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479Y1 -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 - Google Patents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479Y1
KR200407479Y1 KR2020050030647U KR20050030647U KR200407479Y1 KR 200407479 Y1 KR200407479 Y1 KR 200407479Y1 KR 2020050030647 U KR2020050030647 U KR 2020050030647U KR 20050030647 U KR20050030647 U KR 20050030647U KR 200407479 Y1 KR200407479 Y1 KR 200407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desk
frame
upper plate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치
Priority to KR2020050030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4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4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47B41/02Adjustable, inclinable, sliding or foldable desks top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자에 따라 공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판의 전후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효공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판의 전후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책상이 제공되며, 특히 이송된 상판의 위치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스토핑 구조를 구비한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을 제안하고 있다.
책상, 상판, 프레임 구조체, 가이드, 스토퍼

Description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DESK WITH SLIDING BOARD}
도 1은 본 고안의 제 1형태에 따른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의 분해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상에서 가이드 브라켓과 가이드 프레임간의 가이드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정단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 2형태에 따른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의 분해 상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책상에서 가이드 브라켓과 가이드 프레임간의 가이드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정단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 3형태에 따른 스토핑 구조를 채택한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의 분해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책상에서 가이드 브라켓과 가이드 프레임간의 가이드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정단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1".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
10. 상판 11. 11', 11". 가이드 브라켓
12. 가이드 홀 12a. 걸림턱
13. 고정홈 14. 탄성편
14a. 고정돌기
20. 프레임 구조체 21. 가이드 프레임
22. 가이드 롤러 23. 스토핑 부재
23a. 고정돌기 23b. 스프링
24. 고정홈
31. 좌판 32. 등판
본 고안은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자에 따라 공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판의 전후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려한 디자인과 다양한 기능을 가진 책상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교구용 책상에 있어서는, 하나의 프레임 구조체에 책상을 이루는 상판과, 의자를 이루는 좌판과 등판이 설치된 의자 일체형의 교구용 책상이 많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교구용 책상은 이동이 용이할 뿐 아니라, 책상과 의자 간에 일정한 유효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교구용 책상은, 책상을 이루는 상판이 고정된 형태로 구 성되어, 책상과 의자간에 형성되는 유효공간의 조절이 불가능하다. 즉, 학생들의 체형이나 사용용도에 따라 유효공간의 조절기능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기능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자신의 체형에 맞지 않는 책상에 착석한 경우, 자세가 불량해지고, 또 적정 유효공간의 조절이 불가능하여 사용의 효율성을 기하기 어렵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임 구조체에 상판이 안착되어 이루어진 책상에 있어서, 적정 유효공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판의 전후 이송이 구현되도록 구현하며, 이송된 상판은 안정적으로 위치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의 스토핑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제 1형태에 따른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은,
지지기능을 갖는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 상판이 안착된 형태의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저면에는, 일면에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는, 상기 상판의 안착공간으로 일면에 상기 가이드홀에 수용되는 가이드 롤러가 돌출하여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설치되어, 가이드 브라켓이 가이드 롤러를 따라 이송되어, 상판의 전후 이송이 구현되며,
상기 가이드 홀의 저면에는 다수의 상향 돌출된 걸림턱들이 이격된 구조로 형성되어, 적은 외력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이 가이드 롤러를 따라 이송되는 작용이 걸림턱에 의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 형태에 따른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은,
지지기능을 갖는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 상판이 안착되어 이루어진 책상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는, 상판의 안착공간인 가이드 프레임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안착되는 상판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싸 가이드 구조로 결합되는 가이드 브라켓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설치되어, 상판에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이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어 상판의 전후 이송이 구현되며,
상기 상호 대향한 가이드 브라켓의 일면과 가이드 프레임의 일면에는,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과,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상기 고정홈에 요입되는 고정돌기를 가진 스토핑 부재가 각각 택일적으로 형성 및 설치되어,
상기 고정홈과 고정돌기에 의한 스토핑 작용에 의해, 적은 외력에 의한 상판의 전후 이송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 3 형태에 따른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의 스토핑 구조는,
지지기능을 갖는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 상판이 안착되어 이루어진 책상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는, 상판의 안착공간인 가이드 프레임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안착되는 상판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싸 가이드 구조로 결합되는 가이드 브라켓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설치되어, 상판에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이,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어 상판의 전후 이송이 구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호 대향한 가이드 브라켓의 일면과 가이드 프레임의 일면에는,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과, 일변을 제외한 외변이 절개되어 자체 탄발력을 가지며 상기 고정홈의 대향면에 고정돌기가 돌출하여 형성된 탄성편이 택일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과 탄성편에 의한 스토핑 작용에 의해, 적은 외력에 의한 상판의 전후 이송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각 형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형태에 따른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의 분해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책상에서 가이드 브라켓과 가이드 프레임간의 가이드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정단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 2형태에 따른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의 분해 상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책상에서 가이드 브라켓과 가이드 프레임간의 가이드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정단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 3형태에 따른 스토핑 구조를 채택한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의 분해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책상에서 가이드 브라켓과 가이드 프레임간의 가이드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a)는 정단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들은,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 구조에 의해 상판(10)의 전후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형태의 책상(1, 1', 1")으로서, 적은 외력에 의해 상판(10)이 이송되어서 유효공간(S)이 임의적으로 조절됨에 따른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구조이다.
