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303B1 -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 Google Patents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303B1
KR102281303B1 KR1020200047409A KR20200047409A KR102281303B1 KR 102281303 B1 KR102281303 B1 KR 102281303B1 KR 1020200047409 A KR1020200047409 A KR 1020200047409A KR 20200047409 A KR20200047409 A KR 20200047409A KR 102281303 B1 KR102281303 B1 KR 102281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baby carrier
couple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7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현주
Original Assignee
엠에스캠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스캠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에스캠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47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안긴 유아의 등과 엉덩이를 감싸며 사용자 어깨에 메어지는 유아 지지부와, 좌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 착용부와,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힙 시트부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차량의 시트에 마련된 안전벨트가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위치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시트에 마련된 시트버클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Baby carrier having safety 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상 시에는 사용자 어깨에 걸어 아기를 안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고, 차량 탑승 시에는 착용 상태 그대로 시트 성에 장착되게 하여 안전시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는 그 몸체가 성인이나 어린이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고 체력이 약해 통상 어른이 유아를 들거나 지어서 운반하게 되는데, 이러한 유아의 특성 때문에 유아를 운반하기 위한 유아용 캐리어가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유아용 캐리어는 시중에 많은 종류의 제품이 유통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배낭을 등에 짊어지듯이 등에 짊어지게 되는 종류와, 가슴 부분에 짊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유아용 캐리어의 경우, 유아를 캐리어에 안착시키고 어른이 운송하는 점에서 바퀴가 구비되어 밀게 되는 유모차와는 구별되는데, 통상 등받이가 형성된 시트를 프레임에 안착되게 결합하고, 전면에 어른이 짊어질 수 있게 어깨로부터 허리까지 연결되는 어깨 벨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벨트 하단부에 어른의 허리에 고정되는 허리 벨트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유아용 캐리어는 평평한 평면에 안정되게 놓일 수 있는 형태의 프레임에 유아가 앉게 되는 시트가 부착되어 구성되고, 이러한 프레임과 시트를 등에 짊어지게 되는 구조의 벨트가 설치된 것으로, 유아는 시트에 앉게 되면 유아의 다리가 시트에 형성된 구멍을 각각 빠져 나오도록 되어 있으며, 등 쪽에는 유아의 등을 받칠 수 있도록 등받이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어른은 이러한 유아용 캐리어의 시트에 유아를 잘 앉히고 어깨와 허리 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를 운송하게 되는데, 유아를 시트로부터 꺼낼 때에는 유아용 캐리어를 평평한 장소에 놓고 유아를 시트로부터 꺼내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유아용 캐리어는 자동차에 시트에 장착되는 유아용 자동차 시트로 사용될 수 없기 때문에, 유아용 캐리어와 유아용 자동차 시트를 동시에 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유아용 캐리어는 유아용 벨트를 설치하여 유아용 캐리어의 시트에 유아를 앉힌 상태에 유아용 벨트가 체결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유아가 시트로부터 이탈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나, 유아의 몸체 크기가 빠르게 자라기 때문에, 고정된 형태의 벨트로서는 유아의 몸체 크기를 맞출 수 없어 유아에게 불편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 시에는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 아기를 안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차량 탑승 시에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그 일단부는 안전벨트가 걸어지게 함과 동시에, 타단부는 시트버클에 장착, 시트 상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함께 차량 탑승이 가능하게 하고, 종래의 카시트 설치 시 소요되는 시간 및 공간 제약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는 사용자에게 안긴 유아의 등과 엉덩이를 감싸며 사용자 어깨에 메어지는 유아 지지부와, 좌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 착용부와,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힙 시트부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차량의 시트에 마련된 안전벨트가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위치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시트에 마련된 시트버클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아 지지부 및 상기 허리 착용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양단부에서 'ㄱ' 형상으로 절곡되어 그 사이에 인입 홀을 형성하며, 상기 인입 홀을 통과한 상기 안전벨트를 내부에 수용하는 걸림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유아 지지부 및 상기 허리 착용부의 일측에 마련된 고정버클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버클 및 상기 연결버클의 상면 및 하면에 탄성 지지되어 선택적으로 하강하며, 상기 고정버클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을 따라 일측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버클에 마련된 연결 