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197B1 -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 - Google Patents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197B1
KR101106197B1 KR1020110058329A KR20110058329A KR101106197B1 KR 101106197 B1 KR101106197 B1 KR 101106197B1 KR 1020110058329 A KR1020110058329 A KR 1020110058329A KR 20110058329 A KR20110058329 A KR 20110058329A KR 101106197 B1 KR101106197 B1 KR 101106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plate
base plate
seat
elastic displac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란순
Original Assignee
김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란순 filed Critical 김란순
Priority to KR1020110058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19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착석자가 앉는 좌판부(100)를 구성하는 베이스판(110)의 상면에 좌판(120)이 배치되고, 이 좌판(120)의 저면에 상하 탄성 변위를 일으킬 수 있는 탄성수단(140)이 배치되며, 상기 탄성수단(140)에 의해 상기 좌판(120)의 후방 쪽이 전방 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착석자의 체중에 의해 부여되는 하중에 따라 상기 좌판(120)이 탄성수단(140)을 매개로 상하로 탄성 변위되어 착석자의 앉은 자세 변화에 따라 쿠션감이 가변되면서 효과적으로 대응하게 되고, 허리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허리운동 효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Elastic displacement structure of seat board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자가 앉는 좌판부를 구성하는 베이스판의 상면에 장착되는 좌판의 저면 쪽에 탄성 변위되는 탄성수단을 배치하고,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좌판의 후방 쪽이 전방 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착석자가 좌판에 앉은 자세에 따른 하중 분포에 따라 경사진 좌판이 상하로 탄성 변위되도록 한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의자는 사람이 앉아서 필요한 업무를 수행하는 일상에서 매우 필요한 가구로써, 특히, 공부를 하는 학생이나 직장 생활에서 사무를 보는 직장인들과 같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생활하게 되는 사람들에게는 편안하고 안락하면서도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인체공학적 의자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할 것이다.
이에 최근 착석자의 허리에 집중되는 하중으로 분산시켜 줄 수 있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의자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의자가 많이 연구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일반적인 의자는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를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좌판부에 앉는 사람의 등을 받쳐주게 되는 등받이부 및 상기 좌판부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팔걸이부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의자에 사람이 장시간 앉아 생활하다 보면, 항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가 어려워 구부정한 자세나 한쪽으로 치우친 자세 등으로 앉아 있게 된다.
또한, 의자에 앉은 자세 자체의 특성상 신체의 움직임이 한정됨은 물론 적어지게 되면서 허리에 무리한 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게 되고, 상기와 같은 제한적인 움직임으로 인해 엉덩이와 허리에 상체의 하중이 집중되면서 인체의 전반적인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앉아 있는 상태의 고정된 자세에 의한 근육을 긴장시켜 온몸을 뻐근하게 하는 등 운동 부족의 문제 및 신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앉은 자세가 올바르지 못한 상태에서 장시간 의자에 앉아 있을 경우 허리에 무리한 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게 됨에 따라 요통이 발생하게 되면서 이러한 상태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 최악의 경우에는 디스크가 발병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이미 알려져 있다.
