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7876B1 -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 - Google Patents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7876B1
KR101747876B1 KR1020160044367A KR20160044367A KR101747876B1 KR 101747876 B1 KR101747876 B1 KR 101747876B1 KR 1020160044367 A KR1020160044367 A KR 1020160044367A KR 20160044367 A KR20160044367 A KR 20160044367A KR 101747876 B1 KR101747876 B1 KR 101747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infant
cushion
sea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진욱
Original Assignee
백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진욱 filed Critical 백진욱
Priority to KR1020160044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3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suspen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 착좌시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하며, 성인 착좌시 자동차의 시트로부터 고정해제 없이 등받이 쿠션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성인 착좌시 등받이 쿠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면 측으로 탄성체가 내장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차량의 등받이 시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유아 착좌시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등받이 시트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부재의 고정해제에 의해 차량의 좌대 시트 측으로 전개되는 제2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전개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지지수단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cushion usable as safety belt for infant}
본 발명은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 착좌시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하며, 성인 착좌시 자동차의 시트로부터 고정해제 없이 등받이 쿠션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일반적인 성인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제작되어 차량에 설치되고 있으며, 개인별로 다른 신체 사이즈 및 취향에 따라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탑승자들은 더욱 높은 쿠션감을 얻기 위해서 등받이 쿠션을 추가로 구매하여 설치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의 시트는 일반적인 성인의 신체 사이즈에 맞춰 제작됨에 따라, 유아의 착좌시 불편함을 유발하며, 특히 안전을 위해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안전벨트가 성인의 신체를 사이즈에 맞춘 크기 및 형태를 가짐에 따라, 유아의 신체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유아의 안전을 위해 유아 착좌시 별도의 유아전용 시트를 자동차의 시트에 추가 설치하여 사용해 왔으나, 설치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성인 착좌시 설치된 유아전용 시트의 고정을 다시 해제해야 하나, 해제 역시 불편함에 따라, 많은 사용자들이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아전용 시트는 고정을 해제한 후 다른 용도로 사용하기도 어려우며, 그 부피가 크고 무거워 휴대성이 떨어지고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3335호 "접철식 유아시트를 구비한 자동차용 리어시트"와 같이, 자동차의 시트 내에 유아전용시트가 내장되도록 구비하여 간편하게 설치 및 설치 해제가 가능한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자동차의 제작단계에서 적용되어야 하며, 적용되지 않은 자동차에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시트 전체를 구입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43335호 "접철식 유아시트를 구비한 자동차용 리어시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아 착좌시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하면서, 성인 착좌시 자동차의 시트로부터 고정해제 없이 등받이 쿠션으로 사용하기 위한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유아용 안전벨트 또는 등받이 쿠션으로 변경하기 위한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은 성인 착좌시 등받이 쿠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면 측으로 탄성체가 내장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차량의 등받이 시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유아 착좌시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등받이 시트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부재의 고정해제에 의해 차량의 좌대 시트 측으로 전개되는 제2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전개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지지수단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서부터 제2 프레임의 양측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측면 지지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 지지막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전개에 의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에 제2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로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퍼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퍼에 의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고정 및 고정해제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유아가 착좌되는 내면 양측으로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체가 내장된 사이드쿠션이 형성되어 착좌된 유아의 신체 양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각각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와이어 형태의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T"자 형태로 구성되어 양단부가 제1 프레임에 체결되는 허리벨트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허리벨트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어께벨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에 의하면, 유아 착좌시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하면서, 성인 착좌시 자동차의 시트로부터 고정해제 없이 등받이 쿠션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에 의하면, 등받이 쿠션에서 고정부재의 고정해제에 의해 간편하게 전개되어 유아용 안전벨트로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에 의하면, 쿠션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의 