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402B1 -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 Google Patents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402B1
KR102472402B1 KR1020220109717A KR20220109717A KR102472402B1 KR 102472402 B1 KR102472402 B1 KR 102472402B1 KR 1020220109717 A KR1020220109717 A KR 1020220109717A KR 20220109717 A KR20220109717 A KR 20220109717A KR 102472402 B1 KR102472402 B1 KR 102472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hair
fixing member
concave
movab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9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to KR1020220109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에 장착되어 요추를 지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0)에 고정되고, 후크(25)를 구비하는 고정부재(20); 상기 후크(25)에 스프링(35)을 개재하여 장착되고, 전면에 요철부(33)를 구비하는 조절링(30); 및 상기 고정부재(20)의 전면에 돌출대(41)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조절링(30)의 요철부(33)와 맞물리는 요철부(43)를 구비하는 가동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긴밀하게 받쳐주는 기구로서 구조적 단순성을 기반으로 조작의 편의성과 양산의 생산성을 확보하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범용성과 활용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Lumbar supporting device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긴밀하게 받쳐주기 위한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가정, 직장, 학교 등에서 의자에 장시간 앉아 있는 동안 허리의 긴장이 지속되어 피로감은 물론 각종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사용자 자신이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상태가 좋은 자세라고 알려지지만, 아무리 좋은 자세로 착석하더라도 수시로 자세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요추를 편안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자세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기구가 적용된다. 어느 경우에나 구조적 단순성을 기반으로 양산의 품질과 생산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84987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79795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패드프레임의 양단에 지지되도록 연결설치된 허리지지부; 허리지지부가 연결설치되고 허리지지부를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부; 상하이동부가 고정설치되고, 양끝단이 의자의 등받이 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프레임; 등을 포함한다. 이에, 허리를 탄력적 및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피로감을 해소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등판프레임에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제1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가이드홀더; 등판 시트 후방에의 요추 패드와 제1가이드부에 안내되는 가이드윙부를 포함하는 지지대; 및 요추 패드의 후방을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체를 가지는 조절레버; 등을 포함한다. 이에, 간단한 구성으로 위치와 강도를 쉽게 조절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만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사용적인 측면과 양산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할 때 개선의 여지를 보이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84987호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공개일자 : 2014.04.1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679795호 "지지 위치와 강도를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공개일자 : 2016.11.28.)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긴밀하게 받쳐줌에 구조적 단순성을 기반으로 조작의 편의성과 양산의 생산성을 확보하는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에 장착되어 요추를 지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에 고정되고, 후크를 구비하는 고정부재; 상기 후크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장착되고, 전면에 요철부를 구비하는 조절링; 및 상기 고정부재의 전면에 돌출대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조절링의 요철부와 맞물리는 요철부를 구비하는 가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재는 중앙에 형성되는 요홈부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수직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절링은 후크를 통과시키는 통공부를 통하여 임의적인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동부재는 후크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유도홈의 양측으로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동부재의 요철부는 후크의 단턱부와 맞물리는 동시에 슬라이딩 가능한 단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리부분을 긴밀하게 받쳐주는 기구로서 구조적 단순성을 기반으로 조작의 편의성과 양산의 생산성을 확보하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범용성과 활용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가 적용된 의자 등받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일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에 장착되어 요추를 지지하는 기구에 관하여 제안한다.