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020B1 -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020B1
KR101730020B1 KR1020170011186A KR20170011186A KR101730020B1 KR 101730020 B1 KR101730020 B1 KR 101730020B1 KR 1020170011186 A KR1020170011186 A KR 1020170011186A KR 20170011186 A KR20170011186 A KR 20170011186A KR 101730020 B1 KR101730020 B1 KR 101730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bent portion
chair
faste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천
Original Assignee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1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요추의 지지 높이 및 지지 폭을 조절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하기가 용이한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부 프레임 양측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하면이 관통된 원형의 제1결합공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판 형태로 이루어져 착석자의 요추를 지지하도록 탄성 휨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하는 면에서 상기 제1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체결홈이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결합공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판 형태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면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홈에 체결되는 제1체결돌기와, 상기 제1체결돌기가 형성된 회전판의 일면과 반대면에 각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2체결돌기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제2체결돌기가 체결되도록 상기 제2체결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체결홈이 마련되고, 일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의 손잡이부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탄성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LUMBAR VERTEBRA SUPPORTING DEVICE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요추의 지지 높이 및 지지 폭을 조절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하기가 용이한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석부, 등받이부, 및 팔걸이부 등으로 구성되며, 좌석부 및 등받이부에는 착석자의 안락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쿠션이 설치된다.
그러나, 의자에 앉아 사무를 보는 일이 많은 현대인들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업무를 볼때 필연적으로 허리를 구부리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장시간 업무를 봄에 따라 허리의 통증을 많이 호소하게 된다.
이것은 허리를 구부린 자세로 장시간 있게 되면 아주 완만한 'C'자 형태를 취하는 척추 하부가 비교적 곧은 직선의 상태로 되면서 상체의 하중이 척추 전반에 골고루 분산되지 않고 척추 하부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허리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별도로 방석이나 쿠션을 구입한 후 방석이나 작은 쿠션 등을 허리에 대고 앉아 허리를 지지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방석이나 쿠션 등은 의자에 고정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적절히 허리를 받쳐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요추 지지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 그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하기가 쉽지 않고, 부품 수가 많아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2016-0004424 U (2016.12.26.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요추의 지지 높이 및 지지 폭을 조절할 수 있어 의자에 착석시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하기가 용이한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 수가 적기 때문에 제조하기가 쉽고 제조 비용이 적게 드는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부 프레임 양측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하면이 관통된 원형의 제1결합공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판 형태로 이루어져 착석자의 요추를 지지하도록 탄성 휨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하는 면에서 상기 제1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체결홈이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결합공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판 형태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면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홈에 체결되는 제1체결돌기와, 상기 제1체결돌기가 형성된 회전판의 일면과 반대면에 각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2체결돌기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제2체결돌기가 체결되도록 상기 제2체결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체결홈이 마련되고, 일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의 손잡이부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탄성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공의 내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재에는 상기 제2체결홈 외측에 탄성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손잡이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돌기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요철부를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은 내측벽 및 외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 및 외측벽 사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전방측으로 절곡되는 1차 절곡부와, 상기 1차 절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의 내측벽 및 수용홈 상부에 위치하도록 절곡되는 2차 절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 절곡부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끼움 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 리브와 상기 1차 절곡부 사이에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의 내측벽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에 형성된 수용홈에는 상기 2차 절곡부의 상하 방향 길이 보다 길이가 긴 고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수용홈 상부에 위치하는 2차 절곡부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2차 절곡부의 끝단은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와, 상기 중앙 돌출부와 이격되어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중앙 돌출부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장자리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의 저면에는 복수의 