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115B1 -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 Google Patents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115B1
KR101883115B1 KR1020170137110A KR20170137110A KR101883115B1 KR 101883115 B1 KR101883115 B1 KR 101883115B1 KR 1020170137110 A KR1020170137110 A KR 1020170137110A KR 20170137110 A KR20170137110 A KR 20170137110A KR 101883115 B1 KR101883115 B1 KR 101883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r seat
garment
seat
belt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선혜
고영훈
Original Assignee
백선혜
고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선혜, 고영훈 filed Critical 백선혜
Priority to KR1020170137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115B1/ko
Priority to PCT/KR2017/011762 priority patent/WO201908305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02Garments adapted to accommodate electronic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07Garments with built-in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41D15/04Garment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41D27/201Pocket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60R22/14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incorporating enlarged restraint areas, e.g. vests, nets, crash pads, optionally for childre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는, 착용자의 전면을 감싸는 전면부와 착용자의 등을 감싸는 배면부를 포함하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면부의 하단으로부터 폴딩 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연장부를 서로 결합하며, 결합시 폐쇄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결합부; 상기 전면부의 전면에 형성되며, 안전벨트의 어깨벨트가 통과되는 어깨벨트 클립; 및 안전벨트의 허리벨트가 통과되며, 상기 회전부의 안쪽면에 장착되는 허리벨트 클립;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평상시 의류 상의로 착용함과 동시에 가방으로도 이용하되, 차량 탑승 등으로 카시트가 요구되는 경우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카시트로 활용되는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CLOTHES TRANSFORMABLE INTO A CAR SEAT}
본 발명은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방 일체형 의류로서 평상시 의류 상의로 착용함과 동시에 가방으로도 이용하되, 차량 탑승 등으로 카시트가 요구되는 경우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카시트로 활용되는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안전벨트는 정상적인 일반 성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유아·어린이 등의 소인이나 임산부의 경우 착용시 상당한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소인의 경우 대각방향으로 체결되는 어깨벨트가 신체의 목 부위에 위치되고, 임산부의 경우 가로방향으로 체결되는 허리벨트가 하복부에 위치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전벨트에 장착되는 별도의 안전시트가 고안되어 유아나 임산부의 불편함을 해소하거나, 유아용 카시트가 고안되어 판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시트는 차량에 탑승한 영유아를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며 안정적으로 착석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제품이다. 유아용 카시트는 자가 차량에 사용하는 좌석 부착형 카시트와, 유치원, 어린이집 등의 통학차량에 사용되는 간이형 카시트로 분류된다. 이러한 유아용 카시트는 몸체가 차량에 구비된 의자의 좌판과 등받이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되며, 유아는 유아용 카시트에 구비된 안전벨트 등으로 앉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차량의 모델에 따라 탈부착 및 실내 공간 활용이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여기에 유치원, 어린이집 등의 통학차량에 적용되는 간이형 카시트는 여러 유아들이 공용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바이러스 전염과 같은 위생 등의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탈부착이 어려워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유아용 카시트는 부피가 크고 가격이 비교적 고가이며, 휴대하여 자가차량 외의 차량에 장착 및 장착 해제 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317316호 미국 특허공보 US613457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055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는, 평상시 의류 상의로 착용하며, 차량 탑승 등으로 카시트가 요구되는 경우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카시트로 활용되는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는, 상의와 가방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의류를 제공하되, 상의 탈의 없이 카시트로도 이용할 수 있는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는, 착용자의 전면을 감싸는 전면부와 착용자의 등을 감싸는 배면부를 포함하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면부의 하단으로부터 폴딩 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연장부를 서로 결합하며, 결합시 폐쇄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결합부; 상기 전면부의 전면에 형성되며, 안전벨트의 어깨벨트가 통과되는 어깨벨트 클립; 및 안전벨트의 허리벨트가 통과되며, 상기 회전부의 안쪽면에 장착되는 허리벨트 클립;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또한,상기 허리벨트 클립은 상기 제1결합부의 결합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부에는 포켓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깨벨트 클립은 상기 포켓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켓부는 제2결합부를 통해 개폐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심장박동 검측센서, 동작감지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GPS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센싱 모듈이 센싱한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는 평상시 의류 상의로 착용하며, 차량 탑승 등으로 카시트가 요구되는 경우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카시트로 활용되는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가 제공된다.
또한, 상의와 가방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의류를 제공하되, 상의 탈의 없이 카시트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추가 구성 없이 안전벨트의 허리벨트와 어깨벨트가 통과됨으로써 안전하게 카시트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가 연장부에 결합됨으로써 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가방으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허리벨트 클립이 회전부의 안쪽면에 장착됨으로써 제1결합부가 잠금되어 가방으로 이용되는 경우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외관이 깔끔하다.
