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371U -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371U
KR20150004371U KR2020140004065U KR20140004065U KR20150004371U KR 20150004371 U KR20150004371 U KR 20150004371U KR 2020140004065 U KR2020140004065 U KR 2020140004065U KR 20140004065 U KR20140004065 U KR 20140004065U KR 20150004371 U KR20150004371 U KR 201500043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seatbelt
detachable
belt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규
Original Assignee
장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규 filed Critical 장대규
Priority to KR2020140004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371U/ko
Publication of KR20150004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3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은, 인형 본체의 후면에 안전벨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벨트통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통과부는, 안전벨트의 웨빙이 통과되는 상단통과부의 폭이 하단통과부의 폭보다 넓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안전벨트의 웨빙 모두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벨트통과부는, (i) 상기 하단통과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시작되어 상기 상단통과부에 이르는 제 1 착탈부; 및 (ii) 상기 상단통과부에 위치되어 서로 탈착가능한 제 2 착탈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착탈부는 상기 인형 본체 후면에 구비된 상기 벨트통과부를 세로방향으로 개폐가능한 지퍼이고, 상기 제 2 착탈부는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A DOLL ATTACHABLE A SEAT BELT}
본 고안은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에 관한 것으로서, 어린이가 차량 좌석에 앉았을 때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갖지않으면서도 안전하게 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좌석에 앉은 탑승자를 교통사고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안전벨트가 사용된다. 그런데 안전벨트는 통상 성인 남녀의 평균적인 키, 체중을 고려한 사이즈에 기반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어린이가 안전벨트를 착용할 경우에는 안정적인 상태로 결합되지 않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이는 안전벨트를 답답하다고 느껴서 거부감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안전벨트에 대해 어린이로 하여금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거나 어린이가 거부감을 덜 갖도록 하기 위하여 장난감으로 사용되는 인형을 안전벨트에 결합가능하도록 제작된 고안을 발견할 수 있다.
그 중 하나로, 실용신안 문헌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10356호는, 인형의 배부분의 방향향으로 일정한 길이의 부착띠가 설치되고, 각 부착띠의 자유단에는 똑딱 단추나 매직테이프가 설치되어 서로 부착 및 이탈기 가능하도록 구성된 인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실용신안 문헌에 의하면 인형에 부착띠를 구비하여야 하며 부착띠의 양 단에 추가적으로 단추나 접착식 테이프를 구비하는 것이어서 안전벨트와의 결속 정도가 약할 수 있으며 외관상 깔끔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인형을 사용함에 따라 부착띠 및 이에 구비된 단추나 접착식 테이프가 마모되어 안전벨트와 인형 간의 결속력은 더 떨어진다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의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에 대한 또다른 예시가 도 1에 도시된다. 종래의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은 인형 후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 1 착탈부(1a)와 제 2 착탈부(1b)를 구비하여, 제 1 착탈부(1a)와 제 2 착탈부(1b)가 안전벨트를 이루는 웨빙(webbing) 중 오직 하나의 웨빙만이 통과가능한 형태로 마련된다.
그러나, 안전벨트는 좌석에 탑승한 사람을 기준으로, 좌측이나 우측의 상단에서부터 (좌측이나 우측의) 반대편의 하단에 이르기까지 사람의 인체(특히, 흉부)를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제 1 웨빙과 좌측이나 우측 하단으로부터 반대편 하단에 이르도록 사람의 복부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 2 웨빙으로 이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인형은 안전벨트의 이중 웨빙 중 제 1 웨빙에만 결합되기 때문에 안전벨트와 인형의 결속 정도가 불안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인형은 안전벨트의 웨빙 중 단지 하나의 웨빙만이 인형과 결합되는데, 제 1 웨빙이 인형을 통과하는 경우에 성인보다 체형이 작은 어린이들은 안전벨트의 제 1 웨빙 일부가 목에 닿게 됨으로써 안전벨트 착용 효과도 떨어지고 안전벨트가 목에 닿아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인형은 제 1 착탈부(1a)와 제 2 착탈부(1b)가 인형 후면의 일 직선 상에 동일한 착탈 수단(예컨대, 벨크로)으로만 구비되기 때문에, 인형을 사용함에 따라 착탈력이 약해질 수 있어, 어린이가 안전벨트에 실제 사용시 쉽게 떼어낼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10356호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은, 어린이가 차량 좌석에 앉았을 때 안전벨트를 보다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는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을 제공하는 동시에 안전벨트와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인형 자체에 일체화된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은 안전벨트의 두 개의 웨빙이 모두 통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린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으며, 어린이가 안전벨트를 착용하였을 때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은, 인형 본체의 후면에 안전벨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벨트통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통과부는, 안전벨트의 웨빙이 통과되는 상단통과부의 폭이 하단통과부의 폭보다 넓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안전벨트의 웨빙 모두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벨트통과부는, (i) 상기 하단통과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시작되어 상기 상단통과부에 이르는 제 1 착탈부; 및 (ii) 상기 상단통과부에 위치되어 서로 탈착가능한 제 2 착탈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착탈부는 상기 인형 본체 후면에 구비된 상기 벨트통과부를 세로방향으로 개폐가능한 지퍼이고, 상기 제 2 착탈부는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은, 상기 벨트통과부의 내측 최상단, 또는 최상단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제 3 착탈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은, 인형 본체의 전면에 상기 인형 본체의 전면에 삽입구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삽입구가 투명한 경우에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삽입할 수 있으며 불투명한 경우에는 여러가지 작은 크기의 물건을 휴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은 상기 벨트통과부와 인형 본체의 후면 사이 공간에 안전벨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통과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고정통과수단은 벨크로에 의해서 착탈가능할 수 있다.
