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470B1 -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 Google Patents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470B1
KR101156470B1 KR1020100057988A KR20100057988A KR101156470B1 KR 101156470 B1 KR101156470 B1 KR 101156470B1 KR 1020100057988 A KR1020100057988 A KR 1020100057988A KR 20100057988 A KR20100057988 A KR 20100057988A KR 101156470 B1 KR101156470 B1 KR 101156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desk
height
adjusting
beve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950A (ko
Inventor
유인규
Original Assignee
유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규 filed Critical 유인규
Priority to KR1020100057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47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toothed r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1/00School desks or tables
    • A47B41/02Adjustable, inclinable, sliding or foldable desks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중공의 관체로 상부 내측에 이송스크류 가이드(12)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지지프레임(14)으로서 연결되는 4개의 받침다리(10)와; 각각의 받침다리(10)를 수용하는 중공의 관체로 상단은 책상(100)을 구성하는 상판(1)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조절다리(20)와; 상기 조절다리(20) 중 책상(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절다리(20)의 상면과 상판(1)의 저부로부터 상판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결합체(30)와; 일측은 상기 받침다리(10)의 이송스크류 가이드(12)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조절다리(20)의 내부에 베어링(B)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에는 제1베벨기어(42)가 각각 구비되어 받침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낮이조절축(40)과; 양단에 제2베벨기어(52)가 설치되어 상호 대응되는 높낮이조절축(40)의 제1베벨기어(42)에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축(50)과; 제1동력전달축(50)과 같이 양단에 제3베벨기어(62)가 설치되고, 중앙에 하나의 제4베벨기어(64)가 설치되어 상호 대응되는 높낮이조절축(40)의 제1베벨기어(42)와 제2베벨기어(52)에 맞물려 회전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축(60)과; 상기 상판(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4베벨기어(64)를 통해 제2동력전달축(60)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70)와; 상기 조절다리(20) 중 책상(100)의 후방에 위치한 조절다리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판(1)의 각도를 경사지게 조정하는 경사조절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사용자가 손쉽게 제1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제1동력전달축, 제2동력전달축의 회전구동으로 각 설치된 제1내지 제3베벨기어의 회전을 동조되도록 하여 높낮이조절축의 나사체결 정도에 의해 받침다리로부터 조절다리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제2구동모터의 동작구형으로서 높낮이조절캡을 통한 책상의 상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높낮이조절높낮이조절높낮이조절하여 특히 공동으로 사용하는 책상을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무리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Desk Possible Height-adjustment and Angle-adjustment}
본 발명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책상의 높낮이 조절과 책상의 상판 각도조절을 누구라도 손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여러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책상의 사용에 신체적인 무리없이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조절이 가능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책상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학교 및 각종 사무실에 비치하여 의자와 함게 사용된다.
통상 책상과 관련한 의자의 높이만를 조절하여 책상의 상면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높이로 만들어 사용하는 성인들과는 달리 어린 아이들을 포함한 초,중등 학생들은 신체 발육상태에 따른 신체조건에 맞는 책상과 의자를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일률적으로 책상의 낮은 높이에서 점차 미세하게 높아지는 형태로 미리 세팅 고정한 책상을 이용하거나, 균일한 높이로 제작된 책상을 사용하고 있는 이유에서 사용자의 자세는 허리를 필요이상으로 굽히거나 엉덩이를 의자로부터 비스듬하게 앉는 자세를 취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책상의 높이가 맞지 않는 이유에서 신체적인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되며, 심지어는 신체교정술을 받아야 할 만큼 심각한 증상도 발생하고 있다.
의자에 바른 자세로 앉는 만큼 책상의 높낮이조절과 책상의 상판 각도 조절은 그만큼 사용자의 자세와 관련하여 육제적인 스트레스를 받지않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절실하다.
예를 들어, 책상의 상판의 높이는 그대로 인데 상체가 성장할 경우, 책상의 상판 높이에 맞추기 위해 상체를 굽히거나 옆으로 트는 등의 바르지 못한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자세가 지속될 경우 척추에 무리를 줄수 있고, 허리 디스크가 발병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책상의 상판을 사용자가 일정한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하는 책상이 요구되고 있으며, 책상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한 높이로 조절하면서 사용하는 책상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책상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상태이다.
