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678B1 - 유아용 의자 - Google Patents

유아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678B1
KR102161678B1 KR1020180168375A KR20180168375A KR102161678B1 KR 102161678 B1 KR102161678 B1 KR 102161678B1 KR 1020180168375 A KR1020180168375 A KR 1020180168375A KR 20180168375 A KR20180168375 A KR 20180168375A KR 102161678 B1 KR102161678 B1 KR 102161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moving block
sliding
pair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8967A (ko
Inventor
윤대호
이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디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디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디즈
Priority to KR1020180168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6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78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47D1/004Children's chairs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방과 상부 및 하부로 개구된 착석 공간이 구비된 시트 본체, 상기 착석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판부를 상기 착석 공간 중 전후 수평방향의 특정 위치 및 상하 수직방향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좌판 락킹부 및 상기 시트 본체의 상기 착석 공간 중 좌우 내벽면에 구비되되, 상기 좌판 락킹부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가 삽입 착탈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성과 범용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의자{CHAIR FOR INFANT}
본 발명은 유아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의 나이 또는 몸집에 따라 좌판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함으로써 범용성 및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의자는 거실에 비치되거나 욕실에 비치되어 유아가 착석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경량 가구에 속한다.
이와 같은 유아용 의자는, 유아가 착석하기 위한 착석 공간이 형성되고,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시트 본체와, 시트 본체의 착석 공간 내부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유아가 착석하는 좌판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유아용 의자는, 유아가 착석하는 착석 공간의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의 길이가 이미 정해져 있고 그 길이를 변화시킬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유아의 성장에 따라 쉽게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유아용 의자는, 좌판부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보호자의 보호 하에서 거실의 식탁 의자에 거치되어 유아가 함께 식사에 참여하도록 하는 경우, 식탁의 높이가 제각각인 관계로 유아에게 적합한 높이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37409호(2004.12.02.)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성장하는 유아의 나이 또는 몸집에 대응하여 착석 공간을 조절할 수 있는 유아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 가능한 유아의 범위를 넓혀줌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일 실시예는, 전방과 상부 및 하부로 개구된 착석 공간이 구비된 시트 본체, 상기 착석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판부를 상기 착석 공간 중 전후 수평방향의 특정 위치 및 상하 수직방향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좌판 락킹부 및 상기 시트 본체의 상기 착석 공간 중 좌우 내벽면에 구비되되, 상기 좌판 락킹부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가 삽입 착탈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좌판 락킹부는, 상기 좌판부의 상면에 상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동체 및 상기 회동체의 회동과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 측으로 직선 방향 슬라이딩 무빙되는 한 쌍의 무빙 전달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무빙 전달 블록은, 상기 회동체의 외주면으로서, 상기 상하 수직축의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구비된 편심면의 회동 접촉에 의하여 무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체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편심면을 가지는 회동 바디 및 상기 회동 바디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상기 상하 수직축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미팅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판부의 상면에는, 상기 회동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리미팅 바와 간섭되도록 상부로 돌출되게 일측 스토퍼 돌기 및 타측 스토퍼 돌기 및 상기 일측 스토퍼 돌기 및 타측 스토퍼 돌기를 연결하되, 상기 리미팅 바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상하 수직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판부에는, 상기 무빙 전달 블록의 직선 방향 슬라이딩 무빙을 안내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하우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 전달 블록은, 상기 회동체의 편심면에 접촉되게 구비되고, 제1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회동체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면서 무빙되는 제1 무빙블록 및 상기 제1 무빙블록과 연결되되, 상기 제1 무빙블록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 