전개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의 전개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 또는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의 지지체 및 다른 형태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의 전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의 전개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 또는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의 지지체 및 다른 형태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을 도시한 것이며, 휴대형 쿠션으로 사용하거나, 자동차 시트에 성인 착좌시 등받이 쿠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면 측으로 탄성체(1A)가 내장된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을 차량의 등받이 시트(4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은 도 1의 (1-I) 또는 (1-I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에 밀착시켜 휴대가 용이하도록 고정수단(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2)은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 시트(41)를 감싸 프레임(1)을 등받이 시트(4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리형의 벨트로 구성되거나, 벨트가 양측으로 나뉘고, 각 벨트의 단부에 별도의 체결부(2A)를 더 구비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체결부(2A)를 더 포함할 경우, 보다 쉽고 간단하게 프레임(1)을 등받이 시트(41)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 시트(41)에 고정수단(2)을 통해 고정된 프레임(1)은 내부 전면 측으로 배치된 탄성체(1A)에 의해 자동차 시트에 성인 착좌시 탑승자의 등을 편안하게 탄성 지지해주는 등받이 쿠션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 또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의 전개 과정 및 전개된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유아가 착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 착좌시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1)은 상기 고정수단(2)에 의해 등받이 시트(41)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1 프레임(11)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부재(7)의 고정해제에 의해 차량의 좌대 시트(42) 측으로 전개되는 제2 프레임(12)으로 구성되며, 전개된 상기 프레임(1)의 내측에는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지지수단(31, 3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7)는 제1 프레임(11)으로부터 제2 프레임(12)이 전개되지 않도록 제2 프레임(12)을 제1 프레임(11)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약은 없으나,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 사이로 내부의 지지수단(31, 32)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지퍼와 같이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 사이를 완전히 봉합 가능한 것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 프레임(11)에 제2 프레임(12)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7)로 상기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퍼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퍼에 의해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 사이의 고정 및 고정해제가 수행되며, 상기 지퍼는 상기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이(tooth, 7B, 7C)와 상기 제1 프레임(11)의 이(7B)에 대응되는 제2 프레임(12)의 이(7C)를 합치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슬라이드(slide, 7A)로 구성되며, 슬라이드(7A)의 이동에 의한 이(7B, 7C)의 결합 및 해제를 통해 제1 프레임(11)에 제2 프레임(12)이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고정수단(2)에 의해 등받이 시트(41)에 고정된 제1 프레임(11)이 외력에 의해 좌대 시트(42)로부터 소정의 거리 이상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상기 제1 프레임(11)을 좌대 시트(42)에 고정하기 위한 좌대 고정벨트(5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좌대 고정벨트(51)는 제1 프레임(11)의 하단에 형성되어 하측의 좌대 시트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제2 프레임(12)은 차량의 좌대 시트에 걸어 체결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후크(50)를 더 포함수도 있으며, 상기 고정후크(50)는 제2 프레임(12)이 전개되었을 때 좌대 시트에 체결되어 제2 프레임(12)이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2 프레임(12)이 외력에 의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7)에 의한 간단한 고정 및 고정해제를 통해 상기 제2 프레임(12)은 제1 프레임(11)로부터 빠르게 고정 및 고정 해제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성인용 등받이 쿠션상태에서 유아 착좌시 쉽고 간단하며, 빠르게 유아용 안전벨트로 용도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31, 32)은 상기 제2 프레임(12)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T"자 형태로 구성되어 양단부가 제1 프레임(11)에 체결되는 허리벨트(31)와 상기 제1 프레임(1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허리벨트(31)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어께벨트(32)로 구성되어 상기 허리벨트(31)가 착좌된 유아의 허리를 감싸도록 고정시키며, 상기 어께벨트(32)가 착좌된 유아의 어께를 감싸 유아의 상체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은 유아가 착좌되는 내면 양측으로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체가 내장된 사이드쿠션(5)이 형성되어 착좌된 유아의 신체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횡방향 외력에 대해 착좌된 유아의 신체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 시켜주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11)의 양측에서부터 제2 프레임(12)의 양측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측면 지지막(4)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 지지막(4)은 상기 제2 프레임(12)의 전개에 의해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완전히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 지지막(4)은 상기 사이드쿠션(5) 보다 더 큰 횡방향 외력에 대해 유아의 신체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붙잡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 또는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의 지지체 및 다른 형태의 고정수단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은 각각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와이어 형태의 지지체(6) 또는 판상의 