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943B1 - 컴퓨터 책상 - Google Patents

컴퓨터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943B1
KR102141943B1 KR1020190113239A KR20190113239A KR102141943B1 KR 102141943 B1 KR102141943 B1 KR 102141943B1 KR 1020190113239 A KR1020190113239 A KR 1020190113239A KR 20190113239 A KR20190113239 A KR 20190113239A KR 102141943 B1 KR102141943 B1 KR 102141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case
panel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권
Original Assignee
조정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권 filed Critical 조정권
Priority to KR1020190113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4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or fastening typewriters or computer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6Computer hol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66Workstations
    • A47B2200/0067Enclosure type with computer
    • A47B2200/0068Cabinet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부품들이 실장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할 수 있는 컴퓨터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닥에 다리로 지지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좌우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포스트, 상기 양측 수직포스트의 상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 수평프레임을 갖는 사각형의 프레임, 상기 양측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선반, 상기 선반에 고정되게 안착되어 컴퓨터 부품들을 실장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투명체로 이루어진 도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컴퓨터 부품들이 실장되는 케이스가 선반에 안착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도어가 투명체로 이루어져 수용공간 내부에서 발광된 빛을 그대로 투과되어 사용자에게 심미감 및 새로운 흥미를 부여하며, 각각의 구성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향상된 조립성을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현장까지 편리하게 배송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책상{COMPUTER DESK}
본 발명은 컴퓨터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부품들이 실장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연속해서 연결할 수 있는 컴퓨터 책상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컴퓨터 책상은 컴퓨터 모니터 및 키보드를 수납하도록 설계된 책상으로서, 이러한 컴퓨터 책상의 상판 위 또는 바닥에는 본체가 놓여져 모니터와 키보드에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된다.
컴퓨터 책상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27467호(등록일자 2006년09월20일) ‘컴퓨터 책상’,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63147호(등록일자 2004년09월15일) ‘컴퓨터책상’,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02076호(등록일자 2000년08월28일) ‘컴퓨터용 책상’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컴퓨터 본체를 수납하거나 수용하는 공간을 상판의 하부 일측에 구비하므로, 사용 공간이 협소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컴퓨터 본체가 책상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게 미려한 외관 및 심미감을 유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은 조립된 상태로 판매되는데, 여러 대의 컴퓨터 책상을 연결하는 PC방의 경우 부피가 커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통일된 형태감을 연출하기 어려우며 배송 시 상차 및 하차에 대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27467호(등록일자 2006년09월20일) (0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63147호(등록일자 2004년09월15일) (000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02076호(등록일자 2000년08월28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 부품들이 실장되는 케이스를 일체로 구비하고 각 부품들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여러 대를 연결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편리하게 배송할 수 있는 컴퓨터 책상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에 다리로 지지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좌우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포스트, 상기 양측 수직포스트의 상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 수평프레임을 갖는 사각형의 프레임, 상기 양측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선반, 상기 선반에 고정되게 안착되어 컴퓨터 부품들을 실장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투명체로 이루어진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직포스트의 상부에 단일체로 형성되도록 연결된 후방 수직프레임, 상기 후방 수직프레임에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전방 수직프레임, 상기 전방 및 후방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수평프레임, 상기 전방 및 후방 수직프레임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어느 한 전방 수직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헤드셋을 걸어서 보관하는 헤스셋랙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스셋랙에는 수직슬릿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나사에 의해 전방 수직프레임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전면패널 및 도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발열된 열기를 냉각시키도록 냉각팬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어느 한 수직포스트와 상판에 홀더로 고정되는 칸막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선반에는 선반슬릿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에 나사로 폭 조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용공간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개방구가 형성된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에 전후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상면패널 및 하면패널, 양측을 마감하는 마감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측 마감패널에는 브레이스가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선반에 고정하고, 상기 선반에는 브레이스슬릿이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스에 나사로 전후 조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 부품들이 실장되는 케이스가 선반에 안착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도어가 투명체로 이루어져 수용공간 내부에서 발광된 빛을 그대로 투과되어 사용자에게 심미감 및 새로운 흥미를 부여하며, 각각의 구성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향상된 조립성을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현장까지 편리하게 배송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반슬릿에 의하여 선반을 프레임에 폭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고, 브레이스슬릿에 의하여 케이스를 전후 조절 가능하게 고정하며, 헤드셋랙에 의하여 헤드셋을 용이하게 걸어서 보관하고, 냉각팬에 의하여 수용공간의 열기를 냉각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여러 대의 컴퓨터 책상이 연결된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 대의 컴퓨터 책상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 대의 컴퓨터 책상을 정면에서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한 대의 컴퓨터 책상을 우측면에서 나타낸 우측면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컴퓨터 책상은 바닥에 다리(200)로 지지되는 상판(100), 상판(100)의 좌우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포스트(300), 양측 수직포스트(300)의 상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 수평프레임(440)을 갖는 사각형의 프레임(400), 양측 프레임(400)을 연결하도록 하부 수평프레임(440)의 상면에 설치되는 선반(600), 선반(600)에 고정되게 안착되어 컴퓨터 부품(CP)들을 실장하는 수용공간(501) 및 이 수용공간(501)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개방구(511)가 형성된 케이스(500), 케이스(5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방구(511)를 개폐하는 투명체로 이루어진 도어(550)를 포함한다.
