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850B1 -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850B1
KR101313850B1 KR1020130076530A KR20130076530A KR101313850B1 KR 101313850 B1 KR101313850 B1 KR 101313850B1 KR 1020130076530 A KR1020130076530 A KR 1020130076530A KR 20130076530 A KR20130076530 A KR 20130076530A KR 101313850 B1 KR101313850 B1 KR 101313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operating rod
guide hole
base
strik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윤
Original Assignee
강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윤 filed Critical 강동윤
Priority to KR1020130076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6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operation by a part of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hand, e.g. by fo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06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101)와, 베이스(101)의 양단에 형성된 브라켓(102)과, 한 쌍의 브라켓(102)의 통과홀(102a)에 통과되어서 축설되는 동작봉(110)과, 동작봉(110)일 측에 형성되는 누름부재(111)와, 동작봉(110)의 일 측에 형성되어서 탄성부재(160)의 일단을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수단(112, 112')과, 동작봉(110)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60)와, 베이스(101)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170)와, 베이스(101)에 V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홀(130)과, 작동편(170a)을 타격하여 리미트스위치(170)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타격편(120)과, 가이드홀(130)과 연통하도록 베이스(101)에 설치되고 동작봉(110)의 회전에 따른 스위치 타격편(120)이 회전하여서 스위치 타격편(120)이 가이드홀(130)의 일측(130a)에서 타측(130b)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스위치 타격편(120)이 가이드홀(130)의 일측(130a) 또는 타측(130b)으로 이동하여 위치한 경우에는 반대측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타격편 위치 정지 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일회 누름 동작만으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A FOOT PUSHING SWITCH DEVICE FOR A ELECTRIC CHAIR}
본 발명은 이미용 전동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판을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을 필요가 없이 누른 후에 바로 발판으로부터 발을 떼더라도 스위칭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전동의자를 승강하는 발판과 하강하는 발판을 구별하지않고 하나의 발판만을 누르더라도 승강 및 하강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용실, 피부미용실 등에서 사용되는 의자는 필요에 따라 시트(seat)를 승강시킬 수 있고 또한 등받이나 다리받침의 각도를 변환시켜 두발 세척이나 치과 치료와 같은 작업이 착석자가 편안한 자세에서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전동 의자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시트가 승강하는 전동 의자 중에는, 의자등받이가 젖혀지지 않고 다리받침대가 없거나 펴지지 않아서 단순히 시트만 승강할 수 있도록 발명된 의자도 있는데, 예를 들면 미용실이나 이용실에서 두발세척(샴푸)이나 메이컵, 두피관리 용도가 아닌 커트, 펌 등의 단순히 헤어 스타일링 작업을 수행할 때 주로 사용하는 의자이다.
이러한 시트가 승강하는 전동의자는 주로 발판 스위치를 이용하여 시트를 승강시키거나 의자등받이와 다리받침대를 펴거나 접고 있다.
상기와 같은 시트가 승하강하는 전동의자에 사용되는 발판 스위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18495호(명칭: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 의자)와 등록실용신안 제20-0177172호(명칭: 발판 스위치)가 알려져 있다.