안전벨트의 두 개의 웨빙 모두가 본 고안에 의한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을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어린이가 친숙함을 가질 수 있는 인형과 안전벨트를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뿐 아니라 종래의 인형에 비해 어린이가 안정적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행 동안 어린이가 안전벨트 착용에 대해 거부감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의한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은 종래의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에 비해 외관상 깔끔한 형태로 설계되면서도 안전벨트와의 결속 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을 실제 어린이가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이 본 고안의 예시적인 양상들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특징으로부터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특정 구조, 기능 등은 단지 예시적인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설명에 기반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양상이 임의의 다른 양상들과 관계없이 구현될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일 예, 하나의 경우, 또는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며, "예시적인" 양상이 다른 양상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제한되어 해석될 필요가 없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구비하다" 또는 "포함하다"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이들 특징, 구성요소 및 이들의 조합의 존재나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특정되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한다고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라면, 본 명세서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단수의 표현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의 측면도이다. 인형 본체는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쿠션, 방석과 같은 외형을 가지면서 어린이가 친근감을 갖도록 선호되는 다양한 동물이나 애니메이션 컨텐츠의 다양한 주인공의 캐릭터로 설계될 수 있다. 또, 인형 본체는 어린이에게 위생적으로 안전한 소재라면 소재에 제한되지 않고 제작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인형의 외피는 면, 합성 섬유, 가죽, 합성 수지 등일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공기나 솜, 털, 고무 및 이들을 포함하는 합성소재 등의 충전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인형 본체의 외피 및 내부 소재는 나열된 것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으로 나열된 것임에 유의한다.
도 2에 도시된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10)은, 그 후면에 안전벨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벨트통과부(20)를 구비하고, 전면에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수용부(30)를 구비할 수 있다. 벨트통과부(20)와 관련하여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10)의 후면도를 도시한 도 3을 참조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한편, 수용부(30)라 함은, 인형의 외피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형 외피와는 상이한 소재로 제작되어 수용부(30)를 강조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30)는 어린이가 선호하는 작은 악세서리나 캐릭터 완구를 담을 수 있는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수용부(30)의 외곽을 제외한 중앙부의 대부분이 투명하거나 중앙부는 별도의 소재가 없이 수용부(30)의 외곽 틀만을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30)가 외곽 틀만을 구비하고 중앙부가 뚫린 상태로 제작되는 경우에, 인형 본체 전면의 수용부(30)에는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수용부(30)의 내부에 고정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라 함은, 예컨대, 작은 크기의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패드형 PC, 스마트폰 등과 같이, 수용부(30)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전자적 디스플레이 출력 수단을 갖는 전자 기기로서 그 내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단말을 총괄적으로 지칭할 수 있다. 이처럼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를 인형 본체 전면에 구비된 수용부(30)에 삽입한다면, 어린이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을 안전벨트와 결속시킨 상태에서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감상하고 이를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차량 운행에 대해 지루함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10)의 후면을 도시하고 있는 도 3을 참조로 설명된다. 도 3의 인형 본체(10)의 후면 중앙부에 벨트통과부(20)를 구비한다.