홀에 결합되는 고정편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일단부가 서로 고정되어 상기 유아 지지부 및 상기 허리 착용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회전 축 이동을 통해 타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안전벨트의 전면 및 후면을 그립하여 상기 안전벨트 상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아 지지부 및 상기 허리 착용부의 일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장착부는 상기 허리 착용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웨빙을 권취하는 리트랙터 및 상기 웨빙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리트랙터에서 인출되어 상기 시트버클에 장착되는 앵커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허리 착용부의 타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힙 시트부에 결합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유아 지지부의 후면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유아와 사용자 사이의 충격을 저감시키는 완충시트를 더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완충시트는 온열 기능 또는 쿨링 기능을 가진 시트로 구별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완충시트는 상기 유아 지지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은, 평상 시에는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 아기를 안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며, 차량 탑승 시에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일단부는 안전벨트가 걸어지게 함과 동시에, 타단부는 시트버클에 장착, 시트 상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안전시트의 역할과 아기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보호자와 함께 차량의 탑승이 가능할 수 있으며, 아기의 탑승을 위해 종래와 같이 별도의 카시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카시트 설치 시 소용되는 시간 및 차량 내부에서 공간 제약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아기띠 상에서의 고정부 및 장착부의 위치를 교차시켜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탑승 위치에 관계 없이 항상 아기띠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착용 상태의 일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착용 상태의 타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차량 시트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고정부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고정부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장작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고정부 및 장착부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완충시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착용 상태의 일측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착용 상태의 타측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차량 시트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는 본체부(100), 고정부(200) 및 장착부(30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안을 때에는 두 팔로 유아의 체중을 지탱하는데, 이러한 자세는 두 팔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가 없고, 장시간 유아를 안고 있게 되면, 팔에 무리가 가기 때문에, 유아를 등에 업거나 안을 수 있도록 아기띠를 사용하게 된다.
본체부(100)는 이러한 일반적인 구조의 아기띠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유아 지지부(110), 허리 착용부(120) 및 힙 시트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체부(100)는 사용자에게 안긴 유아의 등과 엉덩이를 감싸며, 사용자의 어깨에 메어지는 어깨 걸이(110a)를 구비하는 유아 지지부(110)와, 좌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 허리를 감싸는 허리 착용부(120) 및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힙 시트부(1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아 지지부(110) 및 허리 착용부(120)의 경우 각각 어깨 걸이(110a)를 통해 사용자 어깨에 걸어진 상태 및 사용자 허리에 감싸진 상태에서 체결버클(1)의 암수 체결구조를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버클(1)의 장착 구조는 사용자 몸체 장착되기 위한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일 뿐, 정해진 것은 아니며,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고정부(200)는 사용자가 본체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조수석 또는 조수석 뒷자리에 착석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한 쌍으로 결합된다.
다시 말해, 고정부(200)는 유아 지지부(110) 및 허리 착용부(120)의 일측에 마련된 고정버클(112)에 각각 결합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동일 선상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시트(S)에 마련된 안전벨트(10)가 사용자의 한쪽 어깨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걸림 위치되게 한다(도 4 참조).
고정부(200)는 본체부(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시트(S)에 앉은 상태에서, 시트(S)에 마련된 안전벨트(10)에 의해 본체부(100) 일측 부분, 즉 사용자의 어깨 및 허리의 일측이 시트(S) 상에 고정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 될 장착부(300)와 함께 본체부(100)가 아기띠의 역할 뿐만 아니라, 안전시트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장착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타측, 더 구체적으로는 고정부(200)가 결합되는 허리 착용부(120)의 일측과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허리 착용부(120)의 타측에 결합된다.
