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746B1 -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 Google Patents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746B1
KR101852746B1 KR1020180026040A KR20180026040A KR101852746B1 KR 101852746 B1 KR101852746 B1 KR 101852746B1 KR 1020180026040 A KR1020180026040 A KR 1020180026040A KR 20180026040 A KR20180026040 A KR 20180026040A KR 101852746 B1 KR101852746 B1 KR 101852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head guard
booster
support frame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원
Original Assignee
최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원 filed Critical 최창원
Priority to KR102018002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746B1/ko
Priority to PCT/KR2018/005877 priority patent/WO20191724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60N2/3086Disappearing in a recess of the cush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booster cushions, e.g. to lift a child to allow proper use of the conventional safet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60N2/3084Disappearing in a recess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92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lin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 B60N2002/924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using electric or hydraulic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구조로 형성되어 유아뿐만 아니라 아동이 이용할 수 있는 안전시트가 내장되어 구비된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부스터 시트와 헤드가드가 구비되어 유아동의 신장에 따라 부스터 시트와 헤드가드의 높이 위치를 조절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함으로써 유아동의 차량 탑승 안전성을 향상시킨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는, 받침시트(1)로부터 상방향으로 인출 높이가 조절 가능하며, 상기 받침시트(1)에 내장 가능하게 구비된, 부스터 시트(3); 및 등받이 시트(2)로부터 전방으로 직진하여 인출될 수 있고 인출된 상태에서 그 높이가 조절 가능하며, 상기 등받이 시트(2)에 내장되어 구비된, 헤드가드(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아 또는 아동의 신장에 따라 상기 부스터 시트(3) 및 헤드가드(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착석 높이를 설정하고 상기 안전벨트를 착용함으로써 안전벨트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Description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Car seat with a built-in safety seat for baby and child}
본 발명은 가변 구조로 형성되어 유아뿐만 아니라 아동이 이용할 수 있는 시트가 내장되어 구비된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부스터 시트와 헤드가드가 구비되어 유아동의 신장에 따라 부스터 시트와 헤드가드의 높이 위치를 조절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함으로써 유아동의 차량 탑승 안전성을 향상시킨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시트에 구비된 안전벨트는 성인을 기준으로 벨트용 버클 및 안전벨트 스트랩, 벨트용 클립을 이용하여 착용하는 구조로 구비되어 성인과 신체 조건이 현저하게 차이가 있는 유아 또는 아동에게 그대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영유아 또는 아동을 차량에 탑승시킬 때 영유아 또는 아동을 위한 안전시트를 의무적으로 장착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이렇게 유아 또는 아동을 차량에 탑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별도의 유아용 시트 또는 아동용 시트를 준비하여 시트에 장착하는 것은 견고한 장착결합이 요구되어 그 장착 과정이 복잡하고 매우 불편하다. 또한, 유아 또는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그 신장에 맞는 유아용 시트 또는 아동용 시트로 수회 구매하여 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미사용시 탑승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임시로 분리하는 작업도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보관 및 이동하는 데도 적지 않은 수고를 필요로 한다.
더불어, 별도로 준비한 유아용 시트 또는 아동용 시트를 차량에 장착하는 작업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장착 불량으로 인하여 유아 또는 아동의 사용 안전성에 별다른 효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여, 사용 안전성에 관한 논란이 제기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4761호에는 카시트에 소아용 안전시트를 내장하여 소아 탑승객을 위하여 착석 높이를 바꿀 수 있는 기술이 제시되었으나, 단순히 상승된 하나의 착석 위치를 제공하는 것뿐이어서 유아 또는 아동의 신장 변화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사용 안전성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사고 또는 충격시 안전벨트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는 안전벨트의 스트랩이 안전벨트 착용자의 상체에서 어깨 쇄골 및 가슴을 가로질러 고정력을 제공하고 하체에서는 골반 부분을 가로질러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착용되어야 하므로 안전벨트 착용자의 착석위치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뿐만 아니라, 더불어, 안전벨트의 스트랩이 꼬이지 않게 착용될 필요가 있는 데, 이러한 요구조건들을 충실히 만족시킬 수 있는 시트 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따라서 유아동용 시트가 카시트에 내장된 구조로 구비됨으로써 장착 및 분리의 불편을 제거할 수 있으면서도 유아 또는 아동의 신장 변화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사용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고, 또한, 유아 또는 아동의 신장에 맞춰 정교하게 착석 위치를 조정할 수 있되 그 조절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가변 구조의 카시트를 제공할 수 있는 세부적인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14761호(2015.10.1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아 또는 아동의 신장에 따라 착석 위치 등을 조절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고 측방향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유아동의 차량 탑승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유아동부터 성인까지 공용할 수 있는 편리성 및 경제성 등이 향상된 카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안전벨트 스트랩이 꼬이지 않게 착용될 수 있는 추가적인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착석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간편한 기술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며,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고도 부스터 시트를 손쉽게 돌출시키고 부스터 시트의 상승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향상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착석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간편한 기술수단을 제공하고자 하며,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고도 부스터 시트의 승강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향상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헤드가드의 인출 및 삽입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인출된 헤드가드를 승강시키는 간편한 기술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헤드가드의 이동에 따라 그 개방상태가 노출되는 헤드가드의 출입공을 등받이 시트의 내측에서 폐쇄하여 사용자 안전성 및 장치보호, 미관성능 등을 개선할 수 있는 향상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는 받침시트(1)로부터 상방향으로 인출 가능하며, 상기 받침시트(1)에 내장 가능하게 구비된, 부스터 시트(3); 및 등받이 시트(2)로부터 전방으로 직진하여 인출될 수 있고 인출된 상태에서 그 높이가 조절 가능하며, 상기 등받이 시트(2)에 내장 가능하게 구비된, 헤드가드(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아 또는 아동의 신장에 따라 상기 부스터 시트(3) 및 헤드가드(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착석 높이를 설정하고 상기 안전벨트를 착용함으로써 유아동에 대한 안전벨트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상기 헤드가드(5)는 벨트 안내 슬롯(10)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안전벨트 스트랩(6)이 상기 벨트 안내 슬롯(10)에 의하여 꼬이지 않게 착용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상기 부스터 시트(3)는 상방향으로 인출 높이를 조절 가능한 구조이되 상기 인출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부스터 시트 조절수단(20)이 구비되며, 상기 부스터 시트 조절수단(20)은, 상기 부스터 시트(3)의 하부에 그 일측이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된 구조이고 상하방향의 이동만 허용되게 구비되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홈(23)이 형성된 지지프레임(22); 및 상기 받침시트(1)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일측 