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274Y1 - 아기띠 - Google Patents

아기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74Y1
KR200489274Y1 KR2020170003478U KR20170003478U KR200489274Y1 KR 200489274 Y1 KR200489274 Y1 KR 200489274Y1 KR 2020170003478 U KR2020170003478 U KR 2020170003478U KR 20170003478 U KR20170003478 U KR 20170003478U KR 200489274 Y1 KR200489274 Y1 KR 200489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strap
coupling means
right shoulder
engaging means
wais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120U (ko
Inventor
한슬기
고은석
Original Assignee
한슬기
고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슬기, 고은석 filed Critical 한슬기
Priority to KR2020170003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274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1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10Children's chairs capable of being suspended from, or attached to, tables or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원은 아기띠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로 분리 가능하고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좌측 어깨끈 및 우측 어깨끈, 및 상기 하부 덮개에 결합되는 허리 벨트를 포함하는 것인 아기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아기띠{BABY CARRIER}
본원은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유아를 동반하여 외출 시 유아용 의자가 구비되지 않은 곳을 가면 유아 스스로 장시간 앉아 있기 어려운 상황 또는 유아가 일반 성인 의자에 앉을 때 위험하거나 유아가 불편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부모는 유아를 동반한 이동 시 유아를 지지하여 운반하기 위한 아기띠 또는 힙시트와는 별도로, 유아나 아기를 안전하게 앉힐 수 있는 보조 수단을 가지고 다니게 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보조 수단은 범보 의자, 스너그, 부스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조 수단은 아기를 안정감 있게 지지하여 앉힐 수 있으나, 부피가 커서 휴대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대다수 부모가 외출 시 이동을 위한 아기띠 또는 힙시트, 아기 용품 가방을 소지하는데, 이외에 보조 수단을 가지고 다니는 것은 부모에게는 번거로우며, 외출 시 소지품의 부피가 커져 이동시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의자의 형태 및 규격이 정해져 있는 의자(예를 들어, 비행기 좌석)에는 범보 의자, 스너그와 같은 보조 수단을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더욱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9307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기띠 또는 힙시트와 별개로 아기의 안정적 착석을 위한 보조수단을 가지고 다닐 필요 없이, 아기띠와 휴대용 부스터로 변형 및 사용이 가능한 아기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는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로 분리 가능하고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좌측 어깨끈 및 우측 어깨끈, 및 상기 하부 덮개에 결합되는 허리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덮개와 상기 허리 벨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분리되어, 상기 하부 덮개가 사용자의 배 또는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여 부스터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좌측 어깨끈은 제1좌측 어깨끈 및 제2좌측 어깨끈으로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제1좌측 어깨끈의 일단에 연결된 제1 결합수단과 상기 제2좌측 어깨끈의 일단에 연결된 제2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상기 제2 결합수단은 상호 결합 가능하고, 상기 우측 어깨끈은 제1우측 어깨끈 및 제2우측 어깨끈으로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제1우측 어깨끈의 일단에 연결된 제3 결합수단과 상기 제2우측 어깨끈의 일단에 연결된 제3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수단과 상기 제4 결합수단은 상호 결합 가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좌측 어깨끈의 타단 및 상기 제1우측 어깨끈의 타단은 상기 상부 덮개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좌측 어깨끈의 타단 및 상기 제2우측 어깨끈의 타단은 상기 하부 덮개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허리 벨트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일단과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체결 가능한 제5 결합수단 및 제6 결합수단, 및 상기 패드부의 일단과 타단의 면에 형성되어 상호 체결 가능한 보조 결합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결합수단과 상기 제5 결합수단이 체결되고, 상기 제4 결합수단과 상기 제6 결합수단이 각각 체결되어 사용자의 다리 삽입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허리 벨트는, 상기 패드부에 형성되는 제7 결합수단 및 제8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수단과 상기 제7 결합수단이 체결되고, 상기 제4 결합수단과 상기 제8 결합수단이 각각 체결되어 사용자의 다리 삽입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덮개 및 상기 허리 벨트의 내측의 외곽 둘레를 따라 쿠션부가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덮개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체결 가능한 제9 결합수단 및 제10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기띠가 부스터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9 결합수단 및 상기 제10 결합수단은 상호 체결되어 상기 하부 덮개를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하부 덮개와 허리 벨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부가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로 분리되어, 하부 덮개가 아기의 배 또는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부스터로 사용될 수 있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아기를 안전하게 앉힐 수 있고, 부스터 등의 보조 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보호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가 분리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가 부스터로 사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가 부스터로 사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하부 덮개 및 허리 벨트의 내측의 외곽 둘레를 따라 쿠션부가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좌측, 우측, 내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채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을 보았을 때, 3시 방향이 좌측, 9시 방향이 우측일 수 있고, 바라보는 방향이 외측이고, 그 반대 방향이 내측일 수 있다.
