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1744A -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 Google Patents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1744A
KR20160101744A KR1020150023848A KR20150023848A KR20160101744A KR 20160101744 A KR20160101744 A KR 20160101744A KR 1020150023848 A KR1020150023848 A KR 1020150023848A KR 20150023848 A KR20150023848 A KR 20150023848A KR 20160101744 A KR20160101744 A KR 20160101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sk
angle
top plat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3462B1 (ko
Inventor
박광수
Original Assignee
(주)청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도산업 filed Critical (주)청도산업
Priority to KR1020150023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462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081Movable, extending, sliding table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4Top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류, 컴퓨터 등을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는 책상 상판을 사용자의 신체적 요건에 따라 상판 높이를 올리거나, 내리고, 또한 사용의 편리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상판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상기 상판의 승하강과 상판각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들이 수납되는 수납박스와, 좌우측다리판, 그리고 상판이 분리 및 조립되어 이송과 보관이 간단한 책상판 승하강 및 각 조절 책상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적 여건에 따른 상판(10) 높이를 전원공급 없이 자유롭고 간단히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신체가 작은 어린이들이 자신의 신체적 조건에 맞는 책상(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학습효과의 증대와 상판(1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보다 편리한 자세에서의 작업을 보다 오랜시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도록 함에 있다.

Description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Desk top up and down and angle adjustment}
본 발명은 서류, 컴퓨터 등을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는 책상 상판을 사용자의 신체적 요건에 따라 상판 높이를 올리거나, 내리고, 또한 사용의 편리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상판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상기 상판의 승하강과 상판각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들이 수납되는 수납박스와, 좌우측다리판, 그리고 상판이 분리 및 조립되어 이송과 보관이 간편한 책상판 승하강 및 각 조절 책상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책상이라함은 책상판이 일정 높이로 유지되도록 한 다리와 이 다리에 고정된 책상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책상은 제조과정에서 책상판의 높이 및 설치각이 수평되게 고정되어 설계 및 제조됨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적 크기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또한 편리성을 위한 상판각 조절에 대한 개선이 미미하였다.
이러한 기술에 대한 선행기술 JP공개공보 제2003-012285호는 4개의 실린더가 상하신축과 함께 전후로의 이동에 의한 상판 승강구조로 하고, KR 제 10-1156470호는 책상의 4개다리에 스크류와 전후 및 좌우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바벨기어로 연동하는 구성, KR 제 10-0978283호는 책상 상판에 고정된 제어봉을 구성하고 이 제어봉이 책상몸체부에 뚫린 제어공에서 슬림되어 이동시켜 상기 제어봉에 뚫린 제어공으로 핀이 관통되어 그 높낮이를 조절하는 극히 수동적 구성과 또다른 KR 제 20-0304155호는 스크류의 구동으로 상판을 승하강한다는 것과 승강구성과 별도로 구성된 외부노출 손잡이로 회전하므로서 랙을 연동하여 승하강하는 구성, KR 제 10-2009-0028042호에서는 책상다리를 이중관으로 구성하고 각각에 제어공을 뚫어 신축된 위치에서 제어핀으로 체결시키는 극히 단순한 구성으로 승하강 구조등을 볼수 있으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이건 발명과는 그 기술사상을 완전히 달리할 뿐만 아니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본원 출원인의 선행기술들 KR 제 20-0373241호는 승강구성을 와이어로 구성함으로서 와이어의 늘어짐, 안내롤에서의 이탈과 함께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단점이 있다.
따라서 출원인은 상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구성의 KR 제 101015574호에서는 모니터를 승하강시키는 목적에 의한 구동모터로 연동하는 이송스크류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가이드봉에 안내되고 이송스크류로 연동하는 이송부재에 모니터체결판을 고정하여 승하강하는 구성과 또다른 발명에서는 상기 발명을 개선한 KR 제 101126667호로 제시되되 스크류를 연동하는 웜기어와 감속기를 구비한 구동모터로 연동시키고 상기 스크류로 승하강되어 승하강부재에 모니터를 체결하되, 컴퓨터 책상 뒤판에 고정되는 설치판에 탄성부재를 중첩하여 상하 고정부재를 체결함으로서 구동모터에 의한 소음 및 떨림등을 방지하고 승강부재에 가이드판과 장공을 뚫은 체결판을 체결시켜 모니터의 체결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개선한 발명들이 있다.