책상의 높이 조절을 위한 간단한 구조는 책상의 다리부분을 신축조절가능하도록 다리부분을 수용하는 받침대로부터 고정공이 마련되고, 상기 다리측에는 높낮이조절공이 형성되며, 고정공으로부터 고정볼트와 너트로서 해당하는 높낮이조절공을 일치시켜 조립하는 구조가 대표적이다.
또한, 책상의 상판은 일측에 호형의 경사조절을 위한 조정 플레이트를 두고, 상기 조정 플레이트는 별도의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도록 하여 상판의 경사각도를 조정하도록 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책상은 고정볼트를 풀거나 조여 책상의 높이와 상판의 각도를 조정하야야 하기 때문에 특히 해당하는 사용자 외에는 또 다시 재 조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높낮이조절 및 경사조절을 할 수 있는 책상이 구비되었다 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조절에 불편함이 있어 그대로 책상에 몸을 맞추어 사용하기 때문에 신체에 무리를 주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책상의 높낮이 조절과 책상의 상판 각도조절을 누구라도 손쉽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여 특히 여러사람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책상의 사용에 신체적인 무리없이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중공의 관체로 상부 내측에 이송스크류 가이드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지지프레임으로서 연결되는 4개의 받침다리와; 각각의 받침다리를 수용하는 중공의 관체로 상단은 책상을 구성하는 상판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조절다리와; 상기 조절다리 중 책상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절다리의 상면과 상판의 저부로부터 상판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결합체와; 일측은 상기 받침다리의 이송스크류 가이드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조절다리의 내부에 베어링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에는 제1베벨기어가 각각 구비되어 받침다리로부터 조절다리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낮이조절축과; 양단에 제2베벨기어가 설치되어 상호 대응되는 높낮이조절축의 제1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축과; 제1동력전달축과 같이 양단에 제3베벨기어가 설치되고, 중앙에 하나의 제4베벨기어가 설치되어 상호 대응되는 높낮이조절축의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축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4베벨기어를 통해 제2동력전달축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조절다리 중 책상의 후방에 위치한 조절다리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판의 각도를 경사지게 조정하는 경사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중공의 관체로 상부 내측에 이송스크류 가이드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지지프레임으로서 상호 연결되는 2개의 받침다리와; 각각의 받침다리를 수용하는 중공의 관체로 상단과 외부 측면으로부터 마련되는 받침플레이트로서 책상을 구성하는 상판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조절다리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상면과 상판의 저부로부터 상판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결합체와; 일측은 상기 받침다리의 이송스크류 가이드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조절다리의 내부에 베어링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에는 제1베벨기어가 각각 구비되어 받침다리로부터 조절다리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낮이조절축과; 양단에 제3베벨기어가 설치되고, 중앙에 하나의 제4베벨기어가 설치되어 상호 대응되는 높낮이조절축의 제1베벨기어에 맞물려 회전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축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4베벨기어를 통해 제2동력전달축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조절다리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판의 각도를 경사지게 조정하는 경사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사용자가 손쉽게 제1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제1동력전달축, 제2동력전달축의 회전구동으로 각 설치된 제1내지 제3베벨기어의 회전을 동조되도록 하여 높낮이조절축의 나사체결 정도에 의해 받침다리로부터 조절다리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고, 제2구동모터의 동작구형으로서 높낮이조절캡을 통한 책상의 상판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높낮이조절의 번거로움을 해결하여 특히 공동으로 사용하는 책상을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무리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취급의 편의성은 특히 장애인들도 도움을 받지 않고 쉽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상판높이 조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상판각도 조절상태를 도시한 다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상판각도 조절상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을 일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에서 책상의 상판높이 조절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도 8에서 상판각도 조절상태를 도시한 다면도,
도 13은 도 8에서 상판각도 조절상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책상(100)은, 상판(1)과, 받침다리(10)과, 조절다리(20)로 크게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받침다리(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중공의 관체로 상부 내측에 이송스크류 가이드(12)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지지프레임(14)으로서 연결되는 4개의 받침다리를 구축한다.
