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820B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820B1
KR101948820B1 KR1020180123186A KR20180123186A KR101948820B1 KR 101948820 B1 KR101948820 B1 KR 101948820B1 KR 1020180123186 A KR1020180123186 A KR 1020180123186A KR 20180123186 A KR20180123186 A KR 20180123186A KR 101948820 B1 KR101948820 B1 KR 101948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support
support pad
stopper pin
pad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훈 신
Original Assignee
(주)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맥스 filed Critical (주)퍼맥스
Priority to KR1020180123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rectilinearly in vertic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좌판부에서 연장되고 마주하는 사이드빔을 갖는 등받이프레임, 양측이 사이드빔에 연결되어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요추지지패드, 및 요추지지패드를 사이드빔을 따라 상하 이동 허용하고 요추지지패드의 위치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킹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의자의 착석자 허리를 지지하는 요추지지패드의 위치를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등받이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 설정할 수 있고, 요추지지패드를 등받이프레임에 대해 위치 설정 후 레버로써 고정(locking)함에 따라 등받이프레임의 흔들림시에도 요추지지패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CHAIR}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착석자 허리를 지지하는 요추지지패드의 위치를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등받이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 설정하고, 요추지지패드를 등받이프레임에 대해 위치 설정 후 레버로써 고정(locking)함에 따라 등받이프레임의 흔들림시에도 요추지지패드의 위치를 유지 가능하기 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사, 집, 학교, 학원 등에 널리 보급된 의자는 단순하게 등받이와 바닥받침으로 이루어진 의자받침부와 의자받침 양측으로 사용자의 팔을 거치 할 수 있는 손잡이와 이동이 가능한 다수 개 바퀴가 형성된 이동부나 다수개의 다리로 구성된 다리부로 구성된다.
의자받침부는 등받이와 바닥받침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따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의자받침부에 등받이와 바닥받침이 일체로 형성된 제품을 미려한 곡선을 갖고 있어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함을 물론 편안함을 제공하도록 굴곡 구성되어진다.
이와 같은 기존의 의자는 널리 보급되어 사용자들에게 편안한 자세를 제공하고 있기는 하나, 장시간 작업을 하는 셀러리맨이나 학생 등은 그 작업시간이 많아 혈액순환이 둔화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가 가해지고 피로를 느끼는 등의 만성피로에 시달리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능성 의자의 출시가 많아지고 있다.
의자에 대해서는 국내특허등록 제10-1105780호(발명의 명칭: 요추받이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등록일:2012.01.06.)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의자용 허리 받침대는 착석자의 체형에 맞도록 위치 조절하기 어렵거나, 지지되어야 하는 요추의 위치에 따라 등판에서 돌출되는 정도와 상하 이동 정도를 조절하는 기구가 별도로 구비되어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의자의 착석자 허리를 지지하는 요추지지패드의 위치를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등받이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 설정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착석감을 증대하고자 하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요추지지패드를 등받이프레임에 대해 위치 설정 후 레버로써 고정(locking)함에 따라 착석자의 허리 움직임으로 인해 등받이프레임의 흔들림시에도 요추지지패드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에서 연장되고, 마주하는 사이드빔을 갖는 등받이프레임; 양측이 상기 사이드빔에 연결되어,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요추지지패드; 상기 좌판부에서 연장되는 팔걸이패드유닛; 및 상기 요추지지패드를 상기 사이드빔을 따라 상하 이동 허용하고, 상기 요추지지패드의 위치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킹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요추지지패드의 양측에서 대응되는 사이드빔 측으로 개방되는 개구홀부; 상기 개구홀부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요추지지패드의 양측 가장자리에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스토퍼핀; 상기 스토퍼핀 각각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사이드빔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요추지지패드에서 설정 길이만큼 돌출된 상기 스토퍼핀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요추지지패드의 위치를 유지하는 요철가이드부; 및 상기 스토퍼핀 각각을 상기 요추지지패드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하여, 상기 스토퍼핀을 후진시키며 상기 요철가이드부와 유격시키고, 상기 스토퍼핀을 전진시키며 상기 요철가이드부에 걸리도록 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스토퍼핀의 둘레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요추지지패드의 양쪽 전측 또는 후측에 형성되는 개방부; 상기 스토퍼핀 각각의 둘레면에 나선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나선홈부; 상기 개방부 각각에 끼움되어 상기 스토퍼핀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대응되는 상기 스토퍼핀을 축 삽입하도록 삽입홀을 통공한 레버; 및 상기 나선홈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삽입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버를 