상판(100)은 평평하고 납작한 사각형의 판재로서, 이러한 상판(100)에는 모니터(monitor)와 키보드(keyboard) 및 휴대폰 거치대(도시생략) 등이 놓이게 된다. 상판(100)의 하부에는 상판 서포트링(110)이 구비되어 케이스(500)에서 인출된 다양한 케이블(cable)을 케이블타이(cable tie)로 묶어서 고정할 수 있다.
다리(200)는 상판(100)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다리(200)는 상판(100)의 저면 네 모서리에 근접된 위치에 고정되며, 하단에는 높낮이 조절 가능한 조절발(210)이 구비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후 다리(200)는 사이드바(22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고, 좌우 양측 사이드바(220)는 크로스바(230)에 의해 연결된다.
수직포스트(300)는 상판(100)의 상면 후방 좌우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실질적으로 케이스(500)를 지지하게 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수직포스트(300)는 사각 단면의 관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플랜지(301)가 구비되어 나사(S)로 상판(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플랜지(301)의 너비는 수직포스트(300)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어 좌우로 연접되는 다른 상판(100)에 나사(S)로 결합된다.
그리고 좌우 수직포스트(300) 중 어느 한 수직포스트(300)에는 칸막이(310)가 홀더(320)로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칸막이(310)는 얇은 사각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칸막이(310)의 후단부는 우측 수직포스트(300)에 홀더(320)로 고정되고 하단부는 상판(100)에 홀더(320)로 고정된다.
또한, 좌우 수직포스트(300) 사이에는 후면보드(330)가 홀더(320)로 고정된다.
프레임(400)은 내구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틀로 형성되어 양측 수직포스트(300)의 상부에 각각 일체로 연결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레임(400)은 수직포스트(300)와 같은 사각 단면의 관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프레임(400)은 수직포스트(300)의 상부에 수직으로 연결된 후방 수직프레임(420), 후방 수직프레임(420)과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전방 수직프레임(410), 전방 및 후방 수직프레임(42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수평프레임(430), 전방 및 후방 수직프레임(420)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프레임(440)을 포함하여, 대략 ‘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후방 수직프레임(4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수직포스트(300)와 단 하나로 되어 있는 형체의 단일체(單一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방 수직프레임(410)과 상부 수평프레임(430) 및 하부 수평프레임(440)은 웰딩(welding)으로 접합된다.
그리고 하부 수평프레임(440)의 하부에는 프레임 서포트링(412)이 구비되어 케이스(500)에서 인출된 다양한 케이블을 케이블타이로 묶어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또는 우측의 전방 수직프레임(410) 중 어느 한 전방 수직프레임(410)에는 헤스셋랙(57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헤드셋(headset)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다. 헤스셋랙(570)의 중앙에는 수직슬릿(571)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나사(S)에 의해 전방 수직프레임(410)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된다.
선반(600)은 좌우 방향으로 긴 널빤지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 하부 수평프레임(440)의 상면에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반(600)의 전후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선반슬릿(610)이 형성되어 하부 수평프레임(440)에 나사(S)로 폭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고, 전후 선반슬릿(400)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긴 브레이스슬릿(620)이 형성되어 나사(S)에 의해 후술하는 브레이스(590)의 전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케이스(500)는 선반의 상면에 고정되게 안착되어 컴퓨터 부품(CP)들을 실장하고 보호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500)는 전면패널(510)과 후면패널(520)과 상면패널(530)과 하면패널(540) 좌우 양측을 마감하는 마감패널(580)을 포함하여 내부에 수용공간(501)을 형성하며, 이 수용공간(501)에는 컴퓨터 부품(CP)들이 실장된다.
전면패널(510)의 중앙에는 개방구(開放口, 511)가 형성되어 내부의 수용공간(501)에 연이어져 통하고, 개방구(511)의 좌측에는 두 개의 냉각팬(560)이 구비되어 수용공간(501)에서 발열된 열기를 냉각하며, 개방구(511)의 하부에는 컴퓨터를 부팅시키는 전원버튼(514)과 수용공간(501) 내의 온도를 현시(顯示)하는 온도계(515) 및 USB 포트(516)가 구비된다.
전면패널(510)과 후면패널(520)은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면패널(530)과 하면패널(540)은 얇고 너비가 긴 직육면체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패널(510)과 후면패널(520)의 상단부 및 하단부를 연결한다. 마감패널(580)은 전면패널(510)과 후면패널(520)과 상면패널(530) 및 하면패널(540)의 좌우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케이스(500)의 양측을 마감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육체면체 형성된 케이스(500)는 양측 마감패널(580)에 장착된 브레이스(590)와 이 브레이스(590)를 관통하여 하부 수평프레임(44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S)에 의해 선반(600)에 견고히 고정된다.
도어(550)는 개방구(5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케이스(500)에 힌지(512)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러한 도어(550)는 수용공간(501)이 시각적으로 보도록 투명한 합성수지 또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어(550)에는 손잡이(551)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힌지(512)를 중심으로 도어(550)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550)의 중앙에는 냉각팬(560)이 구비되어 수용공간(501)에서 발열된 열기를 냉각하게 된다.
근래에는 대부분 SSD(Solid State Drive)를 장착하는데, SSD나 기타 빛을 발광하는 램프를 갖는 컴퓨터 부품(CP)들의 위치를 눈에 잘 띄는 수용공간(501)에 실장하면 투명한 재질의 도어(550)에 의해 그대로 투과되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심미감 및 새로운 흥미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판(100)의 하부에 다리(200)를 조립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게 배열한다.
이어서, 상판(100)의 상면 좌우 양측에 수직포스트(300)의 플랜지(301)를 배치한 후 좌우로 연접된 상판(100)에 나사(S)결합하여 고정한다.
다음, 선반(600)을 양측 프레임(400)에 연결되도록 하부 수평프레임(440)에 안착하여 좌우 간격을 조절한 후, 선반슬릿(610)으로 나사(S)를 관통시켜 하부 수평프레임(440)에 나사결합하는 과정을 통하여 선반(600)을 프레임(400)에 고정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프레임(400)을 기준으로 그 좌우에 연결된 선반(600)에 케이스(500)를 연결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어(550)를 회전시켜 개방구(511)를 개방하여 컴퓨터 부품(CP)들을 수용공간(501)에 설치한 후 모니터와 마우스를 케이블로 연결하면 조립이 완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컴퓨터 책상은 컴퓨터 부품(CP)들이 실장되는 케이스(500)가 일체로 구비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각각의 구성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향상된 조립성을 기대할 수 있는 동시에 현장까지 편리하게 배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상판 200 : 다리
300 : 수직포스트 310 : 칸막이
320 : 홀더 330 : 후면보드
400 : 프레임 410 : 전방 수직프레임
420 : 후방 수직프레임 430 : 상부 수평프레임
440 : 하부 수평프레임 500 : 케이스
501 : 수용공간 510 : 전면패널
520 : 후면패널 530 : 상면패널
540 : 하면패널 550 : 도어
560 : 냉각팬 590 : 마감패널
600 : 선반 610 : 선반슬릿
620 : 브레이스슬릿 CP : 컴퓨터 부품
S : 나사

