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352B1 -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 - Google Patents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352B1
KR101971352B1 KR1020170109389A KR20170109389A KR101971352B1 KR 101971352 B1 KR101971352 B1 KR 101971352B1 KR 1020170109389 A KR1020170109389 A KR 1020170109389A KR 20170109389 A KR20170109389 A KR 20170109389A KR 101971352 B1 KR101971352 B1 KR 101971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mber
pair
support members
sea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3513A (ko
Inventor
김진승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09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352B1/ko
Publication of KR20190023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3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booster cushions, e.g. to lift a child to allow proper use of the conventional safety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002/2896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the child seat being foldable, e.g. to facilitate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는, 공기 주입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되고, 팽창시 사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부재; 및 상기 시트부재를 사용자의 착석부에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시트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인 위치에 마련되고, 그 시트부재의 마주하는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Booster seat with improved portability}
본 발명은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에 관한 것이다.
부스터 시트는, 일반적으로 차량에 탑승한 아이가 앉을 수 있는 등받이가 없는 시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아이의 앉은 키를 높여 성인이 앉는 높이와 같은 상태를 만들어 주어 차량의 안전벨트가 유아의 목과 어깨 사이에 정확히 장착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 이용시 어린이는 부스터 시트를 사용해야 안전하다고 이미 알려져 있으며, 법적으로도 의무화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국내에서 부스터 시트의 사용 비율은 20% 정도 밖에 되지 않으며, 특히 대중 교통이나 렌터카 등을 이용할 때 부스터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아주 적다.
경제 수준의 상승과 여행의 증가로 렌터카를 이용하거나 택시와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 하는 경우 부스터 시트를 따로 가지고 다니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대여시에 별도의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안전 문제가 있으나 비용이나 불편함 등의 이유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는, 공기 주입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되고, 팽창시 사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부재; 및 상기 시트부재를 사용자의 착석부에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시트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인 위치에 마련되고, 그 시트부재의 마주하는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지지부재는, 상기 시트부재가 공기 제거에 의해 수축된 경우에, 그 수축된 상태의 시트부재를 수납할 수 있게 하는 수납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시트부재의 내부 공기가 제거된 경우에,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들이 가깝게 접근되면서 상호 결속될 수 있게 하는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끼움돌기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끼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끼움돌기와 끼움홈 간의 억지끼움 방식으로 한 쌍의 지지부재들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지지부재는, 상기 시트부재의 각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착석부에 안착되는 레그부; 및 상기 레그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안전벨트가 걸어질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는, 한 쌍의 지지부재들 사이에 팽창 및 축소 가능한 시트부재를 배치하여 두고,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한 쌍의 지지부재들을 서로 이격시킨 이후 시트부재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착석을 가능하게 하고, 더 이상 사용이 필요하지 않게 된 경우에는, 시트부재의 공기를 빼내어 축소시킨 이후 한 쌍의 지지부재들을 서로 접근시켜 컴팩트한 사이즈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휴대할 수 있게 하고 작은 공간에도 수납될 수 있게 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을 도출하고, 이러한 장점에 의해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여 결국 제품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의 휴대 및 보관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과정에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의 휴대 및 보관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과정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상태에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Ⅳ-Ⅳ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스터 시트는, 사용자 소유의 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어느 장소에서든지 어느 차량에서든지 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시트부재(30)와 한 쌍의 지지부재(10,2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부재(30)는, 도 2와 같이, 내부에 공기가 완전히 주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튜브처럼 쭈글쭈글한 형태를 가지고, 도 3과 같이, 필요에 따라 내부에 공기를 완전히 채워줌으로써 펼쳐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착석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이 요구되지 않아 내부 공기가 완전히 제거된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0,20)들 간의 최대 접근을 가능하게 하여 휴대성을 개선시키고 보관의 용이함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0,20)들은, 상기 시트부재(30)를 사용자의 착석부에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부재(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인 위치에 마련되고,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시트부재(30)의 마주하는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도 5와 같이, 주로 본 실시예인 부스터 시트의 사용대상인 유아나 어린이가 해당됨은 물론이나, 유아나 어린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연령층일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와 같이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의 경우 주로 차량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기는 하나, 필요에 따라 차량이 아닌 특정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사용대상이 유아나 어린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연령층으로 확대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는, 한 쌍의 지지부재(10,20)들 사이에 팽창 및 축소 가능한 시트부재(30)를 배치하여 두고,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한 쌍의 지지부재(10,20)들을 서로 이격시킨 이후 시트부재(30)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착석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더 이상 사용이 필요하지 않게 된 경우에 도 1과 같이, 시트부재(30)의 공기를 빼내어 축소시킨 이후 한 쌍의 지지부재(10,20)들을 서로 접근시켜 컴팩트한 사이즈가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한 손으로도 휴대할 수 있게 하고 작은 공간에도 수납될 수 있게 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을 도출하고, 이러한 장점에 의해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여 결국 제품 신뢰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각 지지부재(10,20)는, 레그부(12,22)와 걸이부(14,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그부(12,22)는, 상기 시트부재(30)의 각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도 5와 같이 사용자의 착석부(예컨대, 차량의 시트)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부(14,24)는, 상기 레그부(12,22)와 일체로 형성되고, 도 5와 같이 안전벨트가 걸어질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 지지부재(10,20)의 레그부(12,22)는, 도 2와 같이 상기 시트부재(30)가 공기 제거에 의해 수축된 경우에, 그 수축된 상태의 시트부재(30)를 수납할 수 있게 하는 수납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도 1과 같이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0,20)들이 서로 접근되어 있는 경우에 시트부재(30)의 노출로 제품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억제하고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 향상 및 보관의 편리성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한 쌍의 지지부재(10,20)들 간의 결속력을 더욱 크게 확보하기 위한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시트부재(30)의 내부 공기가 제거된 경우에,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0,20)들이 가깝게 접근되면서 상호 결속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끼움돌기(도시되지 않음)와 끼움홈(22a)에 의해 구현되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결속수단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10,20)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끼움돌기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끼움홈(22a)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끼움돌기와 끼움홈(22a) 간의 억지끼움 방식으로 한 쌍의 지지부재(10,20)들을 결속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한 쌍의 지지부재(10,20)들이 서로 접근되는 과정에서 끼움돌기와 끼움홈(22a) 간의 억지끼움에 의해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결속작업이 요구되지 않게 됨에 따라 사용자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하고, 한 쌍의 지지부재(10,20)들의 상호 벌어짐 현상에 따른 보관상의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32는, 상기 시트부재(30)에 공기를 선택적으로 주입시켜 주기 위한 주입구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주입마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한 쌍의 지지부재(40,50)들에 각각 마련된 고정부(42,52)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고정부(42,52)는, 차량의 일측(A)에 시트부재를 고정시켜 줌으로써, 본 실시예를 차량 내부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시켜 줄 수 있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지지부재(60,70)들에 벨트와 같은 안전끈이 걸어질 수 있게 하는 고리형 고정부(62,72)가 마련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 안전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을 도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한 쌍의 지지부재(80)(90)들 사이에 배치되는 시트부재(95)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그 지지부재(80)(90)보다 상대적으로 더 길게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시트부재(95)의 사용자를 받쳐 줄 수 있는 면적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착석시 더욱 안정적이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20:지지부재 12,22:레그부
22a:끼움홈 14,24:걸이부
30:시트부재 32:주입마개