지지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위에서 설명한 지퍼 이외에 스냅단추(7D)를 비롯한 다른 형태의 고정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제1 프레임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자동차 시트의 헤드레스트에 고정되는 형태의 고정수단(2B)을 더 포함하여 제1 프레임(11)이 고정된 높이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제2 프레임(12)은 차량의 좌대 시트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고정수단(2E)을 더 포함수도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2E)은 제2 프레임(12)이 전개되었을 때 좌대 시트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어 제2 프레임(12)이 접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제2 프레임(12)이 외력에 의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1)의 배면 측에 배치되는 고정수단(2C)이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가지도록 고정수단(2C)을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 시트에 씌워 사용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등받이 시트에 씌워 사용하는 형태의 고정수단(2C)은 등받이 시트의 상측에 위치한 헤드레스트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측에 개방구(2D)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프레임
2 : 고정수단
3 : 지지수단
4 : 측면 지지막
5 : 사이드쿠션
6 : 지지체
7 : 고정부재
11 : 제1 프레임
12 : 제2 프레임
31 : 허리벨트
32 : 어께벨트
41 : 등받이 시트
42 : 좌대 시트
50 : 고정후크
51 : 좌대 고정벨트

Claims (6)

  1. 성인 착좌시 등받이 쿠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면 측으로 탄성체가 내장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차량의 등받이 시트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유아 착좌시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등받이 시트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부재의 고정해제에 의해 차량의 좌대 시트 측으로 전개되는 제2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전개된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는 유아의 신체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지지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제2 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로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지퍼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퍼에 의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의 고정 및 고정해제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양측에서부터 제2 프레임의 양측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는 측면 지지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 지지막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전개에 의해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유아가 착좌되는 내면 양측으로 중앙부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체가 내장된 사이드쿠션이 형성되어 착좌된 유아의 신체 양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은
    각각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와이어 형태의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T"자 형태로 구성되어 양단부가 제1 프레임에 체결되는 허리벨트와;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허리벨트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어께벨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
KR1020160044367A 2016-04-11 2016-04-11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 KR101747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367A KR101747876B1 (ko) 2016-04-11 2016-04-11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367A KR101747876B1 (ko) 2016-04-11 2016-04-11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876B1 true KR101747876B1 (ko) 2017-06-16

Family

ID=5927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367A KR101747876B1 (ko) 2016-04-11 2016-04-11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8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486B1 (ko) * 2020-12-01 2022-05-25 한지성 차량용 유아 기저귀 교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740Y1 (ko) * 2000-06-27 2001-02-15 이철 유아 및 임산부용 겸용 차량보조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740Y1 (ko) * 2000-06-27 2001-02-15 이철 유아 및 임산부용 겸용 차량보조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486B1 (ko) * 2020-12-01 2022-05-25 한지성 차량용 유아 기저귀 교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9197B2 (en) Child seat having an anchoring harness
US7568762B2 (en) Children car seat cover and protective pouch cushion
JPH0572559U (ja) 車両用シート
JP2008540231A (ja) 乗員安全拘束装置、シート高さ調整装置および乗員を拘束する方法
KR20130004959A (ko) 차량용 유아안전시트
KR101305677B1 (ko) 뒷좌석을 이용한 카시트의 상시 장착장치
KR101747876B1 (ko)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
US5957537A (en) Restraining device for children
JP5584035B2 (ja) 育児器具の座席構造および自動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022992B1 (ko) 차량용 접이식 애견시트
KR101900159B1 (ko) 컨버터블 카시트
JP2010158465A (ja) 着脱式背凭れ
KR200261829Y1 (ko)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
KR102668214B1 (ko) 휴대용 안전벨트
TW201325946A (zh) 設有錨定帶組件的兒童座椅
JPH0350051A (ja) 自動車の座席利用者倒伏防止ガード
KR20170003178U (ko) 차량용 유아 지지 시트
KR20230118272A (ko) 자동차 팔걸이를 이용한 유아용 안전 시트
KR20230071268A (ko) 쏠림 방지용 다점식 벨트가 적용된 카시트
KR101971352B1 (ko)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
JP3213646U (ja) ミニクッション
US20110140495A1 (en) Head and Neck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KR20230129680A (ko) 휴대용 안전벨트
KR100231542B1 (ko) 자동차후부좌석의높이조절식유아용좌석
JPH051577U (ja) 子供用に変形可能な車両用座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