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865Y1 - 의자 - Google Patents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865Y1
KR200204865Y1 KR2020000020098U KR20000020098U KR200204865Y1 KR 200204865 Y1 KR200204865 Y1 KR 200204865Y1 KR 2020000020098 U KR2020000020098 U KR 2020000020098U KR 20000020098 U KR20000020098 U KR 20000020098U KR 200204865 Y1 KR200204865 Y1 KR 200204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armrest
backrest
support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선영
Original Assignee
전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선영 filed Critical 전선영
Priority to KR2020000020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8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8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3Supports for the arms movable to inoperativ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6Supports for the arms of detachable type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팔걸이 및 의자 등받이를 이용하여 의자에 앉는 사람의 전면과 배면 즉, 가슴과 등(허리부위)을 의지할 수 있게 하여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있더라도 피로도가 가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의자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된 의자의 좌판(10)에 팔이 거치되는 팔걸이(20)와 등을 의지할 수 있도록 된 등받이(30)가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의자 등받이(30)는 일측이 좌판(10)에 고정되고 타측은 등받이(20)에 각각 고정되는 각도조절장치(40)와 연결되어 상기 각도조절장치(40)를 기점으로 등받이(30)가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양쪽 팔걸이중 어느 하나는 좌판(1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그 내측으로 팔걸이(30)의 지주(32)가 끼워지는 지지부재(40)의 외주면에 걸림홈(34,34,..)이 형성된 지주(32)를 구속하는 고정부재(50)가 구비되고, 상기 팔걸이(30)에는 탈, 부착이 가능한 쿠션재가 두툼하게 감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의자{chair}
본 고안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의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팔걸이 및 의자 등받이를 이용하여 의자에 앉는 사람의 전면과 배면 즉, 가슴과 등(허리부위)을 의지할 수 있게하여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 있더라도 피로도가 가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앉는 사람의 자세를 올바르게 교정하는 교정기능과 함께 편안하고 안락함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의자는 사람이 앉게되는 좌판의 양쪽 측면과 그 배면쪽에는 팔걸이와 등받이가 각각 부설되고 상기 좌판과 연결되는 등받이는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의자는 사람이 앉아 휴식 즉, 등받이에 등을 기댄 채양쪽 팔을 팔걸이 위에 의지한 상태에서만이 안락함과 편안함을 느끼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형태가 아닌 경우 즉, 양팔을 팔걸이에 의지하지 않거나 등받이에 등을 기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아무리 기능이 뛰어난 의자일지라도 이용자는 편안함을 느끼지 못하였다.
특히 장시간 동안 동일한 자세로 책상 앞에 앉아서 업무 또는 학업을 수행해야 하는 직장인 및 수험생의 경우 일부는 등받이에 등을 기댄 상태로 꽂꽂하게 앉기도 하였으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러하지 아니하고 앞쪽으로 허리를 약간 구부린 형태를 취하게 되고 이러한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할 경우 쉽게 피로를 느끼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수험생들의 경우 불편한 자세에서 벗어나고자 일부는 쿠션을 끌어 앉거나 등받이에 쿠션을 고이는 방법을 통해 불편한 자세로부터 벗어나고자 하였다.
또한 의자 등받이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대부분 뒤쪽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있어 앉아서 업무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등받이가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에는 별도의 방석이나 쿠션을 이용하여 의자에 앉게되는 사람의 등 또는 복부 나 가슴부위를 의지할 수 있도록 받쳐주는 방법을 통해 보다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의자에 앉는 사람이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장시간동안 동일한 형태로 의자에 앉아서 일을 하는 사람에게는 보다 안정적이면서 편안한 상태로 업무를 수행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의자의 등받이가 종전처럼 쿠션을 받쳐주는 동일한 기능과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하고, 팔걸이 또한 의자에 앉는 사람의 복부 또는 가슴부위를 의지할 수 있는 의지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에서는의자 좌판(10), 팔걸이(20), 등받이(30)가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의자 등받이(30)는 일측이 좌판(10)에 고정되고 타측은 등받이(20)에 각각 고정되는 각도조절장치(40)와 연결되어 상기 각도조절장치(40)를 기점으로 등받이(30)가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양쪽 팔걸이중 어느 하나는 좌판(1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그 내측으로 팔걸이(30)의 지주(32)가 끼워지는 지지부재(40)의 외주면에 걸림홈(34,34,..)이 형성된 지주(32)를 구속하는 고정부재(50)가 구비되고, 상기 팔걸이(30)에는 탈, 부착이 가능한 쿠션재가 두툼하게 감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의자에 있어 등받이의 각도 조절관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의자 팔걸이의 높, 낮이 조절관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의자에 있어 팔걸이가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의자 좌판 20: 등받이
30: 팔걸이 32: 지주
34: 걸림홈 40: 지지부재
50: 고정부재 70: 팔걸이 제어부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른 의자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이고, 도 2는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의 팔걸이의 높, 낮이 조절과 회전되는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의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된 좌판(10)에 팔이 거치되는 팔걸이(30)와 등을 의지할 수 있도록 된 등받이(20)가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의자의 등받이(20)는 각도조절장치(40)에 의해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등받이(20)의 전, 후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고, 양쪽 팔걸이중 어느 하나는 지지부재(50)를 지점으로 회전운동과 상, 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각도조절장치(40)는 일측단은 좌판(10)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등받이(20)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각도조절장치(4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등받이(20)가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팔걸이(30)는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된 별도의 쿠션재를 이용하여 팔이 거치되는 팔거치부에 두툼하게 감싸여져 신체와 접촉시 딱딱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팔걸이(30)가 결합되는 지지부재(40)는 중공체로 구성되어 좌판(10)의 일측면에 고정되어 그 내측으로 팔걸이(30)의 지주(32)가 끼워지도록 되고, 지지부재(40)의 외주면에는 그 내측으로 결합되는 지주(32)를 구속하는 고정부재(50)가 구비되어 있다.
