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480Y1 - 어린이용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어린이용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480Y1
KR200214480Y1 KR2020000026794U KR20000026794U KR200214480Y1 KR 200214480 Y1 KR200214480 Y1 KR 200214480Y1 KR 2020000026794 U KR2020000026794 U KR 2020000026794U KR 20000026794 U KR20000026794 U KR 20000026794U KR 200214480 Y1 KR200214480 Y1 KR 2002144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aist
seat
child
bel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숙
Original Assignee
이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숙 filed Critical 이현숙
Priority to KR2020000026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4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4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480Y1/ko

Links

Landscapes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 어린이가 탑승시 어린이의 안전도모를 위하여 사용되는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에 착석한 어린이 탑승자의 허리를 감싸고 돌아 시트등받이에 조여주는 허리벨트와 허리벨트부의 양단에 결합되면서 시트등받이 뒷쪽을 감싸고 돌아 허리벨트부와 함께 탑승자의 허리를 조여주는 지지벨트부 및 허리벨트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타단이 걸리어 탑승자의 양쪽 어깨를 조여주는 한쌍의 어깨벨트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어깨벨트부 일단에는 헤드레스트의 지지봉에 걸 수 있도록 걸고리를 구비하고, 타단에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신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한 쌍의 어깨벨트부와 허리벨트부를 통해 탑승자를 시트등받이에 더욱 밀착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어린이용 안전벨트{CHILD SAFETY BELT}
본 고안은 자동차에 사용되는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린이가 탑승시 어린이의 안전도모를 위하여 사용되는 어린이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안전벨트는 자동차가 주행중 충돌, 과속, 급정지를 할 때에탑승자가 충격력에 의하여 전방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안전벨트는 성인을 위해서는 구비되어 있으나 신장이 작은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벨트장치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에는 유아의 경우 별도의 안전벨트가 설치된 보조의자를 사용하여 오고 있으나, 이는 보조의자를 일반 좌석에 기존의 성인용 안전벨트를 착용시키는 복잡한 구조이어서 탈,장착이 번거로워 사용이 기피되고 유아탑승시마다 별도로 휴대해야 되며, 또한 그 신체의 성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사용의 현실성이 없고 예를 들어 4 ∼7세의 어린이의 경우 보조시트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별도의 보조의자를 사용치 않고 기존의 성인용 안전벨트에 보조벨트를 사용하였는 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벨트(101)의 일단이 어깨와 가슴부를 가로질러 지나는 상부벨트(102)에 결합되고, 타단이 허리부위를 가로지르는 하부벨트(103)에 결합되어 어린이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이러한 보조벨트(101)에 의한 조정도 조정거리가 제한되어 어린이가 시트에 앉았을 때는 상부벨트(102)가 여전히 목부근을 지나게 되므로 위험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어깨부분과 허리부분을 등받이에 밀착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어린이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어린이용 안전벨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안전벨트는, 시트에 착석한 어린이 탑승자의 허리를 감싸고 돌아 시트등받이에 조여주는 허리벨트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허리벨트부의 양단에 결합되면서 시트등받이 뒷쪽을 감싸고 돌아 허리벨트부와 함께 탑승자의 허리를 조여주기 위한 지지벨트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허리벨트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타단이 걸리어 탑승자의 양쪽 어깨를 조여주는 한쌍의 어깨벨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어깨벨트부의 일단에는 헤드레스트의 지지봉에 걸 수 있도록 걸고리가 구비되어 있고, 타단에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신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허리벨트부와 어깨벨트부에는 폭이 넓은 쿠션패드가 구비되어 충격력을 분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안전벨트에 따르면 한 쌍의 어깨벨트부와 허리벨트부를 통해 탑승자의 등부분을 시트등받이에 더욱 밀착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어린이용 안전벨트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용 안전벨트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허리벨트부와 어깨벨트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지지벨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시트 11 : 시트등받이