선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22)의 고정홈(23)에 삽입됨으로써 지지프레임(22)의 상하 이동을 임시로 제한하여 부스터 시트(3)의 인출 높이를 고정하며, 그 타측 선단부에 구비된 고정대 손잡이(27)를 외측으로 당김으로써 그 일측 선단부를 상기 지지프레임(22)의 고정홈(23)으로부터 이탈시켜 지지프레임(22)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된, 고정대(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상기 부스터 시트 조절수단(20)은, 돌출 탄성수단(24)에 의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2)이 상방향으로 돌출 편향성을 갖게 지지되며, 상기 고정대(25)가 지지프레임(22)의 고정홈(23)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누름 탄성수단(26)에 의하여 고정대(25)가 지지프레임(22) 측으로 가압되는 결합관계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상기 부스터 시트(3)는 상방향으로 인출 높이를 조절 가능한 구조이되 상기 인출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부스터 시트 승강수단(30)이 구비되며, 상기 부스터 시트 승강수단(30)은, 상기 부스터 시트(3)의 하부에 그 일측이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된 구조이고 상하방향의 이동만 허용되게 구비되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랙기어가 형성된 지지프레임(32); 및 상기 지지프레임(32)의 랙기어에 치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승강구동 기어(33); 상기 승강구동 기어(33)에 회동 구동력을 인가하는 부스터 구동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부스터 구동기(34)의 회전방향 제어에 따른 지지프레임(32)의 승강을 통하여 부스터 시트(3)의 돌출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상기 부스터 시트 승강수단(30)은, 상기 지지프레임(32)의 랙기어에 치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승강구동 기어(33)로서 웜기어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부스터 구동기(34)의 구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32)의 상하운동을 구속하는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는, 상기 헤드가드(5)가 상기 등받이 시트(2)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헤드가드 승강수단(40)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가드 승강수단(40)으로부터 승강 구동력을 인가 받아 헤드가드(5)를 승강시키는 헤드가드 승강본체(50)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가드(5)가 전방에 결합되고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이 돌기 구조로 구비된 헤드가드 지지부재(70)가 상기 헤드가드 승강본체(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가드 승강 본체(50)의 중간위치와 헤드가드 지지부재(70)를 상호 연결하는 인출삽입 보조스프링(76)이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헤드가드 승강본체(50)에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홈 구조의 캠 경로(62)가 형성된 캠 경로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캠 경로(62)는, 상기 헤드가드(5)가 등받이 시트(2)의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리지 않고 그 자세를 유지하도록 인출유지 지지부(63);와 상기 헤드가드(5)가 등받이 시트(2)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등받이 시트(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그 자세를 유지하도록 내장유지 지지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헤드가드 지지부재(70)의 전후방 이동을 안내하거나 전후방 종단부에서 이동을 제한하면서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는, 상기 등받이 시트(2)의 내측에서 헤드가드(5)의 인출 및 삽입을 위하여 등받이 시트(2)에 구비된 헤드가드 출입공(95)의 하부에 인접하여 출입공 커버수단(80)이 상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헤드가드 지지부재(70)에서 소정의 후방 위치에 고리부재(74, 75)가 구비됨으로써, 인출된 헤드가드(5)의 승하강에 연동하여 등받이 시트(2)의 내측에서 상기 헤드가드 지지부재(70)의 고리부재(74, 75) 및 출입공 커버수단(80)에 의하여 상기 헤드가드 출입공(95)의 내측 아래 부분을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는, 상기 출입공 커버수단(80)에서 헤드가드 출입공(95)을 폐쇄하는 커버본체(8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된 커버 걸림부(82)에 절개부(83)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재(74, 75)는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고리부재 본체(74)의 말단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리부재 걸림편(75)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고리부재 본체(74)가 커버 걸림부(82)의 절개부(83)로 진입하여 상기 고리부재 걸림편(75)이 상기 커버 걸림부(82)를 걸어서 상방향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시트에 내장 가능하게 구비되고 인출 높이가 조절되는 부스터 시트와, 등받이 시트에 내장 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그 높이가 조절되는 헤드가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유아동의 신장에 따라 착석위치를 정교하게 조정할 수 있고 안전벨트의 스트랩이 헤드가드의 하부를 지나 유아동의 어깨 및 가슴을 가로지르게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되어 유아동에 대한 안전벨트의 사용 안전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헤드가드가 함께 제공된 시트 구조를 유아동에게 제공함으로써 전후방 사고 및 충격뿐만 아니라 측면 사고 및 충격 등에 있어서도 유아동에게 향상된 탑승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고 유아동의 수면시 유아동의 머리를 안정되게 지지하여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기본 효과를 확보할 수 있으며, 미사용시 신속하게 카시트의 내부에 내장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공간 확보를 위한 작업에 현저한 편리성을 제공하는 상승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헤드가드에 벨트 안내 슬롯을 구비하여 상기 벨트 안내 슬롯을 통과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함으로써 안전벨트의 스트랩이 꼬이지 않게 착용되어 안전벨트의 원활한 작동을 확보하는 향상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부스터 시트의 인출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부스터 시트 조절수단을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되 인출 높이의 조절 및 고정이 손쉬운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리성 및 신뢰성, 제조비용 등의 측면에서 상승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부스터 시트 조절수단에서 지지프레임을 돌출 탄성수단에 의하여 지지하고 고정대를 누름 탄성수단에 의하여 지지프레임 측으로 가압하는 결합관계를 구비함으로써, 부스터 시트를 인출하기 위한 별도의 손잡이 등이 부스터에 구비되지 않더라도 부스터 시트를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인출 높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통하여, 사용 편리성 및 신뢰성 등을 현저하게 개선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부스터 시트의 인출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부스터 시트 승강수단을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인출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 편리성 및 용이성 등의 측면에서 상승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부스터 시트 승강수단에서 윔기어를 채용하여 승강구동 기어를 구성함으로써 부스터 구동기의 구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별도의 제동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지지프레임의 상하운동을 구속하는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장치 구조의 단순화 및 제조비용 절감, 신뢰성 등의 측면에서 향상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헤드가드 승강수단에 의하여 헤드가드가 승강되는 구조를 구비하며, 헤드가드 승강본체 및 헤드가드 지지부재, 캠 경로부재 등을 이용하여 헤드가드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후방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헤드가드의 전개 및 수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기능과 유아동의 신장에 따라 정교하게 헤드가드의 높이를 승강하여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유아동의 안전벨트 사용 안전성과 장치 조절의 편리성 등의 측면에서 현저하게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헤드가드 지지부재의 고리부재 및 출입공 커버수단 등에 의하여 헤드가드 출입공의 내측 아래 부분을 폐쇄하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개방된 헤드가드 출입공을 통하여 등받이 시트 내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호기심에 의한 유아동의 안전사고 발생 등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며, 더불어, 외관 성능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출입공 커버수단에 있어서 커버 걸림부의 절개부를 통하여 고리부재가 커버 걸림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장치의 설치공간을 절약하고 출입공 커버수단을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더욱 개선된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의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의 세부 구조.
