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359Y1 -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359Y1
KR200444359Y1 KR2020080016608U KR20080016608U KR200444359Y1 KR 200444359 Y1 KR200444359 Y1 KR 200444359Y1 KR 2020080016608 U KR2020080016608 U KR 2020080016608U KR 20080016608 U KR20080016608 U KR 20080016608U KR 200444359 Y1 KR200444359 Y1 KR 200444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support
locking
chair
coupled
lum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to KR2020080016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3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3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bar or leaf springs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의자의 등받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좌우 양단에 돌출된 한쌍의 걸림돌출부가 형성된 체결편부를 가지는 연결부재; 및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며, 뒷면에 서로 마주보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한쌍의 걸림돌출부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걸림홈부와, 상기 걸림홈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출부가 상하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가지는 요추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편부는, 상기 한쌍의 걸림홈부 사이에서 수평선과 경사지게 상기 요추지지부재의 뒷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선과 나란하게 회전됨으로써 상기 걸림돌출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요추지지부재를 별도의 결합부품없이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제조비용도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의자, 등받이, 요추, 지지

Description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Lumbar support for a chair}
본 고안은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제조비용도 절감될 수 있는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과 좌판의 하부에 고정된 다리 및 좌판의 상부에 고정된 등받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등받이는 사용자의 등뼈를 지지하게 되는데, 특히 사용자의 허리 피로를 저감시킬 목적으로 사용자의 요추(Lumbar) 즉 허리등뼈를 별도로 지지하는 요추 지지 장치가 구비된 의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의 일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지지부재(2)와 상기 요추지지부재(2)의 이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로 구성되며, 상기 요추지지부재(2)와 상기 연결부재(3)는 나사(4)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3)와 의자의 등받이(B)는 나사(5)에 의하여 결합된다.
종래의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1)의 경우, 상기 나사(4)에 의하여 상기 요추 지지부재(2)와 상기 연결부재(3)가 결합되므로, 상기 요추지지부재(2)의 뒷면에 복잡한 결합부품(미도시)을 추가로 결합해야 하거나, 상기 요추지지부재(2)의 뒷면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요추지지부재(2)의 내부에 너트(미도시)를 내장해야 하는 등의 구조적인 복잡함이 수반되므로 제품의 제조비용이 상승할 수 있고, 상기 나사(4)의 체결로 인하여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제조비용도 절감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는, 의자의 등받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좌우 양단에 돌출된 한쌍의 걸림돌출부가 형성된 체결편부를 가지는 연결부재; 및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며, 뒷면에 서로 마주보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한쌍의 걸림돌출부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걸림홈부와, 상기 걸림홈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출부가 상하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가지는 요추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편부는, 상기 한쌍의 걸림홈부 사이에서 수평선과 경사지게 상기 요추지지부재의 뒷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선과 나란하게 회전됨으로써 상기 걸림돌출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요추지지부재를 별도의 결합부품없이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제조비 용도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체결편부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체결편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요추지지부재의 배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요추지지부재의 VII-VII 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요추지지부재와 체결편부의 조립 전 도면이며,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요추지지부재와 체결편부의 조립 후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요추지지부재의 X-X 선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0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100)는 의자의 등받이(B)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장치로서, 연결부재(10)와, 요추지지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의자의 등받이(B)와 상기 요추지지부재(20)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고정부(11)와, 체결편부(12)와, 탄성부(15)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11)는, 상기 등받이(B)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나사(16)에 의하여 상기 등받이(B)에 결합된다.
상기 체결편부(12)는, 상기 고정부(11)의 전방에 배치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요추지지부재(2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걸림돌출부(13)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돌출부(13)는, 한쌍이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편부(12)의 좌우 양단에 각각 돌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출부(13)의 끝단간 거리(L1)는 상기 체결편부(12)의 최대회전직경(L2)보다 작거나 같다.
