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0159B1 - 컨버터블 카시트 - Google Patents

컨버터블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159B1
KR101900159B1 KR1020160155874A KR20160155874A KR101900159B1 KR 101900159 B1 KR101900159 B1 KR 101900159B1 KR 1020160155874 A KR1020160155874 A KR 1020160155874A KR 20160155874 A KR20160155874 A KR 20160155874A KR 101900159 B1 KR101900159 B1 KR 101900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eat
backrest
present
suppor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5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7353A (ko
Inventor
고영훈
백선혜
Original Assignee
고영훈
백선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훈, 백선혜 filed Critical 고영훈
Priority to KR1020160155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159B1/ko
Priority to PCT/KR2017/005003 priority patent/WO2018097427A1/ko
Publication of KR20180057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4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 B60N2/284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being convertible or adaptable to a preambulator, e.g. a baby-carriage or a push-chai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C2009/002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a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버터블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모델에 따라 제약을 받지 않으며 모든 시트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평상시 유아 가방으로 활용을 하며 차량 탑승 등으로 카시트가 요구되는 경우 간편한 조작을 통해 카시트로 사용되는 컨버터블 카시트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 벨트에 연결되는 장치에 있어서, 후면 상단에 제1결합구성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제2결합구성이 형성되는 어깨 벨트; 상기 어깨 벨트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 받침; 일단은 상기 등 받침의 하단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1결합구성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 벨트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결합구성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등 받침의 하단을 축으로 축회전하여 상기 제2결합구성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버터블 카시트{CONVERTIBLE CAR SEAT}
본 발명은 컨버터블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유아가 등에 메는 가방으로 사용하며, 차량 탑승 등으로 카시트가 요구되는 경우 간편한 조작을 통해 카시트로 활용되는 휴대가 편리한 컨버터블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카시트는 차량에 탑승한 영유아를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며 안정적으로 착석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안전 보호 카시트이다. 유아용 카시트는 자가 차량에 사용하는 좌석 부착형 카시트와 유치원, 어린이집 등의 통학차량에 사용되는 간이형 카시트로 분류된다. 이러한 유아용 카시트는 몸체가 차량에 구비된 의자의 좌판과 등받이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유아는 유아용 카시트에 구비된 안전벨트 등으로 앉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차량의 모델에 따라 탈부착 및 실내 공간 활용이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여기에 유치원, 어린이집 등의 통학차량에 적용되는 간이형 카시트는 다수의 유아들이 공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전염과 같은 위생 등의 문제점을 가진다. 아울러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탈부착이 어려워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1-0032946호(이하, ‘선행문헌’이라고 함)는 캐리어 겸용 유아시트를 개시하고 있다. 선행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캐리어 겸용 유아시트는 차량 시트의 등받이와 맞닿는 시트배면판이 마련되고 상기 시트배면판의 하부로부터 연결됨과 아울러 그 상부 및 측부에 길이조절 가능한 체결용 벨트가 각각 결합된 시트전면판이 구비되어 유아의 팔과 다리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몸통을 감싸도록 된 캐리어 겸용 유아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배면판과 시트전면판의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외측에 착탈됨과 아울러 상기 시트배면판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유아용 캐리어로 사용할 때 유아의 처짐에 의한 국부 압박을 완화할 수 있도록 유아의 둔부를 받쳐주는 둔부받침판이 구비되고, 상기 둔부받침판의 전방측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시트배면판의 상부에 고정하여 상기 둔부받침판을 상부로 당겨줄 수 있도록 별도의 상향고정벨트를 구비한다.
