하는 레치 기어 및 치합부와 상기 치합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치합 해제용 가압부를 포함하여 상기 좌석 링크 결합부 내에서 힌지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치합부가 상기 레치 기어의 다단 치합부와 치합되는 위치에서 제2 리턴 스프링에 의해 고정되는 레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CHAIR WITH BACK AND FORTH MOVING BACKREST}
본 발명은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의 이중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등받이가 수직인 상태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과거에 학생과 사무 업무를 보는 직장인들에게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생활 양식의 변화와 컴퓨터의 발전과 함께 하루 중 의자에 앉아서 생활하는 시간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의자는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에 의하여 피로감을 줄이도록 하고 기본적으로 높이를 조절함은 물론 등받이가 탄성적으로 뒤로 젖혀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의자에 앉아서 이루어지는 작업은 식사, 독서, 컴퓨터, 필기 등 다양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작업에 따라 편안하고 척추에 무리를 주지 않는 자세가 서로 다르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이 전부 다르기 때문에 높낮이의 조절만으로는 편안한 최적의 자세를 제시하기에도 어려움이 있다.
특히 등받이는 좌석 후방에서의 위치가 정해져 있어 의자에 깊숙하게 앉을 경우와 그 반대의 경우에 따라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거나 등받이에 편안하게 기댈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등받이 조절 레버를 이용하여 의자의 등받이를 앞 또는 뒤로 조절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외부로 노출된 등받이 조절 레버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에 상처를 입히거나,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받이 조절 레버를 사용하지 않고 등받이를 간단히 잡아당기는 행위만으로도 등받이가 단계적으로 전방 이동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는, 일측은 의자의 좌석 하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타측의 끝 양측에 링크 결합부(이하 '좌석 링크 결합부'라 칭함)가 형성되는 좌석 고정 브라켓, 등받이의 배면에서 상기 등받이와 결합되며 하측의 끝 양측에 링크 결합부(이하 '등받이 링크 결합부'라 칭함)가 형성되는 등받이 고정 브라켓,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일단은 상기 좌석 링크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등받이 링크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좌석 고정 브라켓과 상기 등받이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이중 링크부, 다단 치합부와 상기 다단 치합부에 연속되어 형성되는 치합 해제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좌석 링크 결합부의 중심에서 상기 제1 링크의 일단과 결합되고 복원 방향으로 선회력을 제공하는 제1 리턴 스프링과 결합하여 상기 제1 링크와 일체로 회전하는 레치 기어 및 치합부와 상기 치합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치합 해제용 가압부를 포함하여 상기 좌석 링크 결합부 내에서 힌지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치합부가 상기 레치 기어의 다단 치합부와 치합되는 위치에서 제2 리턴 스프링에 의해 고정되는 레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는 일단이 상기 좌석 링크 결합부의 중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 링크 결합부의 중심으로부터 특정 간격만큼 오프셋된 지점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링크는 일단이 상기 좌석 링크 결합부의 중심으로부터 특정 간격만큼 오프셋된 지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 링크 결합부의 중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등받이 조절 레버를 사용하지 않고 등받이를 간단히 잡아당기는 행위만으로도 등받이가 단계적으로 전방 이동하거나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등받이 조절 레버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등받이 조절 레버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에 상처를 입힐 염려가 없다.
