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080Y1 -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080Y1
KR200476080Y1 KR2020140006582U KR20140006582U KR200476080Y1 KR 200476080 Y1 KR200476080 Y1 KR 200476080Y1 KR 2020140006582 U KR2020140006582 U KR 2020140006582U KR 20140006582 U KR20140006582 U KR 20140006582U KR 200476080 Y1 KR200476080 Y1 KR 2004760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plate
housing
foot
elastic member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084U (ko
Inventor
강동윤
Original Assignee
강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윤 filed Critical 강동윤
Priority to KR2020140006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08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0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0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0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06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4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adapted for operation by a part of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hand, e.g. by fo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방이 개방되어 있고,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한 쌍의 측면부(112)에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축공(112a); 제1 축공(112a)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축(130); 회전축(130)에 축결합하는 제2 축공(121a)이 형성된 한 쌍의 회전 브라켓(121)이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용자가 발로서 누르는 발판(120);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170); 발판(120)에 장착되는 회전 홀더(152); 회전 홀더(152)에 구비되어서 이용자가 발판(120)을 눌러서 발판(120)이 하우징(110) 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170)의 누름버튼(170a)을 타격하는 타격편(150); 발판(12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압축되고 발판(120)에 작용되었던 외력이 제거된 경우 발판(120)에 탄성복원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의하면 부품수를 감소시켜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을 모듈화하여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하며 그리고 발판 누름 동작에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아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A PORTABLE FOOT PUSHING SWITCH ASSEMBLY FOR A ELECTRIC CHAIR}
본 고안은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의 발판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수를 현격하게 줄이고 조립공수를 감소시켜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제품을 모듈화하여 분리 및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며 그리고 발판 누름 동작에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아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용실, 피부미용실 또는 치과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의자는 필요에 따라 시트(seat)를 승강시킬 수 있고 또한 등받이나 다리받침의 각도를 변환시켜 두발 세척이나 치과 치료와 같은 작업이 착석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전동 의자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시트가 승강하는 전동 의자 중에는, 의자등받이가 젖혀지지 않고 다리받침대가 없거나 펴지지 않아서 단순히 시트만 승강할 수 있도록 고안된 의자도 있는데, 예를 들면 미용실이나 이용실에서 두발세척(샴푸)이나 메이컵, 두피관리 용도가 아닌 커트, 펌 등의 단순히 헤어 스타일링 작업을 수행할 때 주로 사용하는 의자이다.
이러한 시트가 승강하는 전동의자는 주로 발판 스위치를 이용하여 시트를 승강시키거나 의자등받이와 다리받침대를 펴거나 접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시트가 승하강하는 전동의자에 사용되는 발판 스위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18495호(명칭: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 의자)와 등록실용신안 제20-0177172호(명칭: 발판 스위치)가 알려져 있다.
위 등록실용신안 제20-0318495호에 의한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 의자와 등록실용신안 제20-0177172호에 의한 발판 스위치는 그 등록공보에 기술이 자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위의 선행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먼저, 등록실용신안 제20-0318495호에 의한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 의자의 경우에는 발판스위치로서 높이조절발판(11)이 있는데, 이 높이조절발판(11)은 상승발판과 하강발판이 따로 구분되어 있어서 상승과 하강 발판을 구분하여 눌러야 했으므로 사용상 불편하였을 뿐만 아니라 발판을 잘못누르는 경우가 있어서 오작동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20-0177172호에 의한 발판 스위치의 경우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을 작용해야만 스위칭되므로 전동 의자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시된 기술이 본원고안의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어서 등록된 등록실용신안 제20-0471602호(공고일: 2014.03.06.)에 의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위 등록실용신안 제20-0471602호에 의한 기술은 발판을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을 필요가 없이 누른 후에 바로 발판으로부터 발을 떼더라도 스위칭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동의자를 승강하는 발판과 하강하는 발판을 구별하지않고 하나의 발판만을 누르더라도 승강 및 하강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그런데, 위 등록실용신안 제20-0471602호에 의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를 본원고안의 출원인이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나타났다.
