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922B1 -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 Google Patents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922B1
KR102104922B1 KR1020200003670A KR20200003670A KR102104922B1 KR 102104922 B1 KR102104922 B1 KR 102104922B1 KR 1020200003670 A KR1020200003670 A KR 1020200003670A KR 20200003670 A KR20200003670 A KR 20200003670A KR 102104922 B1 KR102104922 B1 KR 102104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ushioning
frame
chair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천
Original Assignee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체어마이스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3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47C7/4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of torsi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 다리부, 상기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에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 및, 상부와 하부가 동시에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향해 또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의 등이나 허리가 접촉할 때 상기 완충용 등받이가 하부만이 아니라 상부도 함께 이동하여 완충용 등받이의 각도 변화를 적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요추에 작용하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켜서 안락한 상태를 유지하고 통증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CHAIR INCLUDING RESILIENT BACK SUPPORT}
본 발명은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요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좌석부, 등받이 및 팔걸이 등으로 구성되며, 좌석부 및 등받이에는 착석자의 안락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쿠션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의자에 앉아 사무를 보는 일이 많은 현대인들이 장시간 의자에 앉아 업무를 볼때 필연적으로 허리를 구부리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장시간 유지하는 경우 허리에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것은 허리를 구부린 자세로 장시간 있게 되면 아주 완만한 'C'자 형태를 취하는 척추 하부가 비교적 곧은 직선의 상태로 되면서 상체의 하중이 척추 전반에 골고루 분산되지 않고 척추 하부에 집중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허리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별도로 방석이나 쿠션을 구입한 후 허리에 대고 앉아 지지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방석이나 쿠션 등은 의자에 고정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적절히 허리를 받쳐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등받이 프레임에 탄성적인 힌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완충용 등받이를 마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단순히 등받이 프레임의 상부 힌지점에 대하여 상기 완충용 등받이가 힌지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동시 상기 상부 힌지점에 대하여 완충용 등받이가 비교적 큰 각도로 경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둔부에 근접한 요추 하부에 대응하는 부분만 커다란 각도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힌지점에 대응하는 부분은 움직이지 않아 지지 구조가 단조로우므로 사용자의 허리를 적절히 받쳐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사용자에 따라서는 크게 불편함을 느끼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완충용 등받이를 고정하거나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 않아 항상 안락함을 추구하는 다양한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기 어려운 단점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07615 (2012.01.12)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허리 뒤쪽이 접촉할 경우 한층 다양한 각도에서 적절히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이동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에게 요추에 작용하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켜서 안락한 상태를 유지하고 통증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충용 등받이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사용에 대한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는,
지지 다리부;
상기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에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 및,
상부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향해 또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하부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향해 또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설치되는 완충용 등받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는 전방을 향해 제1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용 등받이의 상부 양측에는 후방을 향해 제2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리브와 제2 리브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관통하도록 누름 버튼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누름 버튼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1 리브와 제2 리브의 전후방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제1 리브와 제2 리브를 함께 관통하여 설치되되,
상기 제2 리브에는 상기 누름 버튼에 대하여 전후방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이동 레일 구멍과, 상기 이동 레일 구멍의 양단에 상기 이동 레일 구멍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결합구멍을 포함하는 가이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 버튼의 내측 일단에는 상기 결합구멍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걸림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용 등받이의 하부와 등받이 프레임은 중간 링크를 통해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중간 링크와 상기 등받이 프레임 사이의 제1 힌지부를 중심으로 탄성 변형하며 상기 중간 링크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완충용 등받이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관통공을 통해 왕복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중간 링크와 완충용 등받이 사이에 배치되는 걸림 로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완충용 등받이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 플레이트가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연장 플레이트의 관통공을 통해 각각의 걸림 로드가 왕복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걸림 로드는 상기 중간 링크의 좌우 일부를 각각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걸림 로드의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 핀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로드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핀의 선단이 수용되며 가이드 핀이 직선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걸림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연장 플레이트와, 중간 링크 및 토션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 로드는 상기 하우징을 측면에서 관통하며, 상기 걸림 로드에서 상기 가이드 홈의 반대쪽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다리부, 상기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에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 및, 상부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향해 또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하부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향해 