작동시, 상기 스토퍼핀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요추지지패드는 양측으로 삽입부재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빔 각각은 브라켓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삽입부재는 대응되는 상기 사이드빔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삽입된 채 상기 사이드빔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팔걸이패드유닛은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좌판부에 대한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좌판부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서포트빔; 상기 서포트빔 각각에 하측이 연결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위치설정구를 통공한 튜브빔; 상기 튜브빔을 축 삽입하고, 하측이 상기 서포트빔에 연결 고정되며, 상기 팔걸이패드유닛을 지지하는 하우징;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튜브빔에 축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바; 상기 힌지바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튜브빔에 대한 상기 힌지바의 돌출 정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상기 위치설정구에 끼움됨으로써, 상기 힌지바의 설정 높이를 유지하는 위치설정돌기; 및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팔걸이패드유닛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힌지바를 연결하여, 외부의 조작시, 상기 힌지바를 회동시키면서 상기 위치설정돌기를 상기 위치설정구에 삽입하거나 이탈 조작하는 핸들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종래 기술과 달리 의자의 착석자 허리를 지지하는 요추지지패드의 위치를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등받이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 설정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착석감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요추지지패드를 등받이프레임에 대해 위치 설정 후 레버로써 고정(locking)함에 따라 착석자의 허리 움직임으로 인해 등받이프레임의 흔들림시에도 요추지지패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프레임에서 요추지지패드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추지지패드의 이동과 정지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팔걸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패드유닛의 상하 이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등받이프레임에서 요추지지패드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추지지패드의 이동과 정지 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팔걸이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패드유닛의 상하 이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팔걸이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10)는 좌판부(20), 등받이프레임(30), 요추지지패드(40), 팔걸이패드유닛(50), 위치설정부(100) 및 높이조절부(200)를 포함한다.
좌판부(20)는 착석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좌판부(20)는 좌판과, 좌판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좌판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등받이프레임(30)은 좌판부(20) 특히, 좌판프레임에서 연장된다. 등받이프레임(3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대략 사각틀 형상인 것으로 한다. 그래서, 등받이프레임(30)은 상하 방향으로 나열되는 한 쌍의 사이드빔(32)을 포함한다.
이때, 등받이프레임(30)은 메쉬 타입이나 텍스타일 타입의 등받이를 구비할 수 있다.
요추지지패드(40)는 양측이 대응되는 사이드빔(32)에 연결되어,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요추지지패드(40)는 착석자의 등을 편안하게 지지하기 위해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요추지지패드(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요추지지패드(40)는 양측이 대응되는 사이드빔(32)에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 지지될 수 있다.
예로서, 요추지지패드(40)는 양측으로 삽입부재(150)를 연장 형성한다. 이때, 삽입부재(150)의 두께가 요추지지패드(4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그래서, 요추지지패드(40)와 삽입부재(150)의 경계 부위에는 단턱(1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사이드빔(32) 각각은 브라켓(16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브라켓(160) 각각이 대응되는 사이드빔(32)에 결속부재(162)로써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결속부재(162)는 브라켓(160)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을 대응되는 사이드빔(32)에 결속한다. 이때, 결속부재(162)는 볼트나 스크류인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삽입부재(150)는 겹쳐진 사이드빔(32)과 브라켓(160) 사이에 삽입되어, 브라켓(160)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특히, 단턱(152)이 사이드빔(32)이나 브라켓(160)에 접할 때까지, 삽입부재(150) 각각이 대응되는 사이드빔(32)과 브라켓(160) 사이로 삽입된다. 그래서, 요추지지패드(40)는 양측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아울러, 팔걸이패드유닛(50)은 좌판부(20) 특히 좌판프레임에서 연장되어 좌판부(20)에 착석한 착석자의 팔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위치설정부(100)는 요추지지패드(40)가 사이드빔(32) 각각을 따라 상하 이동 되도록 허용하고, 요추지지패드(40)가 사이드빔(32)에 대해 위치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킹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위치설정부(100)는 개구홀부(110), 스토퍼핀(120), 요철가이드부(130) 및 조작부(140)를 포함한다.