또한, 어깨벨트 클립이 포켓부 내부에 배치되며, 카시트로 이용하는 경우 제2결합부를 열어 안전벨트를 통과시키므로 평상시 어깨벨트 클립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어 외관이 깔끔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의 개략적인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의 포켓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의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의 카시트로의 이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의 변형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의 개략적인 배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1000)는, 평상시 가방이 일체형으로 된 의류 상의로 착용하며, 차량 탑승 등으로 카시트가 요구되는 경우 상의 탈의 없이 회전부를 회전시켜 카시트로 활용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면부(100)와, 배면부(200)와, 회전부(300)와, 어깨벨트 클립(400)과, 허리벨트 클립(5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의류는 조끼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나, 일반적인 의류 상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조끼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카시트로 변형시 이용되는 안전벨트는 통상적인 차량의 3점식 안전벨트로서 어깨벨트(10)와 허리벨트(20)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의 설명에 충실하고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의 포켓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전면부(100)는 일반적인 조끼의 전면에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착용자의 가슴, 복부와 같은 착용자의 전면을 감싸는 구성이다. 전면부(100)는 일반적인 조끼와 같이 단추, 지퍼, 스냅 파스너 등으로 열고 닫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면부(100)에는 포켓부(110)가 형성된다. 포켓부(110)는 일반적인 주머니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어깨벨트 클립(400)이 내장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포켓부(110)는 제2결합부(120)를 통해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며, 어깨벨트 클립(400)은 포켓부(110) 내부에 결합된다. 즉, 평상시에는 어깨벨트 클립(400)이 포켓부(110) 내부에 배치되며 제2결합부(120)가 잠겨져, 어깨벨트 클립(4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며, 카시트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2결합부(120)를 연 뒤 외부로 노출된 어깨벨트 클립(400)에 안전벨트를 통과시키면 된다. 한편, 제2결합부(120)는 다양한 구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면 상에서 제2결합부(120)는 지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지퍼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스냅 파스너, 벨크로 테이프 등으로도 마련될 수 있다.
어깨벨트 클립(400)은 카시트로 변형시 어깨벨트(10)가 통과되어 유아가 차량 좌석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안전벨트의 텅 플레이트에 의해 어깨벨트(10)를 어깨벨트 클립(400)에 직접적으로 통과시킬 수 없으므로 일부가 개방된 루프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어깨벨트(10)를 끼울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어깨벨트 클립(400)은 어깨벨트(10)가 통과되어 고정될 수 있다면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배면부(200)는 일반적인 조끼의 배면에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착용자의 등과 같은 착용자의 배면을 감싸는 구성이다. 배면부(200)에는 연장부(210)가 형성된다. 연장부(210)는 배면부(200)의 베이스의 일 영역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다. 연장부(210)는 후술하는 회전부(300)가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회전부(300)에 의해 가방으로 이용되는 경우 수용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이다. 회전부(300)가 배면부(200)의 베이스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경우 수용공간이 거의 없어 가방으로 활용되기 어려우나, 연장부(210)가 배면부(20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회전부(300)가 연장부(210)에 결합됨으로써 베이스와 회전부(300) 안쪽면 간의 공간인 수용공간이 확보되며 가방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배면부(200)는 폭이 조절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면부(200)는 대략 주름 형태로 여러겹 겹쳐진 뒤 일부가 로프에 의해 묶일 수 있으며, 겹쳐진 부분을 펼쳐 수용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면부(200)는 착용자의 목을 받쳐 지지해주며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는 목 쿠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목 쿠션은 배면부(200)의 안쪽면에 부직포 또는 지퍼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목 쿠션은 유아의 목을 반원 형태로 감싸주게 되어 외부 충격으로 인한 목과 머리를 보호하며, 본 실시예를 카시트로 이용시 유아가 잠이 들더라도 목을 받쳐주어 원활한 호흡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회전부(300)는 조끼와 가방이 일체형이 되도록 하는 구성임과 동시에 카시트로 이용시 유아가 앉는 좌석의 기능을 하는 구성이다. 회전부(300)는 배면부(200)의 하단으로부터 폴딩 가능하게 연장된다. 회전부(300)는 배면부(200)의 하단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며, 배면부(2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회전부(300)가 배면부(200)의 하단을 축으로 축회전하여 연장부(210)에 제1결합부(310)를 통해 결합되면 수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1결합부(310)를 분리하여 배면부(200)와 회전부(300)를 분리한 뒤 회전부(300)를 반대방향으로 축회전하는 경우 카시트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때 회전부(300)는 유아가 앉는 좌석이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310)는 지퍼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2결합부(120)와 마찬가지로 벨크로 테이프, 스냅 파스너 등 회전부(300)와 결합될 수 있다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의 개략적인 전개도이다.