벨트통과부(20)는 제 1 착탈부(21)과 제 2 착탈부(22a, 22b)로 이루어지는데, 제 1 착탈부(21)은 벨트통과부(20)의 최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시작되어 최상단까지 마련됨으로써 벨트통과부(20) 전체를 세로방향으로 개폐가능할 수 있다. 또한, 벨트통과부(20)의 최상단에 마련된 제 2 착탈부(22a, 22b)는 제 1 착탈부(21)를 보완하기 위하여 벨트통과부(20) 최상단의 양 측에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벨크로 소재일 수 있다. 다시말해, 제 2 착탈부 중 어느 하나(22a)는 암형 벨크로일 수 있으며, 제 2 착탈부의 다른 하나(22b)는 숫형 벨크로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 2 착탈부(22a, 22b)는 벨트통과부 상단 부분에 왼쪽 통과부와 오른쪽 통과부에 각각 구비된다면 암형 또는 숫형 벨크로는 서로 교환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착탈부(21)와 제 2 착탈부(22a, 22b)를 구비하는 벨트통과부(20)는 그 상단 통과부분보다 하단 통과부분이 넓게 마련됨으로써 안전벨트를 이루는 두 줄의 웨빙(즉, 이중 웨빙) 모두가 통과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통과부(20)는 안전벨트의 웨빙이 통과하기 위한 상단통과부(25)와 하단통과부(26)를 구비하는데, 상단통과부(25)는 하단통과부(26)보다 그 폭이 더 넓게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트통과부(20)에서 상단통과부(25)의 폭은 하단통과부(26)의 폭의 대략 2배 내외일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10)은 위와 같이 벨트통과부(20)를 설계함으로써, 안전벨트를 구성하는 두 줄의 웨빙이 (안전벨트 웨빙버클로써) 상단통과부(25)로 모두 인입되고 두 줄의 웨빙은 하단통과부(26)로 나오게 되어, 안전벨트의 이중 웨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10)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10)은 벨트통과부(20)의 내부에 제 3 착탈부(23, 24a, 24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인형 본체의 후면을 도시하여 벨트통과부(20)가 개방된 형태를 도시하여 제 3 착탈부 중 도면부호 23만이 관찰가능하나, 벨트통과부의 왼쪽과 오른쪽 부분(즉, 제 1 착탈부(21)에 의하여 개폐가능한 양쪽 부분)의 안쪽을 뒤집으면, 제 3 착탈부 중 도면부호 24a, 24b가 관찰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착탈부(23, 24a, 24b)는 벨크로 소재일 수 있는데, 예컨대, 도면부호 23이 암형 벨크로라면, 이와 탈부착이 가능한 도면부호 24a 및 24b는 숫형 벨크로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 3 착탈부(23, 24a, 24b)는 벨트통과부 상단의 일부로서 표시되었지만, 상단 전반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 3 착탈부(23, 24a, 24b)는, 안전벨트가 벨트통과부(20)를 통과할 경우에 제 1 착탈부(21)와 제 2 착탈부(22a, 22b)를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비록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벨트통과부(20)의 하단부(예컨대, 제 1 착탈부(21)의 일 종점을 이루는 지점)로부터 안전벨트의 웨빙을 견고히 지지하기 위한 고정통과수단이 구비될 수도 있다. 고정통과수단은 단추나 스냅단추, 후크, 지퍼, 메크로 등의 수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고정통과수단은 한 개일 수도 있으며 한 개 이상으로 제작될 수 있어 본 고안에 따른 인형을 안전벨트와 더욱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어린이가 차량 좌석(1)에 착석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10)을 결속한 형태를 도시하여, 본 고안의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10)을 실제 어린이가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통상적으로 차량용 안전벨트는 탑승자의 좌측이나 우측의 상단에서부터 (좌측이나 우측의) 반대편의 하단에 이르기까지 탑승자의 인체(특히, 흉부)를 대각선으로 가로지르는 제 1 웨빙(11)과 좌측이나 우측 하단으로부터 반대편 하단에 이르도록 사람의 복부를 수평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 2 웨빙(12)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10)에 구비된 벨트통과부(도 3의 20)는, 제 1 웨빙(11)과 제 2 웨빙(12) 모두를 벨트통과부의 상단통과부에서 수용(즉, 제 1 웨빙(11)과 제 2 웨빙(12)가 상단통과부로 인입됨)하여 벨트통과부의 하단통과부에서 외부로 나와, 차량시트의 안전벨트 체결부에 결속될 수 있다. 이렇게, 안전벨트를 이루는 두 선의 웨빙(즉, 제 1 웨빙(11)과 제 2 웨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10)을 통과하게 되면, 제 1 착탈부과 제 2 착탈부가 지지하는 힘에 의해 제 1 웨빙(11)은 자연스럽게 아랫부분으로 치우치게 되고 이에 따라 어린이의 목에 직접적으로 제 1 웨빙(11)이 닿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 및 원리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에 의하면, 종래의 인형에 비해 어린이가 안정적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운행 동안 어린이가 안전벨트 착용에 대해 거부감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10)에 구비된 벨트통과부는 제 1 웨빙(11)이나 제 2 웨빙(12) 중 어느 하나만을 수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나,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10)이 종래의 인형과 차별화된 속성을 강조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웨빙 모두가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10)을 통과하는 양상을 집중적으로 설명하였음에 유의한다.
