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551U - 요추지지 의자 - Google Patents

요추지지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551U
KR20220000551U KR2020200003145U KR20200003145U KR20220000551U KR 20220000551 U KR20220000551 U KR 20220000551U KR 2020200003145 U KR2020200003145 U KR 2020200003145U KR 20200003145 U KR20200003145 U KR 20200003145U KR 20220000551 U KR20220000551 U KR 202200005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backrest
lumbar support
tension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태우
Original Assignee
(주)일루일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루일루 filed Critical (주)일루일루
Priority to KR2020200003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551U/ko
Publication of KR202200005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5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resilient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요추지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의 엉덩이가 착석되는 착석부와 착석부의 하부에 높이조절 및 회전체가 구비된 요추지지 의자에 있어서, 착석부의 일측에 신체의 등이 접촉하는 등받이부와 등받이부의 외측면에 'X'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텐션부와 등받이부의 내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신체의 요추가 접촉하는 요추지지부와 착석부와 등받이의부의 외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요추지지부에 결합된 힌지부 및 착석부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직선왕복 이동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는 요추지지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요추지지 의자{LUMBAR SUPPORTING CHAIR}
본 고안은 요추지지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부의 외측면에 'X'자 형상의 텐션부에 의해 등 전체를 지지하고, 텐션부의 하부에 요추가 접촉하는 요추지지부에 일면에 소정의 곡선을 이루는 메인판과 메인판에 럼버텐션부를 형성하여 텐션작용으로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지지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좌판과,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 좌판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 및 등받이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여 주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의자의 등받이 및 헤드레스트에는 사용자 편의를 위한 쿠션이 설치되며, 최근에는 쿠션으로 온도와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통풍이 잘되어 사용자에게 큰 편의성을 제공하는 시트를 이용하는 의자가 제조되고 있다.
또한, 의자의 등받이에 인체의 요추를 지지하기 위한 요추 지지부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있을 때에 요추 부위를 적절하게 받쳐 주어서 장시간 앉아 있어도 허리, 특히 요추 부분에 무리를 주지 않는 의자가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의자는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현장 등에서 매우 장시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공부를 하는 학생들부터 사무실에 앉아 업무를 하는 직장인까지 의자에 앉아서 신체를 의지하며 생활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7193호(2004.04.02. 등록)인 요추받이 의자를 살펴보면, 엉덩이가 안착되는 좌석받이와 등이 기대어지는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요추받이와, 등받이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놉과, 회전놉의 회전에 따라 요추받이를 등받이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 및 몰입시키는 회전봉을 포함하는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사용자가 좌석받이에 앉았을 때, 의자에 설치된 요추받이에 사용자의 요추 중앙부분이 단순히 접촉 지지되는 구성이다.
이로 인해, 좌석받이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발생될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요추에 대한 지지역할을 전혀 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추(허리뼈)부위에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요추받이는 등받이에 단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는 방향으로 자세를 변경하게 될 경우 요추지지부로부터 사용자의 요추부분이 이격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허리의 피로도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의자에 설치되는 요추받이는 사용자가 정확한 자세로 좌석받이에 착석할 경우,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지지할 수 있으나, 신체의 움직임이 발생될 경우, 현실적으로 요추부분이 지지될 수 없어 오랜 시간동안 의자에 앉아서 업무를 보거나 공부를 하는 경우 요추 부위에 피로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719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받이부의 외측면에 'X'자 형상의 텐션부에 의해 등전체를 지지하고, 텐션부의 하부에 요추가 접촉하는 요추지지부에 일면에 소정의 곡선을 이루는 메인판과 메인판에 럼버텐션부룰 형성하여 텐션작용으로 요추를 지지하는 새로운 구조의 요추지지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텐션부에 메인프레임으로부터 힌지부의 방향으로 각각 하향 경사를 이루며 연장된 서브프레임부를 형성하여 요추지지부를 보강해주는 요추지지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체의 엉덩이가 착석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높이조절 및 회전체가 구비된 요추지지 의자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의 일측에 신체의 등이 접촉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외측면에 'X'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텐션부;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신체의 요추가 접촉하는 요추지지부;
상기 착석부와 상기 등받이의부의 외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요추지지부에 결합된 힌지부; 및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직선왕복 이동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는