도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의 부스터 시트 위치조절 구조.
도 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헤드가드의 이동 개념도.
도 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헤드가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세부 구조.
도 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헤드가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세부 구성의 배치도.
도 7.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헤드가드의 인출 및 삽입 운동 구조.
도 8.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헤드가드 출입공의 커버 구조
도 9.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커버 걸림부의 다른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의 사시도로서 부스터 시트와 헤드가드를 이용하여 안전벨트의 착용 전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정면도를, 도 2(b)는 투시도 형식으로 측면도를, 도 2(c)는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의 부스터 시트 위치조절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수동으로 부스터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이고, 도 3(b)는 자동으로 부스터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헤드가드의 이동 개념도로서, 도 4(a)는 헤드가드가 매립된 상태이고, 도 4(b)는 헤드가드가 매립상태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함께 도시한 것이고, 도 4(c)는 헤드가드가 인출상태로부서 상승된 상태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헤드가드를 위한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5(a)는 도 4(b)의 선 A-A를 기준으로 카시트의 단면도를 평면도로 제시한 것이고, 도 5(b)는 도 5(a)의 점선 원 부분을 자세히 도시하되 헤드가드의 이동 위치를 달리하여 평면도를 제시하고 그 평면도의 우측에는 후방에서 본 측면도를 제시하고 그 평면도의 하측에는 측면도를 각각 제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헤드가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세부 구성의 배치도로서, 등받이 시트 후방 내측에 내장된 장치들의 세부 결합관계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헤드가드의 인출 및 삽입 운동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헤드가드 승강본체 및 캠 경로부재, 헤드가드 지지부재 등의 상대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인데, 도 7(a)는 헤드가드의 인출완료 직전 상태를, 도 7(b)는 헤드가드의 인출완료 후 인출위치를 유지하는 상태를, 도 7(c)는 헤드가드의 삽입완료 직전 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헤드가드 출입공의 커버 구조를 한 것으로서, 도 8(a)는 출입공 커버수단가 기본 위치에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임시로 헤드가드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도시한 것이고, 도 8(b)는 헤드가드가 전방으로 완전 인출되며 도 8(a)의 커버걸림부의 절개부에 삽입된 후 헤드가드의 상승 이동에 연동되어 커버본체를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에서 커버 걸림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커버걸림부의 절개부에 이탈방지용 탄성걸림편이 구비된 구조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100)는, 도 1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받침시트(1)에 구비된 부스터 시트(3)와, 등받이 시트(2)에 구비된 헤드가드(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카시트(100)에 구비된 벨트용 버클(4) 및 안전벨트 스트랩(6), 벨트용 클립(7)을 이용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함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유아뿐만 아니라 아동에게 안전성이 향상된 시트를 일관되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부스터 시트(3)와 헤드가드(5)는 쿠션이 있는 재질로 각각 외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등받이 시트(2)의 상단부에 헤드레스트(9) 등을 구비하여 일반인의 사용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벨트(4, 6, 7)는 기존의 차량에 이용되는 3점(즉, 한쪽 어깨 지점 및 골반의 양 측면 지점)을 고정하는 방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중앙 좌석을 위하여 구비된 안전벨트(4, 6, 7)를 이용하여, 혹은, 필요한 경우에 추가적인 안전벨트(4, 6, 7)를 구비함으로써, 유아동의 양쪽 어깨 지점 및 골반의 양 측면 지점을 고정하는 4점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3점 방식 또는 4점 방식에서 안전벨트 스트랩(6)은 상기 헤드가드(5)의 하부를 지나 유아동의 가슴 위로 통과하여 골반의 반대편 측면에 구비된 벨트용 버클(4)에 벨트용 클립(7)이 접속되어 착용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도 1(a)에서 좌측 좌석과 우측 좌석에 각각 구비된 것처럼 차량의 승차공간에 복수개의 유아동용 시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100)에서 전방으로 인출된 헤드가드(5)는 측방향의 사고 또는 충격에 대하여 유아동의 머리 유동을 제한하여 유아동의 머리 및 목의 손상을 감시킬 뿐만 아니라 유아동의 수면시 머리를 지지해줌으로써 유아동에게 사용 안전성 및 안락함을 제공하는 기본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전방으로 인출된 상기 헤드가드(5)는 안전벨트의 스트랩(6)이 유아동의 어깨 쇄골 부분 및 가슴 상부를 가로질러 반대편 골반 측면으로 체결 및 고정되는 안전벨트의 올바른 착용 구조를 제공하게 되어 안전벨트의 사용 안전성을 확보하는 주요한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100)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가드(5)에 벨트 안내 슬롯(10)이 구비되어 안전벨트 스트랩(6)이 상기 벨트 안내 슬롯(10)에 의하여 꼬이지 않게 착용됨으로써 안전벨트(4, 6, 7)의 원활한 작동이 보장되고 이로 인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한 유아동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 안내 슬롯(10)에는, 도 6의 우측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벨트 스트랩(6)이 상기 벨트 안내 슬롯(10)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이탈방지 수단(11)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안전벨트 스트랩(6)의 삽입 장착은 쉽고 의도치 않게 빠지지는 않으나 빼려는 의지가 있을 때는 비교적 쉽게 상기 벨트 안내 슬롯(10)에서 뺄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100)는, 도 2(a) 및 2(b)에 도시된 것처럼, 헤드가드(5)가 등받이 시트(2)의 중간 높이 위치에 구비되어 등받이 시트(2)의 전면으로 인출되거나 등받이 시트(2)의 내부로 삽입되어 보관되는 구조를 가지며, 또한, 부스터 시트(3)가 받침시트(1)의 상부로 인출되거나 받침시트(1)의 내부로 삽입되어 보관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유아 및 아동뿐만 아니라 일반인이 공동으로 카시트를 이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가진다. 이러한 가변구조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100)는 부스터 시트(3)의 인출 높이를 조절하는 부스터 시트 조절수단(20) 또는 부스터 시트 승강수단(30)을 구비하며, 인출된 헤드가드(5)의 높이를 조절하는 헤드가드 승강수단(50, 60, 7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100)에서 부스터 시트(3)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순히 2단 높이 구조, 즉, 받침시트(1)의 상부로 인출되어 고정되거나 받침시트(1)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보관되는 구조로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더불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부스터 시트(3)의 인출 높이를 유아동의 신장에 따라 세부적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스터 시트(3)를 높이 조절이 가능한 헤드가드(5)와 함께 구비함으로써 유아동의 착석 시야를 개선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석자세에서의 신체중심을 과도하게 상승시키지 않음으로써 안전벨트 사용에 의한 안전성 등을 유효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 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100)에서 부스터 시트(3)의 인출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하는 