이러한 출원인의 선행기술들은 제조과정에서 일체로 조립된 후 조립상태로 이송과 보관됨으로서 많은 공간이 필요하고 고장에서 수리작업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 10-1386559호를 제안하면서 특히, 책상 상판과 양측다리를 구성하는 좌우측판, 그리고 책상 상판을 사용자의 신체적 요건에 따라 올리거나 내리고 또는 사용의 편리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상판 각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들이 수용되는 장치실로 이루어진 몸체부를 각기 구분하여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함과 몸체부에는 상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상판승하강장치부와 상판각을 조절하는 상판각조절장치부가 구성되어 책상 사용을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효과의 증대 및 효과적인 작업환경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상판승강 및 각도 조절책상을 제공한바 있다.
JP 공개공보 제2003-012285호 KR 특허 제 10-1156470호 KR 특허 제 10-0978283호 KR 실용신안 등록 제 20-0304155 KR 특허 공개 제 10-2009-0028042 KR 실용신안등록 제 20-0373241 KR 특허 제 10-1015574호 KR 특허 제 10-1126667호 KR 특허 제 10-1386559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류, 컴퓨터 등을 올려놓고 작업할 수 있는 책상 상판을 사용자의 신체적 요건에 따라 상판 높이를 올리거나, 내리고, 또한 사용의 편리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상판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책상의 이송과 보관이 용이하도록 책상 상판과 양측다리판 그리고 책상 상판의 승하강 및 상판의 각조절을 위한 장치부가 수용되는 장치수납박스로 각기 구분시켜 구성함으로서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함과,
또한 상기 장치수납박스내에 구성되는 장치부로 책상 상판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상판높낮이를 조절하는 상판승하강장치부 및
상기 책상 상판의 설치각을 수평각으로부터 일정 기울기각으로 상판각을 조절할 수 있는 상판각조절장치부를 구성함과,
상기 상판의 승하강과 상판각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들이 수납되는 수납박스와, 좌우측다리판, 그리고 상판이 분리와 조립되어 이송과 보관이 간단한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책상의 상판(10)과 양측다리판(20), 그리고 상판(10) 높낮이를 조절하는 상판승하강장치부(30)와, 상판의 이송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킹수단(40), 상기 상판(10)의 설치각을 수평으로부터 일정각 기울기로 상판각을 조절할 수 있는 상판각조절장치부(50)를 수용하는 장치수납박스(60)로 각기 구분하여 구성되는 책상(1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장치수납박스(60)내면에 레일홈(31)이 구성된 레일판(32)이 감싸지게 유착되어 상하왕복되는 가이드부재(33);
상기 가이드부재(33)에 가이드장공(34)과 함께 구성되는 밸런스판(35)과 가이드롤(36)로 솔림방지와 안내를 이루고,
상기 밸런스판(35)과 하판(63)에 체결된 힌지경첩(12)으로 장착된 유압쇼버(39)로 승하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상판승하강장치부(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판 승하강 및 각 조절 및
상기 책상(100)을 형성하는 양측다리판(20)과 장치수납박스(60) 및 레일판(32)을 관통하는 체결노브(41)의 체결볼트(42)가 레일판(32)을 감싼 가이드부재(33)에 뚫린 가이드장공(34)을 관통하여 가이드부재(33)에 밀착된 너트고정부재(43)와 체결로 가이드부재(33)를 제어하는 로킹수단(40)과,
상기 가이드부재(33)상단 브라켓(37)에 구성된 상판받침재(11)에 구성되는 상판(10)은 세움되는 제 1상판(10-1)과 고정의 제 2상판(10-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판,
또한 상기 장치수납박스(60)에 상판(10) 높낮이를 조절하는 상판승하강장치부(30)와, 상판의 이송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킹수단(40), 그리고 상기 상판(10)의 설치각을 수평으로부터 일정각 기울기로 상판각을 조절할 수 있는 상판각조절장치부(50)를 수납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적 여건에 따른 상판(10) 높이를 전원공급 없이 자유롭게 간단히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신체가 작은 어린이들이 자신의 신체적 조건에 맞는 책상(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학습효과의 증대와 상판(1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보다 편리한 자세에서의 작업을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책상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중요 장치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책상 상판의 승하강 및 상판각 작동상태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책상 상판의 승하강 구성을 설명하는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책상 상판의 승하강 및 상판각 작동상태의 측단면도.