지주(32)의 외주면에는 지주(32)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멈춤홈(34)이 형성되고 지지부재(40)의 고정부재(50)가 지주(32)의 멈춤홈(34)에 끼워지는 구성에 의해 지주(32)가 상,하 및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팔걸이(30)의 회전운동과 높이조절이 하나의 고정부재(50)에 의해 이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팔걸이의 회전과 높이 조절이 각각 별개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는 고정부재(50)가 지주(32)를 구속하는 지지부재(40)의 외주면에 지주(32)가 상,하 로 이동하는 것을 제어하게 하고, 팔걸이(30)와 결합되는 지주(32)의 연장부에는 팔걸이(30)가 회전하는 것을 제어하도록 된 별도의 팔걸이 제어부재(70)를 서로 독립되게 구성하여 이들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부재와 지주는 상,하 높이 조절과 회전 운동이 보다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공파이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하고자 할 때는 등받이(20)에 등을 의지한 상태에서 양쪽 팔은 팔걸이(30)(30) 위에 올려놓아 편안한 상태로 휴식을 취하는 것은 종래와 모두 동일하다.
다만, 본 고안은 의자에 앉아 있는 사용자가 책상에 놓여진 서류나 책을 들여다보기 위해 상반신을 앞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등받이(20)에서 등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 각도조절장치(40)를 이용하여 등받이(20)를 의자에 앉아 있는 사용자의 등쪽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켜 등받이가 등과 접촉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
그리하면 사용자는 등받이에 등을 의지한 상태로 책상 위의 놓여진 책이나 서류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등받이에 항상 등을 의지한 상태로 책상 앞에 앉을 수 있게 함으로써 바른 자세 유지가 가능하여 불안정한 자세에서 비롯되는 척추 손상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의자에 오랫동안 앉은 상태에서 잠시동안 휴식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팔걸이를 사용자의 복부 또는 가슴부위로 회전시킨다.
그리하면 팔걸이가 사용자의 복부 또는 가슴부위를 팔걸이가 받쳐주게되고, 상기 팔걸이에는 별도의 쿠션재가 두툼하게 감싸고 있어 마치 쿠션이나 베게를 받쳐주는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안정되고 편안하게 복부 및 가슴 부위를 팔걸이에 의지한 상태로 책을 보거나 업무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 후에는 팔걸이와 등받이를 최초상태로 복귀시키면 기존 의자와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등받이가 의자에 앉는 사람의 등을 받쳐주고, 팔걸이는 복부 또는 가슴 부위를 의지할 수 있도록 개선됨으로써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거나 공부하는 학생들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척추 및 허리 질환 등이 발생하는 것을 사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처럼 의자의 등받이에 등이 닿지 않아 별도의 쿠션을 이용하거나 또는 복부 및 가슴부위에 쿠션을 끌어안는 방법을 통해 신체를 의지하게 되는데 따른 번거러움이 없이 편안함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작용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된 의자의 좌판(10)에 팔이 거치되는 팔걸이(30)와 등을 의지할 수 있도록 된 등받이(20)가 구비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의자 등받이(20)는 일측이 좌판(10)에 고정되고 타측은 등받이(20)에 각각 고정되는 각도조절장치(40)와 연결되어 상기 각도조절장치(40)를 기점으로 등받이(30)가 소정의 각도 범위내에서 전,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고,
    양쪽 팔걸이중 어느 하나는 회전운동과 상, 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좌판(10)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40)의 내측으로 팔걸이(30)의 지주(32)가 끼워지고 상기, 지지부재(40)에는 걸림홈(34,34,..)이 형성된 지주(32)를 구속하는 고정부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30)에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된 별도의 쿠션재가 두툼하게 감싸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2020000020098U 2000-07-13 2000-07-13 의자 KR200204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098U KR200204865Y1 (ko) 2000-07-13 2000-07-13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098U KR200204865Y1 (ko) 2000-07-13 2000-07-13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4865Y1 true KR200204865Y1 (ko) 2000-12-01

Family

ID=1966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098U KR200204865Y1 (ko) 2000-07-13 2000-07-13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8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632B1 (ko) 2008-04-18 2008-12-31 정연재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632B1 (ko) 2008-04-18 2008-12-31 정연재 자세 교정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4153B1 (en) A tattoo chair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4793655A (en) Multi-position convertible therapeutic chair
JP6741425B2 (ja) 姿勢保持具
KR960030854A (ko) 등받이가 분리되는 의자
JPS63503284A (ja) 調節自在な腰掛け装置
US11337525B1 (en) Reclining seatback support device
WO2001071527A3 (en) Ergonomic chair
KR200204865Y1 (ko) 의자
JP2007000570A5 (ko)
KR100355031B1 (ko) 다기능 의자
KR20200144928A (ko) 마사지기능이 있는 컴퓨터의자
KR200379971Y1 (ko) 요추지지 의자
KR101384102B1 (ko) 의자
KR200314480Y1 (ko) 전후 회전 머리받침
KR200331369Y1 (ko) 배받이 의자
JP3133194U (ja) 座椅子
JP3100377B1 (ja) 椅 子
JP2000270964A (ja) スイング式枕付腰掛
KR20040042025A (ko) 상판 일체형 교구 의자
KR20120061581A (ko) 요추부 지지 의자
CN220181093U (zh) 一种用于航空座椅的背靠调节机构
KR100676208B1 (ko) 척추교정용 의자
KR200180804Y1 (ko) 스텐드형 의자
KR200302824Y1 (ko) 상판 일체형 교구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