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3171B1 -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171B1
KR101513171B1 KR1020140023114A KR20140023114A KR101513171B1 KR 101513171 B1 KR101513171 B1 KR 101513171B1 KR 1020140023114 A KR1020140023114 A KR 1020140023114A KR 20140023114 A KR20140023114 A KR 20140023114A KR 101513171 B1 KR101513171 B1 KR 101513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vertical support
bed
electric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섭
Original Assignee
김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섭 filed Critical 김흥섭
Priority to KR1020140023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61G2203/34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for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원침대용 식탁의 힌지부분에 동력제공수단을 부가설치하고, 환자가 침대 손잡이 부위를 강하게 파지하면 이를 압력센서로 센싱하여 상기 동력제공수단을 유동시켜 자동으로 식탁이 승강하도록 구성하되, 식탁의 승하강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환자 스스로 보다 편리하게 식탁을 유동시키면서도 초기에는 빠르게 이동하고 나중에는 천천히 이동하여 급격한 이동으로 인한 충격을 줄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름용 바퀴(11)와, 구름용 바퀴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12)와, 수직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는 직사각형 수평 프레임(13)과, 수평 프레임 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14)와, 수평 프레임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안전난간(15)과, 수평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침대 매트리스(16)로 이루어지는 병원침대(10)와; 상기 병원침대(10)의 수평 프레임(13) 일단에 설치되며 수직 지지대(21)와 식판(22)으로 이루어져 수직 지지대(2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거나 접히며, 수직 지지대(21)를 회전하여 승강시키면 식판(22)이 침대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식사를 가능하게 하고, 하강시키면 안전난간쪽으로 접혀지면서 침대위에서의 활동에 지장을 주지않게 위치되는 식탁(20)과; 상기 식탁의 수직 지지대(21)를 수평 프레임(13)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상기 식탁의 수직 지지대(21)의 승하강을 회전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30)와;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식탁을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1, 2구동용 몸체(41, 42)와;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30) 일단에 탑재되며 전기적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1, 2전동모터(51, 52)와; 상기 제 1 구동용 몸체(41)에 설치하되 제 1 전동모터(51)의 출력측 일측에 설치되어 제 1 전동모터(51)의 회전에 상응하여 자체 회전하는 제 1 전동 스크류(61)와; 상기 제 2 구동용 몸체(42)에 설치하되 제 2 전동모터(52)의 출력측 타측에 설치되어 제 2 전동모터(52)의 회전에 상응하여 자체 회전하는 제 2 전동 스크류(62)와; 상기 제 1 전동 스크류(61)에 설치되어 제 1 전동 스크류(61)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식탁을 들어올리는 시소 형태의 무게 작용을 하는 제 1 무게추(71)와; 상기 제 2 전동 스크류(62)에 설치되어 제 2 전동 스크류(62)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식탁을 하강시키는 시소 형태의 무게 작용을 하는 제 2 무게추(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A Table Ascending and Decending Unit of Hospital Bed}
본 발명은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병원침대용 식탁의 힌지부분에 동력제공수단을 부가설치하고, 환자가 침대 손잡이 부위를 강하게 파지하면 이를 압력센서로 센싱하여 상기 동력제공수단을 유동시켜 자동으로 식탁이 승강하도록 구성하되, 식탁의 승하강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환자 스스로 보다 편리하게 식탁을 유동시키면서도 초기에는 빠르게 이동하고 나중에는 천천히 이동하여 급격한 이동으로 인한 충격을 줄이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 등의 입원실에 비치된 다양한 종류의 의료용 침대에는 환자가 음식이나 간식 등을 침대에서 앉은 채로 취식할 수 있도록 한 식판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의료용 침대의 식판 구조는 침대의 상판프레임의 양측에 회전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L"자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 침대의 상판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이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되게 하는 한 쌍의 멈춤구와 받침구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의해 양측이 수평으로 지지되는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블을 손으로 잡고 환자의 몸쪽으로 잡아 당기면, 받침구에 의하여 "┖"자로 접힌 지지프레임이 회동구에 의해 회동되면서 멈춤구에 의해 "┍"자로 펼친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테이블이 침대와 평행하게 유지되어 식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의료용 침대의 식판 구조는 사용 후 테이블을 다시 원상태로 접을 때, 테이블이 끝까지 접힐 때까지 잡고 있지 않고 그 이전에 놓게 되면 테이블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의 자중에 의해 빠르게 접혀지면서 지지프레임이 받침구 및 상판프레임와 강하게 충돌되면서 큰 소음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환자는 물론 주변 사람 모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고, 상기와 같이 계속 사용하게 되면 충돌로 인한 피로 누적으로 지지프레임이나 멈춤구가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지지프레임의 단부에 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타입의 회동제어장치를 설치한 식판 구조가 선출원되었다.