이들 도시된 실시예들에서는 이들 책상들(1, 1', 1")은, 지지 기능을 갖는 프레임 구조체(20)에 책상을 이루는 상판(10)과, 의자를 이루는 좌판(31)과 등판(32)이 일체화되게 설치된 의자 일체형 교구용 책상들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하, ㅋ들을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각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러한 의자 일체형 책상들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예 ]
본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제 1 형태에 따른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을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 채택하고 있는 책상의 프레임 구조체(20)의 상부에는, 도 1 내지 도 2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판(10)의 안착공간으로 가이드 프레임(21, 21)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안착되는 상판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일면과 대향되는 'ㄱ'형의 가이드 브라켓(11, 11)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11)은, 상판(10)의 저면에 체결볼트(B)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20)는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이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가이드 브라켓(11)은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가이드 브라켓(11)의 일면에는 끝단이 반구형으로 만곡진 가이드홀(12)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21)의 일면에는 상기 가이드홀(12)에 수용되는 가이드 롤러(22)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홀(12)이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11)은, 가이드 프레임(21)에 형성된 가이드 롤러(22)를 따라 이송되어 상판(10)의 전후 이송이 구현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렇게 구성된 책상(1)을 구현함에 있어, 상기 가이드 롤러(22)의 이송경로인 가이드 홀(12)의 저면측에 소정 간격 이격된 구조로 여러 개의 걸림턱(12a)을 상향 돌출된 형태로 형성하여, 적은 외력에 의해 가이드 롤러(22)가 가이드 홀(12)을 따라 이송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한 스토핑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홀(12)의 저면에는 반구형 내지 삼각뿔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턱(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걸림턱(12a)이 형성된 구간의 가이드홀(12)의 상면은 일정 높이로 절입된 절입부(12b)가 형성되어, 가이드 롤러(22)의 원활한 통과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판(10)에 적은 외력을 가해지게 되면 가이드 롤러(22)가 걸림턱(12a)을 넘지 못하게 되어서 상판(10)의 고정상태가 유지되고, 또 강한 외력을 가하게 되면 가이드 롤러(22)가 걸림턱(12a)을 넘게 되므로, 상판(10)의 전후 이송이 구현된다.
[제 2 실시예 ]
본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제 2 형태에 따른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을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 채택하고 있는 책상(1')의 프레임 구조체(20)의 상부에는, 도 3 내지 도 4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판(10)의 안착공간으로 가이드 프레임(21, 21)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안착되는 상판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21)의 외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싸 가이드 구조로 결합되는 가이드 브라켓(11')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브라켓(11')은, 상판(10)의 저면에 체결볼트(B)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 구조체(20)는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이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가이드 브라켓(11')은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상판(10)의 저면에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11')은 가이드 프레임(21)의 외측면을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후크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가이드 브라켓(11')의 내측 일면은, 적어도 가이드 프레임(21)의 외측 일면과 상호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구성된 책상의 상판(10)을 물리적으로 밀게 되면, 상판(10)의 저면에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11')이 가이드 프레임(21)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어서, 상판(10)의 전후 이송이 구현되게 된다.