첫째, 동작봉, 누름부재, 부싱, 발판, 누름작동편, 가이드홀, 가이드편, 브라켓 등 부품수가 많아서 제품의 원가가 높아지고 그 결과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부품이 많아서 조립 공수가 늘어나므로 전체적으로 제품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이미용 전동의자에 내장형으로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제품의 AS가 있는 경우에는 발판스위치만을 분리하여 가져올 수가 없었고 제조자가 직접 현장으로 출동하여 AS를 하여야 했으므로 AS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발판부를 살짝 밟으면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고 다시 나오므로 오동작이 자주 발생하였고, 또한 이용자가 어느 정도의 힘으로 밟아야 하는지에 대하여 이용자마다 숙지하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이용자들에게 제품 만족도가 낮았다.
즉, 동작봉을 동작시켜서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를 누르는 설정이 어려웠는데, 너무 세게 누르면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가 깨지고 약하게 누르면 동작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리하여 이용자 중에 경험이 많지 않은 초보자에게는 발판스위치의 이용환경이 좋지 않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의 목적은,
먼저, 발판을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을 필요가 없이 발판을 누르고 떼더라도 스위칭 온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판 스위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전동의자를 상승시키는 발판 누름 동작과 하강시키는 발판 누름 동작을 구별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발판을 누른 후 떼기만 하면 전동의자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본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외에,
첫째,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부품수를 현격하게 줄이고 조립공수를 감소시켜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하여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둘째,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를 하우징 내에 구비하고 회전에 의해서 스위치를 타격하는 구성 자체를 발판으로 구현하고 발판을 하우징의 덮개 역할을 겸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품을 컴팩트하게 하나의 모듈화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이와 같이 제품을 컴팩트한 모듈화함으로써 이미용의자에 쉽고 편리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휴대 및 운반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하여 제품 AS시에 이미용의자 전체를 분해하여 설치 현장에서 AS할 필요가 없이 제품만을 분리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AS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AS에 대한 시간적 물적 비용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넷째, 발판을 밟으면 바로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를 타격하여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구성 채택에 의해서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의 동작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초보자를 비롯하여 누구나 쉽게 제품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방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직립된 한 쌍의 측면부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한 쌍의 측면부에 대향하여 관통형성된 한 쌍의 제1 축공; 상기 한 쌍의 제1 축공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하는 제2 축공이 형성된 한 쌍의 회전 브라켓이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브라켓이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하여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설치되며 이용자가 발로서 누르는 발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alternate push button swithch); 상기 발판에 하우징이 있는 방향인 하방으로 장착되는 회전 홀더; 상기 회전 홀더에 구비되어서 이용자가가 발판을 눌러서 발판이 하우징 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의 누름버튼에 누름작용을 하는 타격편;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탄지되고 타단이 상기 발판에 탄지되어 있으며 발판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압축되고 발판에 작용되었던 외력이 제거된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발판을 상방으로 밀어서 제자리로 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 회전 홀더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고, 타격편에는 나사공에 나사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조이고 풀어서 타격편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부재 설치편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은 상기 탄성부재 설치편에 탄지되어서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에 내삽되도록 상기 탄성부재 설치편에서 돌출 형성되어서 이용자가 상기 발판을 밟아서 발판이 하우징 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발판이 탄성부재 설치편과 부딪히는 충격을 완충하고 소음 발생을 예방하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완충부재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 발판이 복원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의 전방 상측변에 접촉하여서 발판의 복원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발판의 끝에서 전방으로 절곡 연장 형성된 스토핑 플레이트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발판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는 상기 발판의 내면에는 안착홈이 형성된 상부 안착부재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상단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서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인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발판을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을 필요가 없이 발판을 누르고 떼더라도 스위칭 온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판 스위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와, 그리고 전동의자를 상승시키는 발판 누름 동작과 하강시키는 발판 누름 동작을 구별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발판을 누른 후 떼기만 하면 전동의자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는 기본적으로 발현될 수 있는 효과임은 물론이고 그 외에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가 발생한다.
