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852B1 -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 Google Patents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852B1
KR102443852B1 KR1020220051020A KR20220051020A KR102443852B1 KR 102443852 B1 KR102443852 B1 KR 102443852B1 KR 1020220051020 A KR1020220051020 A KR 1020220051020A KR 20220051020 A KR20220051020 A KR 20220051020A KR 102443852 B1 KR102443852 B1 KR 102443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nit
user
seat memb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3852B9 (ko
Inventor
구기도
Original Assignee
(주) 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하 filed Critical (주) 아하
Priority to KR1020220051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852B1/ko
Priority to KR1020220113745A priority patent/KR102449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852B1/ko
Publication of KR10244385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85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22Interactive procedures; Man-machine interfa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에 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칠판 몸체부; 상기 칠판 몸체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칠판 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칠판 몸체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 상기 칠판 몸체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석 부재; 상기 좌석 부재에 착석한 사용자의 앉은 키 정보를 측정하는 높이 측정부; 및 상기 앉은 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Electronic blackboard with universal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fence}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에 기반하여 높이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앉은 키 정보,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된 제어 신호 등을 이용하여 전자 칠판의 높이가 좌석 부재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맞도록 하는 전자 칠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학원, 또는 기업체 등의 각종 강의실에서는 전자칠판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그 예로서 화이트보드에 프로젝터로 강의내용을 빔으로 조사함으로써 조사된 강의내용을 바탕으로 두고 강사가 펜을 이용하여 부가내용을 추가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전자 칠판을 사용시에도 강의자는 서있는 상태로 펜을 이용하여 판서 등을 진행하여 장시간, 몸이 불편한 강의자가 전자 칠판을 이용하여 강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강의자가 앉아서 강의를 진행할 수 있는 전자 칠판 또는 칠판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31583호(2017.05.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좌석 부재에 착석하여 전자 칠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앉은 키에 맞도록 전자 칠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음성을 식별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기초로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된 앉은 키에 맞도록 전자 칠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인공지능 기술을 기초로 인식된 터치 입력 신호의 위치에 따라 전자 칠판을 승강시키거나 좌석 부재를 이동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자 칠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은,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칠판 몸체부; 상기 칠판 몸체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칠판 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칠판 몸체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 상기 칠판 몸체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석 부재; 상기 좌석 부재에 착석한 사용자의 앉은 키 정보를 측정하는 높이 측정부; 및 상기 앉은 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좌석 부재에 착석하여 전자 칠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앉은 키에 맞도록 전자 칠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앉은 키가 상이하더라도 불편한 없이 전자 칠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을 식별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기초로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된 앉은 키에 맞도록 전자 칠판의 높이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술을 기초로 인식된 터치 입력 신호의 위치에 따라 전자 칠판을 승강시키거나 좌석 부재를 이동시켜 사용자가 음성 등으로 별도의 제어 신호의 입력없이 편리하게 전자 칠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이 앉은 키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칠판을 승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이 식별된 사용자의 사용자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칠판을 승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는 도 1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위치에 따라 유니버설 전자 칠판이 승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위치에 따라 전자 칠판이 승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위치에 따라 좌석 부재가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위치에 따라 좌석 부재가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 및 이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이 앉은 키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칠판을 승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이 식별된 사용자의 사용자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칠판을 승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는 도 1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위치에 따라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이 승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위치에 따라 전자 칠판이 승강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10)(이하, 전자 칠판이라 함)은 사용자가 좌석에 착석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자 칠판(10)일 수 있다. 전자 칠판(10)은 칠판 몸체부(100), 메인 프레임(200), 승강 유닛(400), 좌석 부재(300), 높이 측정부(5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칠판(10)은 음성 인식부(600), 통신부(850), 및 데이터 베이스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5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으며,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5G, 6G,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 있다.