한편, 종래 대부분의 의자 좌판은 후방 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을 뿐 그 이상의 변형이나 작동을 시킬 수 없기 때문에 장시간 앉아 있게 되면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좌판을 후방 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하는 이유는 수평으로 하거나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할 경우에는 앞쪽이 낮음에 따라 신체의 자세가 앞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편안한 앉은 자세를 제공하기 위하여 후방 측이 낮게 후방 측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 지게 제작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의자 외에 모든 의자들은 기본적으로 책상 앞에 바르게 앉을 때에는 편안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책상 위에 손을 얹고 작업이나 글을 쓸 때에는 신체의 상부가 앞쪽으로 당겨지게 됨과 동시에 엉덩이가 뒤로 빠지는 형태를 이루게 되고, 이 상태로 오래 앉아 있으면 허리가 아프고 요통의 발병 원인이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의자에 일체로 무릎 받침대를 형성하고, 좌판 또한 앞쪽을 낮게 기울어지게 하여 장시간 착석에 따른 신체의 피로감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한 의자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자는 무릎 받침대가 의자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착석이 불편하고, 무릎 받침대를 구비함에 따라 의자의 중량이 무거워져 이동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와 더불어 의자 제작에 소요되는 원자재의 증가로 원가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의자는 무릎 받침대를 이용하여 신체의 무게중심을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외에 다른 부가적인 기능이 없어서 요구되는 활용성이 떨어지는 등 활용범위가 좁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의자 좌판은 후방 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착석자가 무심히 의자에 앉다가 좌판이 뒤쪽으로 경사진 관계로, 엉덩방아 찧듯이 풀석 주저앉게 되면서 순간적으로 당황하거나 놀라는 경우가 종종 있었고, 기존의 의자 좌판은 좌판시트의 쿠션감 외에는 착석자의 하중을 지탱 줄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 새로운 추가 기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착석자의 체중에 의해 부여되는 하중에 따라 좌판이 상하로 탄성 변위되어 높은 쿠션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허리운동 효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좌판의 저면에 각각 배치되는 탄성수단만으로 착석자의 하중을 받아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상하로 탄성 변위되어 착석자의 앉은 자세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석자에게 착석 시의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어 제품 만족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한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의자 좌판의 저면 전방 쪽에 배치한 탄성수단에 의해 좌판의 후방 쪽이 전방 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종래 좌판이 뒤쪽으로 경사진 경우에 종종 발생하는 착석자가 무심히 의자에 앉다가 엉덩방아 찧듯이 풀석 주저앉게 되면서 순간적으로 당황하거나 놀라는 경우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리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설치되는 좌판으로 이루어진 좌판부를 갖는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과 좌판의 사이에는 상기 좌판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하중에 따라 상하로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상기 좌판의 후방 쪽이 전방 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를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좌판부의 전단면과 나란하게 베이스판과 좌판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을 좌판과 베이스판에 각각 지지 고정하는 좌판고정편 및 베이스고정편과, 상기 힌지축 상에 끼워져서 좌판과 베이스판 사이에 탄성 변위를 부여하도록 코일 형태로 감긴 상태에서 양 자유단이 텐션 작용하게 형성된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데 그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좌판부의 전단면과 나란하게 베이스판과 좌판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을 좌판과 베이스판에 각각 지지 고정하는 좌판고정편 및 베이스고정편과, 상기 힌지축과 별도의 위치에서 상기 좌판과 베이스판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탄성 변위를 부여하는 코일 형태로 감긴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데 그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판을 관통하여 좌판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과 좌판의 경사각을 조절하게 됨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 변위량을 제한 조절할 수 있는 탄성변위조절구를 갖춘 것에 그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석자가 앉는 좌석부를 구성하는 베이스판의 상면에 좌판이 배치되고, 이 좌판의 저면에 탄성수단이 배치됨으로써, 착석자의 체중에 의해 부여되는 하중에 따라 상기 좌판이 상하로 탄성 변위되어 높은 쿠션감을 부여함과 아울러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허리운동 효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판의 저면에 각각 배치되는 탄성수단만으로 착석자의 하중을 받아 하중을 분산시키면서 상하 탄성 변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착석자의 앉은 자세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착석자에게 착석 