상기 조절다리(20)는 각각의 받침다리(10)를 수용하는 중공의 관체로 상단은 책상(100)을 구성하는 상판(1)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도록 하부가 상기 받침다리(10)의 일부 상부측을 수용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조절다리(20) 중 책상(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절다리(20)의 상면과 상판(1)의 저부로부터 상판의 일측이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체(30)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 받침다리(10)의 내부에는 이송스크류 가이드(12)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조절다리(20)의 내부에 베어링(B)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에는 제1베벨기어(42)가 각각 구비되어 받침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낮이조절축(40)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높낮이조절축(40)에 대하여 양단에 제2베벨기어(52)가 설치되어 상호 대응되는 높낮이조절축(40)의 제1베벨기어(42)에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동력전달축(5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동력전달축의 양 단부는 조절다리를 관통하는 상태에서 제2베벨기어가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제2베벨기어는 상기 제1베벨기어(42)와 치합된다.
또한, 제1동력전달축(50)과 같이 양단에 제3베벨기어(62)가 설치되고, 중앙에 하나의 제4베벨기어(64)가 설치되어 상호 대응되는 높낮이조절축(40)의 제1베벨기어(42)와 제2베벨기어(52)에 맞물려 회전력을 동시에 전달할 수 있도록 제2동력전달축(60)이 설치된다.
상기 상판(1)의 하부에는 제4베벨기어(64)를 통해 제2동력전달축(60)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70)가 고정 설치되어 상판(1)과 함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조절다리(20) 중 책상(100)의 후방에 위치한 조절다리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판(1)의 각도를 경사지게 조정할 수 있도록 경사조절수단(80)이 설치된다.
상기 경사조절수단(80)은 조절다리(20)의 후방에 부착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1)과, 상기 고정브라켓(81)에 설치되며, 회전축(82)상에 나사부(82a)가 구비된 제2구동모터(83)와, 상기 제2구동모터(83)의 나사부(82a)에 체결되는 높낮이조절캡(85)과, 상기 높낮이조절캡(85)의 상단부 내에 다방향으로 구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판(1)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어 높낮이조절캡(85)의 상하동작에 따라 상판(1)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구베어링(87)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조절수단(80)은 조절다리(20)의 후방에 부착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1)과, 상기 고정브라켓(81)에 설치되며, 회전축(82)상에 나사부(82a)가 구비된 제2구동모터(83)와, 상기 제2구동모터(83)의 나사부(82a)에 체결되는 높낮이조절캡(85)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설치되되, 상기 높낮이조절캡(85)의 상단과 상판(1)의 저부에 양단이 고정되고 중앙은 베어링(B)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힌지축부재(86)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예의 책상을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중공의 관체로 상부 내측에 이송스크류 가이드(12)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지지프레임(14)으로서 상호 연결되는 2개의 받침다리(10)와; 각각의 받침다리(10)를 수용하는 중공의 관체로 상단과 외부 측면으로부터 마련되는 받침플레이트(22)로서 책상(100)을 구성하는 상판(1)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조절다리(20)와; 상기 받침플레이트(22)의 상면과 상판(1)의 저부로부터 상판(1)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결합체(30)와; 일측은 상기 받침다리(10)의 이송스크류 가이드(12)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조절다리(20)의 내부에 베어링(B)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에는 제1베벨기어(42)가 각각 구비되어 받침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낮이조절축(40)과; 양단에 제3베벨기어(62)가 설치되고, 중앙에 하나의 제4베벨기어(64)가 설치되어 상호 대응되는 높낮이조절축(40)의 제1베벨기어(42)에 맞물려 회전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축(60)과; 상기 상판(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4베벨기어(64)를 통해 제2동력전달축(60)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70)와; 상기 조절다리(2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판(1)의 각도를 경사지게 조정하는 경사조절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책상(100)에 적용되는 