측으로 소정거리 이상 슬라이딩 무빙된 경우 제2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면서 무빙되는 제2 무빙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빙블록의 선단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무빙블록과 제2 무빙블록은, 상기 회동체에 의하여 상기 제1 무빙블록이 제1 설정거리 이내에서 단독으로 무빙된 후 상기 제1 설정거리를 초과하는 제2 설정거리 이내에서 상기 제2 무빙블록과 동시에 무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제1 설정거리 이내의 범위에서 상기 제1 무빙블록을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제1 설정거리를 제외한 상기 제2 설정거리 이내의 범위에서 상기 제2 무빙블록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시트 본체의 내벽 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하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슬라이딩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 홈부 내측에는, 상기 좌판 락킹부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랙 기어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 기어부와 걸림되도록 다수의 연동 기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첫째, 성장하는 유아의 나이 또는 몸집에 대응하여 착석 공간을 전후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사용자인 유아의 범위를 넓혀줌으로써 제품의 잦은 교체 또는 폐기를 방지함으로써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시트 본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좌판 착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시트 본체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좌판 착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일 실시예(1)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방과 상부 및 하부로 개구된 착석 공간이 구비된 시트 본체(10)와, 착석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부(30)와, 좌판부(30)에 구비되어 좌판부(30)를 착석 공간 중 전후 수평방향의 특정 위치 및 상하 수직방향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좌판 락킹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트 본체(10)는 유아가 착석하도록 구비된 바, 유아에게 손상을 가하지 않도록 모서리 부위가 없는 대략 전방으로 개구된 "U"자 형상의 수평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본체(1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후방부 상단에서 전방부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 측으로 각각 연장되되, 그 사이에 상술한 착석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후방부 상단과 전방부 좌측 하단 및 우측 하단 사이에는 유아에게 상해를 가할 우려가 있는 모서리 부위가 전체적으로 라운딩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일 실시예(1)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시트 본체(10)의 착석 공간 중 좌우 내벽면에 구비되되, 좌판 락킹부(40)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가 삽입 착탈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20A,20B)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20A,20B)는, 도 1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착탈 본체(21)가 시트 본체(10)와 별도로 제조되어 시트 본체(10)의 좌우 내측면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20A,20B)가 시트 본체(10)와 별도로 제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시트 본체(1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일 실시예(1)는, 후술하는 슬라이딩 홈 사이의 상하 이격거리가 상이하게 제조된 다양한 사양의 한 상의 슬라이딩 착탈부(20A,20B)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좌판부(30)는, 유아의 하반신이 착석되는 부위로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판부(30)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테두리 형상이 대략 착석 공간의 수평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소정 두께의 판재일 수 있다.
좌판부(30)는, 판상의 좌판 본체와, 좌판 본체의 상면에 구비된 좌판 락킹부(40)를 상측에서 덮도록 구비된 미도시의 좌판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좌판부(30)는, 좌판 락킹부(40)에 의하여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20A,20B)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좌판 락킹부(40)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좌판부(30)의 상면에 상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동체(41)와, 회동체(41)의 회동과 연동하여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20A,20B) 측으로 직선 방향 슬라이딩 무빙되는 한 쌍의 무빙 전달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회동체(41)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술한 상하 수직축을 형성하면서 좌판부(30)의 상면 상에서 회동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회동체(41)는, 회동되는 동작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무빙 전달 블록을 각각의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무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동체(41)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편심면(44')이 형성된 편심블록(44)을 포함하는 회동 바디(42)와, 회동 바디(42)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상하 수직축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미팅 바(43)를 포함할 수 있다.