장착부(300)는 앵커(320)의 당김 동작에 의해 웨빙(310a)이 리트렉터(310)의 내부에서 인출됨을 통해 시트(S)에 마련된 시트버클(20)에 장착될 수 있으며(도 7 참조), 결과적으로 시트(S) 상에서 본체부(100)의 타측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0)를 통해 평상 시에는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 아기를 안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고, 차량의 시트(S)에 착석 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체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고정부(200)에 의해 안전벨트(10)가 본체부(100) 일측에 걸림 위치되게 함과 함께, 장착부(300)를 통해 시트버클(20)에 장착되어 본체부(100)의 타측을 고정시킴으로써, 시트(S)에서 본체(100)의 일측 및 타측 모두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아기띠 역할을 수행하는 본체부(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시트(S)에 착석하게 되면, 고정부(200) 및 장착부(300)를 통해 시트(S) 상에서 본체부(100)의 일측 및 타측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아기가 차량에 탑승함에 따라 별도로 장착되어야 했던 안전시트의 역할을 본체부(100)가 대신하게 함과 함께, 본래의 역할인 아기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0), 고정부(200) 및 장착부(300)의 구조를 통해 아기의 차량 탑승을 위해 안전시트를 별도로 구비 및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종래의 안전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설치함에 따른 소요 시간 및 보호자와 아이가 분리되어 앉아야 함에 따른 공간 제약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도 5a 및 5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고정부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00)는 결합부재(210) 및 걸림부재(220)를 구비한다.
결합부재(210)는 유아 지지부(110) 및 허리 착용부(120)의 일측에 결합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유아 지지부(100) 및 허리 착용부(120)에서 각각 돌출되게 결합된 고정버클(112)에 결합되어 폭 방향을 따라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재(210)에서 돌출된 연결버클(212)에는 내부에 원판 형태의 고정편(212a)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편(212a)은 연결버클(212)의 상면 및 하면 상에서 각각 탄성 지지되어 선택적으로 하강하도록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고정편(212a)은 고정버클(112)에서 상하로 분리된 삽입부재(112a)의 입구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삽입 방향을 따라 일측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경사진 상태)로 연결버클(212)의 상면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212a)이 삽입부재(112a)의 내부로 삽입된 이후에, 한 쌍의 고정편(212a)이 연결 홀(H)을 통과하여 그 상면 및 하면이 연결 홀(H)의 외부로 돌출되게 됨으로써, 고정버클(112)에 대한 결합부재(21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다시 말해, 결합부재(210)는 고정편(212a)에 의해 고정버클(112)에서 손쉽게 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본체부(100)가 아기띠 역할을 하는 경우에는, 탄성 지지된 고정편(212a)의 누름 동작을 통해 연결 홀(H) 상에서 분리되었다가, 시트(S)에 장착되어 안전시트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에만 전술된 결합 방식을 통해 고정버클(112)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버클(112)에 대한 결합부재(210)의 결합 구조의 경우,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일 뿐, 정해진 것은 아니며, 상기와 같은 탈착 구조가 아니라, 고정버클(112)과 결합부재(210)가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져 각각 유아 지지부(100) 및 허리 착용부(120)의 일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걸림부재(220)는 결합부재(210)의 양단부에서 각각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인입 홀(222)을 형성한다.
걸림부재(220)는 인입 홀(222)의 폭 길이에 대응하게 안전벨트(10)를 비틀림 변형하여 내부에 안전벨트(1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며, 안전벨트(10)를 수용하는 걸림부재(220)의 내부의 폭 길이는 안전벨트(10)의 폭 길이에 대응되는 폭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재(220)는 사용자가 본체부(100)를 착용한 상태로 시트(S)에 착석한 경우, 인입 홀(222)를 통과한 안전벨트(10)를 내부에 수용하여 걸림 위치되게 할 수 있으므로, 시트(S) 상에서 본체부(100), 더 구체적으로는 유아 지지부(110) 및 허리 착용부(120)의 일측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급정거하거나, 또는 차량으로 충격이 전달되게 되면, 안전벨트(10)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당겨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장착부(300)를 통해 본체부(100)의 타측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고정부(200)를 통한 안전벨트(10)의 걸림 위치됨을 통해 본체부(100)의 일측에 대한 고정 또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급정거 하거나, 충격 발생하게 되면, 본체부(100)를 착용한 사용자 및 아기가 시트(S)에서 이탈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고정부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00)는 일단부가 서로 회전 축(A)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유아 지지부(110) 및 허리 착용부(120) 일측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축 이동을 통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제1바디(230) 및 제2바디(24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200)가 유아 지지부(110) 및 허리 착용부(120)의 일측에 결합되는 구조는, 전술된 고정버클(112)에 대한 결합부재(210)의 결합 구조와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바디(230) 및 제2바디(240)는 회전 축(A)에 의해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내부에 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되어 타단부가 서로 마주한 상태가 초기 위치로 탄성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제1바디(230) 및 제2바디(240)는 이격 홀(200a) 내부로 손가락 등을 삽입, 제1바디(230) 및 제2바디(240) 타단부의 사이 간격을 이격시킨 이후에, 그 벌어진 내부로 안전벨트(10)를 인입시키게 되면, 제1바디(230) 및 제2바디(23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내부에서 안전벨트(10)의 전면 및 후면을 그립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1바디(230) 및 제2바디(240)를 통해 안전벨트(10)를 그립함에 따라, 사용자가 본체부(100)를 착용한 상태로 시트에 착석한 경우, 본체부(100)의 일측에 대한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바디(230) 및 제2바디(240)의 내부에는 서로 맞물리게 배치되는 톱니 형태의 그립부(230a, 240a)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톱니 형태의 구조를 통해 내부로 인입된 안전벨트(10)의 전면 및 후면에 대한 그립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장작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고정부 및 장착부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300)는 리트랙터(310) 및 앵커(320)를 구비한다.