경사조절수단(80)은 조절다리(20)의 후방에 부착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1)과, 상기 고정브라켓(81)에 설치되며, 회전축(82)상에 나사부(82a)가 구비된 제2구동모터(83)와, 상기 제2구동모터(83)의 나사부(82a)에 체결되는 높낮이조절캡(85)과, 상기 높낮이조절캡(85)의 상단부 내에 다방향으로 구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판(1)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어 높낮이조절캡(85)의 상하동작에 따라 상판(1)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구베어링(87)이 동일하게 적용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경사조절수단(80)의 또 다른 예로서, 이는 조절다리(20)의 후방에 부착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1)과, 상기 고정브라켓(81)에 설치되며, 회전축(82)상에 나사부(82a)가 구비된 제2구동모터(83)의 구성요소는 동일하게 구성되되, 상기 제2구동모터(83)의 나사부(82a)에 체결되는 높낮이조절캡(85')의 상단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판(1)의 저부에 밀착 구름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참고로, 상술한 바의 제1구동모터(70) 및 제2구동모터(83)는 책상의 상면 혹은 측면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조작버튼(도면에서 생략함)의 제어로서 구동되도록 한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72는 제1구동모터에 설치된 주베벨기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책상의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에 맞게 책상(100)의 상판(1) 높이조정은 제1구동모터(70)를 구동하면, 제1구동모터(70)측 주베벨기어(72)와 치합된 제2동력전달축(60)의 제4베벨기어(64) 및 제3베벨기어(62)의 회전구동이 발생하고, 이와 동시에 제1동력전달축(50)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3베벨기어(62) 및 높낮이조절축(40)의 상부에 설치된 제1베벨기어(42)와 치합된 제2베벨기어(52)의 회전구동으로서 각 4개의 받침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 내부측에 위치한 높낮이조절축(20)을 회전시켜 준다.
상기 높낮이조절축(40)은 나사산이 형성된 이송스크류축으로서 받침다리 내의 이송스크류 가이드(12)를 따라 나사체결되거나 풀리는 동작으로 상기 높낮이조절축(40)과 연결된 조절다리(20)를 첨부된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판(1)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책상(100)의 상판(1)을 소정의 각도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조절다리(20)의 후방에 설치된 높낮이조절수단(80)을 통해 상판(1)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데, 상기 상판(1)의 저부 일측은 4개의 조절다리(20) 중 2개의 조절다리 상부와 연결된 힌지결합체(30)를 축으로 상판 일측을 들어올려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경사를 조정한다.
고정브라켓(81)에 설치된 제2구동모터(83)의 회전축(82)상에 형성된 나사부(82a)의 회전에 따라 높낮이조절캡(85)는 상판 저부로부터 지구베어링(87)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이때의 상기 높낮이조절캡(85)은 상승과 더불어 지구베어링(87)을 축으로 각도조정과 함께 상판의 지지가 이루어져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도의 경사로 상판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높낮이조절수단(80)은 첨부된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의 지구베어링(87) 대신 상기 높낮이조절캡(85)의 상단과 상판(1)의 저부에 양단이 고정되고 중앙은 베어링(B)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힌지축부재(86)의 적용으로서도 동일하게 경사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판의 경사조절은 사용자가 목과 허리를 덜 구부리는 편안한 바른 자세로 취할 수 있게 하여 육체적인 스트레스를 줄여주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의 책상(100)을 도시하고 있는 도 8은 상술한 바의 책상과 같은 원리로서 받침다리(10) 및 조절다리(20)는 각 2개로만 이루어지고 나머지 이송스크류 가이드(12) 및 조절다리(20) 내측으로부터 베어링(B)의 지지로서 높낮이조절축(40)의 높낮이조절은 동일하게 동작된다.
여기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동력전달축(50)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높낮이조절축(40)의 제1베벨기어(42)에 제2동력전달축(60)의 제3베벨기어(62)가 직접 치합되는 구조로서 동시에 높낮이조절축(40)을 동조시켜 첨부된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타입의 책상의 경사각도 조절 또한 조절다리(20)의 후방에 설치된 높낮이조절수단(80)의 동작구현으로서 책상의 상판 각도를 첨부된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조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판(1)의 각도조정은 상기 받침플레이트(22)의 상면과 상판(1)의 저부로부터 상판(1)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결합체(30)를 기점으로 반대편측 상판이 들리면서 각도 조정된다.