부스터 시트 조절수단(20)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스터 시트(3)의 내부에 구비된 시트프레임(21)에 그 일단이 결합되며 상하 방향의 이동만 허용되도록 차량의 구조 프레임 등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프레임(22)을 이용하여 부스터 시트(3)의 인출 높이를 조절하고 임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예를 들어, 지지프레임(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홈(23)이 형성되고 받침시트(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고정대(25)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대(25)의 일측 선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22)의 고정홈(23)에 삽입됨으로써 지지프레임(22)의 상하 이동을 임시로 제한하여 부스터 시트(3)의 인출 높이를 고정하며, 고정대(25)의 타측 선단부에 구비된 고정대 손잡이(27)를 이용하여 고정대(25)를 상기 지지프레임(22)의 고정홈(23)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지지프레임(22)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여 부스터 시트(3)의 인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고정대(25)가 지지프레임(22)의 고정홈(23)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고정대(25)는 누름 탄성수단(26)에 의하여 지지프레임(22) 측으로 가압되는 결합관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프레임(22)은 자동차의 구조프레임으로부터 단순히 상하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는 가이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나 자동차의 구조프레임과의 사이에서 돌출 탄성수단(24)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구조를 추가로 구비하면 부스터 시트(3)가 돌출 편향성을 갖게 되어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부스터 시트(3)를 인출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외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100)에서 부스터 시트(3)의 인출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부스터 시트 승강수단(30)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스터 시트(3)의 내부에 구비된 시트프레임(21)에 결합된 지지프레임(32)을 이용하여 부스터 시트(3)의 인출 높이를 전동방식으로 조절하고 임시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지지프레임(32)은 지지프레임(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의 돌출부가 구비된 랙기어(rack gear)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2)의 랙기어에 치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승강구동 기어(33)와, 상기 승강구동 기어(33)에 회동 구동력을 인가하는 부스터 구동기(34)를 구비함으로써, 카시트(10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된 승강 버튼(37)에 의하여 상기 부스터 구동기(34)의 회전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지지프레임(32)의 승강을 통하여 부스터 시트(3)의 돌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스터 구동기(34)로서 전자식 모터를 이용하거나 유압모터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승강 버튼(37)은 직접 연결된 방식을 통하여 부스터 구동기(34)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제어기 등과의 유무선 통신에 의하여 부스터 구동기(34)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승강구동 기어(33)를 선택함에 있어서, 부스터 구동기(34)의 회전축이 상기 지지프레임(3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그 회전축에 결합된 웜기어(worm gear)를 채용하여 지지프레임(32)에 승강구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동 구조를 형성하면, 별도의 제동 구성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부스터 구동기(34)의 구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32)의 상하운동을 구속할 수 있는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향상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100)에서 헤드가드(5)는, 도 4(a) 및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 시트(2)에 내장된 상태와 등받이 시트(2)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가드(5)가 등받이 시트(2)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헤드가드(5)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헤드가드(5)의 삽입상태와 헤드가드(5)를 지지 및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등받이 시트(2)의 후방으로 밀폐구조 혹은 후방개방구조로 구비되며, 등받이 시트(2)의 전면부분은 헤드가드(5)의 출입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안락한 등받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쿠션 및 지지 프레임 등에 의해서 구성된다. 또한, 헤드가드(5)도 외측은 쿠션 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어, 등받이 시트(2)에 삽입상태에서 등받이 시트(2)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정도의 쿠션 및 지지반력을 제공하며, 등받이 시트(2)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유아동의 머리를 지지하는 쿠션 및 지지반력을 제공하게 된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인출된 헤드가드(5)의 높이를 조절하는 헤드가드의 승강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헤드가드(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헤드가드 승강본체(50)에 승강 구동력을 인가하는 헤드가드 승강수단(40)이 구비된다. 상기 헤드가드 승강수단(40)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가드 승강본체(50)와 나사구조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스크류축(41)과, 상기 스크류축(41)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헤드가드 구동기(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헤드가드 구동기(42)는 전자식 모터 또는 유압모터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헤드가드 승강수단(40)에 의해서 승강되는 구성들의 전체 하중이 크지 않아 헤드가드 승강수단(40)의 회전을 제동하기 위한 별도의 제동수단이 필요하지는 않다. 다만, 제동수단을 구비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스크류축(41)에 직접적으로 제동력을 부가하는 구조를 형성하거나 헤드가드 구동기(42)로서 제동력이 겸비된 스텝핑 모터 등을 채용하여 구성함으로써 간편하게 제동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헤드가드 구동기(42)는 등받이 시트(2) 내부의 구조 프레임 등 차량의 구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스크류축(41)은 스크류축 지지부재(44)에 의하여 등받이 시트(2) 내부의 구조 프레임 등 차량의 구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안정적으로 고정되는데 스크류축 지지부재(44)로서 단순 관통 지지구조보다는 스크류축(41)의 원활한 회전 성능을 위하여 볼 베어링 혹은 부시 베어링 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크류축(41)과 헤드가드 구동기(42) 사이에는 구동축 커플러(43)를 구비하여 조립 또는 교체 작업의 편리성과 진동 또는 충격 등의 측면에서 동력전달 안정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100)에서 상기 헤드가드 승강수단(40)으로부터 승강 구동력을 인가 받아 헤드가드(5)를 승강시키는 헤드가드 승강본체(50)는, 도 5(a) 및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축(41)에 나사결합되는 승강결합부(51)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결합부(51)로부터 시트의 후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된 승강본체 베이스(52)와, 상기 승강결합부(51)로부터 혹은 승강본체 베이스(52)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된 허브 지지프레임(53), 상기 허브 지지프레임(53)의 말단부에 구비된 슬라이딩 허브(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헤드가드 승강본체(50)의 승강운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차량의 구조 프레임에 결합된 