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658B1 -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 - Google Patents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658B1
KR102592658B1 KR1020220146810A KR20220146810A KR102592658B1 KR 102592658 B1 KR102592658 B1 KR 102592658B1 KR 1020220146810 A KR1020220146810 A KR 1020220146810A KR 20220146810 A KR20220146810 A KR 20220146810A KR 102592658 B1 KR102592658 B1 KR 102592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protrusion
backrest
base frame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듀오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듀오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듀오백
Priority to KR1020220146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for changing a straight chair into an easy chair, e.g. by inverting or tilting seat and back-rest in the base frame or by overturning the whole 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탄성체를 포함하는 회전축을 경사지게 설치하는 특정 구조를 통해 의자의 등받이에 간단하면서도 저렴한 구조로 틸팅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는, 받침다리와 좌판 및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적용되되; 파이프 형태를 갖는 한 쌍의 받침다리 상단에 장착되도록 "┏┓"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의 전면 양측에는 각각 반원형태로 장착돌기가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돌기에는 좌우방향으로 설치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직사각틀 형태의 지지프레임 후면 양측에는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장착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돌출부 표면에 안착홈이 요입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양측벽을 관통하여서는 관통홀이 천공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돌출부 안착홈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장착돌기가 삽입된 후, 상호 연통되는 설치홀 및 관통홀에는 회전축이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은 일정 길이의 봉부재인 핀의 외면에 관형태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감싸여져 구성된다.