본 발명은 책상의 이송과 보관이 용이하도록 책상 상판과 양측다리판 그리고 책상 상판의 승하강 및 상판의 각조절을 위한 장치부가 수용되는 장치수납박스로 각기 구분시켜 구성함으로서 분해와 조립이 용이한 특징과,
그리고 상기 장치수납박스내에 구성되는 장치부로 책상 상판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상판높낮이를 조절하는 상판승하강장치부 및
상기 책상 상판의 설치각을 수평각으로부터 일정 기울기각으로 상판각을 조절할 수 있는 상판각조절장치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서 도시한 사시도에서와 같이 책상(100)을 구성하기 위한 책상의 상판(10)과 양측다리판(20), 그리고 상판(10) 높낮이를 조절하는 상판승하강장치부(30)와, 상판의 이송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킹수단(40), 그리고 상기 상판(10)의 설치각을 수평으로부터 일정각 기울기로 상판각을 조절할 수 있는 상판각조절장치부(50)를 수용하는 장치수납박스(60)로 각기 구분하여 구성함으로서 간단한 분해및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한 책상(10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로 상판승하강장치부(30)와 상판각조절장치부(50)를 수용하고, 고장 등 수리에서 개폐할 수 있는 개폐판(61)이 체결볼트로 체결되는 장치수납박스(60)와,
상기 장치수납박스(60)를 형성하는 양측판(62) 내면에 상하로 형성되는 레일홈(31)이 구성된 레일판(32)을 체결함과 함께 이 레일판(32)에 감싸지게 유착되어 상하왕복되는 가이드부재(33);
상기 가이드부재(33)는 레일판(32)을 감싸지는 단면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앙으로 가이드장공(34)과 일측에 체결되는 밸런스판(35);
상기 가이드부재(33)에 체결되는 밸런스판(35)의 양단면은 상기 가이드부재(33)를 관통하여 레일판(32)에 형성된 레일홈(31)에 끼워져 슬라이드 구성함으로서 상하 이동에서 넓은 면적으로 지지되어 가이드부재(33)가 상하이송시 수평에 대한 밸런스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하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부재(33)와 밀착된 가이드롤(36)이 레일판(32) 상하에 힌지되어
승하강하는 가이드부재(33)가 상하 이동에서 쏠림 및 비틀림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승하강 작용을 이룰수 있도록 하는 상판승하강장치부(30)를 이루되,
상기 장치수납박스(60)의 하판(63)에 로드고정되고 실린더(38)는 상기 승하강되는 밸런스판(35)에 각각의 힌지경첩(12)으로 힌지되게 장착되는 유압쇼버(39)로 이루어지는 상판승하강장치부(30) 및
본 발명 책상(100)을 형성하는 양측다리판(20)내로 형성되는 장치수납박스(60)의 양측판(62)과 레일판(32)을 관통하고 상기 레일판(32)을 감싼 가이드부재(33)에 뚫린 가이드장공(34)을 관통하도록 양측다리판(20) 외부로부터 관통한 체결노브(41)의 체결볼트(42)가 가이드부재(33)에 밀착된 너트고정부재(43)와 체결로 상기 가이드부재(33)를 상하로 이송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로킹수단(40),
이와 함께 상기 상판승하강장치부(30)를 이루는 가이드부재(33) 상단에 "T"자형으로 브라켓(37)을 구성시켜 상판받침재(11)가 체결되고, 상판받침재(11) 선단에서 힌지경첩(12)으로 힌지되어 세움되는 제 1상판(10-1)과 상기 상판받침재(11)에 고정되어 상판승하강장치부(30)에 의해 승하강되는 제 2상판(10-2)이 구성되는 책상 상판(10),
이와 함께 상기 승하강되는 밸런스판(35)에 힌지경첩(12)으로 힌지되고 상부측은 상판(10) 중 제 1상판(10-1) 내측면에 힌지경첩(12)으로 힌지되는 상판각조절장치부(50)를 구성시켜 제 1상판(10-1) 전면으로 구성되는 온/온프스위치(51)의 조작에 따라 상기 상판각조절장치부(50)의 구동모터(M)로 구동하는 스크류의 연동으로 상판각조절장치부(50)의 신축부(52)가 신축되어 제 1상판(10-1)을 상기 힌지경첩(12)을 기점으로 회전이동시킴으로서 상판받침재(11)로부터 비스듬한 대각면으로 설치각을 설정할 수 있는 상판각조절장치부(50)로 구성된다.