상기 전자 칠판(10)은 위 통신을 수행하면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칠판 몸체부(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칠판 몸체부(100)는 평면적 관점에서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칠판 몸체부(10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영상, 이미지 등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제어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칠판 몸체부(100)는 틸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칠판 몸체부(100)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0)은 칠판 몸체부(1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0)은 칠판 몸체부(100)와 이격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0)은 승강 유닛(400)을 통해 칠판 몸체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200)은 메인 지지부(210), 한 쌍의 서브 지지부(220) 및 레일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200)은 바퀴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지지부(210)는 일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메인 지지부(21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서브 지지부(220)는 메인 지지부(2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서브 지지부(220)는 메인 지지부(2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서브 지지부(22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서브 지지부(220) 각각은 메인 지지부(210)로부터 일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레일부(230)는 메인 지지부(210)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레일부(230)는 메인 지지부(210)와 서로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레일부(23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서브 지지부(22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레일부(230)는 양측에 레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 홈은 레일부(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바퀴부(240)는 한 쌍의 서브 지지부(22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바퀴부(240)는 메인 프레임(200)을 지지하면서 전자 칠판(1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승강 유닛(400)은 메인 프레임(2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승강 유닛(400)의 하측은 메인 프레임(200)과 연결되고, 승강 유닛(400)의 상측은 칠판 몸체부(100)와 연결될 수 있다. 승강 유닛(400)은 칠판 몸체부(10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승강 유닛(400)은 칠판 몸체부(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승강 유닛(400)은 유압 액츄에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 유닛(400)의 구동은 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좌석 부재(300)는 칠판 몸체부(10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좌석 부재(300)는 메인 프레임(200) 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좌석 부재(300)는 레일부(23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좌석 부재(300)는 브라켓부(310), 높이 조절부(320) 및 시트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부(310)는 레일부(23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브라켓부(310)는 레일 홈 상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돌기가 레일 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석 부재(300)는 레일부(2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시트부(330)는 브라켓부(31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시트부(330)와 브라켓부(31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시트부(330)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높이 조절부(320)는 시트부(330)와 브라켓부(310)를 연결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320)는 시트부(3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높이 조절부(320)는 유압 액츄에이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높이 측정부(500)는 좌석 부재(3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앉은 키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높이 측정부(500)는 측정된 앉은 키 정보를 제어부(700)로 전송할 수 있다. 높이 측정부(500)는 칠판 몸체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높이 측정부(500)는 칠판 몸체부(10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나, 높이 측정부(50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높이 측정부(500)는 사용자의 앉은 키를 측정하는 레이저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앉은 키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센서일 수 있다. 높이 측정부(500)에서 측정한 앉은 키 정보에는 사용자의 최대 높이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최대 높이 값은 Y축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Y축 값은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높이 방향의 값을 의미하고, X축 값은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너비 방향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6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60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정보로 변환할 수 있는 마이크일 수 있다. 변환된 음성 정보는 PCM(pulse code modulation) 상태 또는 압축된 형태의 오디오 파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음성 인식부(600)는 음향을 디지털로 변환하는 A/D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된 음성 정보는 제어부(700)에 전송될 수 있다.
음성 인식부(600)는 칠판 몸체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인식부(600)는 칠판 몸체부(100)의 전면 하측에 위치될 수 있으나, 음성 인식부(60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베이스부(800)는 음성 정보, 제어부(700)에서 산출한 높이 값, 사용자 정보,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출력할 각종 콘텐츠 등의 각종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부(800)는 칠판 몸체부(100)에 설치될 수 있으나, 전자 칠판(10)의 외부에 서버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입력된 음성 정보, 제어 신호 등의 각종 신호을 처리하고, 각종 정보를 연산하여 제어 신호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음성 인식부(600)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50) 등을 통하여 각종 제어 신호, 음성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제어 신호 및 제어 신호와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50) 및/또는 승강 유닛(400)을 통해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음성 정보에 포함된 제1 제어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음성 정보에 포함된 특정 단어(상승, 하강, 업, 다운, 올려, 내려 등)어로 부터 제1 제어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특정 단어는 통신부(85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음성 인식부(600), 