승강안내대(99)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승강안내부(59)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헤드가드 승강본체(50)는 헤드가드(5)의 승강운동 기초를 제공하며 헤드가드(5)의 인출 및 삽입 운동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상기 헤드가드 승강본체(50)의 슬라이딩 허브(54)에는 헤드가드 지지부재(7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가드 지지부재(70)의 전방측에 상기 헤드가드(5)가 구비되어 상기 헤드가드(5)가 등받이 시트(2)로부터 인출되거나 등받이 시트(2)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더불어, 헤드가드 승강수단(40)에 의하여 승강 구동됨으로써 헤드가드(5)의 상하 방향 승강 이동을 구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100)에서 헤드가드 지지부재(70)는, 상기 헤드가드(5)에 결합되어 헤드가드(5)를 지지하는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이 헤드가드(5)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되고 연결프레임(72)이 양측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은 상기 헤드가드 승강본체(50)의 슬라이딩 허브(54)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헤드가드(5)의 전방 인출 이동이나 후방 매립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은 헤드가드(5)의 내측 지지프레임과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헤드가드(5)의 직립 자세를 유지하여 유아동의 머리를 보호하거나 지지할 수 있도록 헤드가드(5) 및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의 구조적인 강성 및 결합구조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100)는 헤드가드(5)가 등받이 시트(2)의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리지 않고 그 자세를 유지하며 등받이 시트(2)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등받이 시트(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그 자세를 유지하는 추가적인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헤드가드 지지부재(70)에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이 돌기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의 이동을 안내하거나 그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캠 경로부재(60)가 상기 헤드가드 승강본체(50)에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은 헤드가드 지지부재(70)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동일하게 전후방으로만 이동할 수 있고, 캠 경로부재(60)는 상기 헤드가드 승강본체(50)에 넓게 파인 홈 구조로 형성된 측방향 유동 안내부(56)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가드 승강본체(5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헤드가드 지지부재(70)의 전방 인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거나 후방 삽입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면서 더불어 인출이동의 초반부와 삽입이동의 초반부에 상기 헤드가드 지지부재(70)의 이동운동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가드 지지부재(70)와 헤드가드 승강 본체(50)는 탄성수단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b)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가드 승강 본체(50)의 중간 위치와 헤드가드 지지부재(70)의 연결프레임(72)의 한 지점을 연결하는 인출삽입 보조스프링(76)을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구비함으로써, 헤드가드 지지부재(70)의 인출이동 초반부와 삽입이동 초반부에 인출삽입 보조스프링(76)의 복원력에 의하여 헤드가드 지지부재(70)의 이동이 지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캠 경로부재(60)는, 도 5 및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가드 승강본체(50)에 넓게 파인 홈 구조로 형성된 측방향 유동 안내부(56)에 안착되는 캠 경로부재 본체(61)와, 상기 캠 경로부재 본체(61)에 구비되어 상기 헤드가드 지지부재(70)의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의 위치를 안내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캠 경로(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캠 경로(62)는 전후방으로 연장된 직선구조의 경로가 평행하게 구비되고 양 직선 경로를 연결하는 전방측에 인출유지 지지부(63)가 구비되고 양 직선 경로를 연결하는 후방측에 내장유지 지지부(64)가 구비되는데, 상기 인출유지 지지부(63)는 봉우리와 골짜기를 조합하여 구성됨으로써 헤드가드(5)의 전방인출 최대 위치를 제한하고 전방인출 상태를 임시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내장유지 지지부(64)는 봉우리와 골짜기를 조합하여 구성됨으로써 헤드가드(5)의 후방삽입 최대 위치를 제한하고 후방삽입 상태를 임시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한편, 헤드가드 승강본체(50)의 측방향 유동 안내부(56)와 캠 경로부재(60) 사이에는 측방향 유동을 안내하고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측방향 유동 보조부재(65)를 추가로 구비하거나 상기 측방향 유동 안내부(56)를 대체하여 구비할 수 있다. 즉, 측방향 유동 보조부재(65)로서 헤드가드 승강본체(50)와 캠 경로부재(60)의 상호 접촉부분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단순 요철결합 구조로 형성하여 대응시키거나 또는 도 5 및 7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볼이 개재된 구름접촉 구조로 형성하여 대응시킴으로써, 상기 캠 경로부재(60)가 상기 헤드가드 승강본체(50)에 대하여 좌우 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안내하고 전후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100)에서 헤드가드(5)의 인출 및 삽입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은 상기 헤드가드(5) 및 헤드가드 지지부재(70)의 전방 이동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는데, 이 과정에서 캠 경로부재(60)에 구비된 캠 경로(62)의 직선 경로에 의해서 상기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의 전방 이동이 허용된다. 상기 헤드가드(5)의 완전인출상태에서는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은 상기 캠 경로부재(60)의 캠 경로(62)에서 직선 경로의 말단에 구비된 인출유지 지지부(63) 구간에 진입하게 되는데, 인출유지 지지부(63)의 전방측 곡선벽 및 정점에 의하여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의 전방 이동은 제한되면서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의 작용력에 의하여 캠 경로부재(60)는 제1 측방향으로 밀려서 이동된 후 정지하게 된다. 이렇게 전방인출이 제한된 후에 헤드가드(5)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은 상기 캠 경로부재(60)의 캠 경로(62)에서 인출유지 지지부(63)의 후방측 경사부분에 접촉하여 상기 캠 경로부재(60)를 제1 측방향으로 계속 밀어서 이동시키며,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유지 지지부(63)의 후방 저점부분에 도달하게 됨으로써, 헤드가드(5)의 인출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헤드가드(5)를 삽입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가드(5)를 전방으로 인출하는 동작을 취하면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이 짧은 거리(P1)를 이동하여 인출유지 지지부(63)의 전방측 곡선벽 및 정점에 접촉하게 되어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의 전방 이동은 제한되면서 캠 경로부재(60)는 제1 측방향으로 더욱 밀려서 이동된 후 정지하게 된다. 이렇게 전방인출이 제한된 후에 헤드가드(5)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은 상기 캠 경로부재(60)의 캠 경로(62)에서 인출유지 지지부(63) 구간으로부터 이탈되어 직선 경로 구간으로 진입됨으로써, 헤드가드 지지부재(70)는 자유롭게 등받이시트(2)의 후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은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경로부재(60)의 캠 경로(62)에서 직선 경로 구간의 말단부까지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헤드가드(5)를 삽입하는 조작을 지속하게 되면,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은 캠 경로부재(60)의 캠 경로(62)에서 직선경로의 말단에 구비된 내장유지 지지부(64) 구간으로 진입하게 되고 캠 경로부재(60)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밀려서 이동한다.