편심블록(44)은,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바디(42)의 원주면에 한 쌍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편심블록(44)에 형성된 각각의 면심면은,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연속적인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편심면(44')의 일단과 회동 바디(42)의 상하 수직축의 중심 사이의 이격거리인 회전 반경은 가장 작게 형성될 수 있고, 편심면(44')의 타단으로 갈수록 점점 회전 반경이 커지면서 편심면(44')의 타단에서 회전 반경이 가장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동 바디(4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미팅 바(43)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좌판부(30)의 상면에 형성되되, 한 쌍의 편심면(44')의 이격된 사이에 각각 구비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술한 상하 수직축을 중심으로 한 쌍의 리미팅 바(43)가 180°가 되도록 회동 바디(42)에 대하여 일직선 외측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한 쌍의 리미팅 바(43)는,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 바디(42)와 연동하여 회전되다가 좌판부(30)의 상면 일부와 간섭되도록 구비됨으로써 회동체(41)가 과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좌판부(30)의 상면에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체(41)의 회동에 따라 리미팅 바(43)와 간섭되도록 상부로 돌출되게 일측 스토퍼 돌기(32a) 및 타측 스토퍼 돌기(32b)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 스토퍼 돌기(32a)와 타측 스토퍼 돌기(32b)는, 리미팅 바(43)의 선단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동체(41)가 임의의 일 방향으로 회동되면 한 쌍의 리미팅 바(43) 중 일측 리미팅 바(43)가 일측 스토퍼 돌기(32a)에 걸림되어 회동이 제한되고, 회동체(41)가 임의의 타 방향으로 회동되면 한 쌍의 리미팅 바(43) 중 타측 리미팅 바(43)가 타측 스토퍼 돌기(32b)에 걸림되어 회동이 제한된다.
한편, 좌판부(30)의 상면에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측 스토퍼 돌기(32a) 및 타측 스토퍼 돌기(32b)를 연결하되, 리미팅 바(43)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상하 수직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리브(31)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리미팅 바(43)는 좌판부(30)의 상면에서 한 쌍의 스토퍼 돌기(32a,32b) 이외의 구성에 의하여 걸림되지 않는 한도에서는 별도의 회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을 요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일 실시예(1)에서는 가이드 리브(31)가 구비되어, 간접적으로 한 쌍의 리미팅 바(43)의 회전을 안내함과 동시에, 일측 스토퍼 및 타측 스토퍼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쌍의 리미팅 바(43)에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가이드 리브(31)를 덮도록 가이드 홈이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리미팅 바(43)가 회동 바디(42)의 회전에 의하여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회동될 때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가이드 홈에 가이드 리브(31)가 삽입된 채로 회동되므로, 회동체(41)가 안정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무빙 전달 블록은,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체(4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되, 회동체(41)를 기준으로 180°가 되는 위치에 일직선 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무빙 전달 블록은, 도 3, 도 4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체(41)의 편심면(44')에 접촉되게 구비되고, 제1 탄성체에 의하여 회동체(4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면서 무빙되는 제1 무빙블록(46)과, 제1 무빙블록(46)과 연결되되 제1 무빙블록(46)이 착탈 본체(21) 측으로 소정거리 이상 슬라이딩 무빙된 경우 제2 탄성체에 의하여 착탈 본체(21)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면서 무빙되는 제2 무빙블록(48)을 포함할 수 있다.