상기 높낮이조절수단(80) 중 제2구동모터(83)의 회전축(82)상에 형성된 나사부(82a)를 통해 나사체결로서 높이조정되는 높낮이조절캡(85)은 상판(10 저부에 일측이 고정된 지구베어링(87)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상판 각도 조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한편, 첨부된 도 13에서는 상기 높낮이조절캡(85)의 상단부분을 반구형으로 형성시켜 상판의 저면에 접촉 미끄러짐이 이루어지도록 한 예로서도 동일하게 책상의 상판 저부 일측이 들려지는 형태로 각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사용은 기존과 같이 일일이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높낮이조절공을 맞추어 조이는 불필요한 동작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리하게 자시에 맞는 높이와 경사각도로 상판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공동 사용목적의 학교 및 도서관 및 공공기관, 활동이 부자연스러운 노약자나 장애인 등을 위한 책상으로도 무리 없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상판 10: 받침다리
12: 이송스크류 가이드 14: 지지프레임
20: 조절다리 30: 힌지결합체
40: 높낮이조절축 42: 제1베벨기어
50: 제1동력전달축 52: 제2베벨기어
60: 제2동력전달축 62: 제3베벨기어
64: 제4베벨기어 70: 제1구동모터
80: 높낮이조절수단 81: 고정브라켓
82: 회전축 82a: 나사부
83: 제2구동모터 85,85': 높낮이조절캡
86: 힌지축부재 87: 지구베어링
100: 책상 B: 베어링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중공의 관체로 상부 내측에 이송스크류 가이드(12)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지지프레임(14)으로서 연결되는 4개의 받침다리(10)와;
    각각의 받침다리(10)를 수용하는 중공의 관체로 상단은 책상(100)을 구성하는 상판(1)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조절다리(20)와;
    상기 조절다리(20) 중 책상(100)의 전방에 위치하는 조절다리(20)의 상면과 상판(1)의 저부로부터 상판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결합체(30)와;
    일측은 상기 받침다리(10)의 이송스크류 가이드(12)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조절다리(20)의 내부에 베어링(B)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에는 제1베벨기어(42)가 각각 구비되어 받침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낮이조절축(40)과;
    양단에 제2베벨기어(52)가 설치되어 상호 대응되는 높낮이조절축(40)의 제1베벨기어(42)에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축(50)과;
    제1동력전달축(50)과 같이 양단에 제3베벨기어(62)가 설치되고, 중앙에 하나의 제4베벨기어(64)가 설치되어 상호 대응되는 높낮이조절축(40)의 제1베벨기어(42)와 제2베벨기어(52)에 맞물려 회전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축(60)과;
    상기 상판(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4베벨기어(64)를 통해 제2동력전달축(60)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70)와;
    상기 조절다리(20) 중 책상(100)의 후방에 위치한 조절다리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판(1)의 각도를 경사지게 조정하는 경사조절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조절이 가능한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수단(80)은 조절다리(20)의 후방에 부착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1)과,
    상기 고정브라켓(81)에 설치되며, 회전축(82)상에 나사부(82a)가 구비된 제2구동모터(83)와,
    상기 제2구동모터(83)의 나사부(82a)에 체결되는 높낮이조절캡(85)과,
    상기 높낮이조절캡(85)의 상단부 내에 다방향으로 구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판(1)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어 높낮이조절캡(85)의 상하동작에 따라 상판(1)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구베어링(8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조절이 가능한 책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수단(80)은 조절다리(20)의 후방에 부착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1)과,
    상기 고정브라켓(81)에 설치되며, 회전축(82)상에 나사부(82a)가 구비된 제2구동모터(83)와,
    상기 제2구동모터(83)의 나사부(82a)에 체결되는 높낮이조절캡(85)과,
    상기 높낮이조절캡(85)의 상단과 상판(1)의 저부에 양단이 고정되고 중앙은 베어링(B)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힌지축부재(8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조절이 가능한 책상.