따라서 식판을 사용하기 위해 테이블을 접을 때 지지프레임이 상기 회동제어장치에 의해 천천히 회동하게 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회동제어장치를 설치한 종래의 사용이 편리한 의료용 침대의 식판 구조는 지지프레임이 링크를 통해 회동제어장치에 직접 연결된 구조이므로, 테이블을 펴거나 접을 때 지지프레임이 완전히 회동될 때까지 상기 테이블을 당기거나 밀어주어야 하고, 이때는 회동제어장치가 설치되지 않은 식판 구조의 테이블을 당기거나 밀때보다 더욱 많이 힘을 필요로 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물론이고, 거동이 가능한 환자나 간병인, 보호자라고 하더라도 사용에 있어 불편함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개특허 10-2009-0094493에서 제안된 의료용 침대의 식판 구조는 침대(100)의 상판프레임(101)의 양측에 회전구(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과; 상판프레임(101)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2)이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멈춤구(3) 및 받침구와; 상기 지지프레임(2)의 상단에 양측이 수평되게 설치되는 테이블(4)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구가 로드(5)로 가해지는 충격을 내부에 충진된 완충재의 내압을 통해 흡수 완충하는 쇼크업쇼버타입의 완충장치(6)로 구성되되, 상기 완충장치(6)의 로드(5)는 지지프레임(2)의 단부에 설치된 작동간(7)과는 링크되어 있지 않고 테이블(4)이 접히는 과정에서만 작동간(7)과 접촉되어 충격을 흡수 완충하는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에 따라 보호자가 없는 경우 환자 혼자서 병원침대용 식탁을 들어올리거나 내릴때는 매우 불편하였으며, 중증 환자의 경우에는 혼자 병원침대용 식탁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호자 도움없이는 식사하기가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환자 혼자서 병원침대용 식탁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제작한 것으로, 침대 일단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환자가 상기 압력센서를 누르면 식탁의 일단에 설치된 동력장치가 움직이면서 식탁을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승강시키고, 또한 하강시에 동력장치가 움직이면서 자연스럽게 하강시키도록 하였다. 특히 승강과 하강과정에서 속도가 변환되도록하여 초기 기동시에은 빠르게 그리고 마지막 위치에서는 서서히 움직이도록 구성하여 사용상 편리함을 극대화시키고 다른 침대 구성과의 충돌로 인한 소음발생을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구름용 바퀴(11)와, 구름용 바퀴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12)와, 수직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는 직사각형 수평 프레임(13)과, 수평 프레임 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14)와, 수평 프레임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안전난간(15)과, 수평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침대 매트리스(16)로 이루어지는 병원침대(10)와; 상기 병원침대(10)의 수평 프레임(13) 일단에 설치되며 수직 지지대(21)와 식판(22)으로 이루어져 수직 지지대(2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거나 접히며, 수직 지지대(21)를 회전하여 승강시키면 식판(22)이 침대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식사를 가능하게 하고, 하강시키면 안전난간쪽으로 접혀지면서 침대위에서의 활동에 지장을 주지않게 위치되는 식탁(20)과; 상기 식탁의 수직 지지대(21)를 수평 프레임(13)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상기 식탁의 수직 지지대(21)의 승하강을 회전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30)와;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식탁을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1, 2구동용 몸체(41, 42)와;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30) 일단에 탑재되며 전기적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1, 2전동모터(51, 52)와; 상기 제 1 구동용 몸체(41)에 설치하되 제 1 전동모터(51)의 출력측 일측에 설치되어 제 1 전동모터(51)의 회전에 상응하여 자체 회전하는 제 1 전동 스크류(61)와; 상기 제 2 구동용 몸체(42)에 설치하되 제 2 전동모터(52)의 출력측 타측에 설치되어 제 2 전동모터(52)의 회전에 상응하여 자체 회전하는 제 2 전동 스크류(62)와; 상기 제 1 전동 스크류(61)에 설치되어 제 1 전동 스크류(61)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식탁을 들어올리는 시소 형태의 무게 작용을 하는 제 1 무게추(71)와; 상기 제 2 전동 스크류(62)에 설치되어 제 2 전동 스크류(62)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식탁을 하강시키는 시소 형태의 무게 작용을 하는 제 2 무게추(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14)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4)를 파지하거면 이를 파악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서(8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30)의 일측에 설치되며, 식탁(20)의 경사를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무게추(70)의 유동을 결정하도록 유도하는 