여기서, 리트랙터(310)는 허리 착용부(120) 타측에 결합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웨빙(310a)이 내부에 권취된다.
이러한 리트랙터(310)는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전술된 고정버클(112)에 대한 결합부재(210)의 결합 구조와 동일하게, 허리 착용부(120)의 타측에 결합된 고정버클(112)에 대하여 연결버클(312)의 고정편(312a)이 결합됨을 통해, 허리 착용부(120)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앵커(320)는 웨빙(310a)의 단부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당김 동작에 의해 리트랙터(310)에서 웨빙(310a)이 소정의 길이로 인출됨에 따라, 차량의 시트(S)에 마련된 시트버클(2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앵커(320)는 사용자가 본체부(100)를 착용한 상태로 시트(S)에 착석한 경우, 리트랙터(310)에서 웨빙(310a)을 인출, 시트버클(20)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허리 착용부(120)의 타측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본체부(100)를 착용한 상태로 시트(S)에 착석함에 따라, 고정부(200)를 통해 본체부(100)의 일측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함과 동시에, 장착부(300)를 통해 본체부(100)의 타측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별도의 안전시트를 장착하지 않아도, 본체부(100)가 안전시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300)는 허리 착용부(120)의 타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편(312a)을 눌러 연결버클(312)을 고정버클(112) 상에서 제거함을 통해, 허리 착용부(120) 타측에서 장착부(300)를 분리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분리된 장착부(300)를 허리 착용부(120)의 일측의 고정버클(112)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고정버클(112)의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 지지부(110)의 어깨 걸이(110a) 일측 및 타측, 허리 착용부(12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된다.
고정부(200) 및 장착부(300)에 구비된 결합부재(210) 및 리트랙터(310)의 경우, 고정편(212a, 312a)을 구비한 연결버클(212, 312)이 각각 동일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고정부(200) 및 장착부(300)가 유아 지지부(110)의 일측 및 타측, 또는 허리 착용부(120)의 일측 및 타측에 교차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만일 사용자가 조수석 측에 착석하게 되면,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아 지지부(110) 및 허리 착용부(120) 일측에는 고정부(200)가, 허리 착용부(120)의 타측에 장착부(300)가 설치되어야 하지만, 반대로 사용자가 운전석 뒤에 착석하게 되면, 유아 지지부(110) 및 허리 착용부(120)의 타측에는 고정부(200)가, 허리 착용부(120)의 일측에는 장착부(300)가 설치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버클(112)을 유아 지지부(110)의 일측 및 타측과, 허리 착용부(120)의 일측 및 타측에 모두 결합시킨 상태에서, 연결버클(212, 312)을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함으로써, 착석 위치에 따라 고정부(200) 및 장착부(300)를 본체부(100)의 일측 및 타측에 범용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착석 위치에 대응하며 효과적으로 본체부(100)를 착용한 사용자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도 1 참조).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조수석 측, 또는 운전석 측 중 어느 위치에 착석하게 되더라도, 착석 위치에 대응하도록 고정부(200) 및 장착부(300)를 분리 및 교차되게 설치하여 본체부(100)의 일측 및 타측에 대한 효과적인 고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부(100)를 아기띠로 사용할 경우, 고정버클(112)에 결합되는 연결버클(212, 312)을 제거하여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재는 본체부(100)를 아기띠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버클(212, 312)을 제거하여 내부에 수납되게 하고, 시트(S)에 착석하는 경우 다시 꺼내 착석 위치에 맞게 선택적으로 결합, 본체부(100)의 일측 및 타측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아기띠로 사용 시 외부로 돌출되는 부재를 제거할 수 있어 주변의 다른 물체들과의 간섭 및 충돌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부재의 경우에도 내부에 연결버클(212, 312)이 수납된 상태에서 고정버클(112)에 연결될 수 있게, 그 연결 부분이 연결버클(212, 312)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 지지부(110)의 일측 및 타측과, 허리 착용부(120)의 일측 및 타측을 'X'및 'ㅡ' 형태로 서로 교차되게 연결하는 연결부(400)를 구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체부(100)의 