본 고안의 제 2 형태에서는 이렇게 구성된 책상(1')을 구현함에 있어, 상기 상호 대향하는 가이드 브라켓(11)의 일면과 가이드 프레임(21)의 일면에, 이격된 구조로 복수 형성되는 고정홈들(13)과, 상기 고정홈들(13)에 요입되는 고정돌기(23a)를 가진 스토핑 부재(23)를 택일적으로 형성 및 설치하여, 적은 외력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11)이 슬라이딩 이송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한 스토핑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11')의 내측 일면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고정홈(13)을 복수 형성하고 있으며, 가이드 프레임(21)에 스토퍼 부재(23)를 설치하여 가이드 프레임(21)의 일면에 형성된 스토퍼 부재(23)의 고정돌기(23a)와 가이드 브라켓(11')의 일면에 형성된 고정홈(13)이 상호 대향되도록 한 구조를 보여준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가이드 프레임(21)의 일면에 소정 간격 이격된 구조로 고정홈을 복수 형성하고, 가이드 브라켓(22)에 스토퍼 부재를 설치하여 가이드 프레임(21)의 일면에 형성된 스토퍼 부재의 고정돌기와 가이드 브라켓(11)의 일 면에 형성된 고정홈이 상호 대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 부재(23)를 이루는 고정돌기(23a)는 구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후미에는 스프링(23b)이 설치되어 항시 구형상의 고정돌기(23)가 고정홈(13)이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11')의 일면으로 돌출하려는 성향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13)에 스토핑 부재(23)의 고정돌기(23a)가 삽입됨에 따른 스토핑 작용에 의해, 적은 외력에 의한 상판(10)의 전후 이송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게 된다. 즉, 상판에 적은 외력을 가하게 되면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서 상판의 이송이 불가하며, 강한 외력을 가해 상판(10)을 밀게 되면, 고정홈(13)에 삽입된 스토핑 부재(23)의 고정돌기(23a)가 탈리되어 상판(10)의 이송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 3 실시예 ]
본 실시예에서 채택하고 있는 책상(1")은,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 책상에서와 마찬가지로, 프레임 구조체(20)의 상부에 상판(10)의 안착공간인 가이드 프레임(21)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21)에 안착되는 상판(10)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21)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싸 가이드 구조로 결합되는 가이드 브라켓(11")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설치된 구조이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호 대향되는 가이드 브라켓(11")의 일면과 가이드 프레임(21)의 일면에, 소정간격 이격 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24)과, 상기 고정홈(24)의 대향면에 고정돌기(14a)를 가진 탄성편(14)을 택일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21)의 일면에 복수의 고정홈(24)을 이격된 구조로 복수 형성하고 있으며, 이와 대향되는 상판(10)이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11)의 일면에는 탄성편(14)을 형성하고 있다.
도 5 및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브라켓(10)의 일면에 형성된 탄성편(14)은, 일변(14b)을 제외한 외변(14c)이 절개되어 가이드 브라켓(11") 몸체와 일변(14b)만 연결된 상태로 이루어져, 자체적인 탄발력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편(14)의 일면에는, 가이드 프레임(21)에 형성된 고정홈(24)에 삽입되는 반구형의 고정돌기(14a)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24)에 탄성편(14)의 고정돌기(14a)가 삽입됨에 따른 스토핑 작용에 의해, 적은 외력에 의한 상판(10)의 전후 이송이 억제될 수 있다.