Claims (5)

  1. 공기 주입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팽창 또는 수축되고, 팽창시 사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시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시트부재; 및
    상기 시트부재를 사용자의 착석부에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시트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인 위치에 마련되고, 그 시트부재의 마주하는 가장자리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지지부재는, 상기 시트부재가 공기 제거에 의해 수축된 경우에, 그 수축된 상태의 시트부재를 수납할 수 있게 하는 수납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각 지지부재는, 상기 시트부재의 각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착석부에 안착되는 레그부; 및 상기 레그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안전벨트가 걸어질 수 있도록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는 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홈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레그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의 내부 공기가 제거된 경우에,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들이 가깝게 접근되면서 상호 결속될 수 있게 하는 결속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끼움돌기와,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끼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끼움돌기와 끼움홈 간의 억지끼움 방식으로 한 쌍의 지지부재들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
  5. 삭제
KR1020170109389A 2017-08-29 2017-08-29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 KR101971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389A KR101971352B1 (ko) 2017-08-29 2017-08-29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389A KR101971352B1 (ko) 2017-08-29 2017-08-29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513A KR20190023513A (ko) 2019-03-08
KR101971352B1 true KR101971352B1 (ko) 2019-04-22

Family

ID=65800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389A KR101971352B1 (ko) 2017-08-29 2017-08-29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3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1028A (ja) * 2012-11-05 2014-05-19 Raisen:Kk 折り畳み式携帯用椅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745Y2 (ja) * 1992-09-05 1994-11-16 誠 矢田 車用座席
JPH0685132U (ja) * 1993-05-27 1994-12-06 アラコ株式会社 車両用幼児シート
KR20080000111U (ko) * 2008-01-08 2008-01-28 김학준 유아용 접이식 에어 보조좌석
KR20120049463A (ko) * 2010-11-09 2012-05-17 최현숙 안전벨트 연결사용이 가능한 차량용 유아시트
KR20160028876A (ko) * 2014-09-04 2016-03-14 정다혜 휴대용 접이식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91028A (ja) * 2012-11-05 2014-05-19 Raisen:Kk 折り畳み式携帯用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3513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4934A (en) Child car s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101233012B (zh) 幼童车用座椅系统
US20140001796A1 (en) Inflatable child seat
CN107264347A (zh) 具有可拆卸带定位器汽车座椅的儿童增高座椅
US9783085B2 (en) Seat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and vehicle with the seating arrangement
AU2017201937B2 (en) A Child Restraint for a Vehicle
JP2017077876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971352B1 (ko) 휴대성이 개선된 부스터 시트
US20140265484A1 (en) Apparatus for seating two or more children in a backseat of a vehicle
CN105979812B (zh) 安全座椅/辅助性座椅安全带垫
AU2012211518A1 (en) A child restraint for a vehicle
KR101747876B1 (ko) 유아용 안전벨트로 사용 가능한 쿠션
CN106394335A (zh) 一种乘客座椅内置折叠充气儿童座椅
AU2020203913A1 (en) A Child Restraint for a Vehicle
US20190389337A1 (en) Foldable Car Seat
KR101900159B1 (ko) 컨버터블 카시트
WO2011094570A2 (en) Folding chair for the transportation of babies and children
RU2752207C1 (ru) Детская удерживающая система
US20210178939A1 (en) Foldable Car Seat
AU2018217211A1 (en) A Child Restraint for a Vehicle
AU2016101119B4 (en) A Child Restraint for a Vehicle
RU2559427C1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я детского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кресла
AU2013204194A1 (en) A Child Restraint for a Vehicle
KR101707949B1 (ko) 다기능 유모차
AU2014202615B2 (en) Light weight booster seat improv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