일측 및 타측 중 어느 하나의 지점에서의 충격 발생 시, 충격이 연결된 다른 위치들로 분산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와 아기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에 대한 완충시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00)는 완충시트(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완충시트(140)는 한 쌍으로 마련된 체결버클(1)이 유아 지지부(110) 양측에 결합되며, 힙 시트부(130)에 착석한 아기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게 결합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완충시트(140)는 결합 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유아 지지부(110)의 내부와 마주하게, 즉 사용자와 아기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완충시트(140)의 내부에는 충전재가 충진되어 유아와 사용자 사이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시트(140)의 전면 및 후면에는 각각 온열 패드 또는 쿨링 패드가 내장될 수 있다.
완충시트(140)는 온열 패드 또는 쿨링 패드가 내장된 시트, 온열 패드 또는 쿨링 패드가 내장되지 않은 일반 시트 등 복수로 구비될 수 있는데, 여기서 예를 들어 완충시트(140)는 식별이 용이할 수 있도록 온열 패드가 내장되어 온열 기능을 수행하는 완충시트(140)는 적색으로, 쿨링 패드가 내장되어 쿨링 기능을 수행하는 완충시트(140)는 청색으로 구별되어 구비될 수 있다.
완충시트(140)는 유아 지지부(110)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완충시트(140)의 양측에는 한 쌍의 체결버클(1)이 설치되어 있어, 유아 지지부(110) 후면의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된 체결버클(미도시)와 암수 체결 구조를 통해 유아 지지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시트(140)는 아기가 이질감을 느끼는 경우 유아 지지부(110)에서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유아와 사용자 사이의 충격이 저감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시트(140)가 온열 패드 또는 쿨링 패드가 내장된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손쉬운 교체가 가능할 수 있기 때문에, 계절 또는 주변 기온 변화에 따라 온열 또는 쿨링 기능의 시트로 선택적인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와 유아로 하여금 충격 방지와 함께 쾌적한 환경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평상 시에는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 아기를 안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며, 차량 탑승 시에는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일단부는 안전벨트가 걸어지게 함과 동시에, 타단부는 시트버클에 장착, 시트 상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안전시트의 역할과 아기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아기를 안은 상태에서 보호자와 함께 차량의 탑승이 가능할 수 있으며, 아기의 탑승을 위해 종래와 같이 별도의 카시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카시트 설치 시 소용되는 시간 및 차량 내부에서 공간 제약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아기띠 상에서의 고정부 및 장착부의 위치를 교차시켜 결합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탑승 위치에 관계 없이 항상 아기띠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 : 체결버클 10 : 안전벨트
20 : 시트버클 100 : 본체부
110 : 유아 지지부 110a : 어깨 걸이
112 : 고정버클 120 : 허리 착용부
130 : 힙 시트부 140 : 완충시트
200 : 고정부 210 : 결합부재
212, 312 : 연결버클 212a, 312a : 고정편
220 : 걸림부재 222 : 인입 홀
230 : 제1바디 230a, 240a : 그립부
240 : 제2바디 300 : 장착부
310 : 리트랙터 310a : 웨빙
320 : 앵커 400 : 연결부

Claims (10)

  1. 사용자에게 안긴 유아의 등과 엉덩이를 감싸며 사용자 어깨에 메어지는 유아 지지부와, 좌우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는 허리 착용부와, 유아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힙 시트부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차량의 시트에 마련된 안전벨트가 사용자의 어깨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위치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시트에 마련된 시트버클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아 지지부 및 상기 허리 착용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양단부에서 'ㄱ' 형상으로 절곡되어 그 사이에 인입 홀을 형성하며, 상기 인입 홀을 통과한 상기 안전벨트를 내부에 수용하는 걸림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유아 지지부 및 상기 허리 착용부의 일측에 마련된 고정버클의 내부에 삽입되는 연결버클; 및