미설명 부호 64는 개폐판 체결브라켓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서 도시한 사시도에서와 같이 제 1상판(10-1)과 제 2상판(10-2)으로 분할된 상판(10)이 장치수납박스(60)내에 구성되어 승하강되는 가이드부재(33)의 브라켓(37)을 구성시켜 상판받침재(11)에 체결되어 승하강과 함께 상기 장치수납박스(60)내에 구성된 상판각조절장치부(50)에 의해 분할된 제 1상판(10-1)의 후면부가 승하강으로 설치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상판(10)과 책상(100)을 구성하기 위한 양측다리판(20)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판(10) 높낮이와 상판각을 조절하는 상판승하강장치부(30)와, 상판(10)의 설치각을 수평으로부터 일정각 기울기로 상판각을 조절할 수 있는 상판각조절장치부(50)를 수용하는 장치수납박스(60)로 각기 구분하여 구성함으로서 간단한 분해와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한 특징과 함께,
사용자가 수작업에 의해 상판(10)을 당겨 높이를 높이거나 가압하여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수동 조절이 가능한 특징이 발휘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작과정에서 제 1상판(10-1)과 제 2상판(10-2), 그리고 양측다리판(20), 상판승하강장치부(30)와 상판각조절장치부(50)가 구성된 장치수납박스(60)로 각기 구성되어 수요자에게 포장 공급될 수 있고 수요자는 공급받은 상기 부속물을 조립함으로서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책상(100)을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 상판(10)높이를 낯추게된다.
이때, 양측으로 노출된 로킹수단(40)의 체결노브(41)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볼트(42)가 레일판(32)을 감싼 가이드부재(33)에 뚫린 가이드장공(34)을 관통하여 체결된 너트고정부재(43)로부터 풀림하면, 상기 가이드부재(33)가 레일판(32)과 압착이 해지되면서 가이드부재(33)는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판(10)을 가압하면, 상판(10)은 상판받침재(11)와 함께 "T"자형으로 브라켓(37)으로 연결된 가이드부재(33)를 가압하여 하강하게되고, 이러한 작용은 상기 가이드부재(33)가 장치수납박스(60)를 형성하는 양측판(62) 내면에 레일홈(31)이 구성된 레일판(32)으로 안내되어 하강하게 되고 또한 이러한 하강은 상기 가이드부재(33)에 체결된 밸런스판(35)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동함과 함께 장치수납박스(60)의 하판(63)에 로드고정되고 실린더(38)는 상기 승하강되는 밸런스판(35)에 각각의 힌지경첩(12)으로 힌지된 장착의 유압쇼버(39)를 가압하므로서 상판(10)이 급격한 이동이 제지되는 한편 서서히 이동하고 또한 많은 힘없이 적은 힘만으로도 자유롭게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동으로 상판(10)높이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에서 풀림된 로킹수단(40)의 체결노브(41)를 잠금하게 된다.
이러한 잠금에 의해 양측판(62) 내면으로 레일홈(31)이 구성된 레일판(32)에 유착된 가이드부재(33)가 상기 체결노브(41)와 너트고정부재(43)가 체결로 압축되어 상기 가이드부재(33)를 고정함으로서 이 가이드부재(33)로부터 연동하는 상판(10)은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이와 같은 상판(10)을 이용하여 책상(100)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어른 또는 키가 큰경우 상기 책상 상판(10)을 상부로 이동시켜 그 높이를 조절하여 높이게 된다.
즉, 전술한바와 같이 양측으로 노출된 로킹수단(40)의 체결노브(41)를 풀림방향으로 회전시켜 체결볼트(42)가 레일판(32)을 감싼 가이드부재(33)에 뚫린 가이드장공(34)을 관통하여 체결된 너트고정부재(43)로부터 풀림하면, 상기 가이드부재(33)가 레일판(32)과 압착이 해지되면서 가이드부재(33)는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판(10)을 상부로 당기면, 상판(10)은 상판받침재(11)와 함께 "T"자형으로 브라켓(37)으로 연결된 가이드부재(33)를 상부로 당김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상기 가이드부재(33)가 장치수납박스(60)를 형성하는 양측판(62) 내면에 레일홈(31)이 구성된 레일판(32)으로 안내되어 상승하게 되고 또한 이러한 상승은 상기 가이드부재(33)에 체결된 밸런스판(35)에 의해 안정적으로 이동함과 함께 장치수납박스(60)의 하판(63)에 로드가 고정되고 실린더(38)는 상기 승하강되는 밸런스판(35)에 각각의 힌지경첩(12)으로 힌지된 장착의 유압쇼버(39)가 신장되면서 상판(10)이 급격한 이동이 제지되는 한편 서서히 이동하고 또한 많은 힘 없이 적은 힘만으로도 자유롭게 승강시킬 수 있게된다.
