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046U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046U
KR20140005046U KR2020130001870U KR20130001870U KR20140005046U KR 20140005046 U KR20140005046 U KR 20140005046U KR 2020130001870 U KR2020130001870 U KR 2020130001870U KR 20130001870 U KR20130001870 U KR 20130001870U KR 20140005046 U KR20140005046 U KR 201400050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backrest
seat
strap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호
Original Assignee
하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동호 filed Critical 하동호
Priority to KR2020130001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046U/ko
Publication of KR201400050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0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3Head-rests fix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목 받침을 시트의 등받이 부분에서 승강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나 승객의 목은 물론이고, 허리 부분과 등 부분을 받쳐 편안하고 안정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고, 사고와 같은 상황의 충격 시 헤드 레스트와 함께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측 끝단에 형성된 암버클과 내측에 형성된 수버클로 이루어진 한쌍의 고정버클에 의해 헤드 레스트의 외주연에 체결 고정되는 머리받이부와; 머리받이부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어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 전체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내측에 형성된 고정밴드에 의해 등받이에 고정되는 등받이부와; 머리받이부의 내측에 형성된 스트랩조임장치에 스트랩이 삽입 연결되어 사용자의 뒷 부분이 지지되는 지지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Height-adjustable neck support for a car seat}
본 고안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목 받침을 시트의 등받이와 헤드 레스트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운전자나 승객의 목은 물론이고, 허리 부분과 등 부분을 받쳐 편안하고 안정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고, 사고와 같은 상황의 충격 시 헤드 레스트와 함께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운전자나 승객의 안락함을 위하여 적정한 쿠션감과 강도를 가지고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착석 시 머리를 자연스럽게 받쳐 피로감을 줄여주고, 사고 등의 충격 시에 머리가 갑자기 젖혀져 목이 부러지는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머리를 받치는 역할을 하는 헤드 레스트가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 승강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자와 승객의 편안한 승차감을 위하여 상기 헤드 레스트와는 별도의 구성으로 일정 부분이 개구된 원형의 튜브 형태의 목 베개가 개시되어, 목에 둘러 사용하는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시트에 부착되어 운전자와 승객의 안전을 향상시키는 구조는 헤드 레스트와 목 베개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헤드 레스트의 경우 높낮이가 일정 높이 조절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성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앉은 키가 작은 성인이나 어린이의 경우 머리를 뒤로 완전히 젖히면 시트의 등받이에 머리가 닿고, 헤드 레스트에는 둘 수 없었다.
따라서 사고 등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면 머리가 갑자기 등받이에 부딪히면서 목 부분에 충격이 가해져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표준적인 성인의 경우에 머리의 뒷부분이 헤드 레스트에 잘 지지된다고 하더라도 목의 뒷부분과 헤드 레스트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격이 있을 경우 머리는 앞으로 숙여지면서 목의 뒷부분이 공간부로 들어가게 되어 목이 갑자기 꺾이는 듯한 현상에 의해 부상을 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목 부분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는 편자 형상의 목 베개는 사용 시 마다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고 사용 후에는 분리하여 별도의 수납공간에 수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사용 중에 헤드 레스트로 부터 이탈되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목 받침을 시트의 등받이 부분에서 승강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사고 시 아주 취약한 사용자의 목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허리 부분과 등 부분을 지지하여 운전과 승차 시에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 끝단에 형성된 암버클과 내측에 형성된 수버클로 이루어진 한쌍의 고정버클에 의해 헤드 레스트의 외주연에 체결 고정되는 머리받이부와; 머리받이부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어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 전체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내측에 형성된 고정밴드에 의해 등받이에 고정되는 등받이부와; 머리받이부의 내측에 형성된 스트랩조임장치에 스트랩이 삽입 연결되어 사용자의 뒷 부분이 지지되는 