경사각 센서(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자 혼자서 병원침대용 식탁을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도록 제작한 것으로, 침대 일단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환자가 상기 압력센서를 누르면 식탁의 일단에 설치된 동력장치가 움직이면서 식탁을 자연스럽게 회전하면서 승강시키고, 또한 하강시에 동력장치가 움직이면서 자연스럽게 하강시키도록 하기 때문에 환자 혼자서 자유롭게 식탁을 승하강 시킬 수 있고, 또한 식탁이 승하강하면서 자동으로 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강한 충돌로 인한 소음을 미리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병원침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용 몸체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동용 몸체 작동도로서 식탁이 상승할 때 제 1 무게추가 왼쪽 끝단으로 이동하여 식판의 초기 상승을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식판의 침대 매트리스 상부에 위치되어 제 1 무게추를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식판의 이동속도를 낮추면서 식판이 펼쳐진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환자가 식판을 밀어서 제 2 무게추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식판이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식판이 완전히 접혀지기 전에 제 2 무게추가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식판의 하강속도를 낮추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회로구성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동용 몸체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동용 몸체 작동도로서 식탁이 상승할 때 제 1 무게추가 왼쪽 끝단으로 이동하여 식판의 초기 상승을 유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식판의 침대 매트리스 상부에 위치되어 제 1 무게추를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식판의 이동속도를 낮추면서 식판이 펼쳐진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서 환자가 식판을 밀어서 제 2 무게추가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식판이 하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 식판이 완전히 접혀지기 전에 제 2 무게추가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식판의 하강속도를 낮추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회로구성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병원침대(10)와, 식탁(20)과, 회전 지지용 힌지(30)와, 구동용 몸체(41, 42)와, 전동모터(51, 52)와, 전동 스크류(61, 62)와, 무게추(71, 72)와, 압력센서(81)와, 경사각 센서(90)와, 제어부(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병원침대(10)는 구름용 바퀴(11)와, 구름용 바퀴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12)와, 수직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는 직사각형 수평 프레임(13)과, 수평 프레임 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14)와, 수평 프레임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안전난간(15)과, 수평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침대 매트리스(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탁(20)은 병원침대(10)의 수평 프레임(13) 일단에 설치되며 수직 지지대(21)와 식판(22)으로 이루어져 수직 지지대(2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거나 접히며, 수직 지지대(21)를 회전하여 승강시키면 식판(22)이 침대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식사를 가능하게 하고, 하강시키면 안전난간쪽으로 접혀지면서 침대위에서의 활동에 지장을 주지않게 위치된다.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30)는 식탁의 수직 지지대(21)를 수평 프레임(13)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상기 식탁의 수직 지지대(21)의 승하강을 회전지지한다.
상기 1, 2구동용 몸체(41, 42)는 회전 지지용 힌지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식탁을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1, 2전동모터(51, 52)는 회전 지지용 힌지(30) 일단에 탑재되며 전기적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전동 스크류(61)는 제 1 구동용 몸체(41)에 설치하되 제 1 전동모터(51)의 출력측 일측에 설치되어 제 1 전동모터(51)의 회전에 상응하여 자체 회전한다.
상기 제 2 전동 스크류(62)는 제 2 구동용 몸체(42)에 설치하되 제 2 전동모터(52)의 출력측 타측에 설치되어 제 2 전동모터(52)의 회전에 상응하여 자체 회전한다.
상기 제 1 무게추(71)는 제 1 전동 스크류(61)에 설치되어 제 1 전동 스크류(61)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무게 균형을 맞춘다.
상기 제 2 무게추(72)는 제 2 전동 스크류(62)에 설치되어 제 2 전동 스크류(62)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무게 균형을 맞춘다.