디스플레이 패널(150)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음성 인식부(600)를 통해 입력되는 특정단어의 발음을 교정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음성 정보에 포함된 제1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칠판 몸체부(100)는 제1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높이 측정부(500)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앉은 키 정보를 이용하여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측정된 앉은 키 정보를 이용하여 좌석 부재(300)에 착석한 사용자에 대응되는 칠판 몸체부(100)의 높이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산출된 높이 값을 이용하여 칠판 몸체부(100)는 산출된 높이 값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도록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700)는 앉은 키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의 최대 Y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앉은 키에 적합한 칠판 몸체부(100)의 높이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700)는 기 저정된 데이터 테이블에 최대 Y축 값에 대응되는 칠판 몸체부(100)의 높이 값을 검색하여 칠판 몸체부(100)의 높이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산출된 칠판 몸체부(100)의 높이 값에 대응되는 높이에 칠판 몸체부(100)가 위치되도록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칠판 몸체부(100)의 위치가 산출된 높이 값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경우, 제어부(700)는 승강 유닛(400)을 이용하여 칠판 몸체부(1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칠판 몸체부(100)의 높이 값은 Y축 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앉은 키를 가진 사용자가 좌석 부재(300)에 앉더라도, 전자 칠판(10)의 디스플레이 패널(150)은 사용자가 전자 칠판(10)을 사용하기 편리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음성 인식부(600)로부터 음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인공지능 기술(ex STT(speak to text), 자연어 처리 기술 등)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인공지능 기술 등을 통해 인식한 사용자의 음성을 기반으로 전자 칠판(10)의 주변 기기(ex 조명, 빔프로젝터, 스피커 등)에 대한 제어를 컨트롤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조명 on/off 음성 명령을 인식한 경우, 제어부(700)는 IoT를 기반으로 연결된 조명을 on/off 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음성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전자 칠판(10)을 사용하기 전에 사용자 등록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 인식부(600)를 통해 음성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높이 측정부(5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앉은 키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입력된 음성 정보, 사용자 정보 및 앉은 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등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생성된 사용자 등록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부(8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음성 인식부(600)를 통해 음성 정보가 입력될 경우, 제어부(700)는 음성 정보와 사용자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700)는 음성 정보에 포함된 음성 주파수 및 사용자 등록 정보에 포함된 음성 주파수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음성의 주파수에 기반하여 진동수, 톤, 패턴, 발음 등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각각의 특징 요소에 기반하여 사람들 개개인의 음성을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700)는 음성 정보 및 사용자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등록 정보에 포함된 앉은 키 정보를 이용하여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700)는 사용자 등록 정보에 포함된 앉은 키 정보를 이용하여 좌석 부재(300)에 착석할 사용자에 대응되는 칠판 몸체부(100)의 높이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산출된 높이 값을 이용하여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칠판 몸체부(100)는 식별된 사용자가 좌석 부재(300)에 착석 전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전자 칠판(10)을 이용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로 식별될 경우, 전자 칠판(10)의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700)는 잠금 상태인 전자 칠판(10)의 상태를 잠금 해제 상태로 변환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단어, 예를 들면 "안녕하세요" 등 지정된 단어를 확인하면 전자 칠판(10)을 해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700)는 등록된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단어 또는 특정 문장을 미리 등록할 수 있고, 인공 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이후 등록 사용자의 음성에 기초한 특정 단어 또는 특정 문장을 확인하는 경우 전자 칠판(1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전자 칠판(10)의 잠금이 해제된 경우, 사용자는 좌석 부재(300)에 착석한 상태에서 전자 칠판(10)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칠판(10)을 사용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직접 터치할 수 있다. 직접적 터치는 사용자가 펜이나 손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접촉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터치에 의해 제어부(700)에는 터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터치 신호에는 제어 명령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제어 명령 등 이외에 단순히 터치를 했다는 정보만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터치를 통해 입력된 터치 신호로부터 터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 위치 정보에는 터치 X축 정보 및 터치 Y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위치 정보는 X, Y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터치 X축 정보에는 X축 값을 포함하고, 터치 Y축 정보에는 Y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산출된 터치 Y축 정보와 앉은 키 정보를 이용하여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터치 Y축 정보에서 앉은 키 정보를 뺀 제1 차이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700)는 터치 Y축 정보에 포함된 Y축 값에 앉은 키 정보에 포함된 Y축 값을 빼서 제1 차이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제1 차이 값이 기 설정된 제1 Y축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Y축 값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50), 음성 인식부(600) 등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제1 차이 값이 제1 Y축 값을 초과할 경우, 사용자가 터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상측 영역은 사용자가 좌석 부재(300)에 앉아서 터치하기 어려운 높이를 갖는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차이 값이 제1 Y축 값을 초과할 경우, 제어부(700)는 칠판 몸체부(100)가 하강하도록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제1 차이 값에서 제1 Y축 값을 뺀 값 또는 상기 뺀 값보다 기 설정된 값을 더한 값만큼 칠판 몸체부(1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칠판 몸체부(100)가 하강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상측 영역을 불편함 없이 터치할 수 있다.