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를 갖춘 의자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구의 요추 지지는 사용자의 척추 중에서 허리등뼈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의자는 중앙이 비어있는 형태의 등받이에서 요추 부근으로 지지대(1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의 의자에 한정되지 않으며 지지대(12)도 별도로 구성되지 않고 등받이에 통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서 전방(전면)과 후방(후면)은 의자에 앉은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기준으로 명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등받이(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0)가 후크(25)를 구비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정부재(20)가 등받이(10)에 고정된 상태와 후크(25)를 갖춘 상태를 나타난다. 고정부재(20)는 대략 장방형의 곡면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요추와 직접 접촉하지는 않는다. 고정부재(20)의 중앙에는 의자의 지지대(12)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부(15)를 구비한다. 체결부(15)는 보스 형태의 홀과 볼트(도시 생략)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후크(25)는 대향하는 몸체에 절개부(26)와 단턱부(27)를 갖춘 형태이고, 고정부재(20)의 중앙에 양측으로 대향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된다. 절개부(26)는 양측 몸체의 탄성적인 접근과 이격을 허용하고, 단턱부(27)는 후술하는 구성품들과 맞물림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고정부재(2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후크(25) 등을 일체로 사출 성형한 구조이다. 합성수지 소재는 강도, 탄성, 내마모성, 내충격성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재(20)는 중앙에 형성되는 요홈부(21)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수직판(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고정부재(20)의 요홈부(21)의 후크(25)에 인접한 위치에 수직판(23)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요홈부(21)는 고정부재(20)의 대략 중앙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용기의 형태를 이룬다. 요홈부(21)의 바닥면은 지지대(12)의 체결부(15)와 대향하는 상태로 체결된다. 요홈부(21) 상에는 후크(25)가 일체로 수용되며, 후크(25)의 단부는 요홈부(21)에서 약간 돌출된다. 수직판(23)은 각각의 후크(25)를 중심으로 양측에 평행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수직판(23)은 후술하는 가동부재(40)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수지재 고정부재(20)의 강도와 강성을 보강하는 리브의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에 요철부(33)를 구비하는 조절링(30)이 상기 후크(25)에 스프링(35)을 개재하여 장착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고정부재(20)의 후크(25)에 연계되는 조절링(30)과 스프링(35)이 나타난다. 조절링(30)은 고정부재(20)보다 물성이 우수한 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한다. 조절링(30)은 일측과 타측의 대항하는 위치에 요철부(33)를 구비한다. 요철부(33)는 부드러운 곡면의 파형을 이루도록 돌출되는 구조이다. 스프링(35)은 표준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후크(25)의 몸체에 동심으로 장착된다. 후크(25) 상에 스프링(35)과 조절링(30)이 순차적으로 장착되면 후크(25)의 단턱부(27)에 의해 맞물려 임의로 이탈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절링(30)은 후크(25)를 통과시키는 통공부(31)를 통하여 임의적인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조절링(30)의 중앙에 후크(25)보다 큰 치수의 통공부(31)를 나타낸다. 통공부(31)는 양측의 변부가 상하의 변부보다 긴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양측의 변부는 직선 형태이지만 상하의 변부는 곡선(호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통공부(31)의 양측 변부의 거리는 후크(25)보다 작지만 후크(25)는 탄성변형으로 통과되고 일단 통과된 후에는 임의적 회전은 물론 이탈이 방지된다. 조절링(30)이 임의적으로 회전하면 후술하는 가동부재(40)의 상하운동이 구속되거나 매끄럽지 않다. 후크(25)의 대향하는 몸체를 접근하도록 동시에 누르면 조절링(30)과 스프링(35)의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링(30)의 요철부(33)와 맞물리는 요철부(43)를 구비하는 가동부재(40)가 상기 고정부재(20)의 전면에 돌출대(41)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가동부재(40)가 돌출대(41)를 통하여 고정부재(20)의 후크(25)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가동부재(40)는 대략 장방형의 곡면으로 형성되고, 착석한 사용자의 요추와 직접 접촉 가능하다. 가동부재(40)도 고정부재(20)와 동일한 수지재로 사출 성형하지만, 탄성과 내마모성과 같은 일부 물성이 높은 소재로 차등화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대(41)는 상자형 구조로서 가동부재(40)의 후방으로 평행하게 돌출된다. 돌출대(41)는 조절링(30)의 요철부(33)와 맞물려 슬라이딩 가능한 요철부(43)를 구비한다. 돌출대(41)의 양측면은 고정부재(20)의 수직판(23)과 슬라이딩 가능한 접촉 상태를 유지하여 가동부재(40)의 원활한 상하운동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동부재(40)는 후크(25)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유도홈(45)의 양측으로 요철부(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가동부재(40)의 돌출대(41)에 요철부(43)와 유도홈(45)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수직으로 형성된 유도홈(45)을 기준으로 양측에 요철부(43)가 대칭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고정부재(20)의 후크(25)에 장착된 한 쌍의 조절링(30)은 각각의 돌출대(41)와 요철부(33)(43)를 통하여 접촉된다. 가동부재(40)의 요철부(43)는 조절링(30)의 요철부(33)와 동일한 치수이면서 상하로 일정한 길이에 파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가동부재(40)의 요철부(43)는 후크(25)의 단턱부(27)와 맞물리는 동시에 슬라이딩 가능한 단턱부(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동부재(40)의 돌출대(41)의 내부에 단턱부(47)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내면의 단턱부(47)는 외면의 요철부(43)와 대향하는 위치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고정부재(20)의 후크(25)에 가동부재(40)의 돌출대(41)의 유도홈(45)을 끼우면 단턱부(27)(47)가 맞물리면서 가동부재(40)는 고정부재(20)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부재(20)와 가동부재(40) 사이에 조절링(30)이 요철부(33)(43)의 파형과 탄성력으로 맞물려 있지만 사용자가 손으로 가동부재(40)를 올리거나 내리면 슬라이딩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등받이(10)에 기대어 틸팅하는 경우 스프링(35)이 압축되어 완충의 역할을 하면서 가동부재(40)에 대한 조절링(30)의 탄성력을 증대하여 임의적 위치(높이) 변동을 억제한다.