첫째,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부품수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고 조립공수를 감소시켜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를 하우징 내에 구비하고 회전에 의해서 스위치를 타격하는 구성 자체를 발판으로 구현하고 발판을 하우징의 덮개 역할을 겸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품을 컴팩트하게 하나의 모듈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와 같이 제품을 컴팩트한 모듈화함으로써 이미용의자에 쉽고 편리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고, 또한 휴대 및 운반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품 AS시에 이미용의자 전체를 분해하여 설치 현장에서 AS할 필요가 없이 제품만을 분리하여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AS를 할 수 있게 되어서 AS에 대한 시간적 물적 비용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발판을 밟으면 바로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를 타격하여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구성 채택에 의해서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의 동작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고, 그 결과 초보자를 비롯하여 누구나 쉽게 제품을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발판부를 누른 경우의 동작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에 있어서 발판(120)을 제거한 상태의 제품 사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의 제품의 주요부 분해 사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의 실제 제품을 위에서 본 사진이다.
다음은 본 고안인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100)는, 상방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부(111)와 상기 바닥부(111)로부터 상방으로 직립된 한 쌍의 측면부(112)로 구성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한 쌍의 측면부(112)에 각각 관통형성된 한 쌍의 제1 축공(112a)과, 상기 한 쌍의 제1 축공(112a)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축(130)과, 상기 제1 축공(112a)에 연통되어서 상기 회전축(130)에 축결합하는 제2 축공(121a)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회전 브라켓(121)이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브라켓(121)이 상기 회전축(130)에 축결합하여서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이용자가 발로서 누르는 발판(12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즉, 배면부(113)와 전면부(114)가 있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alternate push button swithch)(170)와, 상기 발판(120)에 하우징(110)이 있는 방향인 하방으로 장착되는 회전 홀더(152)와, 상기 회전 홀더(152)에 구비되어서 이용자가 발판(120)을 눌러서 발판(120)이 하우징(110) 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170)의 누름버튼(170a)을 타격하여 누름작용을 하는 타격편(150)과, 하단이 하우징(110)의 일측에 탄지되고 상단이 상기 발판(120)에 탄지되어 있으며, 발판(120)에 외력(이용자가 발로서 누르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압축되고 발판(120)에 작용되었던 외력이 제거된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발판(120)을 상방으로 밀어서 발판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120)은 하우징의 덮개 역할도 수행하게 되는데, 따라서 하우징(110)과 발판(120) 내에 모든 부품을 설치하여 제품을 컴팩트하게 모듈화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실시태양에 따라서는 후면부(113)와 전면부(114)가 더 포함될 수도 있고, 전면부(114)에는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170)에서 나오는 전선을 통과시키기위한 전선통과공(114a)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부(112)에는 하우징(110) 내부의 작업을 하기 위한 측면 작업홀(w1)이 형성되어서 내부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도면번호 (112a)는 측면부(112)의 후방 상측변(112a)이고, 도면번호 (112b)는 측면부(112)의 전방 상측변(112b)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상기 회전 홀더(152)에는 나사공(152a)이 형성되어 있고, 타격편(150)에는 나사공(152a)에 나사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타격편(150)을 조이고 풀어서 타격편(1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부재 설치편(142)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40)의 하단은 상기 탄성부재 설치편(142)에 탄지되어서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140)에 내삽되도록 상기 탄성부재 설치편(142)에서 돌출 형성되어서 이용자가 상기 발판(120)을 밟아서 발판(120)이 하우징 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발판(120)이 탄성부재 설치편(142)과 부딪히는 경우 그 충격을 완충하고 충격시 발생될 수 있는 소음 발생을 예방하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완충부재(146)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완충부재(146)에 의하면 이에 발판(120)을 밟고 떼는 동작을 반복하더라도 탄성부재(140)를 더 확실하게 이탈없이 설치할 수 있고, 충격 방지 소음 발생 예방 등의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146)는 고무, 연질합성수지, 우레탄수지, 스티로폼, 