또한, 미려한 외관을 가지는데 기여하므로 시각적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링크부(13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 내지 도 2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링크부(13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140)와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의 결합 및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의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a 내지 도 1e에는 의자의 좌석과, 좌석의 하부에 결합되는 좌석 지지부(예를 들어 복수의 레그(leg)로서 이동을 위해 바퀴(wheel)와 결합될 수 있음) 및 팔 걸이 등 일반적인 의자의 구성 요소들은 생략되었으며, 이하의 도면에서도 도 1a 내지 도 1e와 같이 의자의 프레임을 위주로 도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등받이 조절 레버를 사용하지 않고, 등받이를 간단히 잡아 당기는 동작만으로도 등받이를 단계적으로 전방 이동시키거나 원위치 시킬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100)는 좌석 고정 브라켓(110),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 이중 링크부(130) 및 등받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 고정 브라켓(110)은 일측이 의자의 좌석 하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후방으로 연장되며, 타측의 끝 양측에 링크 결합부(이하 '좌석 링크 결합부'라 칭함)(1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은 등받이(140)의 배면에 위치하여 등받이(140)와 결합되며 하측의 끝 양측에 링크 결합부(이하 '등받이 링크 결합부'라 칭함)(1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좌석 링크 결합부(111)와 등받이 링크 결합부(121)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다른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a 내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레스트(10)가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의 상부에, 허리 지지부(20)가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이중 링크부(130)는 일단이 좌석 링크 결합부(111)에 결합되고 타단은 등받이 링크 결합부(121)에 결합되어 좌석 고정 브라켓(110)과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이중 링크부(130)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로서, 두 개의 링크와 레치 기어 및 레치를 이용한 레치 구조를 통해, 등받이가 좌석 방향으로 당겨질 때 등받이(140)가 단계적으로 전방 이동되도록 하거나 원위치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중 링크부(13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a 내지 도2h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등받이(140)는 상부와 하부가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상부는 슬라이딩 구조로 결합되고 하부는 링크 구조로 결합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등받이(140)와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의 결합 및 상하 이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링크부(13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중 링크부(130)는 제1 링크(131)와 제2 링크(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링크(131)와 제2 링크(132)의 일단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 링크 결합부(111)에 결합되고 타단은 등받이 링크 결합부(121)에 결합되어, 좌석 고정 브라켓(110)과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131)는 일단이 레치 기어(133) 및 제1 리턴 스프링(134)과 좌석 링크 결합부(111)의 중심에 결합되고, 타단이 등받이 링크 결합부(121)의 중심으로부터 특정 간격만큼 오프셋된 지점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레치 기어(133)는 다단 치합부(133a)와 다단 치합부(133a)에 연속되어 형성되는 치합 해제용 돌기(133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리턴 스프링(134)은 복원 방향으로 선회력을 제공할 수 있다.
레치 기어(133)와 제1 리턴 스프링(134)은 제1 링크(131)의 일단이 좌석 링크 결합부(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시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132)는 일단이 좌석 링크 결합부(111)의 중심으로부터 특정 간격만큼 오프셋된 지점에 결합되고, 타단이 등받이 링크 결합부(112)의 중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중 링크부(130)는 레치(1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레치(135)는 치합부(135a)와 치합부(135a)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치합 해제용 가압부(135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레치(135)는 좌석 링크 결합부(111) 내에서 힌지 고정되며, 타단은 치합부(135a)가 레치 기어(133)의 다단 치합부(133a)와 치합되는 위치에서 제2 리턴 스프링(136)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링크(131)와 제2 링크(132)의 일측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부러지는 각도는 제1 링크(131)의 일측에서 구부러지는 각도가 제2 링크(132)의 일측에서 구부러지는 각도보다 더 크다.
또한, 제1 링크(131)와 제2 링크(132)에서 서로 평행을 이루는 부분의 폭에 있어서, 제2 링크(132)의 폭이 제1 링크(131)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더 좁다.
이는 등받이(140)를 좌석 방향으로 당겼을 때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이 수평으로 전방 이동하며, 이로 인해 제1 링크(131)와 제2 링크(132)가 좌석 링크 결합부(111)를 중심으로 회전 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 때 제1 링크(131)와 제2 링크(132)는 서로 가까워지지만 평행을 유지한다.
도 2b 내지 도 2h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링크부(130)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 내지 도 2e는 등받이(140)를 좌석 방향으로 당겼을 때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이 수평으로 전방 이동하되 단계적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단계적 이동은 레치 기어(133)와 레치(135)의 치(齒) 수, 즉 치합부의 치 수에 따라서 이동 단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2b 내지 도 2e에 도시된 실시예는 레치 기어(133)와 레치(135)를 이용해 4단계로 전방 이동되는 경우이다.