지지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목 받침을 시트의 등받이와 헤드 레스트의 전면에서 승강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또는 사고 시 가장 취약한 사용자의 목 부분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허리 부분과 등 부분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운전과 승차 시에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안락감과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설치되었을 때를 가정한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일부 확대 종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종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설치되었을 때를 가정한 예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일부 확대 종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를 나타낸 종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시트의 등받이(B)와 헤드 레스트(H)의 전면부에서 승강되는 구조를 가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끝단에 형성된 암버클(1)과 내측에 형성된 수버클(2)로 이루어진 한쌍의 고정버클(3)에 의해 헤드 레스트(H)의 외주연에 체결 고정되는 머리받이부(4)와; 상기 머리받이부(4)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어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B) 전체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내측에 형성된 고정밴드(5)에 의해 등받이(B)의 전면부에 고정되는 등받이부(6)와; 상기 머리받이부(4)의 내측에 형성된 스트랩조임장치(7)에 스트랩(8)이 삽입 연결되어 등받이부(6)의 전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뒷 부분이 지지되는 되는 지지체(9);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머리받이부(4)는 대략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단 부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설 될 스트랩(8)이 삽입되어 좌우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스트랩고정바(10)가 형성되며, 상기 머리받이부(4) 부분은 헤드 레스트(H)의 외주연을 감싸듯이 휘어지므로, 유연성이 뛰어난 재질이나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6)는 머리받이부(4)의 암버클(1)이 설치된 반대측 끝단에 연결되어 차량의 시트 등받이(B) 부분의 전체면을 가릴 수 있는 크기의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쿠션감과 통기성 및 유연성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수 개의 나무조각들이 부착된 구조로 구성되거나 메쉬 형태로 구성되는 등 여러 가지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6)의 내측 즉, 시트의 등받이(B)에 체결되는 고정밴드(5)는 탄력성이 부여된 고리 형태의 고무밴드로 형성되거나 또는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분할된 각각의 끝단에 상호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설치된 버클 형태로 형성되는 등 등받이부(6)를 등받이(B)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도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지지체(9)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가로로 눕혀진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 본체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각각의 스트랩(8)이 머리받이부(4)에 형성된 스트랩고정바(10)의 통공을 각각 관통하여 스트랩조임장치(7)에 삽입되어 체결되어 머리받이부(4)와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11은 사용자가 시트에 착석 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좌대이다.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을 실시함에 있어서 우선 차량용 시트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차량용 시트와 헤드 레스트(H)가 분리되어야 한다.
이 처럼 헤드 레스트(H)가 분리된 상태에서 등받이부(6)를 등받이(B)의 전면부에 위치시키고, 고정밴드(5)를 등받이(B)에 체결하여 등받이부(6)와 등받이(B)를 견고하게 체결 고정시킨다.
이때 등받이부(6)의 고정밴드(5)가 분리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면, 헤드 레스트(H)의 분리 작업을 생략할 수 도 있고, 헤드 레스트(H)와 머리받이부(4)의 체결 작업을 먼저 진행하는 등 설치 작업의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등받이부(6)가 시트의 등받이(B) 전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헤드 레스트(H)를 시트의 등받이와 결합하고, 머리받이부(4)를 헤드 레스트(H)에 체결 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받이부(4)가 펼쳐진 상태에서 머리받이부(4)의 내측에 형성된 수버클(2)을 헤드 레스트(H)와 등받이(B)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시킨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받이부(4)를 헤드 레스트(H)의 외주연을 감싸듯이 휘감아 일측 끝단에 형성된 암버클(1)을 상기 수버클(2)과 체결 시켜 머리받이부(4)가 헤드 레스트(H)의 외측면에서 좌우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기본적인 설치가 완료되면 머리받이부(4)와 등받이부(6)의 전면에 지지체(9)를 설치시키면 되는데, 이는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9)의 외주연 양측 끝단에 형성된 각각의 스트랩(8)을 머리받이부(4)에 형성된 스트랩고정바(10)의 통공을 통해 각각 관통시켜 머리받이부(4)와 등받이부(6)의 사이 내측에 형성된 스트랩조임장치(7)에 삽입시켜 체결 시키면 지지체(9)의 설치가 완료된다.