좌판부(30)의 상면에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무빙 전달 블록의 직선 방향 슬라이딩 무빙을 안내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하우징 리브(33)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리브(33)는, 한 쌍의 무빙 전달 블록이 각각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무빙하는 것을 안내함과 동시에, 한 쌍의 무빙 전달 블록이 좌판부(30)의 전후방향으로 유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 무빙블록(46)과 제2 무빙블록(48)에는, 상하로 개구되고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1 가이드 슬롯(47) 및 제2 가이드 슬롯(49)이 각각 형성되고, 하우징 리브(33)의 내측에 해당하는 좌판부(30)의 상면에는, 제1 가이드 슬롯(47)을 관통되게 상부로 돌출되도록 제1 가이드 보스(37) 및 제2 가이드 슬롯(49)을 관통되게 상부로 돌출되도록 제2 가이드 보스(39)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무빙블록(46)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우징 리브(33)의 내측 좌우거리로 정의되는 제1 설정거리(가) 이내의 범위에서, 제1 가이드 슬롯(47) 및 제1 가이드 보스(37)를 매개로 좌우방향 슬라이딩 무빙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제2 무빙블록(48)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우징 리브(33)의 내측 좌우거리로 정의되되 제1 설정거리(가)와 별도로 정의되는 제2 설정거리(나) 이내의 범위에서, 제2 가이드 슬롯(49) 및 제2 가이드 보스(39)를 매개로 좌우방향 슬라이딩 무빙이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설정거리(가)라 함은, 제1 무빙블록(46)의 하우징 리브(33) 내측에서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무빙이 이루어지는 범위로 정의될 수 있고, 제2 설정거리(나)라 함은, 제2 무빙블록(48)의 하우징 리브(33) 내측에서의 좌우방향 슬라이딩 무빙이 이루어지는 범위로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 설정거리는 도면부호 "가"로 표기하고, 제2 설정거리는 도면부호 "나"로 표기하며, 제1 설정거리(가)와 제2 설정거리(나)가 상호 겹치는 범위를 도면부호 "다"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회동체(41)의 상하 수직축을 기준으로, 제1 무빙블록(46)의 외측단과 제2 무빙블록(48)의 내측단은 상호 소정거리 겹치는 범위 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슬라이딩 무빙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무빙블록(46)에는, 외측 선단이 상부로 절곡되게 형성된 제1 걸림단이 전단과 후단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제2 무빙블록(48)에는, 내측 선단이 하부로 절곡되게 형성된 제2 걸림단이 전단과 후단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걸림단 및 제2 걸림단은 각각 제1 무빙블록(46)과 제2 무빙블록(48)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한 쌍의 제1 걸림단 및 제2 걸림단 사이에는 상술한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가 개재될 수 있다.
아울러, 좌판부(30)의 상면에 구비되되, 하우징 리브(33)의 내측에 해당되는 부위로서, 제1 설정거리(가) 및 제2 설정거리(나)가 상호 겹쳐지는 범위에는 제1 탄성체 및 제2 탄성체가 지지되는 탄성체 지지블록(35)이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체는, 일단이 제1 무빙블록(46)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걸림단 사이에 지지됨과 아울러 타단이 탄성체 지지블록(35)의 내측면에 압축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무빙블록(46)이 회동체(41)의 편심면(44')에 의하여 외측으로 슬라이딩 무빙되면 제1 탄성체가 압축되어 탄성 지지하고, 회동체(41)의 편심면(44')에 의한 외력이 제거되면 제1 무빙블록(46)을 본래의 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제2 탄성체는, 일단이 탄성체 지지블록(35)의 외측면에 지지됨과 아울러, 타단이 제2 무빙블록(48)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걸림단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무빙블록(48)은 제1 무빙블록(46)을 통한 외력이 제공되지 않는 한 제1 설정거리(가)와 제2 설정거리(나)가 상호 겹치는 범위(다)에서 제2 탄성체에 의하여 외측으로 탄성 지지된다.
여기서, 제1 걸림단과 제2 걸림단은 상호 걸림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상술한 제1 설정거리(가)와 제2 설정거리(나)가 상호 겹치는 범위(다) 내에서는 상호 이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무빙블록(46)은, 사용자가 회동체(41)를 일측으로 회동시키면 편심면(44')에 의하여 제1 설정거리(가) 범위 내에서 외측을 향하여 독립적으로 슬라이딩 무빙될 수 있다. 이때, 제1 걸림단과 제2 걸림단이 상호 걸림된 상태에서 제1 걸림단이 제2 무빙블록(48) 측으로 이동하는 결과 상호 이탈된다. 또한, 제1 탄성체는 본래 압축된 상태에서 제1 무빙블록(46)의 슬라이딩 무빙에 의하여 더욱 압축될 수 있다.
그 후, 제1 무빙블록(46)이 제1 설정거리(가)와 제2 설정거리(나)가 상호 겹치는 범위(다) 내에서 계속적으로 외측으로 슬라이딩 무빙되면, 제1 걸림단이 제2 무빙블록(48)과 접촉되어 제2 무빙블록(48)과 함께 슬라이딩 무빙되는 동작으로 제2 무빙블록(48)을 외측으로 슬라이딩 무빙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체는 지속적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제2 탄성체는 본래 압축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 압축이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무빙블록(48)이 제1 설정거리(가)와 겹치지 않는 제2 설정거리(나) 범위 내에서 제1 무빙블록(46)에 의하여 외측으로 소정거리 더 슬라이딩 무빙되면, 제2 무빙블록(48)의 외측단(50)은 좌판부(30)의 좌측단 또는 우측단보다 더 외부로 돌출되면서, 착탈 본체(21)에 형성된 후술하는 슬라이딩 홈부(22) 내측으로 수용되게 된다.