시의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어 제품 만족도 및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 좌판의 저면 전방 쪽에 배치한 탄성수단에 의해 좌판의 후방 쪽이 전방 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종래 좌판이 뒤쪽으로 경사진 경우에 종종 발생하는 착석자가 무심히 의자에 앉다가 엉덩방아 찧듯이 풀석 주저앉게 되면서 순간적으로 당황하거나 놀라는 경우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하로 탄성 변위하는 탄성수단이 장착된 좌판을 갖춘 기능성 의자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과 베이스판 사이에 탄성수단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과 베이스판 사이에 탄성수단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의 배면 쪽에서 바라 볼 경우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하로 탄성 변위하는 탄성수단이 장착된 좌판을 갖춘 기능성 의자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과 베이스판 사이에 탄성수단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4에 도시된 의자의 배면 쪽에서 바라 볼 경우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판과 베이스판 사이에 설치된 탄성수단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용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좌판과 베이스판 사이에 설치된 탄성수단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용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변위구조를 갖는 좌판이 설치된 의자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좌판을 이용하여 허리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허리 건강과 디스크 예방의 효과를 갖도록 함과 아울러 착석자의 앉은 자세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석자에게 착석 시의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기능성 의자에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변위구조를 갖는 좌판을 설치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그 중에서 첨부도면에 도시된 하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의자만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하로 탄성 변위하는 탄성수단이 장착된 좌판을 갖춘 기능성 의자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의자는, 사람이 앉을 수 있는 좌판부(100)와, 상기 좌판부(100)를 지지하는 다리부(200)와, 상기 좌판부(100)에 앉는 사람의 등을 받쳐주게 되는 등받이부(300) 및 상기 좌판부(100)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팔걸이부(400)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자에는 통상의 의자에서 보여주는 등받이부(300) 및 팔걸이부(400)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등받이부(300) 및 팔걸이부(400)의 설치 유무는 본 발명의 탄성 변위구조를 갖는 좌판부(100)와 연관성이 없는 별개의 구성임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등받이부(300) 및 팔걸이부(400)는 단순히 하나의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 일 뿐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좌판부(100)는 다리부(200)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좌판(120)과, 상기 좌판(120)을 감싸며 쿠션을 제공하는 쿠션시트(13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좌판(120)의 저면과 베이스판(110) 상면 사이에는 탄성수단(140)이 설치되어, 좌판부(120)에 착석한 사람의 체중에 의해 탄성수단(140)에 가해지는 하중의 차이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140)의 상부에 연결된 좌판(120)이 상하로 탄성 변위됨으로써, 허리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허리 통증을 완화하고 디스크를 예방하고, 착석자의 앉은 자세 변화에 따라 쿠션감이 가변되면서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하는 데 그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수단(140)은 상기 베이스판(110)과 좌판(120)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축(141)과, 상기 힌지축(141)을 좌판(120)과 베이스판(110)에 각각 지지 고정하는 좌판고정편(142) 및 베이스고정편(143)과, 상기 힌지축(141)상에 끼워져 좌판(120)과 베이스판(144) 사이에 탄성 변위를 부여하는 토션스프링(144)을 포함한다.
즉, 상기 힌지축(141)은 원통형 축 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 힌지축(141)의 외주면 상에 격자형 판상 구조를 갖는 상기 좌판고정편(142) 및 베이스고정편(143)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용접 고정되며, 이렇게 용접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좌판(120)과 베이스판(110)에 좌판고정편(142) 및 베이스고정편(143)이 각각 접합 체결됨으로써, 상기 힌지축(141)이 좌판(120)과 베이스판(110) 사이에 견고하게 조립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정 조립된 힌지축(141) 상에는 코일 형태로 감긴 상태에서 양 자유단이 텐션 작용하도록 형성된 토션스프링(144)이 끼워지고, 이렇게 끼워진 토션스프링(144)이 착석자의 착석에 따른 하중 작용에 의해서 다리부(200)에 고정된 베이스판(110) 상의 힌지축(141)을 기준으로 좌판(120)에 상하 탄성 변위를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힌지축(141)과 토션스프링(144)을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2개씩 배치하여 탄성 변위가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탄성수단(14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120)의 저면에 각각 복수개 장착되는데, 그 위치는 특정한 곳에 국한되지 않으나, 상기 좌판(120)에 가해지는 압력을 