본원은 아기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로 분리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결합수단과 제5 결합수단이 체결되고, 제4 결합수단과 제6 결합수단이 각각 체결되어 부스터로 사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결합수단과 제7 결합수단이 체결되고, 제4 결합수단과 제8 결합수단이 각각 체결되어 부스터로 사용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하부 덮개 및 허리 벨트의 내측의 외곽 둘레를 따라 쿠션부가 배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이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기띠(1)는 본체부(100), 좌측 어깨끈(200), 우측 어깨끈(300) 및 허리벨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00)는 상부 덮개(110)와 하부 덮개(120)로 분리 가능하고, 결합수단(130)에 의해 상부 덮개(110)와 하부 덮개(12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수단(130)은 지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상부 덮개(110)와 하부 덮개(120)가 분리 가능한 단추나 버클, 벨크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덮개(110) 및 하부 덮개(120)를 포함하는 본체부(100)는 사용자가 아기띠(1)를 착용하였을 때 아기의 등 또는 배의 대부분의 영역을 커버하는 메인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보호자와 아기와의 밀착감이 좋은 오가닉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0)의 내측(아기의 등 또는 배와 접촉하는 아기띠(1)의 면)은 아기띠의 형태유지 및 통풍성을 위해 3D 에어 메쉬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좌측 어깨끈(200) 및 우측 어깨끈(300)은 본체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좌측 어깨끈(200)은 제1좌측 어깨끈(210) 및 제2좌측 어깨끈(220)으로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좌측 어깨끈(220)은 제1좌측 어깨끈(210)의 일단에 연결된 제1 결합 수단(211)과 제2좌측 어깨끈(220)의 일단에 연결된 제2 결합수단(221)을 포함하고, 제1 결합수단(211)과 제2 결합수단(221)은 상호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우측 어깨끈(300)은 제1우측 어깨끈(310) 및 제2우측 어깨끈(320)으로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우측 어깨끈(300)은 제1우측 어깨끈(310)의 일단에 연결된 제3 결합수단(311)과 제2우측 어깨끈(320)의 일단에 연결된 제4 결합수단(321)을 포함하고, 제3 결합수단(311)과 제4 결합수단(321)은 상호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제1좌측 어깨끈(210)과 제1우측 어깨끈(310)은 상부 덮개(110)와 하부 덮개(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아기띠(1)가 아기띠로 사용될 때 보호자의 어깨에 걸쳐져 보호자의 어깨에 직접 닿는 부분으로 각가 제2좌측 어깨끈(220)과 제2우측 어깨끈(320)의 폭보다 넓게 구비될 수 있다. 제1좌측 어깨끈(210)과 제1우측 어깨끈(310) 내측은 보호자에게 아기의 무게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쿠션감 있는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수단(211), 제2 결합수단(221), 제3 결합수단(311), 및 제4 결합수단(321)은 버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결합수단(221)과 제3 결합수단(311)은 수버클 부재이고, 제1 결합수단(211)과 제4 결합수단(321)은 암버클 부재이고, 암버클 부재와 수버클 부재가 상호 체결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결합수단(211)과 제2 결합수단(221), 제3 결합수단(311)과 제4 결합수단(321)이 상호체결 가능한 부재로 채택할 수 있다.
제1좌측 어깨끈(210)의 타단 및 제1우측 어?끈(310)의 타단은 상부 덮개(110)로부터 연장되고, 제2좌측 어깨끈(220)의 타단 및 제2우측 어깨끈(320)의 타단은 하부 덮개(12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타단은 결합 수단이 연결되지 않은 어깨끈의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본체부(100)가 상부 덮개(110)와 하부 덮개(120)로 분리될 때, 좌측 어깨끈(200)은 제1좌측 어깨끈(210)과 제2좌측 어깨끈(220)으로 분리되고, 우측 어깨끈(300)은 제1우측 어깨끈(310)과 제2우측 어깨끈(320)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부 덮개(110)로부터 제1좌측 어깨끈(210)과 제1우측 어깨끈(310)이 결합 또는 연장될 수 있고, 하부 덮개(110)로부터 제2좌측 어깨끈(220)과 제2우측 어깨끈(320)이 결합 또는 연장될 수 있다.