상기 위치결정돌기(14)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편부(12)의 중앙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변형부(141)에 의하여 상기 체결편부(12)와 연결됨으로써, 전후방향의 탄성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15)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편부(12)에 연결된다. 상기 탄성부(15)는 상기 체결편부(12)가 상기 고정부(11)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상기 요추지지부재(20)는,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뒷면에는 걸림홈부(21)와, 걸림턱(22)과, 위치결정홈(23)을 구비한다.
상기 걸림홈부(21)는 한쌍이 구비되는데 각각은 서로 마주보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걸림돌출부(13)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걸림홈부(21)는 상기 걸림돌출부(1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한쌍의 걸림홈부(21)는, 상기 요추지지부재(20)의 뒷면에서 서로 일정한 거리(D1)만큼 이격되어 소정의 길이(T1)만큼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부(211)와, 상기 한쌍의 돌출부(211)의 단부에서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서로 일정한 거 리(D2)만큼 이격된 한쌍의 덮개부(212)에 의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출부(13)가 상기 걸림홈부(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211)의 돌출 길이(T1)는 상기 체결편부(12)의 두께(T1)보다는 크며, 상기 거리(D1)는 상기 체결편부(12)의 최대회전직경(L2)보다는 크다. 또한 상기 걸림돌출부(13)가 상기 걸림홈부(2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거리(D2)는 상기 걸림돌출부(13)의 끝단간 이격 거리(L1)보다는 작다.
한편, 상기 체결편부(12)는, 상기 한쌍의 걸림홈부(21) 사이에서 상기 요추지지부재(20)의 뒷면에 수평선(C)과 경사지게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선(C)과 나란하게 접촉된 상태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걸림돌출부(13)가 상기 걸림홈부(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2)은, 상기 각 걸림홈부(21)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주보는 걸림턱(22)은 소정의 거리(D3)를 두고 이격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2)은 상기 걸림돌출부(13)가 상기 걸림홈부(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이동하는 경우, 상기 걸림홈부(21)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거리(D3)는 상기 걸림돌출부(13)의 끝단간 이격 거리(L1)보다는 작다.
상기 위치결정홈(23)은, 상기 요추지지부재(20)의 뒷면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위치결정홈(23)은 상기 위치결정돌기(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위치결정돌기(14)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출부(13)가 상기 걸림홈부(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이동되면, 상기 위치결정돌기(14)가 상기 위치결정홈(23)들 중의 하나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요추지지부재(2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100)의 조립 및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편부(12)를 상기 한쌍의 걸림홈부(21)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수평선(C)과 경사지게 상기 요추지지부재(20)의 뒷면에 접촉시킨다.
이어서,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체결편부(12)를 상기 수평선(C)과 나란한 상태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돌출부(13)가 각각 상기 걸림홈부(21)에 수용되면서 결합되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돌출부(13)가 상기 걸림홈부(21)에 대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연결부재(10)와 상기 요추지지부재(20)를 별도의 결합부품없이 간단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100)의 조립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100)의 전체적인 제조비용도 절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립을 마친 상기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100)는, 상기 연결부재(10)의 고정부(11)를 의자의 등받이(B)에 상기 나사(16)로 결합함으로써 설치가 완료된다. 다만, 조립순서를 바꾸어 상기 연결부재(10)를 먼저 의자의 등받이(B)에 결합한 후, 상기 요추지지부재(20)를 상기 연결부재(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재(10)가 상기 탄성부(15)를 구비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100)의 사용시, 사용자의 요추가 어느정도 움직이는 경우에도 상기 요추지지부재(20)가 사용자의 요추에 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추에 일정한 쿠션감을 줄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마다 신체의 크기가 다르므로 의자의 좌판으로부터 상기 요추지지부재(20)에 이르는 높이의 조절이 필요한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추지지부재(20)를 상기 연결부재(10)에 대하여 상하이동 시키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결정돌기(14)가 상기 위치결정홈(23)들 사이에 위치하는 때에는 상기 위치결정돌기(14)가 눌려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탄성복원력을 지니게 되며, 상기 위치결정돌기(14)가 상기 위치결정홈(23)에 위치하는 때에는 상기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위치결정돌기(14)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위치결정홈(23)들 중의 하나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요추지지부재(2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임은 명백하다.
도 1은 종래의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체결편부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체결편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요추지지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요추지지부재의 VII-VII 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요추지지부재와 체결편부의 조립 전 도면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요추지지부재와 체결편부의 조립 후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요추지지부재의 X-X 선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 10 : 연결부재
11 : 고정부 12 : 체결편부
13 : 걸림돌출부 14 : 위치결정돌기
15 : 탄성부 20 : 요추지지부재
21 : 걸림홈부 22 : 걸림턱
23 : 위치결정홈 B : 등받이
C : 수평선