    상기 연결버클의 상면 및 하면에 탄성 지지되어 선택적으로 하강하며, 상기 고정버클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을 따라 일측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버클에 마련된 연결 홀에 결합되는 고정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단부가 서로 고정되어 상기 유아 지지부 및 상기 허리 착용부의 일측에 결합되며, 회전 축 이동을 통해 타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제1바디 및 제2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제1바디 및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안전벨트의 전면 및 후면을 그립하여 상기 안전벨트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유아 지지부 및 상기 허리 착용부의 일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허리 착용부의 타측에 결합되며, 웨빙을 권취하는 리트랙터; 및
    상기 웨빙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리트랙터에서 인출되어 상기 시트버클에 장착되는 앵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허리 착용부의 타측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유아 지지부에 결합되고,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유아 지지부의 후면과 마주하게 배치되어 유아와 사용자 사이의 충격을 저감시키는 완충시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시트는,
    온열 기능 또는 쿨링 기능을 가진 시트로 구별되어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시트는,
    상기 유아 지지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KR1020200047409A 2020-04-20 2020-04-20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KR102281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409A KR102281303B1 (ko) 2020-04-20 2020-04-20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7409A KR102281303B1 (ko) 2020-04-20 2020-04-20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303B1 true KR102281303B1 (ko) 2021-07-23

Family

ID=7715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7409A KR102281303B1 (ko) 2020-04-20 2020-04-20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3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618A (ko) * 2001-06-12 2002-12-18 한종호 캐리어 겸용 유아시트
KR20030012296A (ko) * 2001-07-31 2003-02-12 백정훈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618A (ko) * 2001-06-12 2002-12-18 한종호 캐리어 겸용 유아시트
KR20030012296A (ko) * 2001-07-31 2003-02-12 백정훈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2790B1 (en) Infant carrier with adjustable harness system
EP1759916B1 (en) Child safety seat assembly with buckle positioning member
US8210617B2 (en) Child restraint system
JP2004090907A (ja) 自動車用子供座席
US6793287B2 (en) Booster seat head rest
ES2150095T3 (es) Asiento integrado para niños con adaptacion automatica al tamaño del niño.
WO2012053420A1 (ja) 子供用シート
US6554363B1 (en) Traveling pillow
WO2004093608A1 (ja) 育児器具の座席
KR102281303B1 (ko) 차량의 안전시트 겸용 아기띠
KR101879120B1 (ko) 영유아 카시트용 안전벨트 리드 선
EP2475547B1 (en) Child safety seat
EP1642803A1 (en) Seat with seat belt capable of holding baby with simple structure
KR200361144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안전시트구조
JPH10226309A (ja) 自動車用年少者安全座席に用いられる安全ベルト
KR102668214B1 (ko) 휴대용 안전벨트
KR100906541B1 (ko) 유아용 카시트의 어깨패드 및 그 착용 방법
CN111137382B (zh) 自行车用幼儿座椅以及带幼儿座椅的自行车
KR101963394B1 (ko) 좌석 일체형 카시트
KR200153330Y1 (ko) 어린이용 안전밸트
US10800297B2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ttaching soft goods to a child's apparatus
JP4079924B2 (ja) 肩車用クッション
JP4148621B2 (ja) 車の後座席背部内に設置の収納形ベビーシート
KR200313195Y1 (ko) 유아용 캐리어
KR20230129680A (ko) 휴대용 안전벨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