제2좌측 어깨끈(220) 및 제2우측 어깨끈(3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유아)의 다리 둘레와 접하는 영역이므로, 그 길이가 사용자의 다리 둘레의 길이에 비례하여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아기띠(1)가 부스터로서 사용될 때 제2좌측 어깨끈(220) 및 제2우측 어깨끈(320)의 여유 길이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좌측 어깨끈(210)과 제2좌측 어깨끈(220)이 분리되는 지점 및 제2우측 어깨끈(310)과 제2우측 어깨끈(320)이 분리되는 지점(즉, 제1 결합수단(211), 제2 결합수단(221), 제3 결합수단(311), 및 제4 결합수단(321)의 결합 지점) 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좌측 어깨끈(210)과 제2우측 어깨끈(310)의 길이는 제2좌측 어깨끈(220)과 제2우측 어깨끈(320)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다.
허리 벨트(400)는 하부 덮개(12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허리 벨트(400)와 하부 덮개(120)는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고, 다른 예를 들어, 허리 벨트(400)와 하부 덮개(120)는 지퍼, 단추, 버클 등과 같은 결합 수단에 의해 탈부착 가능할 수도 있다.
허리 벨트(400)는 패드부(410)를 포함할 수 있고, 패드부(410)의 일단과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체결 가능한 제5 결합수단(420) 및 제6 결합수단(430)을 포함할 수 있다. 허리 벨트(400)는 패드부(410)의 일단과 타단의 면에 형성되어 상호 체결 가능한 보조 결합수단(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결합수단(440)은 패드부(410)의 일단의 면과 타단의 면이 탈부착 되는 벨크로(Velcro)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제5 결합수단(420) 및 제6 결합수단(430)은 버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5 결합수단(420)은 암버클 부재이고, 제6 결합수단(430)은 수버클 부재이고, 암버클 부재와 수버클 부재가 상호 체결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5 결합수단(420)과 제6 결합수단(430)이 상호체결 가능한 부재로 채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덮개(110)와 하부 덮개(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좌측 어깨끈(200)과 우측 어깨끈(300)이 보호자의 어깨에 걸쳐지고 허리벨트(400)가 보호자의 허리에 결합되어 아기띠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덮개(120)와 허리 벨트(4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덮개(110)와 하부 덮개(120)가 분리되고, 하부 덮개(120)가 사용자(예를 들어, 아기)의 배 또는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여 부스터로 사용될 수 있다. 상부 덮개(110)와 하부 덮개(120)로 분리된 하부 덮개(120)는 허리 벨트(400)와 결합된 상태에서 부스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아기띠(1)가 부스터로 사용되기 위해 상부 덮개(110)와 하부 덮개(1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2 결합수단(221)과 제5 결합수단(420)이 체결되고, 제4 결합수단(321)과 제6 결합수단(430)이 각각 체결되어 사용자의 다리 삽입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덮개(120)와 허리 벨트(400)가 부스터로 사용될 때, 보조 결합수단(440)을 사용자의 의자(예를 들어, 일반 의자, 비행기 좌석, 기차 좌석 등)에 결합시켜 사용자를 의자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수단(221)과 제5 결합수단(420)이 체결되고, 제4 결합수단(321)과 제6 결합수단(430)이 각각 체결되어 다리 삽입용 공간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결합수단(221)은 제1결합수단(211) 및 제5결합수단(420)과 체결 가능한 대응하는 버클을 포함하고, 제4결합수단(321)은 제3결합수단(311) 및 제6결합수단(430)과 체결 가능한 대응하는 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허리 벨트(400)는 패드부(410)로부터 연장되는 제7 결합수단(450) 및 제8 결합수단(460)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기띠(1)가 부스터로 사용되기 위해 상부 덮개(110)와 하부 덮개(1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2 결합수단(221)과 제7 결합수단(450)이 체결되고, 제4 결합수단(321)과 제8 결합수단(460)이 각각 체결되어 사용자의 다리 삽입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덮개(120)와 허리 벨트(400)가 부스터로 사용될 때, 패드부(410)의 보조 결합수단(440)과 제5 결합수단(420) 및 제6 결합수단(430)을 사용자의 의자 등에 결합시켜 사용자를 의자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수단(221)과 제7 결합수단(450)이 체결되고, 제4 결합수단(321)과 제8 결합수단(460)이 각각 체결되어 다리 삽입용 공간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다. 