위 등록실용신안 제20-0318495호에 의한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 의자와 등록실용신안 제20-0177172호에 의한 발판 스위치는 그 등록공보에 기술이 자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위의 선행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먼저, 등록실용신안 제20-0318495호에 의한 높이조절이 용이한 이미용 의자의 경우에는 발판스위치로서 높이조절발판(11)이 있는데, 이 높이조절발판(11)은 상승발판과 하강발판이 따로 구분되어 있어서 상승과 하강 발판을 구분하여 눌러야 했으므로 사용상 불편하였을 뿐만 아니라 발판을 잘못 누르는 경우가 있어서 오작동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20-0177172호에 의한 발판 스위치의 경우에는,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을 작용해야만 스위칭되므로 전동 의자용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의 목적은,
첫째, 발판을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을 필요가 없이 발판을 누르고 떼더라도 스위칭 온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판 스위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전동의자를 상승시키는 발판 누름 동작과 하강시키는 발판 누름 동작을 구별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발판을 누른 후 떼기만 하면 전동의자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스토핑 부재의 구성에 의해서 발판을 강하게 누르더라도 회전 및 무빙하는 동작봉의 동작 한계를 설정할 수 있어서 제품의 동작 신뢰성을 보장하고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리미트스위치를 타격한 스위치 타격편의 타격 후의 위치를 확실하게 홀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스위칭 오동작의 염려 없고 조립 작업성이 향상되며 제품의 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는, 이미용 전동의자의 발판 스위치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에 형성되고 통과홀이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통과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또한 길이방향으로 무빙(moving)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의 통과홀에 통과되어서 축설되는 동작봉과, 상기 동작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동작봉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동작봉의 좌우 양측 중에서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되는 누름부재와, 상기 동작봉의 일 측에 형성되어서 탄성부재의 일단을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수단과, 상기 탄성부재 지지수단과 브라켓에 개재되어서 탄성 지지되고 상기 동작봉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동작봉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동작봉의 아래에서 상기 베이스에 V 자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V 형태의 양 측이 상기 탄성부재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홀과, 하측이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도록 상기 동작봉에 구비되고 상기 동작봉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홀의 안내에 의해 가이드홀의 V 자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무빙하여 위치 이동할 때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동작편을 타격하여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타격편과, 상기 가이드홀과 연통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동작봉의 회전에 따른 상기 스위치 타격편이 회전하여서 스위치 타격편이 가이드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 타격편이 가이드홀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여 위치한 경우에는 반대측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타격편 위치 정지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는, 상기 타격편 위치 정지 수단은,
코일스프링이 내장되어 있고, 입구가 상기 가이드홀과 연통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부분적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수납되고, 상기 스위치 타격편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상기 바디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스위치 타격편이 가이드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또는 타측에서 일측으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 타격편의 작용이 제거된 경우에는 상기 바디 내부의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가이드홀로 나오는 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볼플런저(ball plunger)로 구성되고,
상기 볼플런저의 볼이 상기 바디로부터 부분적으로 나와서 상기 가이드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홀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한 상기 스위치 타격편이 반대측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는, 상기 동작봉이 회전하는 한계를 설정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동작봉에 설치되는 스토핑 부재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발판을 계속적으로 누르고 있을 필요가 없이 발판을 누르고 떼더라도 스위칭 온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판 스위치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전동의자를 상승시키는 발판 누름 동작과 하강시키는 발판 누름 동작을 구별할 필요가 없이 단순히 발판을 누른 후 떼기만 하면 전동의자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스토핑 부재의 구성에 의해서 발판을 강하게 누르더라도 회전 및 무빙하는 동작봉의 동작 한계를 설정할 수 있어서 제품의 동작 신뢰성을 보장하고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리미트스위치를 타격한 스위치 타격편의 타격 후의 위치를 확실하게 홀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스위칭 오동작의 염려 없고 조립 작업성이 향상되며 제품의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 타격편이 리미트스위치를 타격하지 않은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스위치 타격편(120)이 볼플런저(140)에 의해서 가이드홀(130)의 일측(130a)에 정지된 상태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동작봉의 회전에 의해서 스위치 타격편이 가이드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넘어가는 동작도이다.
도 6의 (a)는 도 1 및 도 2에서의 요부 측면도 구성도이고 도 6의 (b)는 사용자가 발판부(111a)를 눌러서 동작봉(110)이 회전하는 경우의 동작도이다.
