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542B1 - 자동차후부좌석의높이조절식유아용좌석 - Google Patents

자동차후부좌석의높이조절식유아용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542B1
KR100231542B1 KR1019950028182A KR19950028182A KR100231542B1 KR 100231542 B1 KR100231542 B1 KR 100231542B1 KR 1019950028182 A KR1019950028182 A KR 1019950028182A KR 19950028182 A KR19950028182 A KR 19950028182A KR 100231542 B1 KR100231542 B1 KR 100231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infant
height
adjustabl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2816A (ko
Inventor
민병준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101995002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1542B1/ko
Publication of KR970012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부좌석 중앙에 유아의 신체크기에 따라 높이를 조절함과 더불어 유아전용의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는 유아용좌석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후부좌석자체에 유아용의 좌석이나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유아승차시 위험이 내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부좌석에서 접었다폈다 할 수 있는 팔걸이를 소형의 유아용좌석으로 전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높이조절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다단계의 고정홈을 통해 유아좌석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한편 이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벨트를 유아에 착용시키면 주행중 유아의 안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으며, 유아의 체형에 따라 유아좌석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발명임.

Description

자동차 후부좌석의 높이조절식 유아용좌석
제1도는 종래 자동차에서 팔걸이가 설치된 후부좌석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좌석이 설치된 후부좌석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좌석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좌석을 후부좌석의 등받이에 밀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후부좌석 4 : 등받이
6 : 고정홈 8 : 높이조절프레임
10 : 유아좌석 12 : 끼움장치
13 : 분리 장치 14 : 유아용등받이
16 : 안전벨트 18 : 벨트걸이
20 : 버클 22, 24 : 스트랩홀
26 : 탄지구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부좌석에 설치되는 유아용좌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부좌석 중앙에 유아의 신체크기에 따라 높이를 조절함과 더불어 유아전용의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는 유아용좌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시트의 등받이 크기는 평균적인 성인의 체형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고 그에 따라 추돌시나 급제동시 승차자의 안전을 위하여 착용하게 되는 안전벨트도 어린이나 유아들이 착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가 성인용크기의 좌석에 그대로 앉아 안전벨트를 착용한다고 하더라도 급제동시 유아가 안전벨트로부터 빠져나와 좌석으로부터 이탈되므로써 부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현재는 성인은 물론 어린이나 유아들도 의무적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하도록 제도화 하고 있는 바 현행 안전벨트규격은 성인의 체형에 맞게끔 설치되어 있고 유아에게 적합하지 못하기 때문에 유아의 안전을 고려하는 사람들은 별도의 유아용좌석을 구입하여 기존좌석에 설치한 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별도의 유아용좌석의 구입에 따른 비용의 증가와 함께 설치가 불편하여 활용도가 높지 못하였고, 또한 이는 소형의 좌석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피가 커서 운반 및 보관이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후부좌석의 중앙 좌우에 수직방향으로 다단의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절식의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홈에 유아용좌석을 결합하여 설치하는 한편 유아의 체형에 따라 고정홈의 높이를 선택하여 유아용좌석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며 또한 등받이와 유아용좌석간에 유아전용의 안전벨트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유아에게 안전한 승차감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후부좌석의 유아용좌석을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후부좌석(2)의 등받이(4) 중앙 좌우측에 다단의 고정홈(6)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절프레임(8)을 설치하고, 유아좌석(10)에는 상기 고정홈(6)에 결합시킬 수 있는 끼움장치(12)를 설치함과 더불어 그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분리장치(13)를 설치하는 한편 유아등받이(14)에 고정되어 있는 안전벨트(16)를 유아좌석(10)에 내설되어 있는 벨트걸이(18)를 통해 버클(20)에 길이조절가능하게 결합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30은 팔걸이, 40은 하우징, 42는 관통홈, 44는 스프링스토퍼, 46은 가로지지대, 48은 스프링, 50은 고정돌기, 52는 스트랩홀, 54는 손잡이, 56은 스트랩, 58은 스트랩홀, 60은 관통홈을 각각 나타낸다.
제1도는 종래 자동차에 있어 후부좌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후부좌석(2)은 통상 성인 3명 정도가 앉을 수 있는 공간으로 되어 있고, 승용차중 비교적 차체가 큰 중형승용차에서는 후부 등받이의 일부를 착탈식으로 하여 좌우 승차자의 팔걸이(30)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도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좌석(10)을 사용상태로 결합시킨 후부좌석(2)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보통때는 유아좌석(10)을 유아등받이(14)에 세운후 밀착시켜 등받이로 사용하다가 유아를 착석시키거나 팔걸이로 사용할 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4)로부터 분리결합시켜 사용한다.