12 : 헤드레스트 13 : 지지봉
20 : 허리벨트부 21 : 쿠션패드
22 : 길이조정수단 30 : 지지벨트부
31 : 패드 40 : 어깨벨트부
41 : 쿠션패드 42 : 걸고리
43 : 높이조절수단 51,52 : 결속수단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어린이용 안전벨트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을 구성하는 허리벨트부와 어깨벨트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지지벨트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10)에 착석한 어린이 탑승자의 하복부를 감싸고 돌아 허리를 시트등받이(11)에 밀착시켜주기 위한 허리벨트부(20)와, 허리벨트부(20)의 양단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시트등받이(11) 뒷쪽을 감싸고 돌아 허리벨트부(20)와 함께 탑승자의 허리를 조여주는 지지벨트부(30) 및, 일단이 상기 허리벨트부(20)에 결합되고 타단이 시트(10)의 헤드레스트(12)에 걸어 탑승자의 양쪽 어깨를 조여주기 위한 한쌍의 어깨벨트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허리벨트부(20)와 어깨벨트부(40)에는 폭이 넓은 쿠션패드(21,41)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특히 허리벨트부(20)에 구비된 쿠션패드(21)는 이에 맞닿는 어린이의 하복부 부분이 연약하기 때문에 착용시 불편함을 덜어주고 충격을 더한층 흡수, 완충할 수 있도록 다량의 쿠션을 더욱 충진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허리벨트부(20)와 어깨벨트부(40)를 통해 어린이 탑승자의 허리와 어깨를 조일 때 벨트의 폭이 좁아 허리와 어깨를 파고드는 것을 줄일 수 있고, 차량이 충돌이나 급정거하여 탑승자의 신체가 전방으로 쏠릴 때 충격력을 분산하여 어린이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깨벨트부(40)에는 그 일단이 헤드레스트(12)의 지지봉(13)에 걸 수 있도록 걸고리(42)가 구비되어 있고, 또한 어린이의 신체조건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4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벨트부(30) 중간부에 폭이 넓은 패드(31)가 구비되어 패드(31)와 시트등받이(11)의 접촉부분을 넓게 하므로써 허리벨트부(20)로부터 전달된 충격을 등받이(11)의 뒷면에 골고루 분산시켜 허리벨트부(20)가 절단되거나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줄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허리벨트부(20)와 지지벨트부(30)는 결속수단(51,52)을 매개하여 원터치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수단(51,52)은 예컨대 버클형태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결합, 분리를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허리벨트부(20)는 탑승자의 허리체형에 맞게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조정수단(2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의 착용과정은, 먼저 어린이 탑승자가 시트(10)에 착석한 경우 허리벨트부(20)와 결합된 어깨벨트부(40)를 걸고리(42)를 통해 헤드레스트(12)의 지지봉(13)에 결합한 후, 허리벨트부(20)의 쿠션패드(21)가 탑승자의 하복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그 다음 시트등받이(11)와 시트쿠션(12) 틈새에 끼워져 시트전방으로 노출된 지지벨트부(30)의 결속수단(52)과 허리벨트부(20)에 구비된 결속수단(51)을 서로 결합하여 허리벨트부(20)와 지지벨트부(30)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탑승자는 허리벨트부(20)와 지지벨트부(30)의 조임력에 의해서 허리 및 하복부가 조여지고, 어깨벨트부(40)에 의해 어깨가 조여지므로써, 탑승자의 등과 어깨는 시트등받이(11)에 밀착되게 되고, 차량의 급정거를 하거나 충돌하여 관성력에 의해 신체가 전방으로 쏠릴 때 상기 허리벨트부(20)와 어깨벨트부(40)에 의해 탑승자가 전방으로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한쌍의 어깨벨트부(40)가 탑승자의 어깨와 가슴부를 가로지르지 않고 상하로 감싸는 구조로 되어 벨트가 목부근을 지나지 않으므로써 목부위의 위험을 피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탑승자의 등과 등받이(11)가 서로 밀착되지 않거나 너무 꽉 조여진 경우 상기 길이조정수단(22)을 조절하면 탑승자의 등이 등받이(11)에 적당히 밀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신장이 크거나 작아서 허리벨트부(20)가 허리부위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어깨벨트부(40)에 구비된 높이조절수단(43)을 조절하여 그 높이를 신체에 맞게 적당히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안전벨트의 착용상태에서 벗을 때에는 상기한 착용시의 역순으로 과정을 밟으면 되고, 안전벨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안전벨트를 해체하여 등받이 후방에 형성된 수납함에 보관할 수 있어 보관의 용이성이 확보되고, 필요시에는 다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에 의하면, 한 쌍의 어깨벨트부와 허리벨트부를 통해 어깨부분과 허리부분을 감싸주므로서 탑승자의 등부분을 시트등받이에 더욱 밀착시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높이조절수단과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어린이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안전벨트를 등받이에 후방에 형성된 수납함에 보관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써, 간편하게 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시트(10)에 착석한 어린이 탑승자의 하복부를 감싸고 돌아 허리를 시트등받이(11)에 조여주는 허리벨트부(20)와;