회전부(300)에는 허리벨트 클립(500)이 장착된다. 허리벨트 클립(500)은 카시트로 변형시 허리벨트(20)가 통과되어 유아가 차량 좌석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허리벨트(20) 또한 어깨벨트(10)와 같이 텅 플레이트에 의해 허리벨트 클립(500)에 직접적으로 통과시킬 수 없으므로, 어깨벨트 클립(400)과 같이 일부가 개방된 루프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어깨벨트(10)를 끼울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허리벨트 클립(50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 회전부(300)의 안쪽면의 테두리에 장착된다. 이때 허리벨트 클립(500)은 회전부(300)에 재봉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허리벨트 클립(500)의 위치는 유아의 착석에 방해되지 않는다면 제한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 허리벨트 클립(500)은 바람직하게 회전부(300)의 안쪽면에 장착된다. 여기서 안쪽면이란, 회전부(300)가 배면부(200)의 하단을 축으로 축회전하여 가방으로서의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배면부(200)의 배면과 대향되는 면을 의미한다. 허리벨트 클립(500)이 회전부(300)의 안쪽면에 장착됨으로써, 회전부(300)가 배면부(200)에 완전 결합(잠금)되어 가방의 기능도 함께 수행하는 경우 허리벨트 클립(500)이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육안으로 확인이 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외관이 미려하다.
카시트로 이용되는 경우 회전부(300)는 좌석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회전부(300)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부(300) 내부에는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쿠션과 같은 구성이 내장되어 유아의 착석감 향상 및 충격 완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가방으로 이용되는 경우 연장부(210)에 의해 충분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회전부(300)는 가방의 커버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완충부가 내장되는 경우에도 수용공간이 적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센싱 모듈(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 모듈은 심장박동 검측센서, 동작감지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GPS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착용자의 심장박동, 동작, 위치 등을 센싱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가 가방 일체형 조끼로 이용되는 경우 유아의 위치를 GPS 센서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또한, 카시트로 이용되는 경우에도 동작이나 심장박동을 감지하여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싱 모듈이 센싱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 즉, 보호자의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은 스마트폰, PDA, 또는 랩탑(laptop) 등 유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휴대 가능한 모든 종류의 단말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에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센싱 모듈이 센싱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보호자는 언제든 제어부를 통해 센싱 모듈의 센싱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유아의 보호를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의 용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의 카시트로의 이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의 변형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가방 일체형 상의
도 6의 (a)는 본 실시예가 가방 일체형 조끼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회전부(300)는 배면부(20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배면부(200)의 하단을 축으로 축회전하여 연장부(210)에 제1결합부(310)를 통해 결합된다. 연장부(210)에 의해 회전부(300)와 배면부(200) 사이에는 적절한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착용자 또는 착용자의 보호자는 수용공간 내에 휴대물품을 넣을 수 있다.
또한, 전면부(100)의 포켓부(110)의 제2지퍼(120)를 잠가 내부의 어깨벨트 클립(40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허리벨트 클립(500)은 회전부(300)의 안쪽면에 장착되므로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유아가 가방 일체형 상의를 착용한 경우, 센싱 모듈이 센싱한 정보는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보호자는 유아의 보호를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2. 카시트
도 6의 (b)는 제1지퍼(310)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의 (c)는 본 실시예가 카시트로 이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회전부(300)와 연장부(210)의 제1결합부(310)를 분리하여 회전부(300)의 일단과 연장부(210)가 분리되며, 회전부(300)는 배면부(200)의 하단을 축으로 하여 축회전한다. 이때,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된 허리벨트 클립(500)이 외부로 노출된다.