개구홀부(110)는 요추지지패드(40)의 양측에서 대응되는 사이드빔(32) 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스토퍼핀(120)은 개구홀부(110) 각각에 대응되는 요추지지패드(40)의 양측 가장자리에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즉, 요추지지패드(40)는 사이드빔(32)에 대응되도록 양측 가장자리에 수용부(112)를 형성하고, 수용부(112)는 대응되는 사이드빔(32) 측으로 개방되는 개구홀부(110)를 형성한다.
그래서, 스토퍼핀(120) 각각은 대응되는 수용부(112)에 수용된 채 개구홀부(110)를 따라 일부 노출되며, 수용부(112)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물론, 스토퍼핀(120)은 임의적으로 수용부(112) 내부에서 개구홀부(110) 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스토퍼핀(120)은 수용부(112) 내측에서 제 1탄성지지부재(122)에 탄성 지지되어 개구홀부(110) 측으로 이동되려는 힘을 받게 된다.
요철가이드부(130)는 스토퍼핀(120) 각각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사이드빔(32) 각각에, 사이드빔(32)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래서, 스토퍼핀(120)이 요추지지패드(40)의 개구홀부(110)를 통해 설정 길이만큼 돌출(전진)될 경우 요철가이드부(130)의 해당 위치에 걸림으로써, 요추지지패드(40)는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스토퍼핀(120)이 수용부(112) 내부로 후진시, 스토퍼핀(120)이 대응되는 요철가이드부(130)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요추지지패드(40)는 사이드빔(32)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물론, 요철가이드부(13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조작부(140)는 스토퍼핀(120) 각각을 요추지지패드(4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하여, 스토퍼핀(120)을 후진시키며 요철가이드부(130)와 유격시키고, 스토퍼핀(120)을 전진시키며 요철가이드부(130)에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조작부(140)는 개방부(142), 나선홈부(144), 레버(146) 및 돌기부(148)를 포함한다.
개방부(142)는 스토퍼핀(120)의 둘레면이 노출되도록 요추지지패드(40)의 양쪽 특히, 수용부(112) 각각의 전측 또는 후측에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래서, 개방부(142)는 수용부(112) 내부와 연결된다. 편의상, 개방부(142)는 요추지지패드(40)의 후측면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나선홈부(144)는 개방부(142)를 통해 노출되는 스토퍼핀(120) 각각의 둘레면에 나선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물론, 나선홈부(14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레버(146)는 개방부(142) 각각에 끼움된다. 즉, 스토퍼핀(120)의 축 방향을 따라, 레버(146)의 양측이 대응되는 개방부(142)의 내측면에 접하거나 지지된다. 그래서, 레버(146)는 스토퍼핀(120)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아울러, 레버(146)는 대응되는 스토퍼핀(120)을 축 삽입하기 위해 삽입홀(145)을 통공한다. 이에 따라, 레버(146)는 일측이 수용부(112) 내측에 삽입된 채 대응되는 스토퍼핀(120)을 축 삽입하고, 타측이 요추지지패드(40)의 후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을 허용한다.
즉, 레버(146)는 스토퍼핀(120)을 기준으로 양방향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레버(146)는 스토퍼핀(120)의 원주 방향으로 양방향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둘레면에 스토핑돌기(147)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스토핑돌기(147)가 요추지지패드(40)나 수용부(112)에 접할 때까지, 레버(146)는 회동 가능하게 된다. 물론, 스토핑돌기(147)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돌기부(148)는 나선홈부(144)에 수용되도록 삽입홀(145)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된다. 그래서, 레버(146)가 스토퍼핀(120)의 축 방향으로 위치 고정된 채 회동 조작지, 돌기부(148)가 나선홈부(144)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해당 스토퍼핀(120)은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물론, 돌기부(148)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레버(146)가 일방향으로 조작시, 스토퍼핀(120)가 제 1탄성지지부재(12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개구홀부(110) 측으로 돌출되는 작동 신뢰성이 확보된다.