걸림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한 쌍의 가장자리 돌출부는 상기 걸림홈 상에 걸쳐져서 상기 지지 프레임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체결홈에 제2체결돌기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다가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제1결합공의 둘레에는 걸림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판 스프링이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조절부재의 손잡이부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가 탄성 변형하도록 하고, 등받이부 프레임의 양측에 지지 프레임의 양단부를 결합한 다음 고정부재로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요추의 지지 높이 및 지지 폭을 조절할 수 있어 의자에 착석시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프레임, 지지 플레이트, 회전부재, 조절부재 및 고정부재만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하기가 용이하고 부품 수가 적기 때문에 제조하기가 쉽고 제조 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판 형태로 이루어져 탄성 휨 상태로 이루어지는 지지 플레이트를 마련함으로써, 착석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요추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프레임에 형성된 제1결합공의 내주면에는 탄성 재질의 요철부를 형성하고 조절부재에는 제2체결홈 외측에 탄성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조절부재의 손잡이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탄성돌기가 요철부를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조절부재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등받이부 프레임에 형성된 수용홈에 2차 절곡부의 상하 방향 길이 보다 길이가 긴 고정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지지 프레임의 상하 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프레임의 양단부에서 2차 절곡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의 상면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걸림돌기가 고정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 내부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지지 프레임이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중앙 돌출부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가장자리 돌출부는 걸림홈 상에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지지 프레임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가 결합된 등받이부 프레임을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지지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 회전부재 및 조절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가 결합된 등받이부 프레임을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지지 플레이트, 지지 프레임, 회전부재 및 조절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에서 지지 프레임과 고정부재를 등받이부 프레임으로부터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에서 고정부재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지지 프레임의 양단부에 형성된 2차 절곡부가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에서 지지 프레임의 제1결합공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철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b)는 회전부재 및 조절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0), 지지 플레이트(20), 회전부재(30) 및 조절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지지 프레임(10) 및 지지 플레이트(20)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강도 및 강성이 우수하며 탄성이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으로 성형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조립하기가 용이하고 부품 수가 적기 때문에 제조하기가 쉽고 제조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지지 프레임(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막대 형태로 이루어져서 의자의 등받이부 프레임(1) 양측에 양단부(11)가 각각 결합되도록 수평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지지 프레임(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면이 관통된 원형의 제1결합공(15)이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등받이부 프레임(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벽(2) 및 외측벽(3)이 평행하게 형성되고, 내측벽(2) 및 외측벽(3) 사이에 수용홈(4)이 형성된다.
또한, 등받이부 프레임(1)의 양측에 형성된 수용홈(4)에는 한 쌍의 끼움돌기(4a)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부재(50)의 끼움홈(52)에 끼워지게 된다.
지지 프레임(10)의 양단부(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지지 플레이트(20)가 결합되는 전방측(착석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1차 절곡부(12)와, 1차 절곡부(12)로부터 연장되어 등받이부 프레임(1)의 내측벽(2) 및 수용홈(4) 상부에 위치하도록 절곡되는 2차 절곡부(1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2차 절곡부(13)의 끝단은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13a)와, 상기 중앙 돌출부(13a)와 이격되어 양쪽 가장자리에 중앙 돌출부(13a)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장자리 돌출부(13c)로 이루어진다.
또한, 2차 절곡부(13)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끼움 리브(14)가 돌출 형성되고, 끼움 리브(14)와 1차 절곡부(12) 사이에는 등받이부 프레임(1)의 내측벽(2)이 끼워지게 된다.
한편, 제1결합공(15)의 내주면에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凹凸)부(16)가 형성되는데, 제1결합공(15)에 결합되는 후술할 조절부재(30)의 탄성돌기(43)가 접촉하여 자체 탄성력으로 탄력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조절부재(40)의 손잡이(4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탄성 재질의 탄성돌기(43)가 요철부(16)를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조절부재(40)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결합공(15)의 둘레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리브(17)가 돌출 형성되는데, 후술할 조절부재(40)의 손잡이부(42)가 일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걸림 리브(17)의 일정 부분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지지 플레이트(20)는 판 형태로 이루어져 착석자의 요추를 지지하도록 탄성 휨 상태로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착석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요추를 지지하기 위한 탄성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20)에는 판 스프링이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20)는 지지 프레임(10)의 전방(착석자 방향)에 배치되며, 지지 프레임(10)을 향하는 면(착석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면과 반대면)에서 제1결합공(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체결홈(21)이 형성된다.