제1 차이 값이 기 설정된 제1 Y축 값 이하일 경우, 제어부(700)는 제1 차이 값이 기 설정된 제2 Y축 값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제1 차이 값이 기 설정된 제2 Y축 값 이상일 경우에는 칠판 몸체부(100)의 높이를 조정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1 차이 값이 기 설정된 제2 Y축 값 미만인 경우, 사용자가 터치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하측 영역은 사용자가 좌석 부재(300)에서 허리를 굽혀야 터치할 수 있는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차이 값이 제2 Y축 값 미만일 경우, 제어부(700)는 칠판 몸체부(100)가 상승하도록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제1 차이 값에서 제2 Y축 값을 뺀 값 또는 상기 뺀 값보다 기 설정된 값을 더한 값만큼 칠판 몸체부(1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칠판 몸체부(100)가 상승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하측 영역을 불편함 없이 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좌석 부재(300)에 앉아서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출력된 내용을 설명할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상측 영역에 출력된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상측 영역은 사용자가 좌석 부재(300)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닿기 어려운 위치일 수 있다.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손을 높게 들고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상측 영역을 터치할 경우, 제1 차이 값은 제1 Y축 값을 초과하기 때문에, 제어부(700)는 승강 유닛(400)을 제어하여 칠판 몸체부(1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불편함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상측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좌석 부재(300)에 앉아서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출력된 내용을 설명할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하측 영역에 출력된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하측 영역은 앉은 키가 큰 사용자가 좌석 부재(300)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닿기 어려운 위치일 수 있다.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손을 아래로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하측 영역을 터치할 경우, 제1 차이 값은 제2 Y축 값 미만이기 때문에, 제어부(700)는 승강 유닛(400)을 제어하여 칠판 몸체부(1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허리를 구부리는 불편한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하측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입력된 터치 신호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이 입력될 경우, 터치 Y축 정보를 산출하여 칠판 몸체부(100)가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 식별 전에 사용자가 좌석 부재(300)에 착석한 경우, 제어부(700)가 승강 유닛(400)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전자 칠판(10)을 사용하기 위해 좌석 부재(300)에 착석할 수 있다. 높이 측정부(500)는 사용자가 좌석 부재(300)에 착석한 경우, 사용자의 앉은 키를 측정할 수 있다(S100). 측정된 앉은 키 정보에는 Y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앉은 키 정보에 대응되는 칠판 몸체부(100)의 높이 값을 산출할 수 있다(S110). 제어부(700)는 산출된 높이 값을 기초로 하여 칠판 몸체부(100)의 위치가 조정되도록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산출된 높이 값을 기초로 하여 칠판 몸체부(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S120).
예를 들면, 제어부(700)는 산출된 높이 값으로 칠판 몸체부(100)가 위치되도록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칠판 몸체부(100)는 좌석 부재(3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앉은 키에 맞도록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좌석 부재(300)에 착석한 상태에서 음성 명령을 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6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음성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사용자 식별을 완료한 경우, 전자 칠판(10)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다만, 전자 칠판(10)이 잠금 해제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식별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제어부(700)가 사용자를 식별한 후, 승강 유닛(400)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좌석 부재(300)에 착석하기 전에 음성 명령을 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600)는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700)는 음성인식부(60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S200).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음성 인식부(600)를 통해 입력된 음성 정보와 기 저장된 사용자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등록 정보에 앉은 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10). 제어부(700)는 사용자 등록 정보에 앉은 키 정보가 포함된 경우, 앉은 키 정보에 대응되는 칠판 몸체부(100)의 높이 값을 산출할 수 있다(S220). 제어부(700)는 산출된 높이 값을 기초로 칠판 몸체부(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S230). 다시 말하면, 제어부(700)는 산출된 높이 값으로 칠판 몸체부(100)가 위치되도록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칠판 몸체부(100)는 사용자가 좌석 부재(300)에 착석하기 전에 사용자의 앉은 키에 맞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사용자 등록 정보에 앉은 키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높이 측정부(500)에서는 사용자가 좌석 부재(300)에 착석한 경우에 측정할 수 있다(S215). 제어부(700)는 높이 측정부(500)에서 한 앉은 키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제어부(700)는 수신된 앉은 키 정보를 이용하여 칠판 몸체부(100)의 높이 값을 산출할 수 있다(S225). 제어부(700)는 산출된 높이 값으로 칠판 몸체부(100)가 위치되도록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어부(700)가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입력된 터치 신호(S)를 이용하여 승강 유닛(400)을 제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P)가 좌석 부재(300)에 착석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50)에 출력된 콘텐츠에 대해 강의를 할 수 있다. 사용자(P)의 앉은 키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상측 영역이나 하측 영역에 대한 터치가 필요할 경우, 몸을 일으키거나 숙이는 방법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상측 영역이나 하측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가 있다.