선행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캐리어 겸용 유아시트는 유아 스스로 사용하는 것이 어려워 성인의 도움을 받아야만 한다. 또한 유아가 직접 휴대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여기에 캐리어 겸용 유아시트는 차량의 좌석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형태로써 탈부착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캐리어 겸용 유아시트는 휴대성, 실용성 및 경제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2946호
따라서 본 발명은 평상시 유아가 등에 메는 가방으로 활용을 하며 차량 탑승 등으로 카시트와 같은 안전장치가 요구되는 경우 간편한 조작을 통해 카시트로 사용되는 컨버터블 카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모델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모든 시트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식당 등에서 성인용 의자와 연결되어 편리하게 어린이 의자로써 사용이 가능한 컨버터블 카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간소한 구성으로 제조 단가가 낮아 쉽게 상용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가의 카시트 구매에 따른 비용을 절감 할 수 있으며 안전한 대중교통문화를 선도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버터블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 벨트에 연결되는 장치에 있어서, 후면 상단에 제1결합구성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제2결합구성이 형성되는 어깨 벨트; 상기 어깨 벨트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 받침; 일단은 상기 등 받침의 하단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1결합구성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 벨트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결합구성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등 받침의 하단을 축으로 축회전하여 상기 제2결합구성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 받침과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는 엉덩이 받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엉덩이 받침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 받침 내지 상기 지지대는 공기가 통풍되는 다공질 형태의 통풍부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컨버터블 카시트는 모든 차량의 카시트에 적용이 가능하며, 식당 등에서 성인용 의자와 연결되어 어린이 의자를 대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컨버터블 카시트는 평상시 유아가 가방으로 활용을 하며 차량 탑승 등으로 카시트가 요구되는 경우 간편한 조작을 통해 카시트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용성 및 휴대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컨버터블 카시트는 보다 간소한 구성으로 제조 단가가 낮아 쉽게 상용화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 할 수 있으며 안전한 대중교통문화를 선도할 수 있다. 여기에 본 발명에 의한 컨버터블 카시트는 심장박동 검측센서, 동작감지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GPS 센서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관측자에게 통보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활용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카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카시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카시트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카시트의 변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카시트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변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카시트가 차량 시트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문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에 대해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작업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카시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카시트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카시트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버터블 카시트(1000)는 어깨 벨트(100), 등 받침(200) 및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어깨 벨트(100)는 착용자의 어깨에 안착된다. 구체적으로는 평상시 유아가 가방처럼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어깨 벨트(100)는 바람직하게는 복수개로 구성이 된다. 그러나 유아의 안전 또는 디자인 등의 필요에 의해서는 단일로 어깨 벨트(100)를 구성할 수 있다. 어깨 벨트(100)와 관련된 종래에 알려진 일반적인 구성 또는 기능, 즉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성 또는 미끄럼 방지 기능과 관련한 일반적인 구성 등은 제안되는 형상 및 고안 등에 따라 적용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설명에 충실하고자 생략하도록 하겠다.
어깨 벨트(100)는 유아의 목을 받쳐 지지해주는 목 쿠션(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목 쿠션(110)은 어깨 벨트(100)의 일면에 부직포 또는 슬라이드 방식의 지퍼로 연결될 수 있다. 목 쿠션(110)은 유아의 목을 반원 형태로 감싸주게 되어 외부 충격으로 인한 목과 머리를 보호하며, 유아가 잠이 들더라도 목을 받쳐주어 원활한 호흡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어깨 벨트(100)의 끝단 구체적으로는 후면 상단에는 제1결합구성(120)이 형성되며, 어깨 벨트(100)의 전면에는 제2결합구성(미도시)이 형성된다. 제1결합구성(120)은 평상시 유아가 가방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지대(300)가 결합되는 구성이며, 제2결합구성(미도시)은 카시트로 이용되는 경우 제1결합구성(120)으로부터 분리된 지지대(300)의 부분이 결합되는 구성이다. 즉, 지지대(300)가 제1결합구성(120)과 제2결합구성(미도시)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가방 또는 카시트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제1결합구성(120)은 벨트 클립으로 구성되며, 제2결합구성(미도시)도 제1결합구성(120)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부직포 또는 암수로 연결되는 버튼(예를 들어, 스냅 파스너 등) 등 연결 상태가 고정될 수 있는 어떠한 방식도 적용가능하며, 반드시 제1결합구성(120)과 제2결합구성(미도시)이 동일한 연결방식을 채택하여야 하는 것도 아니다.
등 받침(200)은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어깨 벨트(100)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된 방식은 재봉될 수도 있으며, 부직포 또는 벨트 클립 등으로 연결되어 탈부착이 용이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어깨 벨트(100)의 양 끝단이 등 받침(200)에 연결될 수 있지만, 도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어깨 벨트(100)의 중단이 등 받침(200)에 연결되고, 그 끝단이 지지대(300)의 일면 또는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대(300)의 일단은 어깨 벨트(100)의 끝단에 연결되며 그 타단은 등 받침(200) 하단에 연결된다. 어깨 벨트(100)와 지지대(300)가 상호 연결된 부분은 벨트 클립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벨트 클립의 결합과 분리를 통해 어깨 벨트(100)와 지지대(300)가 마찬가지로 결합되고 분리된다.