상기 압력센서(81)는 손잡이(14)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4)를 파지하면 이를 파악하여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경사각 센서(90)는 회전 지지용 힌지(30)의 일측에 설치되며, 식탁(20)의 경사를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무게추(70)의 유동을 결정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압력센서(81) 및 경사각 센서(90)의 결과에 따라서 사용자가 식판(20)의 상승을 유도하면 제 1 전동 스크류(61) 또는 제 2 전동 스크류(62)의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제 1 무게추(71) 또는 제 2 무게추(72)를 제 1, 2 구동용 몸체(41, 42)의 끝단으로 이동시켜 무게추(71, 72)로 인한 무게 작용이 최고가 되도록하여 초기에는 식판(22)이 빠르게 움직이도록하고 나중에는 제 1, 2 무게추(71, 72)를 힌지쪽으로 이동시켜 무게추(71, 72)로 인한 무게 작용이 최소화가 되도록 하여 천천히 움직이도록하여 결국 전체적으로 식판(22)이 자동으로 빠르게 기동하면서도 나중에는 천천이 작동하기 때문에 작동소음이나 충돌에 의한 소음을 없애도록 유도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환자가 손잡이(14)의 특정부분을 파지하여 일정이상 압력을 가하면 압력센서(81)가 이를 파악하고, 제어부(100)에서는 환자가 식판(22)을 들어올릴 것을 명령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1 전동스크류(61)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전동스크류(61)가 구동되면서 제 1 무게추(71)를 왼쪽 끝단으로 이송시켜 식탁(20)이 힌지(30)를 중심으로 빠르게 회전하도록한다. 이때 회전각도는 경사각 센서(90)에 의해서 파악되며 일정이상 상승하게 되면 제 1 무게추(71)를 오른쪽 끝단으로 서서히 이동시키면서 식판(22)의 구동을 늦추어서 식판(22)이 침대 매트리스(16)위에 수직하게 서면서 구동이 멈추도록한다.
이후, 환자는 상기 식판 위에 각종 식기를 얹어 놓은 상태에서 식사를 하면된다.
즉, 본 발명은 시소 원리를 적용하여 식판을 승강시킬때 최초에는 힌지(30)로부터 먼 거리로 제 무게추(71)를 이동시켜 빠른 속도로 식판(22)이 이동하도록하고 경사각 센서(90) 판독결과 일정 경사가 지나면 힌지(30) 가까운 쪽으로 제 무게추(71)를 이동시켜 서서히 식판이 이동하도록 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병원침대
11: 구름용 바퀴
12: 수직 지지대
13: 수평 프레임
14: 손잡이
15: 안전난간
16: 침대 매트리스
20: 식탁
21: 수직 지지대
22: 식판
30: 회전 지지용 힌지
40: 구동용 몸체
50: 전동모터
60: 전동 스크류
70: 무게추
81: 압력센서
90: 경사각 센서
100: 제어부

Claims (5)

  1. 구름용 바퀴(11)와, 구름용 바퀴 상부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대(12)와, 수직 지지대 상부에 설치되는 직사각형 수평 프레임(13)과, 수평 프레임 측면에 설치되는 손잡이(14)와, 수평 프레임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안전난간(15)과, 수평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침대 매트리스(16)로 이루어지는 병원침대(10)와;
    상기 병원침대(10)의 수평 프레임(13) 일단에 설치되며 수직 지지대(21)와 식판(22)으로 이루어져 수직 지지대(2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거나 접히며, 수직 지지대(21)를 회전하여 승강시키면 식판(22)이 침대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식사를 가능하게 하고, 하강시키면 안전난간쪽으로 접혀지면서 침대위에서의 활동에 지장을 주지않게 위치되는 식탁(20)과;
    상기 식탁의 수직 지지대(21)를 수평 프레임(13)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상기 식탁의 수직 지지대(21)의 승하강을 회전지지하는 회전 지지용 힌지(30)와;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식탁을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1, 2구동용 몸체(41, 42)와;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30) 일단에 탑재되며 전기적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1, 2전동모터(51, 52)와;
    상기 제 1 구동용 몸체(41)에 설치하되 제 1 전동모터(51)의 출력측 일측에 설치되어 제 1 전동모터(51)의 회전에 상응하여 자체 회전하는 제 1 전동 스크류(61)와;
    상기 제 2 구동용 몸체(42)에 설치하되 제 2 전동모터(52)의 출력측 타측에 설치되어 제 2 전동모터(52)의 회전에 상응하여 자체 회전하는 제 2 전동 스크류(62)와;
    상기 제 1 전동 스크류(61)에 설치되어 제 1 전동 스크류(61)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식탁을 들어올리는 시소 형태의 무게 작용을 하는 제 1 무게추(71)와;