도 7은 사용자가 발판부(111a)를 밟아서 동작봉(110)이 회전하여 스위치 타격편(120)이 리미트스위치를 타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스위치 타격편(120)이 볼플런저(140)에 의해서 가이드홀(130)의 타측(130b)에 정지된 상태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리미트스위치가 한 쌍으로 설치된 경우의 요부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홀(130)이 베이스(101)에 직접 형성된 경우의 요부 평면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탄성부재 지지수단의 변형 예를 보이기 위한 요부 구성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100)는, 판상의 베이스(101)와, 베이스(101)의 양단에 수직 절곡되어서 형성되고 통과홀(102a)이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102)과, 한 쌍의 통과홀(102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또한 길이방향으로 무빙(moving)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브라켓(102)의 통과홀(102a)에 통과되어서 축설되는 동작봉(110)과, 사용자가 발로 누르는 경우에 동작봉(110)을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동작봉(1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서 동작봉(110)의 좌우 양측 중에서 적어도 일 측(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누름부재(111)와, 동작봉(110)의 일 측[구체적으로는 스위치 타격편(120)과 브라켓(102) 사이]에 반경방향의 외향 돌출되거나 내향으로 요입 형성되어서 탄성부재(160)의 일단을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수단(112, 112')과, 탄성부재 지지수단(112, 112')과 브라켓(102)[실시예와 같이 부싱(103)이 구비되는 경우 부싱(103)에 탄지됨]에 개재되어서 탄성 지지지되고 동작봉(110)에 스위치 타격편(120)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60)와, 동작봉(110)으로부터 이격되어서 베이스(101)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170)와, 동작봉(110)의 아래에서 베이스(101)에 V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V 형태의 양 측(130a, 130b)이 탄성부재(160)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홀(130)과, 하측이 가이드홀(130)에 삽입되도록 동작봉(1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동작봉(110)에 구비되고 동작봉(11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홀(130)의 안내에 의해 가이드홀(130)의 V 자의 일측(130a)에서 타측(130b)으로 또는 타측(130b)에서 일측(130a)으로 무빙하여 위치 이동할 때 리미트스위치(170)의 작동편(170a)을 타격하여 리미트스위치(170)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타격편(120)과, 타격편 위치 정지 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편 위치 정지 수단(140)은 가이드홀(130)과 연통하도록 상기 베이스(101)에 설치되고, 상기 동작봉(1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위치 타격편(120)이 회전하여서 스위치 타격편(120)이 가이드홀(130)의 일측(130a)에서 타측(130b)으로 또는 타측(130b)에서 일측(130a)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 타격편(120)이 가이드홀(130)의 일측(130a) 또는 타측(130b)으로 이동하여 위치한 경우에는 반대측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그 상태에 머물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타격편 위치 정지 수단(140)은, 코일스프링(도면 부호 미병기)이 내장되어 있고, 입구가 상기 가이드홀(13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베이스(101)에 설치되는 바디(141)와, 상기 바디(141)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부분적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수납되고 스위치 타격편(120)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바디(141) 내부로 들어가서 스위치 타격편(120)이 가이드홀(130)의 일측(130a)에서 타측(130b)으로 또는 타측(130b)에서 일측(130a)으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스위치 타격편(120)의 작용이 제거된 경우에는 바디(141) 내부의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바디(141)로부터 상기 가이드홀(130)의 내부로 부분적으로 나오는 볼(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볼플런저(ball plunger)(140)로 구성되고, 상기 볼플런저(140)의 볼(142)이 상기 바디(141)로부터 부분적으로 나와서 상기 가이드홀(130)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가이드홀(130)의 일측(130a) 또는 타측(130b)에 위치한 스위치 타격편(120)이 반대측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즉, 스위치 타격편(120)이 가이드홀(130)의 일측(130a) 또는 타측(130b)에 머물도록 홀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동작봉(110)이 회전하는 한계를 설정하여(즉,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는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17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1)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동작봉(110)에 설치되는 스토핑 부재(15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핑 부재(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봉(110)을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판상부(150a)와 상기 판상부(150a)의 양쪽 중에서 적어도 한 쪽에 베이스 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토핑 핀(15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100)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미트스위치(170)의 작동편(170a)이 상기 동작봉(110)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되도록 리미트스위치(170)가 베이스(101)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170)를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베이스(101)에 구비되는 스위치 설치대(17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설치대(172)는 베이스(101)에 장착되는 판상의 장착부(172a)와 상기 장착부(172a)에서 수직 절곡된 수직부(172b)와 상기 수직부(172b)에서 수평으로 절곡된 설치부(172c)로 구성되고, 상기 설치부(172c)에 리미트스위치(170)가 설치되며, 상기 동작봉(110)이 통과하고 스위치 타격편(120)이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절개부(172d)가 수직부(172b)에서 설치부(172d)로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동작봉(110)을 통과시키기 위해서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102)의 통과홀(102a)에 내삽되는 부싱(103)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싱(103)을 채택한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는 탄성부재(150)의 타단은 부싱에 탄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100)에 있어서, 사용자가 발로 누르는 면적을 넓게 해서 사용자가 누르는 동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누름부재(111)의 끝에는 발판(111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부재 지지수단(112)은 동작봉(110)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링(ring)(112)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봉(110)의 타측에 반경방향의 내측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는 지지턱(112')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일 예에서는 가이드홀(130)을 베이스(101)에 바로 형성하지 않고, 베이스(101)에 면접되어서 판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01b)를 베이스(101)에 일체로 장착하고, 가이드홀(130)을 베이스 플레이트(101b)에 관통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홀(130)과 연통하도록 베이스(101)에 중공홀(101a)을 형성하며, 볼플런저(140)를 설치하기 위하여 가이드홀(130)과 연통하도록 플런저설치홀(101c)을 베이스 플레이트(101b)에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는, 위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1b)를 이용하여 여기에 가이드홀(130)을 형성하지 않고 베이스(101)에 직접 가이드홀(130)을 형성하고 가이드홀(130)과 연통하도록 플런저설치홀(101c)을 형성하며, 이 플런저설치홀(101c)에 볼플런저(140)를 설치하는 예가 개시되어 있다.