곧이어, 내장유지 지지부(64)의 후방측 곡선벽 및 정점에 의하여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의 후방 이동은 제한되면서 캠 경로부재(60)는 제2 측방향으로 밀려서 이동된 후 정지된다. 이렇게 후방삽입이 제한된 후에 헤드가드(5)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은 상기 캠 경로부재(60)의 캠 경로(62)에서 내장유지 지지부(64)의 전방측 경사부분에 접촉하여 상기 캠 경로부재(60)를 제2 측방향으로 다시 밀어서 이동시키며, 내장유지 지지부(64)의 전방 저점부분에 도달하게 됨으로써, 헤드가드(5)의 삽입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헤드가드(5)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가드(5)를 후방으로 삽입하는 동작을 취하면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이 짧은 거리(P2)를 이동하여 내장유지 지지부(64)의 후방측 곡선벽 및 정점에 접촉하게 되어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의 후방 이동은 제한되면서 캠 경로부재(60)는 제2 측방향으로 더욱 밀려서 이동한 후 정지하게 된다. 이렇게 후방삽입이 제한된 후에 헤드가드(5)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은 상기 캠 경로부재(60)를 제2 방향으로 더욱 밀면서 상기 캠 경로부재(60)의 내장유지 지지부(64) 구간으로부터 이탈되어 직선 경로 구간으로 진입하게 됨으로써, 헤드가드 지지부재(70)는 자유롭게 인출이동되어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은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경로부재(60)의 캠 경로(62)에서 직선 경로 구간의 말단부까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캠 경로부재(60)의 캠 경로(62)에서 인출유지 지지부(63)와 내장유지 지지부(64)는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의 위치 유지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봉우리 및 골짜기로부터 반대편 곡선벽 및 정점까지의 간격(P1, P2)(도 7(c) 참조)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출유지 지지부(63)의 전방측 곡선벽 및 정점까지의 간격(P1)을 충분히 확보할수록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의 전방측 요동에서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이 인출유지 지지부(63)의 전방측 곡선벽까지 도달되지 않아 캠 경로부재(60)의 측방향 이동이 유발되지 않으므로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은 인출유지 지지부(63)에 지속적으로 머물러 있게 된다. 또한, 내장유지 지지부(64)의 후방측 곡선벽 및 정점까지의 간격(P2)을 충분히 확보할수록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의 후방측 요동에서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이 내장유지 지지부(64)의 후방측 곡선벽까지 도달되지 않아 캠 경로부재(60)의 측방향 이동이 유발되지 않으므로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은 내장유지 지지부(64)에 지속적으로 머물러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출유지 지지부(63)의 상기 간격(P1)과 내장유지 지지부(64)의 상기 간격(P2)은 상호 동일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성인이 착석하여 안전벨트를 이용하도록 헤드가드(5)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성인에 의하여 후방측으로 헤드가드(5)의 대변위 요동이 유발되는 경우에 대하여 헤드가드(5)의 내장유지 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내장유지 지지부(64)의 상기 간격(P2)을 인출유지 지지부(63)의 상기 간격(P1)보다 더 크게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헤드가드 지지부재(70)의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이 캠 경로부재(60)의 캠 경로(6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캠 경로(62)를 따라 이동하도록 캠이동 보강부재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의 이동구간에 대하여 연결프레임(72)의 상방에 캠이동 보강부재(57)를 구비함으로써 연결프레임(72)의 상방향 이격을 제한하는 방식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100)에서 헤드가드(5)의 인출 및 삽입을 위하여 등받이 시트(2)에 구비된 헤드가드 출입공(95)은 인출된 헤드가드(5)의 승하강에 따라 헤드가드 출입공(95)의 하부 또는 상부가 개방상태로 노출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상기 헤드가드(5) 후방과 등받이 시트(2)의 외표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헤드가드(5) 후방의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에 걸리는 구멍 또는 슬롯이 구비된 등받이 커버부재를 추가로 구비하여 노출된 헤드가드 출입공(95)을 외부 위치에서 가림으로써 미관 성능 및 안정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등받이 커버부재는 유아동의 땀 등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외피를 구성하고 상기 외피에 어린이용 캐릭터를 인쇄하여 형성함으로써 건강 기능 및 유아동의 적응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노출된 헤드가드 출입공(9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폐쇄하는 수단으로서, 헤드가드(5)는 인출위치로부터 상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복귀하고 하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구조를 채용하면서 등받이 시트(2) 내측에서 상기 헤드가드 출입공(95)의 하부 위치에 출입공 커버수단(80)을 구비하고 헤드가드(5)의 승강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헤드가드 출입공(95)의 내측 아래 부분을 폐쇄하는 구조를 상기 등받이 커버부재와 함께 구비하거나 혹은 상기 등받이 커버부재를 대체하여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출입공 커버수단(80)은 헤드가드 출입공(95)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진 판 구조의 커버본체(81)와, 상기 커버본체(81)를 등받이 시트(2)에서 상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며 고정하는 커버 안착부재(8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본체(81)의 상단부에는 커버 걸림부(82)가 구비된다.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은 소정의 위치에서 고리부재(74, 75)를 구비하여 헤드가드(5)가 완전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리부재(74, 75)의 일부가 상기 커버본체(81)의 커버 걸림부(82)의 직하방에 이격되게 위치하여 헤드가드(5)의 상승 이동에 따라 상기 고리부재(74, 75)의 일부가 커버 걸림부(82)에 밀착된 후 밀어올려서 커버본체(81)를 상승 이동시키는 구조이다. 헤드가드(5)가 임의의 상승위치로부터 복귀하여 최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고리부재(74, 75)의 일부가 상기 커버본체(81)의 커버 걸림부(82)의 직하방에 이격되게 위치하여 헤드가드(5)의 후방 삽입 이동에 따라 상기 고리부재(74, 75)의 일부가 커버 걸림부(82) 직하방으로부터 이탈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는 구조이다.
이때 고리부재(74, 75)가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에 결합된 상태에서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이 큰 범위로 전후방 이동 가능한 구조가 요구되므로 상기 지지프레임(71)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헤드가드 승강본체(50)의 슬라이딩 허브(54)는 상기 고리부재(74, 75)의 통과를 위한 구조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6(b)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허브(54)는 상기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이면서 그 하부에 통과슬롯(55)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고리부재(74, 75)가 슬라이딩 허브(54)를 가로질러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71)의 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홈이 구비되고 상기 홈에 대응되는 상기 슬라이딩 허브(54)에는 돌기가 구비되거나 볼의 일부를 수용하는 포켓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허브(54) 내부에서 돌기 혹은 볼에 의하여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의 슬라이딩 이동을 유지 또는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리부재(74, 75)는,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고리부재 본체(74)와, 상기 고리부재 본체(74)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본체(81)의 상단에 구비된 커버 걸림부(82)에 걸릴 수 있는 고리부재 걸림편(7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리부재 걸림편(75)은, 헤드가드(5)를 인출하기 위하여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이 전방으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커버본체(81)의 상단에 