또한, 높이조절부(200)는 좌판부(20)에 대해 팔걸이패드유닛(50)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높이조절부(200)는 서포트빔(210), 튜브빔(220), 하우징(230), 힌지바(240), 위치설정돌기(250) 및 핸들(260)을 포함한다.
서포트빔(210)은 좌판부(20) 특히, 좌판프레임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된다. 그리고, 서포트빔(21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튜브빔(220)은 서포트빔(210) 각각에 하측이 연결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위치설정구(222)를 통공한다. 이때, 튜브빔(220)은 하측이 대응되는 서포트빔(2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튜브빔(22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30)은 튜브빔(220)을 축 삽입하고, 하측이 서포트빔(210)에 연결 고정되며, 팔걸이패드유닛(50)을 지지한다. 이때, 팔걸이패드유닛(50)이 서포트빔(210)에 대해 상승시, 하우징(230)은 팔걸이유닛과 함께 축 방향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물론, 하우징(23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힌지바(240)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튜브빔(220)에 축 삽입되고, 하우징(230)에 힌지 연결된다. 이때, 힌지바(2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지만, 편의상 비교적 얇은 막대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위치설정돌기(250)는 튜브빔(220)의 위치설정구(222)를 향하는 힌지바(240)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튜브빔(220)에 축 방향으로 힌지바(240)의 돌출 정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하우징(230)에 대해 힌지 연결된 힌지바(240)의 회동으로, 대응되는 위치설정구(222)에 끼움됨으로써, 힌지바(240)의 설정 높이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위치설정돌기(25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위치설정돌기(250)와 위치설정구(222)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힌지바(240)가 하우징(230)에 대해 탄성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아울러, 핸들(260)은 하우징(230) 또는 팔걸이패드유닛(50)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힌지바(240)를 연결한다. 그래서, 사용자의 누름 등 외부의 조작시, 핸들(260)은 힌지바(240)를 회동시키면서 위치설정돌기(250)를 특정 위치설정구(222)에 삽입하거나 이탈 조작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설정돌기(250)가 위치설정구(222)에서 이탈시, 하우징(230)과 팔걸이패드유닛(50) 및 힌지바(240)는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핸들(260)은 제 2탄성지지부재(262)에 의해 팔걸이패드유닛(50) 또는 하우징(230)에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260)을 탄성적으로 누르게 되면, 위치설정돌기(250)는 해당 위치설정구(222)로부터 이탈된다. 이 후, 사용자가 팔걸이패드유닛(50)을 당기거나 누른 후 핸들(260)을 누르는 외력을 제거시, 힌지바(240)가 탄성적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되면서, 위치설정돌기(250)는 대응되는 위치설정구(222)에 삽입된다. 그래서, 팔걸이패드유닛(50)은 위치 고정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의자 20: 좌판부
30: 등받이프레임 32: 사이드빔
40: 요추지지패드 50: 팔걸이패드유닛
100: 위치설정구 110: 개구홀부
120: 스토퍼핀 130: 요철가이드부
140: 조작부 146: 레버
200: 높이조절부 210: 서포트빔
220: 튜브빔 230: 하우징
240: 힌지바 250: 위치설정돌기
260: 핸들

Claims (5)

  1. 좌판부; 상기 좌판부에서 연장되고, 마주하는 사이드빔을 갖는 등받이프레임; 양측이 상기 사이드빔에 연결되어,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요추지지패드; 및 상기 요추지지패드를 상기 사이드빔을 따라 상하 이동 허용하고, 상기 요추지지패드의 위치 설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킹하는 위치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부는, 상기 요추지지패드의 양측에서 대응되는 사이드빔 측으로 개방되는 개구홀부; 상기 개구홀부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요추지지패드의 양측 가장자리에 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스토퍼핀; 상기 스토퍼핀 각각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사이드빔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요추지지패드에서 설정 길이만큼 돌출된 상기 스토퍼핀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요추지지패드의 위치를 유지하는 요철가이드부; 및 상기 스토퍼핀 각각을 상기 요추지지패드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조작하여, 상기 스토퍼핀을 후진시키며 상기 요철가이드부와 유격시키고, 상기 스토퍼핀을 전진시키며 상기 요철가이드부에 걸리도록 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스토퍼핀의 둘레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요추지지패드의 양쪽 전측 또는 후측에 형성되는 개방부;
    상기 스토퍼핀 각각의 둘레면에 나선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나선홈부;