안전벨트(16)는 유아등받이(14)의 스트랩홀(22)로부터 인출되어 유아좌석(10)의 스트랩홀(24)에 연장되어 있으며, 버클(20)에 의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유아좌석(10)은 유아좌석(10)의 끼움장치(12)에서 좌우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탄지구(26)가 높이조절프레임(8)의 고정홈(6)에 결합되는 바, 상기 고정홈(6)은 높이조절프레임(8)상에서 수직방향으로 다단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아의 체형에 따라 적당한 높이에 고정시켜 사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움장치(12)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끼움장치(12)는 쿠션재와 표피등으로 둘러싸여진 유아용좌석(10)내에 설치되는 하우징(40)내에 설치된다. 즉 하우징(40)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홈(42)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스프링스토퍼(44)가 형성되어 있는 가로지지대(46)의 양단에 스프링(48)을 외삽하여 탄지구(26)가 결합되고, 상기 탄지구(26)의 고정돌기(50)가 높이조절프레임(8)의 고정홈(6)에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가로지지대(46)의 양단은 탄지구(26)에 형성되어 있는 사각홈(42)이 외측으로 돌출되어지게 되고, 가로지지대(46)의 스프링스토퍼(44)와 탄지구(26)사이에 스프링(48)이 외삽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평소에 탄지구(26)는 스프링(48)의 탄발력에 의하여 하우징(40)의 내측벽에 밀착되어 있게 되므로 고정돌기(50)는 하우징(4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홈(4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54)가 결합되어 있는 스트랩(56)은 탄지구(26)에 형성되어 있는 스트랩홀(58)에 끼워져 있으며 하우징(40)의 후부 상면을 통해 손잡이(54) 부위만이 외측으로 나와 있다. 그리하여 손잡이(54)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양측의 탄지구(26)가 스프링(48)을 압축하면서 내측으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탄지구(26)의 고정돌기(50)가 하우징(40)의 관통홈(42)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유아좌석(10)을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상태로 설치하거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손잡이(54)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탄지구(26)의 고정돌기(50)가 내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유아좌석(10)을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킨다음 손잡이(54)를 당기고 있던 힘을 해제하게 되면 좌우측의 탄지구(26)가 스프링(48)의 탄발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됨과 더불어 탄지구(26)의 고정돌기(50)가 높이조절프레임(8)의 고정홈(6)에 삽입되므로써 유아좌석(10)의 높이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필요에 따라 위와 같은 방법으로 유아좌석(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유아을 유아좌석(10)에 착석시킨 후에는 안전벨트(16)를 유아의 가슴부위에 위치시키고 버클(20)을 통해 길이를 조절하면 유아의 체형에 적합하게 안전벨트(16)를 착용할 수 있게 되어 유아의 안전이 확보된다.
안전벨트(16)의 상부는 유아등받이(14)의 스트랩홀(22)로부터 인출됨과 더불어 그 하부에는 하우징(4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홈(60)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벨트걸이(18)에 걸려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좌석을 후부좌석의 등받이에 밀착시킨 상태의 사시도로, 유아좌석(1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유아좌석(10)을 세워서 유아등받이(14)에 밀착시키면 통상의 등받이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도 또다시 유아좌석(1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스트랩(62)과 손잡이(64)로 이루어진 분리장치(13)를 잡아당기면 전술한 끼움장치(12)에 의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이 이루어져 유아좌석(10)을 등받이(14)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후에는 앞서와 같은 방법으로서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부좌석에서 접었다폈다 할 수 있는 팔걸이를 소형의 유아용좌석으로 전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높이조절프레임에 형성되어 있는 다단계의 고정홈을 통해 유아좌석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한편 이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벨트를 유아에 착용시키면 주행중 유아의 안전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으며, 유아의 체형에 따라 유아좌석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후부좌석(2)의 등받이(4) 중앙 좌우측에 다단의 고정홈(6)이 형성되어 있는 높이조절프레임(8)을 설치하고, 유아좌석(10)에는 상기 고정홈(6)에 결합시킬 수 있는 끼움장치(12)를 설치하는 한편 유아등받이(14)에 고정되어 있는 안전벨트(16)를 유아좌석(10)에 내설되어 있는 벨트걸이(18)를 통해 버클(20)에 길이조절가능하게 결합시켜서 된 자동차 후부좌석의 높이조절식 유아용좌석.
  2. 제1항에 있어서, 끼움장치(12)는 하우징(40)의 관통홈(42)에 가로방향으로 스프링스토퍼(44)가 설치되어 있는 가로지지대(46)의 양단에 스프링(48)이 외삽되어 탄지구(26)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탄지구(26)의 고정돌기(50)가 관통홈(42) 외측으로 돌설되고, 상기 탄지구(26)에 형성되어 있는 스트랩홀(58)을 통해 손잡이(54)가 결합되어 있는 스트랩(56)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부좌석의 높이조절식 유아용좌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프레임(8)에는 수직방향으로 다단계의 고정홈(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부조삭의 높이조절식 유아용좌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좌석(10)의 하우징(40)에 내설되어 있는 벨트걸이(18)와 유아등받이(14) 사이에 안전벨트(1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후부좌석의 높이조절식 유아용좌석.
KR1019950028182A 1995-08-31 1995-08-31 자동차후부좌석의높이조절식유아용좌석 KR100231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8182A KR100231542B1 (ko) 1995-08-31 1995-08-31 자동차후부좌석의높이조절식유아용좌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8182A KR100231542B1 (ko) 1995-08-31 1995-08-31 자동차후부좌석의높이조절식유아용좌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816A KR970012816A (ko) 1997-03-29
KR100231542B1 true KR100231542B1 (ko) 1999-11-15