여기서 지지체(9) 외주연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스트랩(8)이 머리받이부(4)의 스트랩조임장치(7)에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에서 그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등받이부(6)와 머리받이부(4)의 전면에서 지지체(9)가 상하 유동됨으로써 운전자 또는 승객이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앉은 키에 맞추어 목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허리 부분과 등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체(9)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랩조임장치(7)에 삽입된 스트랩(8)을 잡아 당기게 되면 스트랩(8)과 연결된 지지체(9)가 상승되고, 스트랩조임장치(7)에 삽입된 스트랩(8)을 풀게 되면 스트랩(8)과 연결된 지지체(9)가 하강하게 되면서 그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사용자의 앉은 키에 대응되게 목과 허리 및 등 부분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지지체(9)로써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지지체(9)의 형상은 사용자를 편안하게 지지하여 목과 차량용 시트 사이의 간극이 없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구조도 상관없다.
전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100)은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는 목 받침(100)을 시트의 등받이(B)와 헤드 레스트(H)의 전면에서 승강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운전 또는 사고 시 가장 취약한 사용자의 목 부분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허리부분과 등 부분을 지지하여 사용자가 운전과 승차 시에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안락감과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1 : 암버클 2 : 수버클
3 : 고정버클 4 : 머리받이부
5 : 고정밴드 6 : 등받이부
7 : 스트랩조임장치 8 : 스트랩
9 : 지지체 10 : 스트랩고정바
11 : 좌대
B: 등받이 H : 헤드 레스트
100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Claims (2)

  1. 일측 끝단에 형성된 암버클(1)과 내측에 형성된 수버클(2)로 이루어진 한쌍의 고정버클(3)에 의해 헤드 레스트(H)의 외주연에 체결 고정되는 머리받이부(4)와; 머리받이부(4)의 타측 끝단에 연결되어 차량용 시트의 등받이(B) 전체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내측에 형성된 고정밴드(5)에 의해 등받이(B)에 고정되는 등받이부(6)와; 머리받이부(4)의 내측에 형성된 스트랩조임장치(7)에 스트랩(8)이 삽입 연결되어 사용자의 뒷 부분이 지지되는 지지체(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2. 제 1항에 있어서, 지지체(9)는 외주연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스트랩(8)이 머리받이부(4)의 스트랩조임장치(7)에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에서 그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등받이부(6)와 머리받이부(4)의 전면에서 상하 유동됨을 특징으로 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KR2020130001870U 2013-03-13 2013-03-13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KR201400050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870U KR20140005046U (ko) 2013-03-13 2013-03-13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870U KR20140005046U (ko) 2013-03-13 2013-03-13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46U true KR20140005046U (ko) 2014-09-23

Family

ID=5245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870U KR20140005046U (ko) 2013-03-13 2013-03-13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04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5434A (zh) * 2018-01-25 2018-06-08 浙江恒林椅业股份有限公司 一种椅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25434A (zh) * 2018-01-25 2018-06-08 浙江恒林椅业股份有限公司 一种椅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542B1 (ko) 유아시트 겸용 자동차 시트커버
KR101332737B1 (ko) 에너지 흡수 장치를 구비한 아동 안전 좌석
US8210617B2 (en) Child restraint system
CA1292097C (en) Child's safety restraining vest
KR101225929B1 (ko) 차량용 유아안전시트
US20110309661A1 (en) Vehicle seat protection device
US20090102257A1 (en) Child Safety Seat Support Apparatus
KR20110104919A (ko) 구조적 지지를 갖는 아동 안전 좌석
US10144319B2 (en) Carrier with shock absorbing material
KR102208169B1 (ko) 차량용 시트
NZ569461A (en) Car seat pillow for a childs car seat with two lateral portions connected by intermediate portion and retained in use between child seat and vehicle seat or to seat belt
KR20160149328A (ko) 어린이 안전시트로 사용가능한 차량용 보조시트
JP5584035B2 (ja) 育児器具の座席構造および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489929B1 (ko) 차량용 목 보호대
KR20140005046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JP6053657B2 (ja) 車両用シートの頚支持装置
KR200326836Y1 (ko) 자동차용 의자의 목-머리 받침대
US20160114760A1 (en) Safety harnesses
KR101051608B1 (ko) 차량용 시트의 보조 헤드레스트
KR200214480Y1 (ko) 어린이용 안전벨트
KR20170023790A (ko) 조임 부재
KR102668214B1 (ko) 휴대용 안전벨트
KR200261829Y1 (ko)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
JP2006110221A (ja) 車両用シート
JP2008054742A (ja) シート着座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