한편, 도 3에서 수직판(23)의 일측에 오목부(24)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오목부(24)는 조절링(30)의 외경에 해당하는 측면 일부에 대향하도록 호형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오목부(24)는 조절링(30)의 모션에 대한 저항력 변동을 유발하도록 구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구에 의하면 고정부재(20), 조절링(30), 가동부재(40)의 구조로 연결되므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나 레버와 같은 작동부재를 배제하여 구성의 단순성을 나타내고 있다. 구성의 단순성은 조작의 편의성과 양산의 생산성을 제고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등받이 12: 지지대
15: 체결부 20: 고정부재
21; 요홈부 23: 수직판
24: 오목부 25: 후크
26: 절개부 27: 단턱부
30: 조절링 31: 통공부
33: 요철부 35: 스프링
40: 가동부재 41: 돌출대
43: 요철부 45: 유도홈
47: 단턱부

Claims (5)

  1. 의자의 등받이에 장착되어 요추를 지지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0)에 고정되고, 후크(25)를 구비하는 고정부재(20);
    상기 후크(25)에 스프링(35)을 개재하여 장착되고, 전면에 요철부(33)를 구비하는 조절링(30); 및
    상기 고정부재(20)의 전면에 돌출대(41)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조절링(30)의 요철부(33)와 맞물리는 요철부(43)를 구비하는 가동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중앙에 형성되는 요홈부(21)의 양측에서 대향하는 수직판(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링(30)은 후크(25)를 통과시키는 통공부(31)를 통하여 임의적인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40)는 후크(25)의 슬라이딩을 유도하는 유도홈(45)의 양측으로 요철부(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40)의 요철부(43)는 후크(25)의 단턱부(27)와 맞물리는 동시에 슬라이딩 가능한 단턱부(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KR1020220109717A 2022-08-31 2022-08-31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KR102472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717A KR102472402B1 (ko) 2022-08-31 2022-08-31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9717A KR102472402B1 (ko) 2022-08-31 2022-08-31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2402B1 true KR102472402B1 (ko) 2022-12-01

Family

ID=84440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9717A KR102472402B1 (ko) 2022-08-31 2022-08-31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40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2323A1 (en) * 2003-06-11 2005-03-24 Dicks Gerald G. Chair
KR200437376Y1 (ko) * 2007-01-25 2007-11-29 주식회사 선일 의자용 요추받이의 높낮이 조절구조
US7303232B1 (en) * 2006-12-07 2007-12-04 Chen Yung-Hua Backrest adjusting device for office chairs
KR20090002656U (ko) * 2007-09-12 2009-03-17 주식회사 선일 의자용 요추받이의 높낮이 조절구조
JP2010063819A (ja) * 2008-09-12 2010-03-25 Kokuyo Co Ltd 椅子
KR20130003973U (ko) * 2011-12-23 2013-07-03 김선규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KR101384987B1 (ko) 2013-12-26 2014-04-14 (주) 파트라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KR101679795B1 (ko) 2016-06-29 2016-11-28 부호체어원(주) 지지 위치와 강도를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KR101873721B1 (ko) * 2017-11-02 2018-07-03 (주)코아스 의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2323A1 (en) * 2003-06-11 2005-03-24 Dicks Gerald G. Chair
US7303232B1 (en) * 2006-12-07 2007-12-04 Chen Yung-Hua Backrest adjusting device for office chairs
KR200437376Y1 (ko) * 2007-01-25 2007-11-29 주식회사 선일 의자용 요추받이의 높낮이 조절구조
KR20090002656U (ko) * 2007-09-12 2009-03-17 주식회사 선일 의자용 요추받이의 높낮이 조절구조
JP2010063819A (ja) * 2008-09-12 2010-03-25 Kokuyo Co Ltd 椅子
KR20130003973U (ko) * 2011-12-23 2013-07-03 김선규 의자 등받이에 있어서, 요추 받침장치
KR101384987B1 (ko) 2013-12-26 2014-04-14 (주) 파트라 의자용 요추지지장치
KR101679795B1 (ko) 2016-06-29 2016-11-28 부호체어원(주) 지지 위치와 강도를 통합적으로 조절하는 요추지지 조절장치
KR101873721B1 (ko) * 2017-11-02 2018-07-03 (주)코아스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0917B2 (en) Recline adjustment system for chair
US6189972B1 (en) Lumbar support adjustment mechanism
KR101967201B1 (ko) 요추받이부 굴곡조절모듈이 구비된 의자
JP2000079034A (ja) 椅 子
WO2008108972A1 (en) Ergonomic adjustable chair
KR10197634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요추받침수단을 갖는 메쉬형 의자
KR102130324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가 적용된 의자
JP2005152087A (ja) 椅子及びその背もたれ
KR101839782B1 (ko) 의자 등받이의 요추받이 틸팅장치
KR102472402B1 (ko)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KR102382087B1 (ko) 의자의 탄성력 있는 굴곡조절모듈
KR20110026278A (ko) 요추받이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JP5358821B2 (ja) 椅子
CN109106121B (zh) 一种坐具
CN215776739U (zh) 腰枕支撑力调节结构和座椅
KR101009491B1 (ko) 틸팅거리 조절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JPH10179313A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支持構造
KR20130064453A (ko) 의자용 슬라이드 틸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2325199B1 (ko) 틸팅 구조 기반의 접이형 의자
KR20170004293U (ko) 의자 좌판 경사장치
JPH07155232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JP5600151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H0795913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200428384Y1 (ko) 프레임 의자
KR102104922B1 (ko)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