반대로, 제1 무빙블록(46)은, 사용자가 회동체(41)를 타측으로 회동시키면 편심면(44')에 의하여 제1 설정거리(가)와 제2 설정거리(나)가 상호 겹치는 범위(다) 내에서 내측으로 슬라이딩 무빙될 수 있다. 이때, 제1 무빙블록(46)은 압축된 상태의 제1 탄성체에 의하여 탄성 지지받으면서 본래의 위치로 복원되고, 제1 무빙블록(46)의 내측단은 회동체(41)의 편심면(44')에 계속적으로 접촉된다.
이와 동시에, 제1 무빙블록(46)의 제1 걸림단과 제2 무빙블록(48)의 제2 걸림단이 걸림되면서, 제2 무빙블록(48)을 내측으로 슬라이딩 무빙시킴으로써 제2 무빙블록(48)의 외측단(50)이 착탈 본체(21)에 형성된 후술하는 슬라이딩 홈부(2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체는 압축된 상태가 지속적으로 해제되면서 제1 무빙블록(46)을 본래의 위치로 복원시킴과 아울러, 제2 탄성체는 압축될 수 있다.
한편, 착탈 본체(21)는, 도 4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시트 본체(10)의 내벽 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하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슬라이딩 홈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슬라이딩 홈부(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무빙블록(48)의 외측단(50)이 삽입된 후 걸림됨으로써, 좌판부(30)를 시트 본체(10)의 착석 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슬라이딩 홈부(22)의 내측에는, 도 4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좌판 락킹부(40)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랙 기어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 기어부(23)와 걸림되도록 다수의 연동 기어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좌판 락킹부(40)의 좌측단 및 우측단은, 한 쌍의 무빙 전달 블록의 구성 중 제2 무빙블록(48)의 외측단(50)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슬라이딩 홈부(22)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 무빙블록(48)의 외측단(50)에는 전후방향의 랙 기어 형상으로 다수의 고정 기어부(23)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연동 기어부(51)는, 다수의 고정 기어부(23)와 마찬가지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랙 기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다수의 연동 기어부(51)의 전후방향 길이는, 다수의 고정 기어부(23)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다수의 연동 기어부(51)는, 다수의 슬라이딩 홈부(22)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착석하는 유아의 나이 또는 몸집에 따라 상이한 착석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다수의 슬라이딩 홈부(22) 중 이에 매칭되는 슬라이딩 홈부(22)를 선택하여 좌판부(30)를 삽입 설치한 다음, 다수의 연동 기어부(51)에 다수의 고정 기어부(23)가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일 실시예(1)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좌판부(30)의 하부에 회동체(41)와 연결되도록 구비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회동체(41)는 좌판부(3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설치홀(43)을 통하여 좌판부(30)의 하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회동체(41)의 하방 돌출된 하단부에 손잡이부가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좌판부(30)의 하부에 구비된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회동체(41)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일 실시예(1)의 작동 모습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착석하는 유아의 나이 또는 몸집 등을 고려하여 유아를 위한 최적의 착석 공간이 갖추어지도록 착탈 본체(21)에 구비된 다수의 슬라이딩 홈부(2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좌판부(30)를 전방부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무빙시키는 동작으로 삽입한다.