제어부(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터치를 통해 입력된 터치 신호(S)로부터 터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300). 터치 위치 정보는 터치 Y축 정보와 터치 X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터치 Y축 정보와 앉은 키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Y축 정보에서 앉은 키 정보를 뺀 제1 차이 값(D1)을 산출할 수 있다(S230). 제1 차이 값(D1)은 Y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700)는 터치 Y축 정보의 Y축 값에서 앉은 키 정보의 Y축 값을 빼서 제1 차이 값(D1)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제1 차이 값(D1)이 기 설정된 제1 Y축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320). 제어부(700)는 제1 차이 값(D1)이 기 저장된 제1 Y축 값을 이하인 경우, 제1 차이 값(D1)이 기 저장된 제2 Y축 값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235). 제어부(700)는 제1 차이 값(D1)이 제2 Y축 값 이상인 경우, 터치 신호(S)로부터 터치 Y축 정보와 터치 X축 정보를 계속하여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제1 차이 값(D1)이 제1 Y축 값을 초과하는 경우, 칠판 몸체부(100)가 하강하도록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제1 차이 값(D1)에서 제1 Y축 값을 뺀 값 또는 그 이상으로 칠판 몸체부(100)가 하강하도록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S330). 이에 따라, 앉은 키가 작은 사용자(P)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상측 영역을 불편함 없이 터치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제1 차이 값(D1)이 제1 Y축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제1 차이 값(D1)이 제2 Y축 값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S325). 제1 차이 값(D1)이 제2 Y축 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700)는 칠판 몸체부(100)가 상승하도록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제1 차이 값(D1)에서 제2 Y축 값을 뺀 값 또는 그 이상으로 칠판 몸체부(100)가 상승하도록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S235). 이에 따라, 앉은 키가 큰 사용자(P)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하측 영역을 불편함 없이 터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위치에 따라 좌석 부재가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9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 위치에 따라 좌석 부재가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칠판(10)은 칠판 몸체부(100), 메인 프레임(200), 승강 유닛(400), 좌석 부재(300), 높이 측정부(5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칠판(10)은 이동 유닛(350), 음성 인식부(600), 위치 측정부(550), 통신부(850), 및 데이터 베이스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유닛(350)은 좌석 부재(300)를 메인 프레임(2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유닛(350)은 좌석 부재(300)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이동 유닛(350)은 모터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휠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음성 정보에 포함된 제2 제어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음성 정보에 포함된 특정 단어(라이트, 레프트, 왼쪽, 오른쪽, 우측, 좌측 등)로부터 제2 제어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특정 단어는 통신부(850)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음성 인식부(600), 디스플레이 패널(150)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음성 인식부(600)를 통해 입력되는 특정 단어의 발음을 교정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음성 정보에 포함된 제2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유닛(3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석 부재(300)는 레일부(2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좌석 부재(300)에 착석한 사용자(P)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위치 측정부(550)는 좌석 부재(300)의 좌석 X축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S400). 좌석 X축 정보에는 좌석 부재(300)의 X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위치 측정부(550)는 칠판 몸체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 위치 측정부(550)는 레이저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석 부재(300)의 X축 값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면 위치 측정부(550)일 수 있다. 좌석 X축 정보는 제어부(7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위치 측정부(550)에서 측정된 좌석 X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터치를 통해 입력된 터치 신호(S)로부터 터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400). 터치 위치 정보에는 사용자(P)가 디스플레이 패널(150)을 터치한 터치 X축 정보 및 터치 Y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X축 정보는 터치된 X축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터치 X축 정보 및 좌석 X축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유닛(35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터치 X축 정보에서 좌석 X축 정보를 뺀 제2 차이 값(D2)을 산출할 수 있다(S410). 예를 들면, 제어부(700)는 터치 X축 정보의 X축 값에서 좌석 X축 정보의 X축 값을 뺀 제2 차이 값(D2)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제2 차이 값(D2)이 기 저장된 제1 X축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420). 제2 차이 값(D2)이 제1 X축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700)는 좌석 부재(300)가 메인 프레임(200) 상을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이동 유닛(35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어부(700)는 좌석 부재(300)가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이동 유닛(3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제2 차이 값(D2)에서 제1 X축 값을 뺀 값 또는 그 이상으로 좌석 부재(300)가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승강 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S430). 이에 따라, 좌석 부재(300)에 착석한 사용자(P)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우측 영역을 불편함 없이 터치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제2 차이 값(D2)이 제1 X축 값 이하인 경우, 제2 차이 값(D2)이 기 설정된 제2 X축 값 미만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425). 제2 차이 값(D2)이 제2 X축 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700)는 터치 X축 정보를 재산출할 수 있다.