회전부재(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0)에 형성된 제1결합공(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판 형태의 회전판(31)과, 회전판(31)의 일면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제1체결홈(21)에 체결되는 제1체결돌기(32)와, 제1체결돌기(32)가 형성된 회전판(31)의 일면과 반대면에 사각형태로 각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2체결돌기(33)를 포함한다.
조절부재(40)는 제2체결돌기(33)가 체결되도록 제2체결돌기(33)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체결홈(41)이 마련되고, 일측에 손잡이부(42)가 형성된다.
아울러, 조절부재(40)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공(15)에 형성된 요철부(16)에 대응되도록 제2체결홈(41) 외측에 탄성돌기(43)가 형성되어 손잡이부(42)를 회전시키게 되면 탄성돌기(43)가 요철부(16)를 따라 자체 탄성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제2체결홈(41)에 제2체결돌기(33)가 체결된 상태에서 손잡이부(42)를 회전시키는 경우, 손잡이부(42)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다가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1결합공(15)의 둘레에는 걸림 리브(17)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걸림 리브(17)는 요철부(16)가 형성된 제1결합공(15) 둘레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절부재(40)의 손잡이부(42)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제1결합공(15)에 결합된 회전부재(30)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20)가 탄성 변형하게 된다.
한편, 등받이부 프레임(1)에 형성된 수용홈(4)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절곡부(13)의 상하 방향 길이(지지 프레임(10)의 폭) 보다 길이가 긴 고정부재(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고정부재(50)는 수용홈(4) 상부에 위치하는 2차 절곡부(13)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등받이부 프레임(1)에 형성된 수용홈(4)에 2차 절곡부(13)의 상하 방향 길이(지지 프레임(10)의 폭) 보다 길이가 긴 고정부재(5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지지 프레임(10)의 상하 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50)의 저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걸림홈(51)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술한 2차 절곡부(13) 끝단 중 중앙 돌출부(13a)의 상면에는 걸림돌기(13b)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걸림홈(51)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 프레임(10)이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술한 2차 절곡부(13) 끝단 중 한 쌍의 가장자리 돌출부(13c)는 상기 걸림홈(51) 상에 걸쳐져서 지지 프레임(10)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부재(40)의 손잡이부(42)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회전부재(30)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20)가 탄성 변형하도록 하고, 등받이부 프레임(1)의 양측에 지지 프레임(10)의 양단부(11)를 결합한 다음 고정부재(50)로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요추의 지지 높이 및 지지 폭을 조절할 수 있어 의자에 착석시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등받이부 프레임 10 : 지지 프레임
20 : 지지 플레이트 30 : 회전부재
40 : 조절부재 50 : 고정부재

Claims (5)

  1. 의자의 등받이부 프레임 양측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하면이 관통된 원형의 제1결합공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판 형태로 이루어져 착석자의 요추를 지지하도록 탄성 휨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을 향하는 면에서 상기 제1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체결홈이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결합공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원판 형태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면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홈에 체결되는 제1체결돌기와, 상기 제1체결돌기가 형성된 회전판의 일면과 반대면에 각지게 돌출 형성되는 제2체결돌기를 포함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제2체결돌기가 체결되도록 상기 제2체결돌기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체결홈이 마련되고, 일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재의 손잡이부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탄성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공의 내주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재에는 상기 제2체결홈 외측에 탄성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재의 손잡이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돌기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요철부를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은 내측벽 및 외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 및 외측벽 사이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단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전방측으로 절곡되는 1차 절곡부와, 상기 1차 절곡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의 내측벽 및 수용홈 상부에 위치하도록 절곡되는 2차 절곡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2차 절곡부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끼움 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 리브와 상기 