    상기 제 2 전동 스크류(62)에 설치되어 제 2 전동 스크류(62)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하면서 식탁을 하강시키는 시소 형태의 무게 작용을 하는 제 2 무게추(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4)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4)를 파지하면 신호를 출력하는 압력센서(8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용 힌지(30)의 일측에 설치되며, 식탁(20)의 경사를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무게추(70)의 유동을 결정하도록 유도하는 경사각 센서(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40023114A 2014-02-27 2014-02-27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 KR101513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114A KR101513171B1 (ko) 2014-02-27 2014-02-27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114A KR101513171B1 (ko) 2014-02-27 2014-02-27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171B1 true KR101513171B1 (ko) 2015-04-20

Family

ID=53053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114A KR101513171B1 (ko) 2014-02-27 2014-02-27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1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6238A (zh) * 2016-01-25 2016-07-06 刘湘静 一种采用自动控制技术的多功能医疗床
CN108814852A (zh) * 2018-04-24 2018-11-16 郑务南 一种孕妇分娩后专用餐桌
CN109350396A (zh) * 2018-11-13 2019-02-19 普宁市思迪实业有限公司 一种肛肠科术后用医疗病床
KR20210100788A (ko) 2020-02-06 2021-08-18 최혁순 폴딩형 침대
KR102374221B1 (ko) * 2021-11-12 2022-03-15 박도희 다용도 식탁을 구비하는 환자용 안전 침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116Y1 (ko) * 2006-11-08 2008-05-26 장문식 엘이디 모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120048269A (ko) * 2010-11-05 2012-05-15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116Y1 (ko) * 2006-11-08 2008-05-26 장문식 엘이디 모듈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120048269A (ko) * 2010-11-05 2012-05-15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의료용 침대의 테이블 완충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26238A (zh) * 2016-01-25 2016-07-06 刘湘静 一种采用自动控制技术的多功能医疗床
CN108814852A (zh) * 2018-04-24 2018-11-16 郑务南 一种孕妇分娩后专用餐桌
CN108814852B (zh) * 2018-04-24 2020-09-08 青岛市妇女儿童医院 一种孕妇分娩后专用餐桌
CN109350396A (zh) * 2018-11-13 2019-02-19 普宁市思迪实业有限公司 一种肛肠科术后用医疗病床
KR20210100788A (ko) 2020-02-06 2021-08-18 최혁순 폴딩형 침대
KR102374221B1 (ko) * 2021-11-12 2022-03-15 박도희 다용도 식탁을 구비하는 환자용 안전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171B1 (ko) 병원침대용 식탁의 승하강 장치
KR101710562B1 (ko) 병원침대용 식탁의 전후진 및 승하강 임시조절장치
EP3777807B1 (en) Multifunctional wheelchair
US20140121838A1 (en) Kiosk having an automatic height adjustment function
JP6462721B2 (ja) 介助ロボット
WO2017128025A1 (zh) 一种采用自动控制技术的多功能医疗床
CN111329683A (zh) 一种疗养床
CN107951649A (zh) 一种医院使用且应用于孕妇胸膝卧位的辅助装置
TWI543758B (zh) 起身輔助裝置
CN208318765U (zh) 基于升降椅的控制系统
CN107669006A (zh) 一种辅助直立老人沙发椅
JP3132936U (ja) チルトテーブル
CN106082044A (zh) 一种安装维修用可调式升降装置
CN103860339A (zh) 一种轮椅
JP6233057B2 (ja) 介護支援装置
CN206700330U (zh) 一种医疗辅助用助起座椅
KR200474640Y1 (ko) 책상 높이조절장치
MX2007011371A (es) Mesa de examinacion.
CN204743279U (zh) 一种起身助力装置
CN210250333U (zh) 一种用于医院妇产科的母婴床
KR101209274B1 (ko) 의자의 팔걸이
CN209750402U (zh) 一种多功能美容床
KR20150121908A (ko) 와상 환자용 접이식 변기
TW201740900A (zh) 行動椅子輔助站起裝置
KR102590653B1 (ko) 장애인용 전동 기립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