  4.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중공의 관체로 상부 내측에 이송스크류 가이드(12)가 구비되고 외측에는 지지프레임(14)으로서 상호 연결되는 2개의 받침다리(10)와;
    각각의 받침다리(10)를 수용하는 중공의 관체로 상단과 외부 측면으로부터 마련되는 받침플레이트(22)로서 책상(100)을 구성하는 상판(1)의 저부를 받쳐 지지하는 조절다리(20)와;
    상기 받침플레이트(22)의 상면과 상판(1)의 저부로부터 상판(1)의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결합체(30)와;
    일측은 상기 받침다리(10)의 이송스크류 가이드(12)에 나사결합되고 타측은 조절다리(20)의 내부에 베어링(B)으로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에는 제1베벨기어(42)가 각각 구비되어 받침다리(10)로부터 조절다리(20)의 높이를 조정하는 높낮이조절축(40)과;
    양단에 제3베벨기어(62)가 설치되고, 중앙에 하나의 제4베벨기어(64)가 설치되어 상호 대응되는 높낮이조절축(40)의 제1베벨기어(42)에 맞물려 회전력을 동시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축(60)과;
    상기 상판(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4베벨기어(64)를 통해 제2동력전달축(60)을 회전구동시키는 제1구동모터(70)와;
    상기 조절다리(20)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상판(1)의 각도를 경사지게 조정하는 경사조절수단(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조절이 가능한 책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수단(80)은 조절다리(20)의 후방에 부착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1)과,
    상기 고정브라켓(81)에 설치되며, 회전축(82)상에 나사부(82a)가 구비된 제2구동모터(83)와,
    상기 제2구동모터(83)의 나사부(82a)에 체결되는 높낮이조절캡(85)과,
    상기 높낮이조절캡(85)의 상단부 내에 다방향으로 구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판(1)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어 높낮이조절캡(85)의 상하동작에 따라 상판(1)을 경사지게 지지하는 지구베어링(8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조절이 가능한 책상.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수단(80)은 조절다리(20)의 후방에 부착 설치되는 고정브라켓(81)과,
    상기 고정브라켓(81)에 설치되며, 회전축(82)상에 나사부(82a)가 구비된 제2구동모터(83)와,
    상기 제2구동모터(83)의 나사부(82a)에 체결되며, 상단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판(1)의 저부에 밀착 구름 접촉되는 높낮이조절캡(8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20100057988A 2010-06-18 2010-06-18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1156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988A KR101156470B1 (ko) 2010-06-18 2010-06-18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988A KR101156470B1 (ko) 2010-06-18 2010-06-18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950A KR20110137950A (ko) 2011-12-26
KR101156470B1 true KR101156470B1 (ko) 2012-06-18

Family

ID=45504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988A KR101156470B1 (ko) 2010-06-18 2010-06-18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4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430B1 (ko) * 2014-03-03 2015-05-14 주식회사 모텍스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528733B1 (ko) * 2015-01-12 2015-06-15 (주)캠퍼스라인 각도 조절이 용이한 책상
CN104957886A (zh) * 2015-06-30 2015-10-07 余清海 一种可调式多功能书画桌
KR20160101744A (ko) 2015-02-17 2016-08-26 (주)청도산업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CN106108372A (zh) * 2016-07-04 2016-11-16 郭金虎 桌面旋转升降拓展支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20361A (zh) * 2014-09-30 2016-04-27 汪希奎 一种弹销制动升降平台
KR101511354B1 (ko) * 2015-01-12 2015-04-17 (주)캠퍼스라인 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 책상