요추지지 의자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지지 의자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외측면의 각 모서리로부터 서로 교차하도록 연장된 'X'자 형상의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등받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곡선을 이루며 일방향으로 돌출된 텐션경사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힌지부의 방향으로 각각 하향 경사를 이루며 연장된 서브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지지 의자에 있어서, 상기 요추지지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힌지부에 결합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축으로 상하 이동하는 위치조정부; 및 상기 위치조정부에 각각 결합되어 신체의 요추부분이 접촉하는 럼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지지 의자에 있어서, 상기 럼버는 신체의 요추부분에 대응하여 일면이 소정의 곡선을 이루는 메인판; 및 상기 메인판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호형상의 홈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판의 일측으로부터 타측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럼버텐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요추지지 의자는 등받이부의 외측면에 'X'자 형상의 텐션부에 의해 등전체를 지지하고, 텐션부의 하부에 요추가 접촉하는 요추지지부에 일면에 소정의 곡선을 이루는 메인판과 메인판에 럼버텐션부룰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적인 차이에 따라 대응하여 요추를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요추지지 의자는 텐션부에 메인프레임으로부터 힌지부의 방향으로 각각 하향 경사를 이루며 연장된 서브프레임부를 형성하여 요추지지부를 보강해줌으로써, 요추로 인가되는 신체의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텐션을 제공하여 요추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지지 의자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지지 의자의 요추지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일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요추지지 의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지지 의자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지지 의자의 요추지지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일측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지지 의자(10)는 등받이부(100), 텐션부(200), 요추지지부(300), 힌지부(400) 및 발판부(5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요추지지 의자(10)는 신체의 엉덩이가 착석되는 착석부(11)와 착석부의 하부에 높이조절 및 회전체가 구비된 요추지지 의자에 있어서, 착석부의 일측에 신체의 등이 접촉하는 등받이부(100), 등받이부의 외측면에 'X'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텐션부(200), 등받이부의 내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신체의 요추가 접촉하는 요추지지부(300), 착석부와 등받이의부의 외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요추지지부에 결합된 힌지부(400) 및 착석부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직선왕복 이동하는 발판부(5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등받이부(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신체의 등의 형상에 대응하여 프레임의 양측이 곡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등받이부(100)는 소정의 두께와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텐션력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등받이부(100)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점진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거나 하부방향에 보조프레임을 결합하여 하부로 작용하는 하중을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텐션부(200)는 등받이부(100)의 외측면에 'X'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텐션부(200)는 메인프레임(210), 텐션경사부(220) 및 서브프레임(230)을 더 포함한다.
메인프레임(210)은 등받이부(100)의 외측면의 각 모서리로부터 서로 교차하도록 연장된 'X'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된다.
또한, 메인프레임(210)은 'X'자의 중앙부를 판으로 형성하여 하중이 중앙으로 인가되는 것을 보강할 수 있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텐션경사부(220)는 메인프레임(210)이 등받이부(1000의 외측면으로부터 곡선을 이루며 일방향으로 돌출된 경사를 형성한다.
이러한 텐션경사부(220)는 등받이부(100)에 하중이 인가되면 인가되는 방향으로 등받이부(100)가 휘어진다.
이때, 메인프레임(210)은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텐션경사부(220)는 메인프레임(210)의 지지력에 대해 반발력이 작용하여 등받이부(100)를 하중이 인가되는 반대방향으로 밀어낸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등받이부(100)에 등을 대고 일정하중을 인가시키더라도 등받이부(100)를 지지해주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브프레임(230)은 메인프레임(210)으로부터 힌지부(400)의 방향으로 각각 하향 경사를 이루며 연장된다.
이러한 서브프레임(230)은 메인프레임(210)으로 하중이 인가되면서 힌지부(400)를 축으로 메인프레임(210)이 지지하는 지지력을 보강해준다.
즉, 서브프레임(230)은 메인프레임(210)으로 전달되는 하중에 대해 힌지부(400)로 분산시켜줌으로써, 등받이부(100)의 하부를 보강해주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요추지지부(300)는 등받이부의 내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신체의 요추가 접촉한다.
이를 위해, 요추지지부(300)는 지지프레임(310), 위치조정부(320) 및 럼버(33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31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힌지부에 결합된 프레임이다.
위치조정부(320)는 지지프레임(310)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지지프레임(310)을 축으로 상하 이동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럼버(3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착석부(11)에 착석하는 신체의 변화에 따라 대응할 수 있게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럼버(330)는 위치조정부(320)에 각각 결합되어 신체의 요추부분이 접촉하는 판으로 형성된다.
즉, 럼버(330)는 메인판(331) 및 럼버텐션부(332)를 더 포함한다.
메인판(331)은 신체의 요추부분에 대응하여 일면이 소정의 곡선을 이루는 판으로 형성된다.
특히, 메인판(331)은 지지프레임(310)의 양측에 위치하여 착석자의 허리 뒷면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허리의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판(331)은 허리의 곡선에 대응하도록 일면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허리가 일면에 안착되게 하였다.
럼버텐션부(332)는 메인판(331)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호형상의 홈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되, 메인판(33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호를 형성한다.
이러한 럼버텐션부(332)는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되 일부 하중에 대해 텐션력을 발생하여 허리를 움직이거나 또는 등받이부(100)의 방향으로 눕는 행위에 대해서 요추부분이 메인판(331)에 무리하게 접촉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도 2를 참조하면, 힌지부(400)는 착석부(11)와 등받이의부(100)의 외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요추지지부(300)에 결합된다.
이러한 힌지부(400)는 등받이부(100)의 위치를 원하는 각도로 위치하게 해주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발판부(500)는 착석부(11)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직선왕복 이동한다.
이를 위해, 발판부(500)는 착석부의 하부양측에 메인관이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직선왕복 이동하는 슬라이딩프레임이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딩프레임의 일측에 판으로 형성되어 발 및 종아리가 안착될 수 있는 크기의 안착부재가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요추지지 의자
11 : 착석부
100 : 등받이부
200 : 텐션부
210 : 메인프레임
220 : 텐션경사부
230 : 서브프레임
300 : 요추지지부
310 : 지지프레임
320 : 위치조정부
330 : 럼버
331 : 메인판
332 : 러버텐션부
400 : 힌지부
500 : 발판부