지지대(300)는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며, 기능성 등을 고려하여 통풍이 되는 소재가 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등 받침(200)과 지지대(300) 사이에는 도 1 내지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와 양 측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개방된 형태에는 유아 또는 착용자의 별도의 가방 또는 물건을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등 받침(200)과 지지대(300)는 자연적인 건조를 돕는 통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통풍부는 일종의 아크릴 소재의 직물로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순환하도록 다공질 형태로 제안된다. 다만, 이와 관련하여서는 다양한 방식이 제안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카시트의 변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카시트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변형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00)는 등 받침(200)과 연결된 일단을 축으로 하여 축 회전 한다. 축 회전된 지지대(300)는 유아의 엉덩이를 감싸며 양다리 사이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유아의 가슴 쪽을 향하여 밀착하게 된다. 이때, 유아의 가슴 부위에 밀착한 지지대(300)는 어깨 벨트(100)의 앞쪽 일면의 제2결합구성(미도시)과 연결된다.
지지대(300)는 엉덩이 받침(310)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엉덩이 받침(310)은 지지대(300)와 등 받침(200)의 일단에 각각 연결된다. 엉덩이 받침(310)은 지지대(300)와 마찬가지로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가 가장 바람직 할 것이며, 기능성 등을 고려하여 통풍이 되는 소재가 될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엉덩이 부분을 감싸게 되므로 보다 안정감과 포근함을 제공하기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완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완충부는 쿠션 등의 완충 기능을 가진 형태로 지지대(300)및 엉덩이 받침(310) 내부에 구성이 되며, 지지대(300)및 엉덩이 받침(310) 어디에도 구성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상세한 이해를 돕기 위해 도 4에 개시된 컨버터블 카시트(1000)의 변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통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의 (a)는 유아가 평상시 컨버터블 카시트(10)를 가방으로 활용하기 위해 등에 메고 다닐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지지대(300)의 일단은 등받침(200)의 하단에 연결되며, 지지대(300)의 타단은 어깨 벨트(100)의 제1결합구성(120)에 결합된다. 유아가 가방을 메고 있는 상태에서는 등 받침(200)과 지지대(300) 사이에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와 양 측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별도의 가방 또는 물건을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차량탑승을 위해 컨버터블 카시트(1000)를 카시트로 변형하는 예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어깨 벨트(100)와 연결된 지지대(300)는 어깨 벨트(100)와 연결된 부분이 분리되며, 등 받침(200)과 연결된 일단을 축을 기준으로 축 회전 한다. 축 회전된 지지대(300)는 유아의 엉덩이를 감싸며 양다리 사이의 중심부를 통과하여 유아의 가슴 쪽을 향하여 밀착하게 된다.
도 4의 (c)는 축 회전된 지지대(300)가 어깨 벨트(100)의 앞쪽 일면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축 회전되어 유아의 가슴부위에 밀착된 지지대(300)는 유아의 어깨 부위에 메어진 어깨 벨트(100)의 일면과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대(300)는 어깨 벨트(100) 전면의 제2결합구성(미도시)에 연결되며 연결방식은 도 4의 (a)와 동일하게 벨트 클립으로 구성되나, 연결 상태가 고정된다면 부직포 또는 암수로 연결되는 버튼(예를 들어, 스냅 파스너 등) 등 어떠한 방식도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버터블 카시트(1000)가 차량에 구비된 시트(10)에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에 개시된 바와 같이 축 회전된 지지대(300)의 일면에는 시트 벨트(20)에 연결되는 고정부(400)를 구비하고 있다. 시트 벨트(20)와 고정부(400)의 연결 방식은 바람직하게 시트 벨트(20)는 고정부(400)를 통과하는 형태가 될 것이지만 클립 등으로 조여지는 방식도 무방하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고정부(400)는 어깨 벨트(100)의 일면에도 추가 구성되어 더욱 안전하게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제안될 수 있다.