각 단계별로 전방 이동되면서, 제1 링크(131)와 제2 링크(132)가 좌석 링크 결합부(111)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레치 기어(133)와 제1 리턴 스프링(134)이 함께 회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2e는 등받이(140)가 최대 단계인 4단계로 당겨진 경우이며, 제1 링크(131)와 제2 링크(132)가 서로 간섭되지 않고 평행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2f는 레치 기어(133)와 레치(135)를 이용해 4단계로 전방 이동이 완료된 후 한번 더 등받이(140)를 좌석 방향으로 당겼을 때 레치 기어(133)와 레치(135)의 치합이 해제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레치 기어(133)의 치합 해제용 돌기(133b)가 레치(135)의 치합 해제용 가압부(135b)를 가압함으로써 레치 기어(133)와 레치(135)의 치합이 해제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좌석 방향으로 당겼던 등받이(140)를 놓으면, 레치 기어(133)와 제1 링크(131)는 제1 리턴 스프링(134)에 의해 원 위치로 선회하고, 레치(135)는 제2 리턴 스프링(136)에 의해 원 위치로 선회할 수 있다.
도 2g에 치합이 해제된 후 레치 기어(133)와 레치(135)가 원위치로 선회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2h는 이중 링크부(130)의 동작을 연속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기본 단계에서 4단계까지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이 단계적으로 전방 이동하며, 이 때,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이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로, 등받이(140)는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과 결합하여 고정되므로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의 단계적 전방 이동 또는 수평 이동은 등받이(140)의 단계적 전방 이동과 수평 이동을 의미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140)와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의 결합 및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의 상부에 등받이 상부 결합부(122)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등받이(140)의 배면 상부에는 세로 방향의 슬릿(141a)이 형성된 슬라이딩부(141)가 결합되어 있다.
등받이 상부 결합부(122)가 슬라이딩부(141)의 슬릿(141a)에 삽입됨으로써 등받이(140)와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등받이 상부 결합부(122)의 헤드 부분의 폭은 슬라이딩부(141)의 슬릿(141a)의 폭보다 넓으며, 슬라이딩부(141)는 등받이 상부 결합부(122)와 슬릿(141a)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의 하부는 등받이 하부 결합부(123)가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등받이(140)의 배면 하부에는 등받이 하부 결합부(123)와 대응되는 하부 결합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등받이 하부 결합부(123)와 하부 결합부(142)는 제3 링크(15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등받이(140)와 등받이 고정 브라켓(120)의 하부가 결합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링크는 슬라이딩부(141)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110 : 좌석 고정 브라켓
111 : 죄석 링크 결합부
120 : 등받이 고정 브라켓
121 : 등받이 링크 결합부
122 : 등받이 상부 결합부
123 : 등받이 하부 결합부
130 : 이중 링크부
131 : 제1 링크
132 : 제2 링크
133 : 레치 기어
133a : 다단 치합부
133b : 치합 해제용 돌기
134 : 제1 리턴 스프링
135 : 레치
135a : 치합부
135b : 치합 해제용 가압부
136 : 제2 리턴 스프링
140 : 등받이
141 : 슬라이딩부
141a : 슬릿
142 : 하부 결합부
150 : 제3 링크

Claims (10)

  1. 일측은 의자의 좌석 하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타측의 끝 양측에 링크 결합부(이하 '좌석 링크 결합부'라 칭함)가 형성되는 좌석 고정 브라켓;
    등받이의 배면에서 상기 등받이와 결합되며 하측의 끝 양측에 링크 결합부(이하 '등받이 링크 결합부'라 칭함)가 형성되는 등받이 고정 브라켓;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일단은 상기 좌석 링크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등받이 링크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좌석 고정 브라켓과 상기 등받이 고정 브라켓을 연결하는 이중 링크부;
    다단 치합부와 상기 다단 치합부에 연속되어 형성되는 치합 해제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좌석 링크 결합부의 중심에서 상기 제1 링크의 일단과 결합되고 복원 방향으로 선회력을 제공하는 제1 리턴 스프링과 결합하여 상기 제1 링크와 일체로 회전하는 레치 기어; 및
    치합부와 상기 치합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치합 해제용 가압부를 포함하여 상기 좌석 링크 결합부 내에서 힌지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치합부가 상기 레치 기어의 다단 치합부와 치합되는 위치에서 제2 리턴 스프링에 의해 고정되는 레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는, 일단이 상기 좌석 링크 결합부의 중심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 링크 결합부의 중심으로부터 특정 간격만큼 오프셋된 지점에 결합되며,
    상기 제2 링크는, 일단이 상기 좌석 링크 결합부의 중심으로부터 특정 간격만큼 오프셋된 지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 링크 결합부의 중심에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 고정 브라켓은, 상기 등받이가 상기 좌석 쪽으로 당겨지는 경우, 상기 레치 기어와 상기 레치를 이용한 다단 치합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면서 단계적으로 전방 이동하며,