위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1b)는 베이스(101)의 일 구성이므로 베이스 플레이트(101b)에 가이드홀(130)을 형성하는 경우나 베이스(101)에 가이드홀(130)을 장착하는 경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이다.
도면번호 (N1)은 너트(N1)로서 볼플런저(140)에 나합되어서 플런저설치홀(101c)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볼플런저(140)를 플런저설치홀(101c)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다. 너트(N1) 없이 볼플런저(140)를 바로 플런저설치홀(101c)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리미트스위치(170)가 하나 설치되어서 스위치 타격편(120)이 일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리미트스위치(170)를 타격하여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스위치(170)가 한 쌍으로 설치되어서 스위치 타격편(120)이 일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리미트스위치(170)를 타격하여서 작동하는 경우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100)에 있어서, 스위치 타격편(120)은 동작봉(110)에 삽입홀(110a)을 관통 형성하고, 삽입홀(110a)에 삽입되어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삽입홀(110a)에 삽입하여서 스위치 타격편(120)을 설치하지 않고 동작봉(110)의 외주면에 스위치 타격편(120)을 설치되는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4를 기초로 발판부(111a)를 누르기 전의 초기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봉(110)에 설치된 스위치 타격편(120)이 리미트스위치(170)의 작동편(170a)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있고, 스위치 타격편(120)이 볼플런저(140)의 볼(142)에 걸려서 가이드홀(130)의 일측(130a)에 정지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제 발판부를 눌러서 리미트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발판(111a) 또는 누름부재(111)를 발로 누르면, 도 6의 (b) 및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동작봉(110)이 회전하고 동작봉(110)의 회전과 함께 스위치 타격편(120)이 동작봉(110)을 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스위치 타격편(120)이 회전하면서 리미트스위치(170)의 작동편(170a)을 타격하고, 작동편(170a)의 누름 동작에 의해서 리미트스위치(170)가 스위칭 동작(예컨대 스위칭 온)한다. 리미트스위치(170)가 작동되면 예컨대 이미용 전동의자의 시트가 상승 동작한다.
상기와 같이 스위치 타격편(120)의 상측이 리미트스위치를 타격하는 동안 스위치 타격편(120)의 하측에서는 다음과 같은 동작이 수행된다.
스위치 타격편(120)이 동작봉(110)을 축으로 회전하면 탄성부재(160)의 탄성복원력이 더해져서 스위치 타격편(120)은 가이드홀(131)의 안내를 받으면서 볼플런저(140)의 볼(142)을 뒤로 밀게 되고(도 5 참조), 볼(142)이 뒤로 밀리면서 가이드홀(130)의 안내에 의해서 스위치 타격편(120)이 볼(142)을 건너가고, 건너간 후에는 볼플런저(140)에 내장된 코일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서 볼(142)이 다시 복원되어서 초기위치로 복귀하면 스위치 타격편(120)은 가이드홀(130)의 타측(130b)에 정지된다.
동작봉(110)이 스위치 타격편(120)의 무빙에 따라서 탄성부재(160)가 있는 방향으로 무빙할 때 탄성부재(160)가 압축된다.