보다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힌지축(141)과 토션스프링(144) 각각 하나만으로도 충분한 탄성 변위를 구현할 수 있게 설계강도를 조절하면,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좌판(120)의 상하 탄성 변위를 구현할 수 있으나, 보다 구조적인 안정감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에 2개씩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힌지축(141)과 토션스프링(144)이 좌우 일정간격을 두고 2개씩 배치할 경우에 서로 분할된 두개의 힌지축(141)을 연결하기 위하여 동일선상에 배치된 2개의 힌지축(141)의 내경을 관통하는 연결바(145)를 통해 상호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바(145)는 힌지축(141)의 강도를 보강하는 측면을 가지고 있으면서 두 개의 힌지축(141)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착석자에 의한 하중 작용시 한쪽으로 하중이 집중되지 않고 고르게 분산 작용하도록 유도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좌우 분할 배치된 힌지축(141)을 일체된 하나의 힌지축(141)으로 구성하고, 이 하나의 힌지축(141)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2개의 토션스프링(144)을 장착하여 사용하더라도 좌판(120)의 상하 탄성 변위를 유도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연결바(145)가 없어도 작동 관계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144)의 양 자유단에 형성된 텐션부위를 상기 베이스판(110)과 좌판(120) 사이에 각각 밀착 고정시킬 때, 토션스프링(144)의 힌지축(141) 상에서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110)과 좌판(120)에 각각 토션스프링(144)의 양 자유단이 안착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111)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도면상에는 상기 베이스판(110)에만 고정홈(111)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도면에 도시하는 과정에서 좌판(120)의 저면 상에 형성된 고정홈은 도시하기 어려워 보여주지 않고 있을 뿐이지 좌판(120) 상에도 도시되지 않은 고정홈(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션스프링 대신에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수단(40)은 상기 좌판부(100)의 전단면과 나란하게 베이스판(110)과 좌판(120)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축(141)과, 상기 힌지축(141)의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141)을 좌판(120)과 베이스판(110)에 각각 지지 고정하는 좌판고정편(142) 및 베이스고정편(143)과, 상기 힌지축(141)과 별도의 위치에서 상기 좌판(120)과 베이스판(110)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탄성 변위를 부여하는 코일 형태로 감긴 코일스프링(146)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코일스프링(146) 역시 주지하는 바와 같이 압축 코일 형태를 취하고 있어 작용 하중 방향에 따라 상하 탄성 변위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탄성수단의 구성요소로 충분히 사용 가능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이 추구하는 사상은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 외에도 상기 베이스판(110)과 좌판(120)의 사이에 상기 좌판(120)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하중에 따라 상하로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수단(140)을 설치하고, 상기 탄성수단(140)에 의해 상기 좌판(120)의 후방 쪽이 전방 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하는 구조를 구현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라면 누구나 쉽게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판(110)을 관통하여 좌판(120)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110)과 좌판(120)의 경사각을 조절하게 됨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140)의 탄성 변위량을 제한 조절할 수 있는 탄성변위조절구(150)를 갖추고 있다.
상기 탄성변위조절구(150)는 베이스판(110)의 저면 쪽에서 베이스판(110)에 관통 조립된 조립나사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바, 상기 탄성변위조절구(150)를 돌려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나사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면 상기 좌판(120)과 베이스판(110) 사이에 형성되는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탄성 변위 각도(혹은 탄성 변위량)을 일정 각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의 작동 상태가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통상 상기 좌판(120)의 형상은 편안한 착석을 고려하여 인체공학적으로 약간의 뒤틀린 곡면 구조로 형성되고, 그 위에 쿠션시트(130)가 엉덩이 및 허벅지 부위의 밀착 정도 및 쿠션 정도를 고려하여 설계되어 장착되게 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판(110)과 좌판(120)의 사이에 상기 좌판(120)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하중에 따라 상하로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수단(140)을 설치하고, 상기 탄성수단(140)에 의해 상기 좌판(120)의 후방 쪽이 전방 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착석자가 좌판부(100)의 쿠션시트(130)에 앉을 경우, 대부분 착석자의 엉덩이 부위 전체와 허벅지 일부분이 쿠션시트(130)에 밀착되면서 상기 좌판(120)에 하중을 가하게 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상기 쿠션시트(130)에 밀착된 엉덩이 부위 쪽이 허벅지 부위 쪽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하중이 집중되게 됨에 따라 상기 좌판(120)에 가해지는 압력(하중)을 따라 좌판 저면에 설치된 탄성수단이 탄성 변위를 일으켜 상향 경사진 좌판의 뒤부분이 눌려지게 된다.