제2 차이 값(D2)이 제2 X축 값 미만일 경우, 제어부(700)는 좌석 부재(300)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이동 유닛(3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700)는 제2 차이 값(D2)에서 제2 X축이 값을 뺀 값 또는 그 이상으로 좌석 부재(300)가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이동 유닛(350)을 제어할 수 있다(S435). 이에 따라, 좌석 부재(300)에 착석한 사용자(P)는 디스플레이 패널(150)의 좌측 영역을 불편한 없이 터치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2 차이 값(D2)이 제1 X축 값을 초과할 경우, 좌석 부재(300)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 차이 값(D2)이 제2 X축 값 미만일 경우, 좌석 부재(300)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서로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제어부(700)가 이동 유닛(35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전자 칠판 100: 칠판 몸체부
150: 디스플레이 패널 200: 메인 프레임
300: 좌석 부재 350: 이동 유닛
400: 승강 유닛 500: 높이 측정부
550: 위치 측정부 600: 음성 인식부
700: 제어부 800: 데이터 베이스부

Claims (8)

  1. 일측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설치된 칠판 몸체부;
    상기 칠판 몸체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칠판 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칠판 몸체부를 Y축 방향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 유닛;
    상기 칠판 몸체부의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석 부재;
    상기 좌석 부재를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서 Y축 방향과 수직한 X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
    상기 칠판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좌석 부재의 좌석 X축 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상기 칠판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좌석 부재에 착석한 사용자의 앉은 키 정보를 측정하는 높이 측정부; 및
    상기 앉은 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X축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메인 지지부;
    상기 메인 지지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메인 지지부로부터 일측을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서브 지지부; 및
    상기 메인 지지부와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서브 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석 부재에 착석한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치하여 입력된 터치 신호로부터 터치 X축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터치 X축 정보에서 상기 좌석 X축 정보를 뺀 제2 차이 값이 기 설정된 제1 X축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좌석 부재가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이동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좌석 부재는 상기 레일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이동 유닛에 의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상기 X축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너비 방향이고, 상기 Y축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높이 방향인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앉은 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좌석 부재에 착석한 사용자에 대응되는 상기 칠판 몸체부의 높이 값을 산출하고, 상기 칠판 몸체부가 산출된 상기 높이 값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 유닛을 제어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3.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음성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에 대한 기 저정된 상기 앉은 키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 유닛을 제어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터치를 통해 입력된 터치 신호로부터 터치 Y축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터치 Y축 정보에서 상기 앉은 키 정보를 뺀 제1 차이 값을 산출하여 기 설정된 제1 Y축 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차이 값이 상기 제1 Y축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칠판 몸체부가 하강하도록 상기 승강 유닛을 제어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6.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 정보를 생성하는 음성 인식부; 및
    상기 좌석 부재를 상기 메인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정보에 포함된 제1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승강 유닛을 제어하여 상기 칠판 몸체부를 승강시키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정보에 포함된 제2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이동 유닛을 제어하여 여 상기 좌석 부재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8. 삭제
KR1020220051020A 2022-04-25 2022-04-25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KR102443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020A KR102443852B1 (ko) 2022-04-25 2022-04-25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KR1020220113745A KR102449894B1 (ko) 2022-04-25 2022-09-07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020A KR102443852B1 (ko) 2022-04-25 2022-04-25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745A Division KR102449894B1 (ko) 2022-04-25 2022-09-07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852B1 true KR102443852B1 (ko) 2022-09-16