우레탄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완충부재(146)는 예컨대 체결나사(P1)와 체결너트(N1)에 의해서 탄성부재 설치편(142)에 설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상기 발판(120)에 작용되었던 외력이 제거되어서 상기 발판(120)이 복귀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부(112)의 전방 상측변(112b)에 접촉하여서 발판(120)의 복원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발판(120)의 끝에서 전방으로 절곡 연장 형성된 스토핑 플레이트(125)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상기 스토핑 플레이트(125)는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예컨대 제2 각도(β)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스토핑 플레이트(125)의 스토핑 동작이 더욱더 원활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상기 발판(120)은 설치되는 지면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발판(120)은 하방으로 갈수록 기울어지게 지면을 기준으로 제1 각도(α)를 이루면서 하향 경사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이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발판(120)을 밟을 때 발판을 밟는 작용이 쉽고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발판(120)과 스토핑 플레이트(125)는 전체적으로 회전 브라켓(121)을 중심으로 끝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는 대략 ∧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상기 발판(120)의 내면에는 안착홈(144a)이 형성된 상부 안착부재(14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40)의 상단은 상기 안착홈(144a)에 안착되어서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발판(120)을 밟고 떼는 동작을 반복하더라도 탄성부재(140)를 더 확실하게 이탈없이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바닥부(111)에 직립되고 설치공이 형성된 스위치 브라켓(16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170)는 상기 스위치 브라켓(160)에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 브라켓(160)은 바닥부(160a)와 바닥부(111)에서 수직 절곡되고 설치공이 형성된 설치부(160b)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w2)는 하우징 내의 작업을 하기 위한 상부 작업홀(w2)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100)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이용자가 발판(120)을 발로 누르면 발판(120)의 회전과 함께 타격편(150)이 회전하여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170)를 누르게 된다.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170)를 누르면 스위칭 온(switching on) 된다.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170)가 스위칭 온되면 예컨대 전동의자가 상승 동작을 수행한다.
타격편(150)이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170)를 타격 한 후에(즉 누른 후에) 이용자가 밟고 있던 발을 떼면,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서 발판(120)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상태로 되돌아 온다.
이후, 사용자가 발판(120)을 발로 다시 누르면, 전술한 동작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고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170)의 다른 단자가 스위칭 온(switching on)되어서 예컨대 전동의자가 하강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110 : 하우징 111 : 바닥부
112 : 측면부 112a : 제1 축공
112b : 측면부의 전방 상측변 112c : 측면부의 후방 상측변
113 : 후면부 114 : 전면부
114a : 전선통과공 w1 : 측면 작업홀
w2 : 상부 작업홀 120 : 발판
121 : 회전 브라켓 121a : 제2 축공
125 : 스토핑 프레이트 130 : 회전축
140 : 탄성부재 142 : 탄성부재 설치편
144 : 안착부재 144a : 안착홈
146 : 완충부재 P1 : 체결나사
N1 : 체결너트 150 : 타격편
152 : 회전 홀더 152a : 회전 홀더의 나사공
160 : 스위치 브라켓 160a : 스위치 브라켓의 바닥부
160b : 스위치 브라켓의 설치부 170 :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
170a : 누름버튼스위치의 누름버튼

Claims (3)

  1. 상방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부(111)와 상기 바닥부(111)로부터 상방으로 직립된 한 쌍의 측면부(112)로 구성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한 쌍의 측면부(112)에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1 축공(112a);
    상기 한 쌍의 제1 축공(112a)에 삽입 설치되는 회전축(130);
    상기 회전축(130)에 축결합하는 제2 축공(121a)이 형성된 한 쌍의 회전 브라켓(121)이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 브라켓(121)이 상기 회전축(130)에 축결합하여서 상기 하우징(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이용자가 발로서 누르는 발판(120);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alternate push button swithch)(170);
    상기 발판(120)에 하우징(110)이 있는 방향인 하방으로 장착되는 회전 홀더(152);
    상기 회전 홀더(152)에 구비되어서 이용자가 발판(120)을 눌러서 발판(120)이 하우징(110) 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자기유지형 누름버튼스위치(170)의 누름버튼(170a)을 타격하여 누름작용을 하는 타격편(150);