부스터로 사용될 때, 제5 결합수단(420) 및 제6 결합수단(430) 이외에 제2결합수단(221) 및 제4결합수단(321)과 결합하여 사용자의 다리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7결합수단(450) 및 제8결합수단(460)을 더 포함함으로써, 보조 결합수단(440)과 제5 결합수단(420) 및 제6 결합수단(430)을 이용하여 부스터를 의자에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7 결합수단(450), 및 제8 결합수단(460)은 버클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7 결합수단(450)은 암버클 부재이고, 제8 결합수단(460)은 수버클 부재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및 4와는 달리, 허리 벨트(400)의 패드부(410)가 상측으로 배치되고 하부 덮개(120)의 결합수단(130)이 하측으로 배치되도록 하여,(즉, 도 3 및 4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하 전도) 허리 벨트(400)가 사용자의 배 또는 등을 지지하고 쿠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아기띠(1)가 부스터로 사용되는 경우 허리 벨트(400)의 보조 결합수단(440)은 의자 등에 체결되어 패드부(4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덮개(120) 및 허리 벨트(400)의 내측의 외곽 둘레를 따라 쿠션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쿠션부(500)는 하부 덮개(120) 및 허리 벨트(400)의 내측의 외곽 둘레 표면에 위치하거나 그 내부에 매장되어 위치할 수 있다. 하부 덮개(120) 및 허리 벨트(400)의 내측의 외곽 둘레를 따라 쿠션부(500)가 배치되면 아기띠(1)가 부스터로서 사용될 때 형상 유지가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부(500)의 높이는 하부 덮개(12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아기띠(1)가 부스터로서 사용될 때 사용자(유아)의 등 또는 배가 양측 쿠션부(500)가 가이드하는 공간 내에 위치하여 보다 안정감 있게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쿠션부(500)는 사용자의 등 또는 배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결합수단(221)과 제5 결합수단(420)이 체결되고, 제4 결합수단(321)과 제6 결합수단(430)이 각각 체결되어 다리 삽입용 공간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가 다리 삽입용 공간에 삽입되면, 쿠션부(500)는 사용자(유아)의 허벅지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사용자(유아)의 허벅지부의 피부가 하부 덮개(120) 및 허리 벨트(400)에 마찰되어 상처가 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쿠션부(500)는 일정한 쿠션감이 주어지도록 하는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기띠(1)는 하부 덮개(120)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체결 가능한 제9 결합수단(121) 및 제10 결합수단(1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9결합수단(121) 및 제10결합수단(122)은 하부 덮개(120)의 측면에서 제2좌측 어깨끈(220) 및 제2우측 어깨끈(320)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기띠(1)가 부스터로 사용되는 경우 제9 결합수단(121) 및 제10 결합수단(122)은 상호 체결되어 하부 덮개(120)를 지지할 수 있다. 휴대용 부스터로 사용될 때, 제9 결합수단(121) 및 제10 결합수단(122)이 사용자의 의자 등에 결합되어, 하부 덮개(120)가 사용자의 가슴부분을 견고하게 지지해 사용자가 앞으로 쏠릴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9 결합수단(121) 및 제10 결합수단(122)은 아기띠로 사용될 때, 사용자의 등 뒤에서 결합되어 보호자가 아기를 안정적으로 아기를 안을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9 결합수단(121) 및 제10 결합수단(122)은 버클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9 결합수단(121)은 암버클 부재이고, 제10 결합수단(122)은 수버클 부재이며 상호 체결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9 결합수단(121)과 제10 결합수단(122)이 상호체결 가능한 부재로 채택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아기띠
100: 본체부
110: 상부 덮개
120: 하부 덮개
121: 제9 결합수단
122: 제10 결합수단
130: 결합수단
200: 좌측 어깨끈
210: 제1좌측 어깨끈
211: 제1 결합수단
220: 제2좌측 어깨끈
221: 제2 결합수단
300: 우측 어깨끈
310: 제1우측 어깨끈
311: 제3 결합수단
320: 제2우측 어깨끈
321: 제4 결합수단
400: 허리벨트
410: 패드부
420: 제5 결합수단
430: 제6 결합수단
440: 보조 결합수단
450: 제7 결합수단
460: 제8 결합수단
500: 쿠션부

Claims (9)

  1. 아기띠로서,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로 분리 가능하고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결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좌측 어깨끈 및 우측 어깨끈; 및
    상기 하부 덮개에 결합되는 허리 벨트,
    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덮개와 상기 허리 벨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가 분리되어, 상기 하부 덮개가 사용자의 배 또는 등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여 부스터로 사용되고,
    상기 좌측 어깨끈은 제1좌측 어깨끈 및 제2좌측 어깨끈으로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제1좌측 어깨끈의 일단에 연결된 제1 결합수단과 상기 제2좌측 어깨끈의 일단에 연결된 제2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수단과 상기 제2 결합수단은 상호 결합 가능하고,
    상기 우측 어깨끈은 제1우측 어깨끈 및 제2우측 어깨끈으로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제1우측 어깨끈의 일단에 연결된 제3결합 수단과 상기 제2우측 어깨끈의 일단에 연결된 제4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3 결합수단과 상기 제4 결합수단은 상호 결합 가능하며,