이러한 이동으로 상판(10)높이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에서 풀림된 로킹수단(40)의 체결노브(41)를 잠금하게 된다.
이러한 잠금에 의해 양측판(62) 내면으로 레일홈(31)이 구성된 레일판(32)에 유착된 가이드부재(33)가 상기 체결노브(41)와 너트고정부재(43)가 체결로 압축되어 상기 가이드부재(33)를 고정함으로서 이 가이드부재(33)로부터 연동하는 상판(10)은 정지상태를 유지하고 이와 같은 상판(10)을 이용하여 책상(100)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상판(10)중 분할된 제 1상판(10-1)을 비스듬한 각으로 조절하여 컴퓨터의 키보드 작업, 또는 독서를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상판(10-1)의 조절각 조절은 제 1상판(10-1) 전면으로 구성되는 온/온프스위치(51)의 조작으로 상판각조절장치부(50)의 구동모터(M)가 스크류를 연동하여 상판각조절장치부(50)의 신축부(52)가 신축되면서 제 1상판(10-1)을 힌지경첩(12)을 기점으로 회전이동시킴으로서 상판받침재(11)로부터 비스듬한 대각면으로 설치되게 이동하고 상기 온/온프스위치(51)가 정지하면 설정각에서 정지하게 되며, 설정각은 사용자가 온/온프스위치(51)의 조작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한 전원공급용 전선 등은 도면등에서 생략하였고 설치각을 제어하기 위한 리미트를 더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적 여건에 따른 상판(10) 높이를 전원공급 없이 자유롭고 간단히 조절할 수 있고 특히 신체가 작은 어린이들이 자신의 신체적 조건에 맞는 책상(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학습효과의 증대와 상판(10)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보다 편리한 자세에서의 작업을 보다 오랜시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됨은 물론이다.
10 : 상판 10-1 : 제 1상판 10-2 : 제 2상판
11 : 상판받침재 12 : 힌지경첩 20 : 양측다리판
30 : 상판승하강장치부 31 : 레일홈 32 : 레일판
33 : 가이드부재 34 : 가이드장공 35 : 밸런스판
36 : 가이드롤 37 : 브라켓 38 : 실린더
39 : 유압쇼버 40 : 로킹수단 41 : 체결노브
42 : 체결볼트 43 : 너트고정부재 50 : 상판각조절장치부
51 : 온/온프스위치 52 : 신축부 60 : 장치수납박스
61 : 개폐판 62 : 양측판 63 : 하판
100 : 책상 M : 구동모터

Claims (4)

  1. 책상의 상판(10)과 양측다리판(20), 그리고 상판(10) 높낮이를 조절하는 상판승하강장치부(30)와, 상판의 이송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킹수단(40), 상기 상판(10)의 설치각을 수평으로부터 일정각 기울기로 상판각을 조절할 수 있는 상판각조절장치부(50)를 수용하는 장치수납박스(60)로 각기 구분하여 구성되는 책상(1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장치수납박스(60)내면에 레일홈(31)이 구성된 레일판(32)이 감싸지게 유착되어 상하왕복되는 가이드부재(33);

    상기 가이드부재(33)에 가이드장공(34)과 함께 구성되는 밸런스판(35)과 가이드롤(36)로 솔림방지와 안내를 이루고,
    상기 밸런스판(35)과 하판(63)에 체결된 힌지경첩(12)으로 장착된 유압쇼버(39)로 승하강이 간편이 이루어지는 상판승하강장치부(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100)을 형성하는 양측다리판(20)과 장치수납박스(60) 및 레일판(32)을 관통하는 체결노브(41)의 체결볼트(42)가 레일판(32)을 감싼 가이드부재(33)에 뚫린 가이드장공(34)을 관통하여 가이드부재(33)에 밀착된 너트고정부재(43)와 체결로 가이드부재(33)를 제어하는 로킹수단(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33)상단 브라켓(37)에 구성된 상판받침재(11)에 구성되는 상판(10)은 세움되는 제 1상판(10-1)과 고정의 제 2상판(10-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수납박스(60)에 상판(10) 높낮이를 조절하는 상판승하강장치부(30)와, 상판의 이송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킹수단(40), 그리고 상기 상판(10)의 설치각을 수평으로부터 일정각 기울기로 상판각을 조절할 수 있는 상판각조절장치부(50)를 수납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KR1020150023848A 2015-02-17 2015-02-17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KR101753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848A KR101753462B1 (ko) 2015-02-17 2015-02-17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848A KR101753462B1 (ko) 2015-02-17 2015-02-17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744A true KR20160101744A (ko) 2016-08-26
KR101753462B1 KR101753462B1 (ko) 2017-07-20

Family