이때, 사용자는 회동체(41)의 손잡이부를 일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좌판 락킹부(40)의 구성 중 제2 무빙블록(48)의 외측단(50)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 기어부(23)가 착탈 본체(21)의 슬라이딩 홈부(22)에 형성된 다수의 연동 기어부(51)와의 치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선택된 슬라이딩 홈부(22)에 좌판부(30)를 고정시키는 과정 중에, 착석하는 유아의 나이 또는 몸집 등을 고려하여 전후 고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좌판부(30)를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홈부(22) 중 상대적으로 전방 측에 고정시킬 경우 유아의 나이 또는 몸집이 크더라도 적절한 착석 공간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좌판부를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라이딩 홈부(22) 중 상대적으로 후방 측에 고정시킬 경우 유아의 나이 또는 몸집이 작더라도 유아에 맞는 최적의 착석 공간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착석 공간 중 전후 수평방향의 특정 위치 및 상하 수직방향의 특정 위치에 좌판부(30)가 위치되면, 회동체(41)를 타측 방향으로 회동시켜 좌판 락킹부(40)의 구성 중 제2 무빙블록(48)의 외측단(50)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 기어부(23)가 착탈 본체(21)의 슬라이딩 홈부(22)에 형성된 다수의 연동 기어부(51)에 치합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좌판부(30)의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회동체(41)를 이용하여 좌판부(30)의 고정을 해제한 후 위와 같은 방식으로 좌판부(30)를 착석 공간 중 전후 수평방향의 특정 위치 및 상하 수직방향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조절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의자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 유아용 체어 10: 시트 본체
20A,20B: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 21: 착탈 본체
22: 슬라이딩 홈부 23: 고정 기어부
30: 좌판부 31: 가이드 리브
32a: 일측 스토퍼 돌기 32b: 타측 스토퍼 돌기
33: 하우징 리브 35: 탄성체 지지블록
37: 제1 가이드 보스 39: 제2 가이드 보스
40: 좌판 락킹부 41: 회동체
42: 회동 바디 43: 한 쌍의 리미팅 바
44: 편심블록 44': 편심면
46: 제1 무빙블록 47: 제1 가이드 슬롯
48: 제2 무빙블록 49: 제2 가이드 슬롯
50: 외측단 51: 연동 기어부
가: 제1 설정거리 나: 제2 설정거리
다: 상호 겹치는 범위

Claims (10)

  1. 삭제
  2. 전방과 상부 및 하부로 개구된 착석 공간이 구비된 시트 본체;
    상기 착석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판부를 상기 착석 공간 중 전후 수평방향의 특정 위치 및 상하 수직방향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좌판 락킹부; 및
    상기 시트 본체의 상기 착석 공간 중 좌우 내벽면에 구비되되, 상기 좌판 락킹부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가 삽입 착탈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 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 락킹부는,
    상기 좌판부의 상면에 상하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동체; 및
    상기 회동체의 회동과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 측으로 직선 방향 슬라이딩 무빙되는 한 쌍의 무빙 전달 블록; 을 포함하는, 유아용 의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체는,
    적어도 하나의 편심면을 가지는 회동 바디; 및
    상기 회동 바디의 일측 또는 타측에서 상기 상하 수직축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미팅 바; 를 포함하는, 유아용 의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의 상면에는,
    상기 회동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리미팅 바와 간섭되도록 상부로 돌출되게 일측 스토퍼 돌기 및 타측 스토퍼 돌기; 및
    상기 일측 스토퍼 돌기 및 타측 스토퍼 돌기를 연결하되, 상기 리미팅 바의 회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상하 수직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리브; 가 형성된, 유아용 의자.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에는, 상기 무빙 전달 블록의 직선 방향 슬라이딩 무빙을 안내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하우징 리브; 가 형성된, 유아용 의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무빙 전달 블록은,
    상기 회동체의 편심면에 접촉되게 구비되고, 제1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회동체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면서 무빙되는 제1 무빙블록; 및
    상기 제1 무빙블록과 연결되되, 상기 제1 무빙블록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 측으로 소정거리 이상 슬라이딩 무빙된 경우 제2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면서 무빙되는 제2 무빙블록;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무빙블록의 선단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에 고정되는, 유아용 의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무빙블록과 제2 무빙블록은, 상기 회동체에 의하여 상기 제1 무빙블록이 제1 설정거리 이내에서 단독으로 무빙된 후 상기 제1 설정거리를 초과하는 제2 설정거리 이내에서 상기 제2 무빙블록과 동시에 무빙되는, 유아용 의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체는 상기 제1 설정거리 이내의 범위에서 상기 제1 무빙블록을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2 탄성체는 상기 제1 설정거리를 제외한 상기 제2 설정거리 이내의 범위에서 상기 제2 무빙블록을 탄성 지지하는, 유아용 의자.