    상기 허리 벨트는,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의 일단과 타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체결 가능한 제5 결합수단 및 제6 결합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수단과 상기 제5 결합수단이 체결되고, 상기 제4 결합수단과 상기 제6 결합수단이 각각 체결되어 사용자의 다리 삽입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인, 아기띠.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좌측 어깨끈의 타단 및 상기 제1우측 어깨끈의 타단은 상기 상부 덮개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좌측 어깨끈의 타단 및 상기 제2우측 어깨끈의 타단은 상기 하부 덮개로부터 연장되는 것인, 아기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벨트는,
    상기 패드부의 일단과 타단의 면에 형성되어 상호 체결 가능한 보조 결합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인, 아기띠.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벨트는,
    상기 패드부로부터 연장되는 제7 결합수단 및 제8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수단과 상기 제7 결합수단이 체결되고, 상기 제4 결합수단과 상기 제8 결합수단이 각각 체결되어 사용자의 다리 삽입용 공간을 형성하는 것인, 아기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 및 상기 허리 벨트의 내측의 외곽 둘레를 따라 쿠션부가 배치되는 것인, 아기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덮개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상호 체결 가능한 제9 결합수단 및 제10 결합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아기띠가 부스터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9 결합수단 및 상기 제10 결합수단은 상호 체결되어 상기 하부 덮개를 지지하는 것인, 아기띠.
KR2020170003478U 2017-07-05 2017-07-05 아기띠 KR200489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478U KR200489274Y1 (ko) 2017-07-05 2017-07-05 아기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478U KR200489274Y1 (ko) 2017-07-05 2017-07-05 아기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20U KR20190000120U (ko) 2019-01-15
KR200489274Y1 true KR200489274Y1 (ko) 2019-05-24

Family

ID=65012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478U KR200489274Y1 (ko) 2017-07-05 2017-07-05 아기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27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408B2 (ja) * 1998-12-21 2001-04-09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タックサイズ設定装置
KR101372608B1 (ko) * 2013-02-25 2014-03-11 신고은 어깨끈의 선택이 가능한 유아용 캐리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408U (ja) * 2009-07-30 2009-10-15 日本エイテックス株式会社 ベビーキャリア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4408B2 (ja) * 1998-12-21 2001-04-09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タックサイズ設定装置
KR101372608B1 (ko) * 2013-02-25 2014-03-11 신고은 어깨끈의 선택이 가능한 유아용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20U (ko)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1079A1 (en) Expandable seat infant carrier
US9949575B2 (en) Child carrier
US8701949B1 (en) Child carrier having adaptive leg supports
US8424732B1 (en) Child carrier having adaptive leg supports
US10045634B2 (en) Infant carrier with adjustable side panels and torso band
KR101929748B1 (ko) 조절 가능한 시트 커플링을 가지는 유아 캐리어
US9357852B2 (en) Infant carrier with expandable seat
KR200459539Y1 (ko) 히프시트 겸용 베이비 캐리어
US9038868B2 (en) Twin baby carrier
US20180206653A1 (en) Child carrier with base width adjustment rail
KR101829876B1 (ko) 유아용 캐리어
US20070138845A1 (en) Infant surround support
US20110101051A1 (en) Infant carrier with leg straps
CN111904214B (zh) 抱婴背带
GB2591911A (en) Baby and toddler carrier with detachable and adjustable waist belt
KR101922307B1 (ko) 영아용 속싸개
KR200489274Y1 (ko) 아기띠
JP6931638B2 (ja) ベビーキャリア
US20190116990A1 (en) Child carrier
KR20130034100A (ko) 유아용 가방을 겸한 의자 안전시트
KR102028090B1 (ko) 유아용 캐리어 및 유아용 캐리어 사용 방법
JP3725610B2 (ja) ウエストバッグ兼用ベビーホルダー
KR101581109B1 (ko) 유아용 캐리어의 힙 시트
TWM517571U (zh) 雙肩背嬰幼兒揹巾
KR20170051038A (ko) 유아용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