컨버터블 카시트(1000)는 IoT(Internet of Things)기기로써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어깨 벨트(100), 등 받침(200) 및 지지대(300) 중 어느 한 구성에 심장박동 검측센서, 동작감지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GPS 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컨버터블 카시트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관측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따라서 관측자는 센서로 부터 전송되는 상태 정보를 스마트폰 등을 통해 유아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컨버터블 카시트(1000)는 모든 차량의 카시트에 적용이 가능하며, 식당 등에서 성인 의자와 연결되어 어린이 의자를 대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컨버터블 카시트는 평상시 유아가 가방으로 활용을 하며 차량 탑승 등으로 카시트가 요구되는 경우 간편한 조작을 통해 카시트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용성 및 휴대성이 뛰어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컨버터블 카시트는 보다 간소한 구성으로 제조 단가가 낮아 쉽게 상용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 할 수 있으며 안전한 대중교통문화를 선도할 수 있다. 여기에 본 발명에 의한 컨버터블 카시트는 심장박동 검측센서, 동작감지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GPS 센서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상태 정보를 관측자에게 통보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활용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시트 20 : 시트 벨트
100 : 어깨 벨트 110 : 목 쿠션
120 : 제1결합구성 200 : 등 받침
300 : 지지대 310 : 엉덩이 받침
400 : 고정부 1000 : 컨버터블 카시트

Claims (8)

  1. 시트 벨트에 연결되는 장치에 있어서,
    후면 상단에 제1결합구성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제2결합구성이 형성되는 어깨 벨트;
    상기 어깨 벨트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 받침;
    일단은 상기 등 받침의 하단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제1결합구성에 연결되고, 상기 시트 벨트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결합구성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등 받침의 하단을 축으로 축회전하여 상기 제2결합구성에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카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 받침과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엉덩이를 받쳐주는 엉덩이 받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카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엉덩이 받침은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카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 받침 내지 상기 지지대는 공기가 통풍되는 다공질 형태의 통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카시트.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 받침은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벨트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카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카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벨트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목을 지지하는 목 쿠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터블 카시트.
KR1020160155874A 2016-11-22 2016-11-22 컨버터블 카시트 KR101900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874A KR101900159B1 (ko) 2016-11-22 2016-11-22 컨버터블 카시트
PCT/KR2017/005003 WO2018097427A1 (ko) 2016-11-22 2017-05-15 컨버터블 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5874A KR101900159B1 (ko) 2016-11-22 2016-11-22 컨버터블 카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353A KR20180057353A (ko) 2018-05-30
KR101900159B1 true KR101900159B1 (ko) 2018-09-18

Family

ID=6219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5874A KR101900159B1 (ko) 2016-11-22 2016-11-22 컨버터블 카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0159B1 (ko)
WO (1) WO20180974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673B1 (ko) 2019-08-28 2020-12-31 양지원 백팩 겸용 카시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102A (ja) * 2001-09-30 2003-04-09 Tomoko Tokuda 自動車の子供用補助座席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860B1 (ko) * 2008-06-13 2011-04-06 (주)다인모터스 어린이용 안전시트
KR200463003Y1 (ko) * 2010-07-26 2012-10-12 김대길 조끼형 차량안전벨트 보조구
KR101318405B1 (ko) * 2011-09-28 2013-10-16 이영이 유아용 가방을 겸한 의자 안전시트
KR101382542B1 (ko) * 2013-08-20 2014-04-07 김정율 어린이용 시트벨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4102A (ja) * 2001-09-30 2003-04-09 Tomoko Tokuda 自動車の子供用補助座席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673B1 (ko) 2019-08-28 2020-12-31 양지원 백팩 겸용 카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7427A1 (ko) 2018-05-31
KR20180057353A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5477B2 (en) Inflatable child seat
US8650663B2 (en) Bunting bag with cover
US7530634B1 (en) Head support system for infants and toddlers
TWI465217B (zh) 嬰兒背袋
US8770663B2 (en) Combination shopping cart and high chair cover with plush character
US8485601B2 (en) Multi-use seat liner
US20090302075A1 (en) Child carriers
CN101233039A (zh) 幼童推车
US20080252115A1 (en) Child seat article holder
US2550851A (en) Baby carrier
US10144319B2 (en) Carrier with shock absorbing material
CN104486974A (zh) 能转换为婴儿护理物品的装备
KR101900159B1 (ko) 컨버터블 카시트
JP6931638B2 (ja) ベビーキャリア
US9409500B2 (en) Upper body support system
US20060082205A1 (en) Sleeping Aid
KR102197673B1 (ko) 백팩 겸용 카시트
KR101859530B1 (ko) 유모차 장착형 2인용 보조시트
WO2019162389A1 (en) Garment for a baby or an infant
KR101883115B1 (ko)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JP2013081671A (ja) ベビーキャリー具
CN210478800U (zh) 一种两用型童车座位垫结构
CN202782771U (zh) 乘坐交通工具的睡眠辅助带
EP1695863A1 (en) Safety and coupling system for babies and children in vehicles
KR200489274Y1 (ko) 아기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