Claims (3)

  1. 의자의 등받이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좌우 양단에 돌출된 한쌍의 걸림돌출부가 형성된 체결편부를 가지는 연결부재; 및
    사용자의 요추를 지지하며, 뒷면에 서로 마주보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한쌍의 걸림돌출부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걸림홈부와, 상기 걸림홈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출부가 상하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가지는 요추지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편부는, 상기 한쌍의 걸림홈부 사이에서 수평선과 경사지게 상기 요추지지부재의 뒷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선과 나란하게 회전됨으로써 상기 걸림돌출부가 상기 걸림홈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은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체결편부에 연결되며 상기 체결편부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부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체결편부의 중앙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전후방향의 탄성적인 움직임이 가능한 위치결정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추지지부재의 뒷면에는, 상기 위치결정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위치결정홈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결정돌기가 상기 위치결정홈들 중의 하나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요추지지부재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
KR2020080016608U 2008-12-15 2008-12-15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 KR200444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08U KR200444359Y1 (ko) 2008-12-15 2008-12-15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608U KR200444359Y1 (ko) 2008-12-15 2008-12-15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359Y1 true KR200444359Y1 (ko) 2009-05-08

Family

ID=4134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608U KR200444359Y1 (ko) 2008-12-15 2008-12-15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35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159B1 (ko) 2012-10-17 2013-03-11 주식회사 네오퍼스 의자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 구조
KR101436747B1 (ko) 2013-06-28 2014-09-11 진광복 자세교정 의자
KR102057900B1 (ko) * 2019-07-22 2019-12-20 주식회사 듀오백 의자 등받이의 요추지지 구조
KR102078658B1 (ko) 2019-10-16 2020-02-18 동성사무기기(주) 조절식 요추 지지장치를 갖는 의자 등받이
KR102320665B1 (ko) 2021-09-01 2021-11-02 주식회사 퍼맥스 요추 지지 성능 개선 의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159B1 (ko) 2012-10-17 2013-03-11 주식회사 네오퍼스 의자의 등받이 높낮이 조절 구조
KR101436747B1 (ko) 2013-06-28 2014-09-11 진광복 자세교정 의자
KR102057900B1 (ko) * 2019-07-22 2019-12-20 주식회사 듀오백 의자 등받이의 요추지지 구조
KR102078658B1 (ko) 2019-10-16 2020-02-18 동성사무기기(주) 조절식 요추 지지장치를 갖는 의자 등받이
KR102320665B1 (ko) 2021-09-01 2021-11-02 주식회사 퍼맥스 요추 지지 성능 개선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359Y1 (ko) 의자용 요추 지지 장치
CA2769990C (en) A chair with tilting backrest
US9247821B1 (en) Modified back rack
CN101844530A (zh) 幼儿辅助椅
US20160165741A1 (en) Fixing member of rack server
US20170318966A1 (en) Armrest adjuster
US20200014002A1 (en) Battery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US9462889B2 (en) Chair with a seat and backrest movable in a synchronized way
KR101052217B1 (ko)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US20130187422A1 (en) Chair having flexibility between seat and back
JP5479801B2 (ja) 背凭れの支持構造
JP6055650B2 (ja) 椅子
KR100856576B1 (ko) 골반 보호용 의자
JP2006280417A (ja) 椅子の背凭れ装置
CN209343970U (zh) 一种按压式开关自锁结构
CN101722875A (zh) 儿童汽车椅
KR101129229B1 (ko) 메쉬형 의자
US20140077574A1 (en) Backrest mechanism for chair
KR101729041B1 (ko) 의자용 팔걸이
KR101188881B1 (ko) 의자의 요추지지장치
KR101410648B1 (ko) 요추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의자
KR101486333B1 (ko) 사무용 의자
KR102078745B1 (ko) 등받이용 좌우 틸트 모듈
KR101484653B1 (ko) 의자용 팔걸이
KR100769114B1 (ko) 가구용 선반 설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