스위치 타격편(120)이 리미트스위치(170)를 타격한 후에는 스위치 타격편(120)이 볼플런저(140)의 볼(142)에 의해서 걸려서 반대측으로 이동하지 못하여서 그 위치에서 정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밟고 있던 발을 떼더라도 리미트스위치(170)는 현재의 스위칭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발판부를 누르고 있을 필요가 없다.
한편, 동작봉(110)이 회전할 때 스토핑부재(150)의 스토핑 핀(150b)이 베이스(101)에 접촉하여서 동작봉(110)의 회전을 스토핑하므로(도 7 및 도 6의 (b)), 스위치 타격편(120)이 리미트스위치(170)를 지나치게 세게 치거나 너무 깊숙이 타격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제 전술한 바와 같이 발판(111a) 또는 누름부재(111)를 눌렀던 반대의 작용 즉, 발판(111a) 또는 누름부재(111)를 발로 위로 올리면, 동작봉(110)이 반대로 회전하게 되고(예컨대 반시계방향), 스위치 타격편(120) 역시 전술한 방향과 반대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스위치 타격편(120)이 전술한 방향(상기 예의 시계방향)과 반대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리미트스위치(170)의 작동편(170a)으로부터 이격되고 작동편(170a)이 복귀하고 작동편(170a)이 복귀하면 리미트스위치(170)는 전술한 스위칭 상태와 다른 스위칭 동작(예컨대 스위칭 오프)을 하고, 리미트스위치(170)가 작동되면 예컨대 이미용 전동의자의 시트가 하강 동작한다.
그리고, 스위치 타격편(120)이 동작봉(110)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부재(160)의 탄성복원력이 더해져서 스위치 타격편(120)은 가이드홀(131)의 안내를 받으면서 볼플런저(140)의 볼(142)을 뒤로 밀게 되고(도 5 참조), 볼(142)이 뒤로 밀리면서 가이드홀(130)의 안내에 의해서 스위치 타격편(120)이 볼(142)을 건너가고, 건너간 후에는 볼플런저(140)에 내장된 코일스프링(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서 볼(142)이 다시 복원되어서 초기위치로 복귀하면 스위치 타격편(120)은 가이드홀(130)의 일측(130a)에 정지된다(도 1, 도 2 및 도 4의 상태).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
101 : 베이스 101a: 베이스의 중공홀
101b : 베이스 플레이트 101c: 플런저설치홀
102 : 브라켓 102a: 통과홀
103 : 부싱 110 : 동작봉
110a: 동작봉의 삽입홀 111 : 누름부재
111a: 발판 112 : 지지링
112': 지지턱 120 : 스위치 타격편
130 : 가이드홀 130a, 130b : 가이드홀의 양 측
140 : 볼플런저 141 : 바디
142 : 볼 N1 : 너트
150 : 스토핑 부재 150a: 판상부
150b: 스토핑 핀 160 : 탄성부재
170 : 리미트스위치 170a: 작동편
172 : 스위치 설치대 172a: 장착부
172b: 수직부 172c: 설치부
172d: 절개부

Claims (3)

  1. 이미용 전동의자의 발판 스위치에 있어서,
    베이스(101)와,
    상기 베이스(101)의 양단에 형성되고 통과홀(102a)이 형성된 한 쌍의 브라켓(102)과,
    상기 한 쌍의 통과홀(102a)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또한 길이방향으로 무빙(moving) 가능하도록 상기 한 쌍의 브라켓(102)의 통과홀(102a)에 통과되어서 축설되는 동작봉(110)과,
    상기 동작봉(1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동작봉(110)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서 상기 동작봉(110)의 좌우 양측 중에서 적어도 일 측에 형성되는 누름부재(111)와,
    상기 동작봉(110)의 일 측에 형성되어서 탄성부재(160)의 일단을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수단(112, 112')과,
    상기 탄성부재 지지수단(112, 112')과 브라켓(102)에 개재되어서 탄성 지지되고, 상기 동작봉(110)에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60)와,
    상기 동작봉(110)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베이스(101)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170)와,
    상기 동작봉(110)의 아래에서 상기 베이스(101)에 V 형태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V 형태의 양 측(130a, 130b)이 상기 탄성부재(160)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홀(130)과,
    하측이 상기 가이드홀(130)에 삽입되도록 상기 동작봉(110)에 구비되고, 상기 동작봉(11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홀(130)의 안내에 의해 가이드홀(130)의 V 자의 일측(130a)에서 타측(130b)으로 또는 타측(130b)에서 일측(130a)으로 무빙하여 위치 이동할 때 상기 리미트스위치(170)의 작동편(170a)을 타격하여 리미트스위치(170)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타격편(120)과,
    상기 가이드홀(130)과 연통하도록 상기 베이스(101)에 설치되고, 상기 동작봉(1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위치 타격편(120)이 회전하여서 스위치 타격편(120)이 가이드홀(130)의 일측(130a)에서 타측(130b)으로 또는 타측(130b)에서 일측(130a)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 타격편(120)이 가이드홀(130)의 일측(130a) 또는 타측(130b)으로 이동하여 위치한 경우에는 반대측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타격편 위치 정지 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격편 위치 정지 수단(140)은,