CN105668209B (zh) * 2016-03-30 2017-10-20 河南龙丰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高度可调节式转角传运架
CN106388253A (zh) * 2016-09-26 2017-02-15 宁波汇五洲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电机双管式可升降办公桌
KR200483525Y1 (ko) * 2016-10-20 2017-05-25 김도훈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CN107857047B (zh) * 2017-11-22 2019-12-06 青岛立业电器有限公司 一种可升降的送料架
KR200491897Y1 (ko) * 2018-03-05 2020-06-25 이성엽 물품 진열장치
CN108577204A (zh) * 2018-06-02 2018-09-28 滨州华美外国语学校 一种手感温润耐冷热的茶几
CN109090836B (zh) * 2018-10-25 2021-04-30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桌面高度与角度自适应调节的绘图桌
CN109393749A (zh) * 2018-11-20 2019-03-01 南通理工学院 一种汽车设计用多向调节手绘桌
CN109567386B (zh) * 2018-12-26 2021-11-12 绍兴蒂尔莱特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动升降桌的多用途线性驱动器及其安装方法
KR102181107B1 (ko) * 2020-02-07 2020-11-20 나성호 틸팅가능한 선반
CN111887585B (zh) * 2020-07-29 2023-01-06 鲁东大学 一种帕金森患者书写辅助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640A (ja) * 1997-10-15 1999-04-27 Hideo Kosaka 上板昇降机
JPH11216020A (ja) * 1998-01-30 1999-08-10 Okamura Corp 机の天板昇降装置
US20080178779A1 (en) * 2007-01-31 2008-07-31 Michael Agee Height adjustable table
KR20090008040A (ko) * 2007-07-16 2009-01-21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3640A (ja) * 1997-10-15 1999-04-27 Hideo Kosaka 上板昇降机
JPH11216020A (ja) * 1998-01-30 1999-08-10 Okamura Corp 机の天板昇降装置
US20080178779A1 (en) * 2007-01-31 2008-07-31 Michael Agee Height adjustable table
KR20090008040A (ko) * 2007-07-16 2009-01-21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430B1 (ko) * 2014-03-03 2015-05-14 주식회사 모텍스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528733B1 (ko) * 2015-01-12 2015-06-15 (주)캠퍼스라인 각도 조절이 용이한 책상
KR20160101744A (ko) 2015-02-17 2016-08-26 (주)청도산업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CN104957886A (zh) * 2015-06-30 2015-10-07 余清海 一种可调式多功能书画桌
CN106108372A (zh) * 2016-07-04 2016-11-16 郭金虎 桌面旋转升降拓展支架
CN106108372B (zh) * 2016-07-04 2018-12-18 兴化市成顺消防科技研究院有限公司 桌面旋转升降拓展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950A (ko) 2011-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470B1 (ko)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CN103976579B (zh) 家用型防近视学习桌椅组合
JP2013501544A (ja) 人間工学に基づいた姿勢を矯正するための勉強バックレスト
US11129479B2 (en) Portable adjustable lumbar support and ergonomic chair
KR100983792B1 (ko) 책상 높이 조절장치
JP2013501544A5 (ko)
CN206182756U (zh) 一种具有自动升降功能的座椅
US20200179195A1 (en) Wheelchair
CN104958165B (zh) 一种坐姿状态四肢康复训练器
CN112137294B (zh) 一种具备矫正功能的学习座椅
KR100959816B1 (ko) 책걸상 높이 조절장치
JP5382508B2 (ja) 起立補助装置
CN2917611Y (zh) 具有手动联动装置的方便病床
CN211582355U (zh) 一种便携式儿童保健座椅
CN209332648U (zh) 一种患儿康复训练椅
CN105146938B (zh) 一种具有升降和按摩功能桌椅
KR102022569B1 (ko) 척수손상 장애인용 웨이트 트레이닝기구
CN111631513A (zh) 一种面向在线教育且利于缓解身体疲劳的施教方法
CN111631543A (zh) 一种有助于在线教育轻松施教的多功能型用椅
CN204542682U (zh) 医用便盆
CN213789803U (zh) 一种多关节运动辅助装置
KR20120006288U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장애인용 책상
CN202122676U (zh) 摇摆按摩椅的锁定控制机构
CN212416882U (zh) 一种双人站立辅助康复架
JP2005287833A (ja) トレーニング用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