물론, 상기 탄성 변위에 대해서 착석자에 따라 느끼는 작용 효과는 천차만별로 나타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탄성 작용은 착석자에 의해 작용되는 하중 정도에 의해 결정되는 관계로, 착석자가 장기간 앉아 있는 자세에 몸을 앞으로 기울이는 것과 같은 자세 변화를 주면, 그에 따라 좌판의 탄성 변위도 변화하면서 자세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게 되며, 착석자는 앉은 자세 변화에 따른 쿠션감을 변화를 느낄 수 있어 올바른 자세를 잡는 데 도움을 주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지속적인 하중 변화에 따라 좌판에서 탄성 변위가 일어나 허리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착석자가 엉덩이의 일정 부위를 본 발명에 따른 좌판부(100)에 착석한 후 허리를 앞뒤로 움직이면, 상기 탄성수단(14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좌판(120)이 탄성 변위하고, 이러한 탄성 변위를 일으키는 운동을 반복하면, 자연스럽게 상부 척추 및 허리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허벅지를 이용하여 상기 좌판(120)을 하방으로 누르는 동작을 반복하면 엉덩이 근육의 근력을 강화시켜 힙업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가 갖는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좌판부 110 : 베이스판
120 : 좌판 130 : 쿠션시트
140 : 탄성수단 141 : 힌지축
142 : 좌판고정편 143 : 베이스고정편
144 : 토션스프링 145 : 연결바
146 : 코일스프링 150 : 탄성변위조절구
200 : 다리부

Claims (4)

  1. 삭제
  2. 다리부(200)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좌판(120)으로 이루어진 좌판부(100)를 갖추고, 상기 베이스판(110)과 좌판(120)의 사이에는 상기 좌판(120)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하중에 따라 상하로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수단(140)이 설치되는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140)은 상기 좌판부(100)의 전단면과 나란하게 베이스판(110)과 좌판(12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원통형 축 구조를 갖는 2개의 힌지축(141)과, 상기 각각의 힌지축(141)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141)을 좌판(120)과 베이스판(110)에 각각 지지 고정하는 좌판고정편(142) 및 베이스고정편(143)과, 상기 각각의 힌지축(141) 상에 끼워져서 좌판(120)과 베이스판(110) 사이에 탄성 변위를 부여하도록 코일 형태로 감긴 상태에서 양 자유단이 텐션 작용하게 형성된 2개의 토션스프링(144)과, 상기 동일선상에 배치된 2개의 힌지축(141)의 내경을 관통 연결하는 연결바(145)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140)이 좌판(120)의 전방 쪽으로 치우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좌판(120)의 후방 쪽이 전방 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
  3. 다리부(200)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상면에 설치되는 좌판(120)으로 이루어진 좌판부(100)를 갖추고, 상기 베이스판(110)과 좌판(120)의 사이에는 상기 좌판(120)에 가해지는 착석자의 하중에 따라 상하로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수단(140)이 설치되는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40)은 상기 좌판부(100)의 전단면과 나란하게 베이스판(110)과 좌판(120)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원통형 축 구조를 갖는 2개의 힌지축(141)과, 상기 각각의 힌지축(141)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141)을 좌판(120)과 베이스판(110)에 각각 지지 고정하는 좌판고정편(142) 및 베이스고정편(143)과, 상기 힌지축(141)과 별도의 위치에서 상기 좌판(120)과 베이스판(110) 사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탄성 변위를 부여하는 코일 형태로 감긴 코일스프링(146)과, 상기 동일선상에 배치된 2개의 힌지축(141)의 내경을 관통 연결하는 연결바(145)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수단(140)이 좌판(120)의 전방 쪽으로 치우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좌판(120)의 후방 쪽이 전방 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10)을 관통하여 좌판(120)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판(110)과 좌판(120)의 경사각을 조절하게 됨에 따라 상기 탄성수단(140)의 탄성 변위량을 제한 조절할 수 있는 탄성변위조절구(150)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