    상기 허리벨트부(20)의 양단에 결속수단(51,52)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시트등받이(11) 뒷쪽을 감싸고 돌아 허리벨트부(20)와 함께 탑승자의 허리를 조여주기 위한 지지벨트부(30) 및;
    상기 허리벨트부(20)에 일단이 결합되고 시트(10)의 헤드레스트(12)에 타단이 걸리어 탑승자의 양쪽 어깨를 조여주는 한쌍의 어깨벨트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어린이용 안전벨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벨트부(40)가 일단에 헤드레스트(12)의 지지봉(13)에 걸리어 지는 걸고리(42)를 구비하고, 타단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4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안전벨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벨트부(20)와 어깨벨트부(40)는 쿠션패드(21,31)를 각각 구비하여 충격력을 분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안전벨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벨트부(20)가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길이조정수단(2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용 안전벨트.
KR2020000026794U 2000-09-25 2000-09-25 어린이용 안전벨트 KR2002144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794U KR200214480Y1 (ko) 2000-09-25 2000-09-25 어린이용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794U KR200214480Y1 (ko) 2000-09-25 2000-09-25 어린이용 안전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480Y1 true KR200214480Y1 (ko) 2001-02-15

Family

ID=7308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794U KR200214480Y1 (ko) 2000-09-25 2000-09-25 어린이용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48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296A (ko) * 2001-07-31 2003-02-12 백정훈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
KR101402186B1 (ko) 2013-10-08 2014-06-03 이규민 차량의 어린이 승객용 4점 지지 보조안전벨트
KR200476863Y1 (ko) 2014-12-18 2015-04-09 송홍규 유아 및 어린이용 카시트
KR101931805B1 (ko) * 2018-05-16 2018-12-21 김채환 유아용 안전 벨트 시트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296A (ko) * 2001-07-31 2003-02-12 백정훈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
KR101402186B1 (ko) 2013-10-08 2014-06-03 이규민 차량의 어린이 승객용 4점 지지 보조안전벨트
KR200476863Y1 (ko) 2014-12-18 2015-04-09 송홍규 유아 및 어린이용 카시트
KR101931805B1 (ko) * 2018-05-16 2018-12-21 김채환 유아용 안전 벨트 시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0617B2 (en) Child restraint system
US4607885A (en) Head restraint for child's seat
CA2485759C (en) Child safety seat with adjustable head restraint
US4848793A (en) Child's safety restraining vest
US6217069B1 (en) Safety restraint for a horizontal passenger
US7316451B2 (en) Wearable side impact protector
US5332292A (en) Portable protective cushion arrangement for a toddler's car seat
JPH05506632A (ja) 車両用安全ベルト装置
US20070075580A1 (en) Child safety seat-up in a vehicle
US10940779B2 (en) Portable car seat
US6554363B1 (en) Traveling pillow
JP2001057920A (ja) コンバーチブルヘッドレスト
KR200214480Y1 (ko) 어린이용 안전벨트
US9364369B2 (en) Head and neck support apparatus
KR101879120B1 (ko) 영유아 카시트용 안전벨트 리드 선
KR200261829Y1 (ko)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
KR102249205B1 (ko) 아동용 안전시트
JP3407864B2 (ja) 携帯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24210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보호대가 결합된 안전벨트
KR200356964Y1 (ko) 가방기능을 겸한 어린이용 안전밸트 보조구
KR200254070Y1 (ko) 차량용 어린이 보조시트
KR20140005046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KR200254071Y1 (ko) 목보호부의 탈부착이 용이한 안전의자
KR200240719Y1 (ko) 자동차용어린이시트
JPH11348698A (ja) 車両用乗員保護サポ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