1차 절곡부 사이에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의 내측벽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프레임에 형성된 수용홈에는 상기 2차 절곡부의 상하 방향 길이 보다 길이가 긴 고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수용홈 상부에 위치하는 2차 절곡부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2차 절곡부의 끝단은 중앙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중앙 돌출부와, 상기 중앙 돌출부와 이격되어 양쪽 가장자리에 상기 중앙 돌출부와 나란하게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장자리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재의 저면에는 복수의 걸림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중앙 돌출부의 상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걸림홈 중 어느 하나의 걸림홈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이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한 쌍의 가장자리 돌출부는 상기 걸림홈 상에 걸쳐져서 상기 지지 프레임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KR1020170011186A 2017-01-24 2017-01-24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KR101730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186A KR101730020B1 (ko) 2017-01-24 2017-01-24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1186A KR101730020B1 (ko) 2017-01-24 2017-01-24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020B1 true KR101730020B1 (ko) 2017-04-25

Family

ID=58703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186A KR101730020B1 (ko) 2017-01-24 2017-01-24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0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1447A (zh) * 2017-10-19 2018-03-20 张小亚 一种旅游景点小憩装置
KR101948820B1 (ko) * 2018-10-16 2019-02-15 (주)퍼맥스 의자
KR101976348B1 (ko) * 2018-08-30 2019-05-08 (주)광일체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요추받침수단을 갖는 메쉬형 의자
NL2023964B1 (en) * 2019-10-04 2021-06-01 Koninklijke Ahrend B V A backrest for a seating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1714A (ja) 2008-03-26 2008-07-17 Kokuyo Co Ltd 椅子の背凭れ
KR101465039B1 (ko) 2013-06-26 2014-11-25 계원예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칭적으로 조절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KR101635492B1 (ko) 2015-12-01 2016-07-0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요추 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61714A (ja) 2008-03-26 2008-07-17 Kokuyo Co Ltd 椅子の背凭れ
KR101465039B1 (ko) 2013-06-26 2014-11-25 계원예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칭적으로 조절 가능한 팔걸이를 구비한 의자
KR101635492B1 (ko) 2015-12-01 2016-07-01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요추 지지부가 구비된 의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1447A (zh) * 2017-10-19 2018-03-20 张小亚 一种旅游景点小憩装置
KR101976348B1 (ko) * 2018-08-30 2019-05-08 (주)광일체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요추받침수단을 갖는 메쉬형 의자
KR101948820B1 (ko) * 2018-10-16 2019-02-15 (주)퍼맥스 의자
NL2023964B1 (en) * 2019-10-04 2021-06-01 Koninklijke Ahrend B V A backrest for a seating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020B1 (ko)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US9648957B2 (en) Chair with back tilt adjustment structure
US7344194B2 (en) Device for lumbar support
US9480339B2 (en) Seat with pelvic support
KR102206733B1 (ko) 입체적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JP5702479B2 (ja) 一体型背板セル付きの椅子
KR101593116B1 (ko) 의자 등받이 틸팅장치
KR101839782B1 (ko) 의자 등받이의 요추받이 틸팅장치
KR100916753B1 (ko)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US20130187422A1 (en) Chair having flexibility between seat and back
JP5116948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20100129915A (ko)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와 헤드 각도설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머리받침대 및 의자
KR101106095B1 (ko) 의자용 팔걸이 및 이를 구비한 의자
US10376067B2 (en) Adjustable back support for a seating surface
KR101616507B1 (ko) 헤드레스트를 구비한 의자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KR200191797Y1 (ko) 등받이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1052551B1 (ko) 의자
KR200325982Y1 (ko) 의자 등받이 연결부재
JP5600151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101009488B1 (ko) 틸팅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1481531B1 (ko) 사무 의자용 연결 장치
JP2023086332A (ja) 椅子および着脱式椅子カバー
KR102616462B1 (ko) 3d 모션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