    코일스프링이 내장되어 있고, 입구가 상기 가이드홀(130)과 연통하도록 상기 베이스(101)에 설치되는 바디(141)와,
    상기 바디(141)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 부분적으로 노출가능하도록 수납되고, 상기 스위치 타격편(120)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상기 바디(141)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스위치 타격편(120)이 가이드홀(130)의 일측(130a)에서 타측(130b)으로 또는 타측(130b)에서 일측(130a)으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 타격편(120)의 작용이 제거된 경우에는 상기 바디(141) 내부의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바디(141)로부터 상기 가이드홀(130)로 나오는 볼(1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볼플런저(ball plunger)(140)로 구성되고,
    상기 볼플런저(140)의 볼(142)이 상기 바디(141)로부터 부분적으로 나와서 상기 가이드홀(130)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홀(130)의 일측(130a) 또는 타측(130b)에 위치한 상기 스위치 타격편(120)이 반대측으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봉(110)이 회전하는 한계를 설정하여 상기 리미트스위치(17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01)가 있는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동작봉(110)에 설치되는 스토핑 부재(15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
KR1020130076530A 2013-07-01 2013-07-01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 KR101313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530A KR101313850B1 (ko) 2013-07-01 2013-07-01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530A KR101313850B1 (ko) 2013-07-01 2013-07-01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3850B1 true KR101313850B1 (ko) 2013-10-01

Family

ID=4963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530A KR101313850B1 (ko) 2013-07-01 2013-07-01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805B1 (ko) 2020-03-25 2021-05-25 장종 이미용 전동의자용 승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2541U (ko) * 1989-11-09 1991-07-22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2541U (ko) * 1989-11-09 1991-07-2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805B1 (ko) 2020-03-25 2021-05-25 장종 이미용 전동의자용 승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246B1 (en) Toilet seat lifting mechanism
KR101313850B1 (ko) 이미용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장치
US20180280217A1 (en) Motorized wheelchair for improved mobility
JP2016030063A (ja) 理美容椅子
CN107714319A (zh) 一种防止瘫痪患者足下垂的轮椅
KR200471602Y1 (ko)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76080Y1 (ko)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KR200476081Y1 (ko) 시트 승하강 전동의자용 직립식 포터블 발판 스위치 어셈블리
DE602007012498D1 (de) Sitzhilfevorrichtung für ältere und behinderte Personen
CN203802200U (zh) 一种穿袜辅助装置
CN110432682B (zh) 一种园林花坛椅
JP6725981B2 (ja) 理美容用椅子
JP3194283U (ja) 回転椅子
US10051965B2 (en) Modified footrest for salon chair
JP3130715U (ja) 理美容椅子の移動用脚
JP3241033U (ja) シャンプー台
KR20190003124U (ko) 의자용 슬라이딩 이동장치
KR200382336Y1 (ko) 원터치 펼침 다리받침이 구비된 사무용 의자
JP3214656U (ja) 介護用歩行器の背当て支持機構部
JP4412469B2 (ja) 理美容用椅子
JP3360160B2 (ja) 家具等の移動装置
CN209172882U (zh) 一种可折叠按摩机
JP4753354B2 (ja) 理美容用シャンプー椅子
KR20100062268A (ko) 발받이 장치를 구비한 의자
JP2007098082A (ja) 楽に立てる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