또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설치되는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의 등이나 허리가 접촉할 때 상기 완충용 등받이가 하부만이 아니라 상부도 함께 이동하여 완충용 등받이의 각도와 거동을 사용자에게 최적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요추에 작용하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시켜서 안락한 상태를 유지하고 통증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완충용 등받이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관통공을 통해 왕복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상기 중간 링크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걸림 로드를 추가로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허리 뒤쪽으로 완충용 등받이를 누를 때 선택적으로 등받이 프레임이 탄성적으로 이동하거나 그 자리에 고정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탄성적으로 지지받기를 원하거나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받기를 원하거나 각도가 변경된 상태에서 지지받기를 원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상기 누름 버튼과 걸림 로드를 안쪽으로 밀어넣거나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완충용 등받이의 걸림이 유지되거나 해제되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도시하는 상면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도시하는 측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측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상부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하부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걸림 로드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걸림 로드의 걸림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1의 (a), (b)는 도 9에서의 걸림 로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2에서의 하우징 구조를 나타내는 내향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완충용 등받이의 상부가 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완충용 등받이의 상부가 등받이 프레임으 접근한 상태에서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1000)는, 지지 다리부(100), 상기 지지 다리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석부(200), 상기 좌석부(200)에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300) 및, 상부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300)을 향해 또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하부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300)을 향해 또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300)에 설치되는 완충용 등받이(4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완충용 등받이(400)의 상부가 등받이 프레임(300)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하여 완충용 등받이(400)의 각도를 다양화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임의의 사용자의 요추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켜서 안락한 상태를 유지하고 통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등받이 프레임(300)의 상부 양측에는 전방을 향해 제1 리브(310)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용 등받이(400)의 상부 양측에는 후방을 향해 제2 리브(410)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리브(310)와 제2 리브(410)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관통하도록 누름 버튼(90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 버튼(900)을 누르면 상기 제1 리브(310)와 제2 리브(410)의 전후방 상대 이동이 허용된다.
반대로, 후술하는 가이드 장공(411)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구멍에서 상기 누름 버튼(900)이 외측으로 인출되면 상기 제1 리브(310)와 제2 리브(410)의 전후방 상대 이동이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 버튼(900)은 상기 제1 리브(310)와 제2 리브(410)를 함께 관통하여 설치되되, 상기 제2 리브(410)에는 상기 누름 버튼(900)에 대하여 전후방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이동 레일 구멍과, 상기 이동 레일 구멍의 양단에 상기 이동 레일 구멍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결합구멍을 포함하는 가이드 장공(411)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 버튼(900)의 내측 일단에는 상기 결합구멍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걸림단부(9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 버튼(900)은 압축 스프링(950)에 의해 항상 외측으로 복원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누름 버튼(900)을 누른 상태에서 완충용 등받이(400)를 이동시키는 한편, 상기 누름 버튼(900)이 상기 결합구멍에 위치할 때 상기 걸림단부(910)가 외측으로 복원되어 상기 결합구멍에 자연스럽게 끼워지게 됨으로써 상기 이동 레일 구멍을 통한 누름 버튼(900)의 이동이 제한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용 등받이(400)의 하부와 등받이 프레임(300)은 중간 링크(500)를 통해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중간 링크(500)와 상기 등받이 프레임(300) 사이의 제1 힌지부(510)를 중심으로 탄성 변형하며 상기 중간 링크(50)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300)에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S)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토션 스프링(S)에 의해 상기 완충용 등받이(400)는 항시 전방을 향하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중간 링크(500)와 완충용 등받이(400)는 제2 힌지부(520)를 중심으로 상대적인 힌지 운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300)의 전면에는 상기 완충용 등받이(400)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320)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320)의 관통공(321)을 통해 왕복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중간 링크(500)와 완충용 등받이(400) 사이에 배치되는 걸림 로드(7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300)의 전면에는 상기 연장 플레이트(320)와 평행하게 이웃하는 지지 플레이트(370)를 형성하여 더 한층 안정적으로 걸림 로드(700)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지지 플레이트(370)의 둘레에는 상기 걸림 로드(700)의 외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지지홈(37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로드(700)는 상기 중간 링크(500)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중간 링크(500)에서 상기 걸림 로드(700)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지지홈(550)이 형성되어 상호 흔들림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 로드(700)를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중간 링크(500)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완충용 등받이(400)가 자유롭게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반대로 상기 걸림 로드(700)를 안쪽으로 밀어넣으면 상기 중간 링크(500)가 걸림 로드(700)에 의해 걸림으로써 하방 이동이 차단되며 완충용 등받이(400)는 더 이상 등받이 프레임(300)을 향해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를 위해,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300)의 전면에는 상기 걸림 로드(700)의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 핀(810)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로드(700)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핀(810)의 선단이 수용되며 가이드 핀(810)이 직선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걸림 로드(7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7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가이드 핀(810)은 상기 연장 플레이트(320)와 지지 플레이트(370)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걸림 로드(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당한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가이드 핀(810)의 선단은 상기 걸림 로드(700)의 가이드 홈(710)에 수용될 필요가 있다.