즉, 상판(10)에 적은 외력을 가하게 되면 탄성편(14)의 고정돌기(14a)가 고정홈(24)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서 상판(10)의 이송이 불가하며, 강한 외력을 가해 상판(10)을 밀게 되면, 고정홈(24)에 삽입된 탄성편(14)의 고정돌기(14a)가 탈리되어 상판(10)의 이송이 구현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유효공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판의 전후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책상을 제공하며, 특히 이송된 상판의 위치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스토핑 구조를 구비한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 을 제안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들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 구조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또 사용상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스토핑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3)

  1. 지지기능을 갖는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 상판이 안착된 형태의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저면에는, 일면에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는, 상기 상판의 안착공간으로 일면에 상기 가이드홀에 수용되는 가이드 롤러가 돌출하여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설치되어, 가이드 브라켓이 가이드 롤러를 따라 이송되어, 상판의 전후 이송이 구현되며,
    상기 가이드 홀의 저면에는 다수의 상향 돌출된 걸림턱들이 이격된 구조로 형성되어, 적은 외력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이 가이드 롤러를 따라 이송되는 작용이 걸림턱에 의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
  2. 지지기능을 갖는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 상판이 안착되어 이루어진 책상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는, 상판의 안착공간인 가이드 프레임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안착되는 상판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싸 가이드 구조로 결합되는 가이드 브라켓이 좌우 양편에 평행 되게 설치되어, 상판에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이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어 상판의 전후 이송이 구현되며,
    상기 상호 대향한 가이드 브라켓의 일면과 가이드 프레임의 일면에는, 이격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과, 스프링에 의해 탄지되어 상기 고정홈에 요입되는 고정돌기를 가진 스토핑 부재가 각각 택일적으로 형성 및 설치되어,
    상기 고정홈과 고정돌기에 의한 스토핑 작용에 의해, 적은 외력에 의한 상판의 전후 이송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
  3. 상기 프레임 구조체의 상부에는, 상판의 안착공간인 가이드 프레임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안착되는 상판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감싸 가이드 구조로 결합되는 가이드 브라켓이 좌우 양편에 평행되게 설치되어, 상판에 설치된 가이드 브라켓이,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어 상판의 전후 이송이 구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호 대향한 가이드 브라켓의 일면과 가이드 프레임의 일면에는,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과, 일변을 제외한 외변이 절개되어 자체 탄발력을 가지며 상기 고정홈의 대향면에 고정돌기가 돌출하여 형성된 탄성편이 택일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과 탄성편에 의한 스토핑 작용에 의해, 적은 외력에 의한 상판의 전후 이송이 억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
KR2020050030647U 2005-10-28 2005-10-28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 KR200407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647U KR200407479Y1 (ko) 2005-10-28 2005-10-28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647U KR200407479Y1 (ko) 2005-10-28 2005-10-28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479Y1 true KR200407479Y1 (ko) 2006-01-31

Family

ID=4929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647U KR200407479Y1 (ko) 2005-10-28 2005-10-28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4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141B1 (ko) * 2010-09-09 2013-07-05 (주)캠퍼스라인 일체형 수강용 책걸상
KR101531147B1 (ko) * 2015-02-25 2015-06-23 (주)대우가구 의자가 구비된 책상
KR101955856B1 (ko) * 2018-08-21 2019-03-07 강준기 책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141B1 (ko) * 2010-09-09 2013-07-05 (주)캠퍼스라인 일체형 수강용 책걸상
KR101531147B1 (ko) * 2015-02-25 2015-06-23 (주)대우가구 의자가 구비된 책상
KR101955856B1 (ko) * 2018-08-21 2019-03-07 강준기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82283S1 (en) Sitting module with backrest
USD552362S1 (en) Chair
USD941060S1 (en) Leg pillow
US7055909B2 (en) Structure of a chair pillow
USD829451S1 (en) Sitting module with backrest
US8573697B1 (en) Combination of a waistrest and a backrest
US20100078975A1 (en) Structure of a single-part elastic waist support
USD566975S1 (en) Chair
KR200407479Y1 (ko) 상판 이송구조를 갖는 책상
USD919995S1 (en) Lounge chair
USD809314S1 (en) Chair
US20180352969A1 (en) Baby chair
US20130187422A1 (en) Chair having flexibility between seat and back
KR101730020B1 (ko)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US20170340121A1 (en) Waist support structure of seat back
US20070199153A1 (en) Inflatable pad assembly with inflatable back pad
USD961243S1 (en) Bed rail cane
KR100972233B1 (ko) 프레임 의자
KR200444359Y1 (ko)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
KR101482738B1 (ko) 슬라이딩장치가 구비된 의자
US20170340120A1 (en) Structure for chair backrest
KR200189721Y1 (ko) 의자 등받이용 지지구
KR101729041B1 (ko) 의자용 팔걸이
KR20120118575A (ko) 허리받침기능을 갖는 의자용 시트와 이를 이용한 의자
TWI580381B (zh) Chair armrest adjustment mechanism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