KR1020110058329A 2011-06-16 2011-06-16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106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329A KR101106197B1 (ko) 2011-06-16 2011-06-16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329A KR101106197B1 (ko) 2011-06-16 2011-06-16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197B1 true KR101106197B1 (ko) 2012-01-18

Family

ID=45614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329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6197B1 (ko) 2011-06-16 2011-06-16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1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848B1 (ko) 2012-09-05 2012-12-24 박용서 자세교정의자
CZ305252B6 (cs) * 2013-12-16 2015-07-01 Peška-Židle A Křesla S.R.O. Zařízení pro balanční volitelné uspořádání sedáku židle
CN110367725A (zh) * 2018-04-12 2019-10-25 美国皮革运营有限责任公司 运动椅
CN112806758A (zh) * 2021-02-09 2021-05-18 博格睿(重庆)科技有限公司 一种自定位铰链支撑结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848B1 (ko) 2012-09-05 2012-12-24 박용서 자세교정의자
CZ305252B6 (cs) * 2013-12-16 2015-07-01 Peška-Židle A Křesla S.R.O. Zařízení pro balanční volitelné uspořádání sedáku židle
CN110367725A (zh) * 2018-04-12 2019-10-25 美国皮革运营有限责任公司 运动椅
US11583085B2 (en) 2018-04-12 2023-02-21 American Leather Operations, Llc Motion chair
CN110367725B (zh) * 2018-04-12 2023-03-14 美国皮革运营有限责任公司 运动椅
US11910932B2 (en) 2018-04-12 2024-02-27 American Leather Operations, Llc Motion chair
CN112806758A (zh) * 2021-02-09 2021-05-18 博格睿(重庆)科技有限公司 一种自定位铰链支撑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3568A (en) Two platform motion seat
US4500137A (en) Physiological chair
JP2017533069A (ja) 着座者の閾下運動を生じさせるための事務用、作業用、及びレジャー用椅子、及び椅子又は座部面用後付けキット
JP2009540871A (ja) 腰の強化に使用される椅子
WO2008091178A1 (fr) Chaise et variantes
KR101106197B1 (ko) 의자용 좌판의 탄성 변위구조
KR100995967B1 (ko) 의자 등받이 구조
AU2016262706A1 (en) A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102399313B1 (ko) 의자
KR100942429B1 (ko) 롤러식 좌판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의자
JP2011527927A (ja) 姿勢校正用椅子
US7377889B2 (en) Chair providing dynamic thrust to exercise lumbar area of spine
KR20180006024A (ko)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CN107136816B (zh) 一种坐姿矫正坐具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SE1900200A1 (en) Ergonomic chair
KR102147959B1 (ko) 스마트의자
KR20140093055A (ko) 탄성수단을 갖는 의자용 좌판
EP3796813B1 (en) Sitting furniture
KR102290271B1 (ko) 실버 스포츠 안락 의자
PL66963Y1 (pl) Krzeslo zdrowotne
KR20100120438A (ko) 등받이 회전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자
KR20230025298A (ko) 기능성 좌식 의자
KR200257048Y1 (ko) 의자
KR20160107925A (ko) 운동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1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8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1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9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111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11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9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