Claims (4)

  1. 신체의 엉덩이가 착석되는 착석부와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높이조절 및 회전체가 구비된 요추지지 의자에 있어서,
    상기 착석부의 일측에 신체의 등이 접촉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외측면에 'X'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텐션부;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신체의 요추가 접촉하는 요추지지부;
    상기 착석부와 상기 등받이의부의 외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요추지지부에 결합된 힌지부; 및
    상기 착석부의 하부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직선왕복 이동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는
    요추지지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는
    상기 등받이부의 외측면의 각 모서리로부터 서로 교차하도록 연장된 'X'자 형상의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이 상기 등받이부의 외측면으로부터 곡선을 이루며 일방향으로 돌출된 텐션경사부; 및
    상기 메인프레임으로부터 상기 힌지부의 방향으로 각각 하향 경사를 이루며 연장된 서브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요추지지 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지지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일측이 상기 힌지부에 결합된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축으로 상하 이동하는 위치조정부; 및
    상기 위치조정부에 각각 결합되어 신체의 요추부분이 접촉하는 럼버를 더 포함하는
    요추지지 의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럼버는
    신체의 요추부분에 대응하여 일면이 소정의 곡선을 이루는 메인판; 및
    상기 메인판의 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호형상의 홈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판의 일측으로부터 타측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럼버텐션부를 더 포함하는
    요추지지 의자.
KR2020200003145U 2020-08-28 2020-08-28 요추지지 의자 KR202200005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45U KR20220000551U (ko) 2020-08-28 2020-08-28 요추지지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145U KR20220000551U (ko) 2020-08-28 2020-08-28 요추지지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51U true KR20220000551U (ko) 2022-03-08

Family

ID=8081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145U KR20220000551U (ko) 2020-08-28 2020-08-28 요추지지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551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193B1 (ko) 2001-07-31 2004-04-14 주식회사 리바트 요추받이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193B1 (ko) 2001-07-31 2004-04-14 주식회사 리바트 요추받이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11844B2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US4634178A (en) Adaptable seating device
US5330254A (en) Workplace chair
US2745468A (en) Chair with resilient tilting seat and back
US10321763B2 (en) Chair
US20080100121A1 (en) Dynamically balanced seat assembly having independently and arcuately movable backrest and method
JP2003521956A (ja) 椅子機構
JPS6043964B2 (ja) 疲労の少ない椅子
US4489982A (en) Pelvic support method and means
US3332718A (en) Swinging chair
RU2171086C2 (ru) Подушка для сидения стула и сидение стула с такой подушкой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CA1324313C (en) Rocking chair
EP1579787A1 (en) Chair having automatic back inclination adjustment
KR102399313B1 (ko) 의자
KR20220000551U (ko) 요추지지 의자
KR101062298B1 (ko) 회동좌판이 구비된 의자
KR102616462B1 (ko) 3d 모션 의자
KR102574701B1 (ko) 자세 교정형 의자
KR102458967B1 (ko) 허리 밀착 의자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JPH0437479Y2 (ko)
US10667611B1 (en) Active seating apparatus
KR200180804Y1 (ko) 스텐드형 의자
KR20170097314A (ko) 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