Description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TILTING STRUCTURE FOR BACK-REST OF CHAIR}
본 발명은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구조를 갖는 탄성수단을 이용하여 의자의 등받이에 간단하게 틸팅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가정이나 사무실, 학교, 학원, 도서관, 각종 공공기관 등을 비롯한 다양한 장소에서 책상이나 테이블을 이용하여 업무 및 공부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착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대부분의 의자는 일정 높이로 형성된 좌판의 후측에 등받이가 구비되어 의자 착석자의 등부분을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의자는 착석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좌판이 구비되고, 상기 좌판의 하부에는 해당 좌판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설치되도록 하는 받침다리가 구비되며, 상기 좌판의 후측에는 좌판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부분이 기대어지도록 등판으로 제공되는 등받이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의자의 등받이에는 착석자의 자세에 맞춰 등받이의 경사가 일정 각도로 조절되면서 착석자의 등 부분에 미치는 압박을 최적의 상태로 제공하도록 하는 틸팅수단이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의자 등받이에 구성되는 틸팅수단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의자의 제조단가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의자 등받이의 반복적인 틸팅과정에서 쉽게 파손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또한 의자 등받이의 틸팅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2366862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6024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4701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탄성체를 포함하는 회전축을 경사지게 설치하는 특정 구조를 통해 의자의 등받이에 간단하면서도 저렴한 구조로 틸팅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는, 받침다리와 좌판 및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적용되되; 파이프 형태를 갖는 한 쌍의 받침다리 상단에 장착되도록 "┏┓"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의 전면 양측에는 각각 반원형태로 장착돌기가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돌기에는 좌우방향으로 설치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직사각틀 형태의 지지프레임 후면 양측에는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장착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돌출부 표면에 안착홈이 요입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양측벽을 관통하여서는 관통홀이 천공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돌출부 안착홈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장착돌기가 삽입된 후, 상호 연통되는 설치홀 및 관통홀에는 회전축이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은 일정 길이의 봉부재인 핀의 외면에 관형태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감싸여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설치홀은 좌우방향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돌출부 양측벽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기 설치홀의 기울기에 맞춰 상호 어긋난 위치에 천공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부재는 베이스프레임의 설치홀 내에 위치되되, 상기 탄성부재의 외주면 일정 지점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돌기와 대응되게 확장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반원형상으로 돌출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장착돌기 외주면을 따라서는 스프링설치홈이 요입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설치홈의 하측 단부에는 일정 깊이 및 각도를 이루면서 단속홈이 확장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설치홈을 통해서는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 측에는 단속부가 일정 각도로 절곡 형성된 스프링이 설치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회전축을 경사지게 설치하는 특정 구조로 의자 등받이에 틸팅 기능을 구현하므로서, 의자의 등받이에 매우 간단한 구조로 틸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의자 등받이에 간단한 구조로 틸팅 기능이 구현됨에 따라, 임의적인 고장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드는 효과가 있게 됨과 아울러, 부품 및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통해 제품의 생산비용을 절감하면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가 적용된 의자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가 적용된 의자 등받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가 적용된 의자 등받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분 분리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가 적용된 의자 등받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및 일측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가 적용된 의자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가 적용된 의자 등받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가 적용된 의자 등받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분 분리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가 적용된 의자 등받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및 일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는, 특정 구조의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회전축(20)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의자의 등받이(300)에 간단하게 틸팅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가 적용되는 의자는, 파이프 형태를 갖는 다수 개의 부재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구성된 받침다리(100)를 매개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 좌판(200)이 구비되고, 상기 좌판(200)의 후측으로는 특정 구조로 등받이(300)가 설치되어 틸팅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에서, 상기 등받이(300)는 파이프 형태를 갖는 한 쌍의 받침다리(100)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이루도록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10)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전면에는 착석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직사각틀 형태의 지지프레임(40)이 틸팅 가능한 구조로 결합 설치되어 구성된다.
참조부호 12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절곡된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대략 파이프 형태를 이루는 상기 받침다리(100)의 상단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를 나타낸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 및 지지프레임(40)을 매개로 틸팅 기능이 제공되도록 상호 간이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 전면 양측의 일정 지점에 각각 대략 반원형태를 이루는 장착돌기(1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장착돌기(14)에는 좌우방향으로 설치홀(16)이 관통 형성되어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40) 후면 양측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부(42)가 형성되고 각 돌출부(42)의 표면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장착돌기(14)가 삽입 결합되도록 안착홈(44)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42)의 양측벽을 관통하여서는 관통홀(46)이 천공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40)에 구비되는 돌출부(42)의 안착홈(44)에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장착돌기(14)가 삽입된 후에는 상호 연통되는 설치홀(16) 및 관통홀(46)을 매개로 틸팅 기능을 구현하는 회전축(2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설치홀(16)은 좌우방향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형성된 설치홀(16)의 기울기에 맞춰, 상기 지지프레임(40)의 돌출부(42) 양측벽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홀(46)은 상호 어긋난 위치에 천공되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설치홀(16) 및 상기 지지프레임(40)의 관통홀(46)에 걸쳐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삽입 설치되는 회전축(20)은 일정 길이의 봉부재로 구성되는 핀(22)의 외면에 대략 관형상을 갖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재(24)가 감싸여진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20)을 형성하는 핀(22)은 금속재질의 봉부재나 볼트, 리벳 등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24)는 고무나 우레탄, 실리콘 등 소정 탄성 복원력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설치홀(16)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각도는 상기 탄성부재(24)의 탄성력 및 두께 등에 따라 다양한 각도를 이루도록 변형 설계될 수가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설치홀(16) 내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탄성부재(24)는 대략 관형상의 외주면 일정 지점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26)가 직선을 이루도록 돌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24)가 삽입 설치되는 상기 설치홀(16)의 내주면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상기 탄성부재(24)의 돌기(26)와 대응되게 확장부(16a)가 형성되어 구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탄성부재(24)의 임의적인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대략 반원형상으로 돌출된 상기 장착돌기(14)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스프링설치홈(18)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설치홈(18)을 통해서는 해당 등받이(300)의 초기압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탄성부재(24)에 대한 보강 기능을 수행하는 스프링(30)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설치홈(18)의 일측 단부는 일정 깊이 및 각도를 이루도록 단속홈(19)이 확장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스프링(30)은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는 일정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부(32)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스프링설치홈(18)에 설치된 스프링(30)은 일단부 측의 연장부(32)가 상기 단속홈(19)의 확장된 부분에 위치된 상태에서, 무드볼트(34) 등이 확장 부분에 삽입 체결됨에 따라, 견고한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의자의 받침다리(100)로부터 연장 형성된 베이스프레임(1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0)을 포함하는 의자 등받이(3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장착돌기(14) 및 상기 지지프레임(30)의 돌출부(42) 상호 간을 연결하는 소정 탄성부재(24)를 포함하는 회전축(20)을 매개로 틸팅 기능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장착돌기(14) 외주면을 따라 장착된 스프링(30)은 해당 등받이(300)의 초기 위치에서 일정한 초기압을 유지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스프링(30)은 해당 등받이(300)의 초기 위치에서 상기 탄성부재(24)가 임의적으로 변형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24)에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가 적용된 의자에 착석자가 안착한 상태에서, 해당 의자의 등받이(300)에 착석자로부터 소정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회전축(20)의 핀(22)을 감싸고 있는 탄성부재(24)는 외력에 의한 변형이 일어나면서 반력 또는 복원력을 생성하여 의자에 틸팅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즉, 의자 등받이(3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회전축(20)에 구비된 핀(22)은 일정 기울기로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틸팅 동작 시 경로의 간섭을 일으키면서 상기 탄성부재(24)의 변형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4)가 변형되면서 반력 또는 복원력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를 통해서는 핀(22)에 탄성부재(24)가 감싸여져 구성된 한 쌍의 회전축(20)을 매개로 매우 간단하면서도 견고한 구조로 의자 등받이(300)에 틸팅 기능이 구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베이스프레임, 12: 결합부,
14: 장착돌기, 16: 설치홀,
16a: 확장부, 18: 스프링설치홈,
19: 단속홈, 20: 회전축,
22: 핀, 24: 탄성부재,
26: 돌기, 30: 스프링,
32: 연장부, 34: 무드볼트,
40: 지지프레임, 42: 돌출부,
44: 안착홈, 46: 관통홀,
100: 받침다리, 200: 좌판,
300: 등받이.