KR102443852B9 KR102443852B9 (ko) 2024-01-11

Family

ID=8344534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020A KR102443852B1 (ko) 2022-04-25 2022-04-25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KR1020220113745A KR102449894B1 (ko) 2022-04-25 2022-09-07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745A KR102449894B1 (ko) 2022-04-25 2022-09-07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438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531B1 (ko) * 2023-10-16 2024-03-22 (주)아하 사물인터넷 기능을 통해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전자칠판 및 그 전자칠판의 구동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724A (ko) * 2003-10-02 2005-04-08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위치 조정 장치
JP2005267491A (ja) * 2004-03-22 2005-09-29 Fuji Xerox Co Ltd Vdt作業環境制御装置
KR20110010090U (ko) * 2010-04-20 2011-10-26 주식회사 디자인플랜 전자교탁 교단시스템
KR200466708Y1 (ko) * 2013-03-11 2013-05-09 (주)엘리비젼 인체감지 조절 키오스크
KR20160071020A (ko) * 2014-12-11 2016-06-21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용 디스플레이 패널 위치조정장치
KR101731583B1 (ko) 2017-01-03 2017-05-02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용 디스플레이 패널 위치조정장치
KR20200009232A (ko) * 2018-07-18 2020-01-30 최봉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KR20210121772A (ko) * 2020-03-31 202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724A (ko) * 2003-10-02 2005-04-08 삼성전기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위치 조정 장치
JP2005267491A (ja) * 2004-03-22 2005-09-29 Fuji Xerox Co Ltd Vdt作業環境制御装置
KR20110010090U (ko) * 2010-04-20 2011-10-26 주식회사 디자인플랜 전자교탁 교단시스템
KR200466708Y1 (ko) * 2013-03-11 2013-05-09 (주)엘리비젼 인체감지 조절 키오스크
KR20160071020A (ko) * 2014-12-11 2016-06-21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용 디스플레이 패널 위치조정장치
KR101731583B1 (ko) 2017-01-03 2017-05-02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용 디스플레이 패널 위치조정장치
KR20200009232A (ko) * 2018-07-18 2020-01-30 최봉규 높이 조절 및 이동이 용이한 키오스크
KR20210121772A (ko) * 2020-03-31 202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0531B1 (ko) * 2023-10-16 2024-03-22 (주)아하 사물인터넷 기능을 통해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전자칠판 및 그 전자칠판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9894B9 (ko) 2024-01-11
KR102443852B9 (ko) 2024-01-11
KR102449894B1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894B1 (ko)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사회적 약자를 배려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한 전자 칠판
US20090006088A1 (en)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speech recognition based on a user identifier
US20130289999A1 (en) Dual microphone voice authentication for mobile device
US20130155237A1 (en) Interacting with a mobile device within a vehicle using gestures
CN105947818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电梯停靠楼层控制方法
TW200826064A (en)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with intelligent classification and adjustment
US9128930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language service
WO2021093380A1 (zh) 一种噪声处理方法、装置、系统
ATE342564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prachlichen dateneingabe bei ungünstigen bedingungen
JP2006189626A (ja) 記録装置及び音声記録プログラム
CN103823547B (zh) 移动终端及其光标控制方法
KR102459938B1 (ko)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 전자 칠판
JP6613560B2 (ja) 電子機器、学習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8034059A1 (ja) 音声入力装置、翻訳装置、音声入力方法、及び音声入力プログラム
CN207676648U (zh) 一种医疗检测系统的语音控制装置
JP6917728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音声応答システム
JP2008216735A (ja) 受付ロボット及び受付ロボットの会話適応方法
JP6841309B2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391015A (zh) 一种智能平板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582116A (zh) 用于银行的服务型机器人
CN215603872U (zh) 一种讲台自动调节高度的装置
KR101372837B1 (ko) 직접입력과 음성 명령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전자문서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0620735B1 (ko) 글쓰기 학습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N111055291B (zh) 引导机器人系统和引导方法
JP4702081B2 (ja) 文字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