상기 걸림 로드(700)가 상기 연장 플레이트(320)의 관통공(321)을 통과하는 것과 함께 상기 걸림 로드(700)의 가이드 홈(710)에 가이드 핀(810)이 직선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걸림 로드(700)가 이동 중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중간 링크(500)의 걸림 및 걸림 해제에 대한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 프레임(300)의 전면에는 상기 연장 플레이트(320)와, 중간 링크(500) 및 토션 스프링(S)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하우징(330)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 로드(700)는 상기 하우징(330)을 측면에서 관통하며, 상기 걸림 로드(700)에서 상기 가이드 홈(710)의 반대쪽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의 걸림홈(72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30)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홈(720)에 걸리는 걸림돌기(33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 로드(700)를 하우징(330)의 안쪽으로 밀어넣거나 잡아당길 때 상기 걸림 로드(700) 상의 걸림홈(720)이 하우징(330)의 걸림돌기(331)에 탄성적으로 결합되어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되므로 상기 걸림 로드(700)가 임의로 왕복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걸림홈(720)은 상기 걸림 로드(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2군데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중간 링크(500)의 걸림과 해제를 위해 상기 걸림 로드(700)를 이동시킬 때 상기 2군데 위치에서 임시로 상호 고정되게 되며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할 경우에만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300)의 전면에는 상기 완충용 등받이(400)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 플레이트(320)를 이격되게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연장 플레이트(320)의 관통공(341)을 통해 각각의 걸림 로드(700)가 왕복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하여, 상기 각각의 걸림 로드(700)는 상기 중간 링크(500)의 좌우 일부를 각각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한층 안정적으로 중간 링크(50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허리 뒤쪽으로 완충용 등받이(400)를 누를 때 선택적으로 상기 완충용 등받이(400)가 등받이 프레임(30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이동하거나 그 자리에 고정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누름 버튼(900)을 눌러서 상기 완충용 등받이(400)의 상부 위치를 변경하는 것과 함께 상기 걸림 로드(700)의 걸림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완충용 등받이(400)의 경사각을 사용자에게 최적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탄력적으로 허리를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걸림 로드(700)의 걸림을 유지하여 사용자의 허리를 유연성 없이 받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상기 누름 버튼(900)을 작동시키고 걸림 로드(700)를 안쪽으로 밀어넣거나 바깥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완충용 등받이(400)의 각도 변경 및 걸림의 유지/해제가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3에는 완충용 등받이(400)의 상부가 등받이 프레임(300)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완충용 등받이(400)의 하부가 자유롭게 탄성 이동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완충용 등받이(400)의 상부가 등받이 프레임(300)로 접근한 상태에서 완충용 등받이(400)의 하부가 자유롭게 탄성 이동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완충용 등받이(400)의 상부가 등받이 프레임(300)에 대하여 위치 이동이 가능하고 하부 역시 다양한 각도에서 사용자를 고정 지지하거나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요추를 가장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지지 다리부
200... 좌석부
300... 등받이 프레임
310... 제1 리브
320... 연장 플레이트
321... 관통공
330... 하우징
331... 걸림돌기
400... 완충용 등받이
410... 제2 리브
411... 가이드 장공
500... 중간 링크
510... 제1 힌지부
550... 지지홈
700... 걸림 로드
710... 가이드 홈
810... 가이드 핀
900... 누름 버튼
910... 걸림단부
1000...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S... 토션 스프링

Claims (8)

  1. 지지 다리부;
    상기 지지 다리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좌석부;
    상기 좌석부에 연결되는 등받이 프레임; 및,
    상부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향해 또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하부가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향해 또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설치되는 완충용 등받이;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상부 양측에는 전방을 향해 제1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완충용 등받이의 상부 양측에는 후방을 향해 제2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리브와 제2 리브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관통하도록 누름 버튼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누름 버튼을 이동시켜서 상기 제1 리브와 제2 리브의 전후방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제1 리브와 제2 리브를 함께 관통하여 설치되되,