    상기 개방부 각각에 끼움되어 상기 스토퍼핀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대응되는 상기 스토퍼핀을 축 삽입하도록 삽입홀을 통공한 레버; 및
    상기 나선홈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삽입홀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레버를 작동시, 상기 스토퍼핀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지지패드는 양측으로 삽입부재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빔 각각은 브라켓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삽입부재는 대응되는 상기 사이드빔과 상기 브라켓 사이에 삽입된 채 상기 사이드빔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에서 연장되는 팔걸이패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팔걸이패드유닛은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기 좌판부에 대한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좌판부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서포트빔;
    상기 서포트빔 각각에 하측이 연결 고정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축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위치설정구를 통공한 튜브빔;
    상기 튜브빔을 축 삽입하고, 하측이 상기 서포트빔에 연결 고정되며, 상기 팔걸이패드유닛을 지지하는 하우징;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튜브빔에 축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바;
    상기 힌지바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튜브빔에 대한 상기 힌지바의 돌출 정도가 설정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상기 위치설정구에 끼움됨으로써, 상기 힌지바의 설정 높이를 유지하는 위치설정돌기; 및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팔걸이패드유닛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힌지바를 연결하여, 외부의 조작시, 상기 힌지바를 회동시키면서 상기 위치설정돌기를 상기 위치설정구에 삽입하거나 이탈 조작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80123186A 2018-10-16 2018-10-16 의자 KR101948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186A KR101948820B1 (ko) 2018-10-16 2018-10-16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186A KR101948820B1 (ko) 2018-10-16 2018-10-16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820B1 true KR101948820B1 (ko) 2019-02-15

Family

ID=6536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186A KR101948820B1 (ko) 2018-10-16 2018-10-16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8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0221A (ja) * 2006-01-19 2007-08-02 Kokuyo Furniture Co Ltd 椅子
JP2013094579A (ja) * 2011-11-04 2013-05-20 Okamura Corp 椅子
KR101730020B1 (ko) * 2017-01-24 2017-04-25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0221A (ja) * 2006-01-19 2007-08-02 Kokuyo Furniture Co Ltd 椅子
JP2013094579A (ja) * 2011-11-04 2013-05-20 Okamura Corp 椅子
KR101730020B1 (ko) * 2017-01-24 2017-04-25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의자용 요추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8737B1 (ko) 요추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의자의 등받이유닛
JP2009509592A (ja) 椅子
JP6667693B2 (ja) 弾性的リクライニング機構および自由調節可能な回転椅子
KR101180482B1 (ko) 의자
KR101538342B1 (ko) 의자
KR100743935B1 (ko) 의자의 팔걸이 조절장치
JP2011229896A (ja) 座る位置が調節される座板部の移動構造を有する椅子
JP2005237944A (ja) 調節式肘掛、腰掛ユニット
KR101948820B1 (ko) 의자
CN109106121B (zh) 一种坐具
KR101729041B1 (ko) 의자용 팔걸이
US20220225781A1 (en) Sofa bed
KR101974037B1 (ko) 위치설정유닛 및 이를 구비한 의자용 팔걸이
JP2014210206A (ja) 椅子
KR200423149Y1 (ko)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
KR101850790B1 (ko) 의자의 좌판
KR102074844B1 (ko) 안락성이 개선된 의자
KR101461809B1 (ko) 회동지지부가 형성된 등받이 프레임이 구비된 의자
JP2011092475A (ja) ロッキング椅子
JP4350025B2 (ja) 椅子用レバー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椅子
JP2002119347A (ja) 椅 子
KR101753786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KR101721688B1 (ko) 의자의 등받이 이동 장치
KR101559889B1 (ko) 높이조절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KR102341836B1 (ko) 전후방 이동부를 구비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