    상기 등받이 고정 브라켓은, 상부에 등받이 상부 결합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등받이 하부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는, 배면의 상부에 세로 방향의 슬릿이 형성된 슬라이딩부가 결합되고, 상기 배면의 하부에 상기 등받이 하부 결합부와 대응되는 하부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 고정 브라켓과 상기 등받이는, 상부에서 상기 등받이 상부 결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의해 결합되고, 하부에서 상기 등받이 하부 결합부와 상기 하부 결합부를 연결하는 제3 링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가 상기 좌석 쪽으로 당겨지는 힘에 의해 상기 다단 치합을 벗어나면, 상기 치합 해제용 돌기가 상기 치합 해제용 가압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레치 기어와 상기 레치의 치합은 해제되고
    상기 레치 기어의 제1 리턴 스프링과 상기 레치의 제2 리턴 스프링에 의해 상기 레치 기어와 상기 레치는 초기 상태로 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상부 결합부의 헤드 부분의 폭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릿의 폭보다 넓으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등받이 상부 결합부와 상기 슬릿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링크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고정 브라켓이 상기 다단 치합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면서 단계적으로 전방 이동 시,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그 거리가 좁혀지며 서로 간섭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링크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일측은 서로 다른 각도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의 일측에서 구부러지는 각도가 상기 제2 링크의 일측에서 구부러지는 각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와 서로 평행을 이루는 부분의 폭이 상기 제1 링크의 폭보다 더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KR1020170005098A 2017-01-12 2017-01-12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KR101966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098A KR101966660B1 (ko) 2017-01-12 2017-01-12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5098A KR101966660B1 (ko) 2017-01-12 2017-01-12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02A KR20180083102A (ko) 2018-07-20
KR101966660B1 true KR101966660B1 (ko) 2019-04-09

Family

ID=6310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5098A KR101966660B1 (ko) 2017-01-12 2017-01-12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6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893Y1 (ko) * 2002-02-28 2002-05-16 이태형 의자의 다단식 등받이 절첩장치
KR100478249B1 (ko) * 2002-09-06 2005-03-24 이용현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
KR101606755B1 (ko) * 2014-12-04 2016-03-28 정상진 등받이 전후 이동수단을 가지는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893Y1 (ko) * 2002-02-28 2002-05-16 이태형 의자의 다단식 등받이 절첩장치
KR100478249B1 (ko) * 2002-09-06 2005-03-24 이용현 좌석형 의자의 각도 조절장치
KR101606755B1 (ko) * 2014-12-04 2016-03-28 정상진 등받이 전후 이동수단을 가지는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102A (ko)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286B1 (ko) 의자 구조 및 의자
US9414684B2 (en) Tilting type chair
US7441835B2 (en) Angle-adjustable backrest device for a child highchair
EP2288275B1 (en) Adjustment device for chairs
US7063380B1 (en) Collapsible easy chair
US3179466A (en) Reclining chair
JP6527623B1 (ja) 椅子
JP2012228291A (ja) 角度調整金具
US20030214159A1 (en) Rocking, reclining, folding chair
JP4176462B2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KR200448295Y1 (ko) 등받이가 전·후 이동되어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기능성 의자
KR101966660B1 (ko) 등받이가 이동하는 의자
US20060082201A1 (en) Chair
JP2006000143A (ja) テーブル付き椅子
KR200423149Y1 (ko)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
US2779392A (en) Reclining chair with extensible footrest
US20110095588A1 (en) Two-Stag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Slope of Seat Back
CN110710815A (zh) 一种动态托盘
JP6491049B2 (ja) 椅子及び椅子の調整方法
JP6117521B2 (ja) ネスティング可能なロッキング椅子
JP3118362U (ja) 椅子の調整式背もたれの連動調整構造
CN220369738U (zh) 一种重力自适应靠背连动机构及座椅
TWI429412B (zh) Back support interlocking device
US8303035B2 (en) Chair assembly with a seat-adjusting device
JP2519186Y2 (ja) ベビーカーの背もたれ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