    하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탄지되고 상단이 상기 발판(120)에 탄지되며, 상기 발판(12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압축되고 상기 발판(120)에 작용되었던 외력이 제거된 경우 상기 발판(120)에 탄성복원력을 작용하여 상기 발판(120)을 복귀시키는 탄성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형성된 탄성부재 설치편(142)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40)의 하단은 상기 탄성부재 설치편(142)에 탄지되어서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140)에 내삽되도록 상기 탄성부재 설치편(142)에서 돌출 형성되어서 이용자가 상기 발판(120)을 밟아서 발판(120)이 하우징 쪽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발판(120)이 탄성부재 설치편(142)과 부딪히는 충격을 완충하고 소음 발생을 예방하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1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완충부재(146)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40)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발판(120)이 복귀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부(112)의 전방 상측변(112b)에 접촉하여서 상기 발판(120)의 복귀 한계를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발판(120)의 끝에서 전방으로 하향 절곡 연장 형성된 스토핑 플레이트(125)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발판(120)은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KR2020140006582U 2014-09-05 2014-09-05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760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582U KR200476080Y1 (ko) 2014-09-05 2014-09-05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582U KR200476080Y1 (ko) 2014-09-05 2014-09-05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84U KR20140005084U (ko) 2014-09-24
KR200476080Y1 true KR200476080Y1 (ko) 2015-01-27

Family

ID=5245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582U KR200476080Y1 (ko) 2014-09-05 2014-09-05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0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805B1 (ko) 2020-03-25 2021-05-25 장종 이미용 전동의자용 승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852Y1 (ko) * 2020-09-10 2020-12-21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템 발판 스위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74A (ja) * 1996-06-17 1998-01-06 Etsuko Suzuki 踏台の立ち上げ折りたたみ機構
KR20040076228A (ko) * 2004-07-16 2004-08-31 이재우 발 지지장치
KR200431306Y1 (ko) 2006-08-22 2006-11-23 한일정공(주) 운동의자의 발받침대
KR20120013711A (ko) * 2010-08-06 2012-02-15 지민식 자세교정용 발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74A (ja) * 1996-06-17 1998-01-06 Etsuko Suzuki 踏台の立ち上げ折りたたみ機構
KR20040076228A (ko) * 2004-07-16 2004-08-31 이재우 발 지지장치
KR200431306Y1 (ko) 2006-08-22 2006-11-23 한일정공(주) 운동의자의 발받침대
KR20120013711A (ko) * 2010-08-06 2012-02-15 지민식 자세교정용 발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805B1 (ko) 2020-03-25 2021-05-25 장종 이미용 전동의자용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084U (ko)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4225B1 (en) Massage apparatus in the form of a chair
JPH09140757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200476080Y1 (ko)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JP2017113251A (ja) マッサージ機
KR101631834B1 (ko) 안마용 의자
KR101527459B1 (ko) 팔걸이부에 틸팅부가 구비된 의자
JP4731439B2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KR101105316B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200476081Y1 (ko)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직립식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JP3850501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101753806B1 (ko) 내부에 안마기가 형성되고 쿠션이 탈부착되는 리클라이너 형태의 기능형 안마소파
KR100352631B1 (ko) 의자에 구비된 완충식 진동 안마기
KR200198802Y1 (ko) 전동 마사지용 의자의 구조
WO2001078646A1 (en) Massaging machine
JP3219224U (ja) シート型マッサージ機用椅子
CN201906158U (zh) 按摩椅扶手结构
CN210077105U (zh) 一种可拆卸的组合式折叠摇椅
KR101313850B1 (ko)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
JP2010082060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CN210383302U (zh) 一种可以提示休息的椅子
CN219662247U (zh) 一种具有拉筋功能的按摩椅
KR101947696B1 (ko) 내부에 안마기가 형성되고 쿠션이 탈부착되는 기능형 안마소파
CN201630700U (zh) 颈部按摩椅
JPH09313563A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