  9. 전방과 상부 및 하부로 개구된 착석 공간이 구비된 시트 본체;
    상기 착석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에 구비되어, 상기 좌판부를 상기 착석 공간 중 전후 수평방향의 특정 위치 및 상하 수직방향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는 좌판 락킹부; 및
    상기 시트 본체의 상기 착석 공간 중 좌우 내벽면에 구비되되, 상기 좌판 락킹부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가 삽입 착탈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착탈부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시트 본체의 내벽 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하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슬라이딩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슬라이딩 홈부 내측에는, 상기 좌판 락킹부의 좌측단 및 우측단에 랙 기어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 기어부와 걸림되도록 다수의 연동 기어부가 형성된, 유아용 의자.
  10. 삭제
KR1020180168375A 2018-12-24 2018-12-24 유아용 의자 KR102161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375A KR102161678B1 (ko) 2018-12-24 2018-12-24 유아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375A KR102161678B1 (ko) 2018-12-24 2018-12-24 유아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967A KR20200078967A (ko) 2020-07-02
KR102161678B1 true KR102161678B1 (ko) 2020-10-06

Family

ID=7159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375A KR102161678B1 (ko) 2018-12-24 2018-12-24 유아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6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7409A (ja) * 2003-05-16 2004-12-02 Wippaazu:Kk 子供用椅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3142U (ja) * 1991-04-22 1992-11-06 株式会社ユニパツクジヤパン 椅 子
JPH0684947U (ja) * 1993-05-25 1994-12-06 株式会社くろがね工作所 学童用椅子
KR101018729B1 (ko) * 2008-09-11 2011-03-04 김종석 다기능성 의자
KR101344437B1 (ko) * 2011-07-07 2013-12-23 주식회사 대하정공 다기능 의자 어셈블리
KR101678809B1 (ko) * 2014-12-22 2016-11-24 (주) 파트라 등판높이 및 좌판깊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7409A (ja) * 2003-05-16 2004-12-02 Wippaazu:Kk 子供用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967A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5470C (en) Infant swing seat
JP5410972B2 (ja) 高さ調整可能なモジュール式ハイチェア
JP2014501591A (ja) 引出しの連結デバイス
US10640020B2 (en) Baby car seat allowing position change
US20120104808A1 (en) Infant Safety Seat
KR101509482B1 (ko) 주방용기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
EP3560383B1 (en) Chair
GB2476391A (en) A collapsible perambulator with hinges having latching members
GB2482594A (en) Adjustable canopy mechanism and an infant carrier device having the same
JP5529502B2 (ja) 椅子
EP2020199A1 (en) Child bath chair
CN104146536A (zh) 可旋转置物架
CA2590449C (en) Infant swing seat
KR102161678B1 (ko) 유아용 의자
CN204048917U (zh) 一种双手收合的摇椅
US20040084941A1 (en) Adjustable support structur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3201636U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12020101A (ja) 頚椎装具
KR101635449B1 (ko) 의자 등받이 틸팅 잠금장치
JP2015167818A (ja) 椅子
JP2014210206A (ja) 椅子
JP6040566B2 (ja) 椅子
JP3745570B2 (ja) スライド支持装置
US10334953B2 (en) Furniture, load support member for chair, and chair
KR20170060441A (ko) 등받이부의 허리 서포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