    상기 제2 리브에는 상기 누름 버튼에 대하여 전후방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이동 레일 구멍과, 상기 이동 레일 구멍의 양단에 상기 이동 레일 구멍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결합구멍을 포함하는 가이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 버튼의 내측 일단에는 상기 결합구멍에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걸림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 등받이의 하부와 등받이 프레임은 중간 링크를 통해 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중간 링크와 상기 등받이 프레임 사이의 제1 힌지부를 중심으로 탄성 변형하며 상기 중간 링크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지지되는 토션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완충용 등받이를 향해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관통공을 통해 왕복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중간 링크와 완충용 등받이 사이에 배치되는 걸림 로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완충용 등받이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 플레이트가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연장 플레이트의 관통공을 통해 각각의 걸림 로드가 왕복이 자유롭게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걸림 로드는 상기 중간 링크의 좌우 일부를 각각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걸림 로드의 측면을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 핀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로드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핀의 선단이 수용되며 가이드 핀이 직선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걸림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연장 플레이트와, 중간 링크 및 토션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걸림 로드는 상기 하우징을 측면에서 관통하며, 상기 걸림 로드에서 상기 가이드 홈의 반대쪽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0200003670A 2020-01-10 2020-01-10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104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670A KR102104922B1 (ko) 2020-01-10 2020-01-10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670A KR102104922B1 (ko) 2020-01-10 2020-01-10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4922B1 true KR102104922B1 (ko) 2020-04-27

Family

ID=7046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670A KR102104922B1 (ko) 2020-01-10 2020-01-10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92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6251U (ko) * 1991-01-23 1992-08-20
KR101107615B1 (ko) 2011-07-06 2012-01-30 주식회사 다원산업 요추지지장치가 장착된 의자
KR101486333B1 (ko) * 2014-10-21 2015-01-26 주식회사 대신산업 사무용 의자
KR101917582B1 (ko) * 2018-08-17 2018-11-09 주식회사 대하정공 텐션 등판이 구비된 의자
KR101980566B1 (ko) * 2018-09-18 2019-05-21 주식회사 대하정공 플렉서블 등판이 구비된 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6251U (ko) * 1991-01-23 1992-08-20
KR101107615B1 (ko) 2011-07-06 2012-01-30 주식회사 다원산업 요추지지장치가 장착된 의자
KR101486333B1 (ko) * 2014-10-21 2015-01-26 주식회사 대신산업 사무용 의자
KR101917582B1 (ko) * 2018-08-17 2018-11-09 주식회사 대하정공 텐션 등판이 구비된 의자
KR101980566B1 (ko) * 2018-09-18 2019-05-21 주식회사 대하정공 플렉서블 등판이 구비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6289B2 (ja) シーティングユニット用の同調背もたれ
US5108149A (en) Adjustable seating
WO2014061299A1 (ja) 椅子
CN101522075A (zh) 增强可调节性的躺椅
JPH0146127B2 (ko)
WO2018116426A1 (ja) 椅子
KR20190079955A (ko) 의자의 좌판부 슬라이드 구조
KR100972233B1 (ko) 프레임 의자
KR102104922B1 (ko)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KR200396260Y1 (ko) 의자용 등받이 조절장치
JP2013132402A (ja) 椅子
KR200257056Y1 (ko) 의자 밑판의 슬라이드장치
KR102098953B1 (ko) 트위스트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102166940B1 (ko) 가변형 럼버서포트를 구비하는 의자
JPH0795913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JP4202687B2 (ja) 椅子における座の前後摺動装置
KR101069769B1 (ko) 의자
JP6777281B2 (ja) 椅子
KR200439162Y1 (ko) 의자용 요추 완충장치
KR200428384Y1 (ko) 프레임 의자
KR102341836B1 (ko) 전후방 이동부를 구비한 의자
KR102472402B1 (ko)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KR100515954B1 (ko) 의자
KR102461625B1 (ko) 롤링 단속장치를 갖는 좌판 롤링 및 백-다운구조의 등받이 의자
CN218484118U (zh) 一种自适应椅背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