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828Y1 - 안락의자 - Google Patents

안락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828Y1
KR950008828Y1 KR2019930003717U KR930003717U KR950008828Y1 KR 950008828 Y1 KR950008828 Y1 KR 950008828Y1 KR 2019930003717 U KR2019930003717 U KR 2019930003717U KR 930003717 U KR930003717 U KR 930003717U KR 950008828 Y1 KR950008828 Y1 KR 950008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eat
seat portion
chair
chai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37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827U (ko
Inventor
기검
Original Assignee
기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검 filed Critical 기검
Priority to KR20199300037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828Y1/ko
Publication of KR9400218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8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8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7Rocker/reclin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락의자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등받이부와 시트부의 위치가 서로 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의자본체 2 : 등받이부
3 : 시트부 4, 4' : 팔걸이부
5, 5' : 링크부재 6 : 걸림턱
7 : 버팀봉
본 고안은 안락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등받이부와 시트부의 위치를 서로 전도시킴에 의해 착석자세와 위치를 용이하게 변형가능한 안락의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경우에 따라서는 착석자의 하체를 반듯하게 받쳐 줄 수 있으므로 간이용 침대의 역할을 겸할 수 있는 안락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안락의자 들은 단순히 착석할 정도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단순성을 다소나마 탈피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는 등받이부의 각도를 단계별로 적절히 변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 있기는 하지만, 이는 단순히 3-4단계별로 설정된 범위내에서 등받이부의 각도 만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착석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불편함이 가중되고 특히 구조적인 제한으로 인해 변형의 한계가 극명하며 착석자의 척추가 경사지거나 구부러지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안락의자에 있어서의 등받이부는 각도가 조정됨과 아울러 참석자의 체중을 지탱하여야 하므로 반복사용시 지지점이 헐거워지는 등, 고장이 잦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착석자가 등받이부를 뒤로 제치고 휴식을 취할때에는 착석자의 하체를 반듯하게 받쳐주기 위하여 시트부가 길게 연장될 필요성이 있지만, 종래의 안락의자에 있어서는 구조적인 제한으로 인하여 시트부 길이의 가변조절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별도의 보조발받침을 두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불편함과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등받이부와 시트부의 위치를 전도시킴으로써 착석자세의 전환이 용이하고, 휴식시 착석자의 하체를 반듯하게 받쳐줄 수 있는 한편, 구조가 극히 간단하여 작동이 확실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안락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등받이부와 시트부를 갖는 의자본체와, 이 의자본체의 양측에 입설되어 이를 지지하는 팔걸이부로 구성된 안락의자에 있어서, 등받이부는 시트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며, 일단은 위의 팔걸이부에 축착되며 타단은 시트부의 중앙부에 축착되느 링크부재와, 위의 시트부와 등받이부 사이의 절곡부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과, 팔걸이부에 양단이 고정되며 전술한 걸림턱을 괘지함에 따라 의자본체를 지탱하는 버팀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된 본 고안의 안락의자는, 전술한 링크부재가 축착된 두 지점을 축으로하여 등받이부와 시트부를 전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로 앉은 자세와 편히 앉은 자세 등의 착석자세를 용이하게 가변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등받이부가 전도되어 새로운 시트부의 위치가 될 때에는 착석자의 하체를 받듯하게 받쳐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본체(1)는 등받이부(2)와 시트부(3)로 구성되며, 양측에 입설된 팔걸이부(4, 4')에 의해 지지된다. 등받이부(2)는 시트부(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의자본체(1)의 팔걸이부(4, 4')에 대한 지지수단으로는, 링크부재(5, 5')가 구성되어 있는 바, 링크부재(5, 5')의 일단은 팔걸이부(4, 4')에 축착되며, 타단은 시트부(3)의 대략 중앙부에 축착된다.
한편, 시트부(3)와 등받이부(2)사이의 절곡부하부에는 걸림턱(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턱(6)은 전술한 받침부재(4, 4')에 양단이 고정되는 버팀봉(7)에 의해 괘지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안락의자는, 의자본체(1)를 약간 들어올려서 버팀봉(7)에 의해 괘지된 걸림턱(6)의 괘지상태를 해지시킴과 동시에 앞으로 밀면, 절술한 링크부재(5, 5')가 축착된 두지점을 축으로하여 등받이부(2)와 시트부(3)의 위치가 서로 전도된다. 즉,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2)가 수평상태가 되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새로운 시트부를 구성하게 되며, 시트부(3)는 수직상태가 되어 새로운 등받이부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버팀봉(7)은 수평상태의 등받이부(2)를 지탱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락의자는 등받이부와 시트부의 위치를 서로 전도시킴으로써 착석자세의 전환이 용이하고, 특히 이와 같이 두 위치와 서로 전도될 때에는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등받이부가 착석자의 하체를 반듯하게 받쳐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안락의자는 구조가 극히 간단하여 항상 확실한 작동을 보장할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Claims (1)

  1. 등받이부(2)와 시트부(3)를 갖는 의자본체(1)와, 이 의자본체(1)의 양측에 입설되어 이를 지지하는 팔걸이부(4, 4')로 구성된 안락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2)는 상기 시트부(3)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며, 일단은 상기 팔걸이부(4, 4')에 축착되며 타단은 상기 시트부(3)의 중앙부에 축착되는 링크부재(5, 5')와, 상기 시트부(3)와 상기 등받이부(2)사이의 절곡부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6)과, 상기 팔걸이부(4, 4')에 양단이 고정되며 상기 걸림턱(6)을 괘지함에 따라 상기 의자본체(1)를 지탱하는 버팀봉(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KR2019930003717U 1993-03-13 1993-03-13 안락의자 KR950008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717U KR950008828Y1 (ko) 1993-03-13 1993-03-13 안락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717U KR950008828Y1 (ko) 1993-03-13 1993-03-13 안락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827U KR940021827U (ko) 1994-10-19
KR950008828Y1 true KR950008828Y1 (ko) 1995-10-16

Family

ID=1935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3717U KR950008828Y1 (ko) 1993-03-13 1993-03-13 안락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8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827U (ko) 1994-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3655A (en) Multi-position convertible therapeutic chair
CA1308642C (en) Backrest
US5427433A (en) Rocking, gliding chair and mechanism
KR960030853A (ko) 등받이가 분리되는 의자
ES2277238T3 (es) Silla, especialmente silla de oficina o de trabajo.
US4555136A (en) Furniture construction
JPH06505177A (ja) 人間工学的に改良がなされた椅子または肘掛け椅子
US6324705B1 (en) Commode chair with enhanced user support
JPS6395008A (ja) 可動シ−トと背もたれの付いた椅子
US20070063563A1 (en) Tiltable chair accommodating male and female user seating position preferences
KR950008828Y1 (ko) 안락의자
KR200207265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JP3100377B1 (ja) 椅 子
US4198095A (en) Adjustable reclining chair
KR100427193B1 (ko) 요추받이 의자
US4487450A (en) Armchair convertible into chaise longue with separate hinged base and tilting head rest
CN112220261A (zh) 一种防止形成久坐问题的座椅
KR200409233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의 설치 구조
JP2000270964A (ja) スイング式枕付腰掛
JP2004160055A (ja) 身体障害者用椅子
JP2002291808A (ja) 腰掛座面
KR200204865Y1 (ko) 의자
KR20120061581A (ko) 요추부 지지 의자
KR940006717B1 (ko) 리클라이닝(reclining)장치
KR200165621Y1 (ko) 연결식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