착용자는 차량의 시트 위에 회전부(300)를 놓고 회전부(300) 위에 앉는다. 이때, 회전부(300) 내부에는 완충쿠션과 같은 완충부가 내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착용자의 착석감 향상 및 충격 완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지퍼(120)를 열어 어깨벨트 클립(400)을 외부로 노출시킨 뒤 안전벨트를 당겨 어깨벨트(10)를 어깨벨트 클립(400)에 관통시킨다. 또한, 허리벨트 클립(500)에 허리벨트(20)를 관통시킨다. 이를 통해, 유아의 신체 크기에 맞지 않는 안전벨트를 본 실시예를 통해 유아에게 착용할 수 있으며, 유아가 차량 좌석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유아가 가방 일체형 상의를 카시트로 이용하는 경우, 센싱 모듈이 센싱한 정보는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어, 보호자는 유아의 보호를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 의류 상의로 착용함과 동시에 가방으로도 이용하되, 차량 탑승 등으로 카시트가 요구되는 경우 회전부의 회전을 통해 카시트로 활용되는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100 : 전면부
110 : 포켓부 120 : 제2결합부
200 : 배면부 210 : 연장부
300 : 회전부 310 : 제1결합부
400 : 어깨벨트 클립 500 : 허리벨트 클립

Claims (8)

  1. 착용자의 전면을 감싸는 전면부와 착용자의 등을 감싸는 배면부를 포함하는 의류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면부의 하단으로부터 폴딩 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연장부를 서로 결합하며, 결합시 폐쇄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결합부;
    상기 전면부의 전면에 형성되며, 안전벨트의 어깨벨트가 통과되는 어깨벨트 클립; 및
    안전벨트의 허리벨트가 통과되며, 상기 회전부의 안쪽면에 장착되는 허리벨트 클립;
    을 포함하는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벨트 클립은 상기 제1결합부의 결합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에는 포켓부가 형성되며,
    상기 어깨벨트 클립은 상기 포켓부 내부에 배치되는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제2결합부를 통해 개폐가능한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8. 제1항에 있어서,
    심장박동 검측센서, 동작감지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GPS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센싱 모듈이 센싱한 정보를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KR1020170137110A 2017-10-23 2017-10-23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KR101883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110A KR101883115B1 (ko) 2017-10-23 2017-10-23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PCT/KR2017/011762 WO2019083053A1 (ko) 2017-10-23 2017-10-24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110A KR101883115B1 (ko) 2017-10-23 2017-10-23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115B1 true KR101883115B1 (ko) 2018-07-27

Family

ID=63078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110A KR101883115B1 (ko) 2017-10-23 2017-10-23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3115B1 (ko)
WO (1) WO2019083053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4578A (en) 1989-05-04 2000-10-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with context switching
JP2002317316A (ja) 2001-04-25 2002-10-31 滋子 ▲吉▼本 チャイルドセーフウェア
US20080252132A1 (en) * 2003-10-04 2008-10-16 Hugh Thomson Vehicle Safety Device
KR20120010558A (ko) 2010-07-26 2012-02-03 김대길 차량용 어린이 안전조끼
KR20120050952A (ko) * 2012-05-01 2012-05-21 이은영 접이식 매트와 베개가 구비된 다용도 낚시조끼
US20160038083A1 (en) * 2014-08-08 2016-02-11 Orn, Inc. Garment including integrated sensor components and feedback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778B1 (ko) * 2001-05-25 2004-10-14 이정문 차량용 어린이 안전자켓
KR100790437B1 (ko) * 2006-03-22 2008-01-02 안동식 다용도 안전조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4578A (en) 1989-05-04 2000-10-1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ata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with context switching
JP2002317316A (ja) 2001-04-25 2002-10-31 滋子 ▲吉▼本 チャイルドセーフウェア
US20080252132A1 (en) * 2003-10-04 2008-10-16 Hugh Thomson Vehicle Safety Device
KR20120010558A (ko) 2010-07-26 2012-02-03 김대길 차량용 어린이 안전조끼
KR20120050952A (ko) * 2012-05-01 2012-05-21 이은영 접이식 매트와 베개가 구비된 다용도 낚시조끼
US20160038083A1 (en) * 2014-08-08 2016-02-11 Orn, Inc. Garment including integrated sensor components and feedback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3053A1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2983B (zh) 幼兒背負裝置
JP4694167B2 (ja) フード付き抱っこ具
US10743678B2 (en) Wrap carrier
US4901371A (en) Infant bag garment
US5454498A (en) Baby carrier
JP2016530164A (ja) 6点拘束方式の改善された補助拘束システム
KR101922307B1 (ko) 영아용 속싸개
KR101883115B1 (ko)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KR102197673B1 (ko) 백팩 겸용 카시트
KR100531611B1 (ko) 유아용 포대기
KR101900159B1 (ko) 컨버터블 카시트
JPH0727870Y2 (ja) 抱き具の機能を具えたリュックサック
KR101918822B1 (ko) 견착부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워머
AU2015257322B2 (en) A safety device for use with a safety harness
KR900011032Y1 (ko) 주머니가 달린 아기 띠
JP3131283U (ja) ベビーキャリア
JP3725610B2 (ja) ウエストバッグ兼用ベビーホルダー
JP2004003084A (ja) 幼児用ケープ
KR102452823B1 (ko) 휴대용 유아 보호장구
EP2903481B1 (en) A child carrier
JP2005312759A (ja) ベビーキャリア
JP6643463B2 (ja) シートベルト用補助具
JP2002317316A (ja) チャイルドセーフウェア
KR20150004371U (ko)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
JP2002180307A (ja) ハーネス型衝撃防止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