궁극적으로, 차량 좌석에 착석한 어린이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10)을 통해 차량 운행시 안정적인 승차감을 느낄 수 있으며, 어린이가 선호하는 동물이나 캐릭터 형태로 제작된 인형을 통해 안전벨트에 대해 장시간 동안 거부감을 갖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형(10)의 전면에 마련된 수용부(30)는 도 2에서 설명한 것처럼, 어린이가 선호하는 작은 악세서리나 캐릭터 완구를 담을 수 있는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수용부(30)의 외곽을 제외한 중앙부의 대부분이 투명하거나 중앙부는 별도의 소재가 없이 수용부(30)의 외곽 틀만을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30)와 관련하여, 일 실시예로서,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를 수용부(30)에 삽입하는 경우에, 어린이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감상할 수도 있고, 휴대용 사용자 단말기 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즐길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 양상 및/또는 실시태양은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이용하거나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경, 변형이나 수정이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는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라면 다른 실시예, 양상 및/또는 실시태양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과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예, 양상 및/또는 실시태양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권리범위로부터 일관되게 최광의의 범위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좌석 10: 안전벨트
10: 인형 본체 20: 벨트통과부
21: 제 1 착탈부
22a, 22b: 제 2 착탈부
23, 24a, 24b: 제 3 착탈부
25: 상단통과부 26: 하단통과부
30: 수용부

Claims (3)

  1. 안전벨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벨트통과부를 인형 본체의 후면 중앙에 구비하는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으로서,
    상기 벨트통과부는, 안전벨트의 웨빙이 통과되는 상단통과부의 폭이 하단통과부의 폭보다 넓게 마련되고,
    상기 벨트통과부는, (i) 상기 하단통과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시작되어 상기 상단통과부에 이르는 제 1 착탈부; 및 (ii) 상기 상단통과부에 위치되어 서로 탈착가능한 제 2 착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착탈부는 상기 인형 본체 후면에 구비된 상기 벨트통과부를 세로방향으로 개폐가능한 지퍼이고, 상기 제 2 착탈부는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통과부의 내측 최상단, 또는 최상단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제 3 착탈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은, 상기 인형 본체의 전면에 삽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
KR2020140004065U 2014-05-28 2014-05-28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 KR201500043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065U KR20150004371U (ko) 2014-05-28 2014-05-28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065U KR20150004371U (ko) 2014-05-28 2014-05-28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371U true KR20150004371U (ko) 2015-12-08

Family

ID=5502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065U KR20150004371U (ko) 2014-05-28 2014-05-28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37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1160A1 (en) * 2016-05-17 2017-11-23 Unger Natalie Beth Methods and systems for ornamenting safety sea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1160A1 (en) * 2016-05-17 2017-11-23 Unger Natalie Beth Methods and systems for ornamenting safety sea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2983B (zh) 幼兒背負裝置
US8770663B2 (en) Combination shopping cart and high chair cover with plush character
US7490909B1 (en) Reversible head rest for vehicle infant seats
TWI477244B (zh) 袋子
US5638561A (en) Combination infant blanket and toy with convertible bag
US20190142154A1 (en) Travel tray
KR200482010Y1 (ko) 멀티 백 겸용 아기띠
KR20150004371U (ko) 안전벨트 결합형 인형
RU2670055C1 (ru)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коврик для содействия глубокому сну ребенка
KR101318405B1 (ko) 유아용 가방을 겸한 의자 안전시트
US11491407B2 (en) Wearable device for storing and using a portable gaming system
JP3725610B2 (ja) ウエストバッグ兼用ベビーホルダー
KR20110130107A (ko) 캐릭터 교체가 가능한 가방구조
CN214801507U (zh) 一种宠物包
KR101900159B1 (ko) 컨버터블 카시트
KR101581109B1 (ko) 유아용 캐리어의 힙 시트
JP5495400B2 (ja) ベビーシューズホルダー
GB2366716A (en) Baby carrier for wearing by a mother
JP4591999B2 (ja) 乳幼児の保護具
JP3070229U (ja) チャイルドシ―ト等への装着具
KR101883115B1 (ko) 카시트 변형이 가능한 의류
CN209750603U (zh) 一种通用防踢被
CN117699232A (zh) 带有集成玩具的包袋
JP4871568B2 (ja) 背負い鞄の肩ベルト取付環用カバー及びそれを備えた背負い鞄用背当てパッド
JP3136266B2 (ja) ベビーホルダー兼用ウエスト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