Claims (4)

  1. 받침다리와 좌판 및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적용된 것으로서, 파이프 형태를 갖는 한 쌍의 받침다리 상단에 장착되도록 "┏┓" 형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의 전면 양측에는 각각 반원형태로 장착돌기가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돌기에는 좌우방향으로 설치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어 착석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직사각틀 형태의 지지프레임 후면 양측에는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장착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돌출부 표면에 안착홈이 요입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양측벽을 관통하여서는 관통홀이 천공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돌출부 안착홈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장착돌기가 삽입된 후 상호 연통되는 설치홀 및 관통홀에는 회전축이 설치되어 구성된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일정 길이의 봉부재인 핀의 외면에 관형태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탄성부재가 감싸여져 구성되어, 의자의 등받이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한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을 통해 반력 또는 복원력을 생성하여 의자에 틸팅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반원형상으로 돌출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장착돌기 외주면을 따라서는 스프링설치홈이 요입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설치홈의 하측 단부에는 일정 깊이 및 각도를 이루면서 단속홈이 확장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설치홈을 통해서는 "⊂"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단부 측에는 연장부가 일정 각도로 절곡 형성된 스프링이 설치되되, 상기 연장부가 상기 단속홈의 확장된 부분에 위치된 상태에서 무드볼트가 확장된 부분에 삽입 체결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설치홈에 견고하게 장착된 상태로 의자 등받이의 초기압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에 대한 보강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설치홀은 좌우방향으로 일정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돌출부 양측벽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기 설치홀의 기울기에 맞춰 상호 어긋난 위치에 천공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베이스프레임의 설치홀 내에 위치되되, 상기 탄성부재의 외주면 일정 지점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 내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돌기와 대응되게 확장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
  4. 삭제
KR1020220146810A 2022-11-07 2022-11-07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 KR102592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810A KR102592658B1 (ko) 2022-11-07 2022-11-07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810A KR102592658B1 (ko) 2022-11-07 2022-11-07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2658B1 true KR102592658B1 (ko) 2023-10-24

Family

ID=88515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810A KR102592658B1 (ko) 2022-11-07 2022-11-07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6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18Y1 (ko) 2009-02-04 2009-12-17 서원호 의자 등받이의 틸팅장치
KR101505670B1 (ko) * 2014-05-02 2015-03-25 이지영 의자용 등받이 연결구
KR20180006024A (ko) 2016-07-08 2018-01-17 장성균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KR102073623B1 (ko) * 2019-06-19 2020-02-06 주식회사 트윈스 등받이 틸팅형 의자
KR102366862B1 (ko) 2021-12-13 2022-02-24 김현곤 의자 등받이의 틸팅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18Y1 (ko) 2009-02-04 2009-12-17 서원호 의자 등받이의 틸팅장치
KR101505670B1 (ko) * 2014-05-02 2015-03-25 이지영 의자용 등받이 연결구
KR20180006024A (ko) 2016-07-08 2018-01-17 장성균 등받이지지형 틸팅의자
KR102073623B1 (ko) * 2019-06-19 2020-02-06 주식회사 트윈스 등받이 틸팅형 의자
KR102366862B1 (ko) 2021-12-13 2022-02-24 김현곤 의자 등받이의 틸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964B1 (ko) 좌판이 슬라이드되는 접이식 의자
WO2022148486A1 (zh) 连接结构及座具
KR102592658B1 (ko) 의자 등받이의 틸팅 구조
KR20100129915A (ko) 머리받침대 높이조절장치와 헤드 각도설정장치와 이를 이용한 머리받침대 및 의자
US20150021971A1 (en) Internal support for a backrest for a chair
KR101852110B1 (ko) 후렉시블 등판부를 구비한 의자
JP2007229058A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
KR101588709B1 (ko) 등받이의 상하 회동이 가능한 의자
JP2008229315A (ja) 荷重分散可能な回転椅子の脚部構造
KR101670655B1 (ko) 의자용 등받이
KR200275534Y1 (ko) 발 받침대를 갖는 의자
JP6279883B2 (ja) 椅子における表装部材の取付構造
JP6777281B2 (ja) 椅子
KR200340269Y1 (ko) 학생용 의자의 틸팅 구조
JP2008506438A (ja) 椅子
KR102523386B1 (ko) 등받이 의자의 헤드레스트 조절구조
JP4061103B2 (ja) 椅子の座の構造
JP2006081565A (ja) 加工竹の連結部構造及び加工竹を用いた荷重支持構造体
KR101481531B1 (ko) 사무 의자용 연결 장치
KR200284313Y1 (ko) 탄력적으로 젖혀지는 등받이 프레임을 갖는 의자 프레임
JP7436743B1 (ja) リラックスチェア
KR200380067Y1 (ko) 의자
JP4936269B2 (ja) 肘桿の連結構造
JP4486465B2 (ja) 椅子の背凭れ取付け構造
JP3100353B2 (ja) 椅 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