ID=5688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848A KR101753462B1 (ko) 2015-02-17 2015-02-17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34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967Y1 (ko) * 2016-10-12 2017-04-05 (주)엉클톰 상판이 슬라이딩되는 각도조절 책상
CN108577204A (zh) * 2018-06-02 2018-09-28 滨州华美外国语学校 一种手感温润耐冷热的茶几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285A (ja) 2001-07-02 2003-01-15 Misawa Homes Co Ltd 作業台
KR200304155Y1 (ko) 2002-11-25 2003-02-17 박은규 높이와 각도 조절이 용이한 책상
KR200373241Y1 (ko) 2004-10-29 2005-01-14 박광수 컴퓨터책상
KR20090028042A (ko) 2007-09-13 2009-03-18 박종윤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책상
KR100978283B1 (ko) 2008-01-18 2010-08-26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KR101015574B1 (ko) 2010-10-11 2011-02-17 (주)청도산업 자동 티브이 출몰장치
KR101126667B1 (ko) 2010-10-20 2012-03-29 박광수 컴퓨터 책상
KR101156470B1 (ko) 2010-06-18 2012-06-18 유인규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1386559B1 (ko) 2013-07-24 2014-05-07 (주)청도산업 상판승강 및 각도 조절책상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285A (ja) 2001-07-02 2003-01-15 Misawa Homes Co Ltd 作業台
KR200304155Y1 (ko) 2002-11-25 2003-02-17 박은규 높이와 각도 조절이 용이한 책상
KR200373241Y1 (ko) 2004-10-29 2005-01-14 박광수 컴퓨터책상
KR20090028042A (ko) 2007-09-13 2009-03-18 박종윤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책상
KR100978283B1 (ko) 2008-01-18 2010-08-26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학생용 책상
KR101156470B1 (ko) 2010-06-18 2012-06-18 유인규 높낮이조절 및 상판 각도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101015574B1 (ko) 2010-10-11 2011-02-17 (주)청도산업 자동 티브이 출몰장치
KR101126667B1 (ko) 2010-10-20 2012-03-29 박광수 컴퓨터 책상
KR101386559B1 (ko) 2013-07-24 2014-05-07 (주)청도산업 상판승강 및 각도 조절책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967Y1 (ko) * 2016-10-12 2017-04-05 (주)엉클톰 상판이 슬라이딩되는 각도조절 책상
CN108577204A (zh) * 2018-06-02 2018-09-28 滨州华美外国语学校 一种手感温润耐冷热的茶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3462B1 (ko)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10141C (en) Height adjustable vertically oriented screen or the like
US7128003B2 (en) Lifting device for visual screens
US20070108791A1 (en) Lifting device for a display
CN102631271B (zh) 手术台支柱
KR101923207B1 (ko) 강화 유리도어 조립장치
US11839294B2 (en) Height adjustable platforms and associated mechanisms
JP6055517B2 (ja) 手術台のための手術台基部
KR101386559B1 (ko) 상판승강 및 각도 조절책상
CN204785429U (zh) 无级伸缩自动调节式拼接屏前维护支架
KR101753462B1 (ko) 책상판 승하강 및 각조절 책상
US20110192680A1 (en) Adjustable tree stand
KR20190138383A (ko) 패널용 수직 수평 보링 장치
KR101423505B1 (ko) 장애인용 멀티 작업대
KR101581833B1 (ko) 고정프레임이 구비된 전동테이블
KR101684360B1 (ko) 열진공챔버의 시편 반입리프트용 처짐보정 치구
JP2010107746A (ja) ディスプレイの支持装置
KR101620126B1 (ko) 벽부착형 가구의 지지구조물
JP3208988U (ja) モーター付減速機を駆動軸に直接嵌合した縦型回転棚装置
CN115419800A (zh) 一种远程会议的多角度投影装置
EP2134213A2 (en) Device for height adjustment of a table top such as a working or writing desk
KR101564873B1 (ko) 책상
KR102415492B1 (ko) 항공용 외장포드 정비용 다용도 거치장치
KR20220055685A (ko) 벽면패널 부착장치
KR20160071020A (ko) 전자칠판용 디스플레이 패널 위치조정장치
JP5355945B2 (ja) 天板昇降式作業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