구비된 커버 걸림부(82)의 직하방에 고리부재 걸림편(75)의 적어도 일부분이 위치할 수 있는 모든 구조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100)에서는 상기 고리부재(74, 75)의 개선된 구조로서 상기 고리부재 걸림편(75)이 상기 고리부재 본체(74)로부터 좌우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커버 걸림부(82)에 상기 고리부재 본체(74)가 진입 가능한 크기로 절개부(83)가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안정적인 걸림구조 및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도 8(a)에 제시된 바와 같이,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고리부재 본체(74)의 좌우 양측방향으로 날개구조의 고리부재 걸림편(75)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그 하부에 결합된 고리부재 본체(74)가 커버 걸림부(82)의 절개부(83)로 진입하게 되면 상기 날개구조의 고리부재 걸림편(75)은 커버 걸림부(82)의 직하방에서 이격된 위치에 자리잡게 되고 헤드가드(5)의 상승 이동을 위하여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고리부재 걸림편(75)이 커버 걸림부(82)의 하면에 밀착되며 커버 걸림부(82)를 걸어서 상방향으로 끌어올리는 작동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이 임의의 상승 위치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커버본체(81)는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며, 설령, 커버 안착부재(85) 등과의 마찰에 의하여 커버본체(81)의 하강 이동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에도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이 커버본체(81)의 커버 걸림부(82) 상부에 접촉하여 아래 방향으로 미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커버본체(81)는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의 하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헤드가드 출입공(95)의 내측 아래 부분을 지속적으로 폐쇄하며 이동하는 작동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본체(81)의 이동 중에 혹은 이동 후의 위치에서 상기 커버 걸림부(82)로부터 상기 고리부재(74, 7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 걸림부(82)는 후방으로 갈수록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로 형성하거나 커버 걸림부(82)의 후방 말단부에 이탈방지 턱(84)을 형성하는 등 상기 고리부재(74, 75)에 대한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탈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제시된 바와 같이, 커버 걸림부(82)에 형성된 절개부(83)의 진입부에 돌기 구조의 탄성걸림편(86)을 구비하여, 고리부재 본체(74)가 상기 절개부(83)로 강제로 진입하거나 절개부(83)로부터 강제로 이탈하는 것은 탄성걸림편(86)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허용하되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서 고리부재 본체(74)가 절개부(83)로부터 이탈되려는 것은 탄성걸림편(86)의 돌기에 의해서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의 단계는 단독으로 복수회 실시되거나 혹은 적어도 다른 어느 한 단계와 조합으로 복수회 수행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1 : 받침 시트 2 : 등받이 시트
3 : 부스터 시트 4 : 벨트용 버클
5 : 헤드가드 6 : 안전벨트 스트랩
7 : 벨트용 클립 8 : 측면 융기부
9 : 헤드레스트 10 : 벨트 안내슬롯
20 : 부스터 시트 조절수단 21 : 시트프레임
22 : 지지프레임 23 : 고정홈
24 : 돌출 탄성수단 25 : 고정대
26 : 누름 탄성수단 27 : 고정대 손잡이
30 : 부스터 시트 승강수단 32 : 지지프레임
33 : 승강구동 기어 34 : 부스터 구동기
35 : 안내수단 37 : 승강 버튼
40 : 헤드가드 승강수단 41 : 스크류축
42 : 헤드가드 구동기 43 : 구동축 커플러
44 : 스크류축 지지부재
50 : 헤드가드 승강 본체 51 : 승강결합부
52 : 승강본체 베이스 53 : 허브 지지프레임
54 : 슬라이딩 허브 55 : 통과슬롯
56 : 측방향 유동 안내부 57 : 캠이동 보강부재
58 : 체결부재 59 : 승강안내부
60 : 캠 경로부재 61 : 캠 경로부재 본체
62 : 캠 경로 63 : 인출유지 지지부
64 : 내장유지 지지부 65 : 측방향 유동 보조부재
70 : 헤드가드 지지부재 71 : 헤드가드 지지프레임
72 : 연결프레임 73 :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
74 : 고리부재 본체 75 : 고리부재 걸림편
76 : 인출삽입 보조스프링
80 : 출입공 커버수단 81 : 커버본체
82 : 커버 걸림부 83 : 절개부
84 : 이탈방지 턱 85 : 커버 안착부재
86 : 탄성 걸림편
95 : 헤드가드 출입공 99 : 승강안내대

Claims (9)

  1. 받침시트(1) 및 등받이 시트(2)가 구비되고 벨트용 버클(4) 및 안전벨트 스트랩(6), 벨트용 클립(7)을 이용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형성된 카시트에 있어서,
    상기 받침시트(1)로부터 상방향으로 인출 높이가 조절 가능하며, 상기 받침시트(1)에 내장 가능하게 구비된, 부스터 시트(3); 및
    상기 등받이 시트(2)로부터 전방으로 직진하여 인출될 수 있고 인출된 상태에서 그 높이가 조절 가능하며, 상기 등받이 시트(2)에 내장 가능하게 구비된, 헤드가드(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아 또는 아동의 신장에 따라 상기 부스터 시트(3) 및 헤드가드(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착석 높이를 설정하고 상기 안전벨트를 착용함으로써 유아동에 대한 안전벨트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헤드가드(5)가 상기 등받이 시트(2)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그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헤드가드 승강수단(40)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가드 승강수단(40)으로부터 승강 구동력을 인가 받아 헤드가드(5)를 승강시키는 헤드가드 승강본체(50)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가드(5)가 전방에 결합되고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이 돌기 구조로 구비된 헤드가드 지지부재(70)가 상기 헤드가드 승강본체(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가드 승강 본체(50)의 중간위치와 헤드가드 지지부재(70)를 상호 연결하는 인출삽입 보조스프링(76)이 인장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헤드가드 승강본체(50)에 좌우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헤드가드 이동안내 캠(73)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홈 구조의 캠 경로(62)가 형성된 캠 경로부재(60)가 구비되며,
    상기 캠 경로(62)는, 상기 헤드가드(5)가 등받이 시트(2)의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밀리지 않고 그 자세를 유지하도록 인출유지 지지부(63);와 상기 헤드가드(5)가 등받이 시트(2)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등받이 시트(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그 자세를 유지하도록 내장유지 지지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헤드가드 지지부재(70)의 전후방 이동을 안내하거나 전후방 종단부에서 이동을 제한하면서 그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가드(5)는 벨트 안내 슬롯(10)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안전벨트 스트랩(6)이 상기 벨트 안내 슬롯(10)에 의하여 꼬이지 않게 착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 시트(3)는 상방향으로 인출 높이를 조절 가능한 구조이되 상기 인출 높이를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부스터 시트 조절수단(20)이 구비되며,
    상기 부스터 시트 조절수단(20)은,
    상기 부스터 시트(3)의 하부에 그 일측이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된 구조이고 상하방향의 이동만 허용되게 구비되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고정홈(23)이 형성된 지지프레임(22); 및
    상기 받침시트(1)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일측 선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22)의 고정홈(23)에 삽입됨으로써 지지프레임(22)의 상하 이동을 임시로 제한하여 부스터 시트(3)의 인출 높이를 고정하며, 그 타측 선단부에 구비된 고정대 손잡이(27)를 외측으로 당김으로써 그 일측 선단부를 상기 지지프레임(22)의 고정홈(23)으로부터 이탈시켜 지지프레임(22)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비된, 고정대(2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 시트 조절수단(20)은,
    돌출 탄성수단(24)에 의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2)이 상방향으로 돌출 편향성을 갖게 지지되며, 상기 고정대(25)가 지지프레임(22)의 고정홈(23)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누름 탄성수단(26)에 의하여 고정대(25)가 지지프레임(22) 측으로 가압되는 결합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 시트(3)는 상방향으로 인출 높이를 조절 가능하되 상기 인출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부스터 시트 승강수단(30)이 구비되며,