Family

ID=19425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8182A KR100231542B1 (ko) 1995-08-31 1995-08-31 자동차후부좌석의높이조절식유아용좌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15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816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2097C (en) Child's safety restraining vest
ES2150095T3 (es) Asiento integrado para niños con adaptacion automatica al tamaño del niño.
US20070108813A1 (en) Vehicular seat assembly
US5690382A (en) Adjustable child-restraint shield
US6213508B1 (en) Vehicle seat belt device
KR100231542B1 (ko) 자동차후부좌석의높이조절식유아용좌석
CN219236837U (zh) 一种可调节安全带结构及其应用的儿童安全座椅
KR102668214B1 (ko) 휴대용 안전벨트
KR101747876B1 (ko)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
KR102636829B1 (ko)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CN210970757U (zh) 一种车用儿童固位装置
KR200141434Y1 (ko) 거리조절이 가능한 보호대를 구비한 유아용 차량안전의자
GB2513212A (en) Child seat having an anchoring harness
KR102281303B1 (ko)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KR0157841B1 (ko) 시트벨트의 높이조절 장치
KR100366594B1 (ko) 유아용 시트벨트
KR200147171Y1 (ko) 자동차 프론트 시트의 유아용 보조벨트 고정장치
KR0138702Y1 (ko) 유아 보호 시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CN115465167A (zh) 一种可调节安全带结构及其应用的儿童安全座椅
KR20230129680A (ko) 휴대용 안전벨트
KR200279531Y1 (ko) 어린이를 위한 안전벨트 보조기구
KR20140005046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KR0135509Y1 (ko) 자동차 시이트 벨트의 웨빙 지지장치
KR20230167616A (ko) 양측 지지구조를 갖는 서포트 헤드레스트
KR0125107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고정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