    상기 부스터 시트 승강수단(30)은,
    상기 부스터 시트(3)의 하부에 그 일측이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된 구조이고 상하방향의 이동만 허용되게 구비되며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랙기어가 형성된 지지프레임(32); 및
    상기 지지프레임(32)의 랙기어에 치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승강구동 기어(33); 상기 승강구동 기어(33)에 회동 구동력을 인가하는 부스터 구동기(34);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부스터 구동기(34)의 회전방향 제어에 따른 지지프레임(32)의 승강을 통하여 부스터 시트(3)의 돌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터 시트 승강수단(30)은,
    상기 지지프레임(32)의 랙기어에 치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승강구동 기어(33)로서 웜기어를 채용함으로써 상기 부스터 구동기(34)의 구동이 오프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32)의 상하운동을 구속하는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7. 받침시트(1) 및 등받이 시트(2)가 구비되고 벨트용 버클(4) 및 안전벨트 스트랩(6), 벨트용 클립(7)을 이용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형성된 카시트에 있어서,
    상기 받침시트(1)로부터 상방향으로 인출 높이가 조절 가능하며, 상기 받침시트(1)에 내장 가능하게 구비된, 부스터 시트(3); 및
    상기 등받이 시트(2)로부터 전방으로 직진하여 인출될 수 있고 인출된 상태에서 그 높이가 조절 가능하며, 상기 등받이 시트(2)에 내장 가능하게 구비된, 헤드가드(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아 또는 아동의 신장에 따라 상기 부스터 시트(3) 및 헤드가드(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착석 높이를 설정하고 상기 안전벨트를 착용함으로써 유아동에 대한 안전벨트의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 시트(2)의 내측에서 헤드가드(5)의 인출 및 삽입을 위하여 등받이 시트(2)에 구비된 헤드가드 출입공(95)의 하부에 인접하여 출입공 커버수단(80)이 상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헤드가드(5)가 전방에 결합된 헤드가드 지지부재(70)에서 소정의 후방 위치에 고리부재(74, 75)가 구비됨으로써,
    인출된 헤드가드(5)의 승하강에 연동하여 등받이 시트(2)의 내측에서 상기 헤드가드 지지부재(70)의 고리부재(74, 75) 및 출입공 커버수단(80)에 의하여 상기 헤드가드 출입공(95)의 내측 아래 부분을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공 커버수단(80)에서 헤드가드 출입공(95)을 폐쇄하는 커버본체(81)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게 구비된 커버 걸림부(82)에 절개부(83)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재(74, 75)는 헤드가드 지지프레임(71)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고리부재 본체(74)의 말단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고리부재 걸림편(75)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고리부재 본체(74)가 커버 걸림부(82)의 절개부(83)로 진입하여 상기 고리부재 걸림편(75)이 상기 커버 걸림부(82)를 걸어서 상방향으로 끌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9. 삭제
KR1020180026040A 2018-03-05 2018-03-05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KR101852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40A KR101852746B1 (ko) 2018-03-05 2018-03-05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PCT/KR2018/005877 WO2019172484A1 (ko) 2018-03-05 2018-05-24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40A KR101852746B1 (ko) 2018-03-05 2018-03-05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746B1 true KR101852746B1 (ko) 2018-04-27

Family

ID=62081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040A KR101852746B1 (ko) 2018-03-05 2018-03-05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2746B1 (ko)
WO (1) WO201917248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277A (ko) * 2018-12-31 2020-07-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팝업 시트
KR20210020679A (ko) * 2019-08-16 2021-02-24 주식회사 폭스박스 스마트 카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시스템
CN114454786A (zh) * 2018-12-13 2022-05-10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幼儿汽车载具及其防前后误用的载具本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8195A (zh) * 2020-12-04 2021-03-16 佛吉亚(南京)汽车部件系统有限公司 一种带有儿童座位的汽车座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727Y1 (ko) * 2014-07-31 2015-07-14 정수우 내장형 카시트
KR101694716B1 (ko) * 2015-12-02 2017-01-1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으로 변형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0597B2 (ja) * 1995-08-04 2002-11-05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自動車用子供安全シート
KR19980046731U (ko) * 1996-12-28 1998-09-25 박병재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20110064490A (ko) * 2009-12-08 2011-06-15 주식회사 삼송 개별제어 가능한 에어 튜브가 구비된 유아용 안전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727Y1 (ko) * 2014-07-31 2015-07-14 정수우 내장형 카시트
KR101694716B1 (ko) * 2015-12-02 2017-01-10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으로 변형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4786A (zh) * 2018-12-13 2022-05-10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幼儿汽车载具及其防前后误用的载具本体
KR20200083277A (ko) * 2018-12-31 2020-07-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팝업 시트
KR102287171B1 (ko) * 2018-12-31 2021-08-0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용 팝업 시트
KR20210020679A (ko) * 2019-08-16 2021-02-24 주식회사 폭스박스 스마트 카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시스템
KR102320519B1 (ko) 2019-08-16 2021-11-03 주식회사 폭스박스 스마트 카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카시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2484A1 (ko)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746B1 (ko) 유아동용 시트가 내장된 카시트.
US10632871B2 (en) Child safety seat with headrest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6491348B1 (en) Child vehicle seat with child-restraint harness adjustment mechanism
US5746478A (en) Reclining mechanism and latch for child safety seat
US8845021B2 (en) Adjustment mechanism for positioning a headrest in an infant car seat
KR20130081199A (ko) 차일드 시트
EP2925573B1 (en) Safety belt
EP3159206B1 (en) An infant seat for motorcars
US6962393B2 (en) Child car seat having an adjustable armrest
CN108275036A (zh) 具有改进的进入系统和模块化头部约束组件的高性能座椅总成
KR200438960Y1 (ko) 유아용 카시트
CN203110967U (zh) 一种用于儿童安全支撑物的基座
CN100493954C (zh) 儿童座椅
CN107161202B (zh) 一种儿童座兜及儿童推车
WO2022263637A1 (en) Child safety seat
KR200438961Y1 (ko) 유아용 카시트
JP7543563B2 (ja) シートベルト調整構造及び子供用安全シート
TWI849349B (zh) 安全帶調整結構以及兒童安全座椅
EP0705728A2 (en) Vehicle seat with a vertically adjustable child seat
KR101526393B1 (ko) 차량용 시트 조절장치
CN219236837U (zh) 一种可调节安全带结构及其应用的儿童安全座椅
KR960010527Y1 (ko) 높이조절 가능한 안전벨트
CN114516312A (zh) 安全带调整结构
WO2023227509A1 (en) A child safety seat
KR100231542B1 (ko) 자동차후부좌석의높이조절식유아용좌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