Claims (7)

  1. 바닥에 다리로 지지되는 상판,
    상기 상판의 좌우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포스트,
    상기 양측 수직포스트의 상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하부 수평프레임을 갖는 사각형의 프레임,
    상기 양측 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선반,
    상기 선반에 고정되게 안착되어 컴퓨터 부품들을 실장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투명체로 이루어진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선반에는 선반슬릿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에 나사로 폭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수용공간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개방구가 형성된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에 전후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후면패널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상면패널 및 하면패널, 양측을 마감하는 마감패널을 포함하되,
    상기 양측 마감패널에는 브레이스가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를 상기 선반에 고정하고, 상기 선반에는 브레이스슬릿이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스에 나사로 전후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책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수직포스트의 상부에 단일체로 형성되도록 연결된 후방 수직프레임, 상기 후방 수직프레임에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전방 수직프레임, 상기 전방 및 후방 수직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 수평프레임, 상기 전방 및 후방 수직프레임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 수평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책상.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전방 수직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헤드셋을 걸어서 보관하는 헤스셋랙을 더 포함하되,
    상기 헤스셋랙에는 수직슬릿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나사에 의해 전방 수직프레임에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책상.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수직포스트와 상판에 홀더로 고정되는 칸막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책상.
  6. 삭제
  7. 삭제
KR1020190113239A 2019-09-16 2019-09-16 컴퓨터 책상 KR102141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239A KR102141943B1 (ko) 2019-09-16 2019-09-16 컴퓨터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239A KR102141943B1 (ko) 2019-09-16 2019-09-16 컴퓨터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943B1 true KR102141943B1 (ko) 2020-09-14

Family

ID=7247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239A KR102141943B1 (ko) 2019-09-16 2019-09-16 컴퓨터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94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076Y1 (ko) 1998-06-05 2000-11-15 김영길 컴퓨터용 책상
KR100427467B1 (ko) 2001-02-02 2004-04-3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력 변환 장치
KR200363147Y1 (ko) 2004-06-17 2004-09-22 이용주 컴퓨터책상
KR20050055457A (ko) * 2003-12-08 2005-06-13 주식회사 지엔아이이십일 컴퓨터 내장형 파티션
KR200427456Y1 (ko) * 2006-07-12 2006-09-27 정길준 상단의 본체 수납대를 갖는 pc방용 컴퓨터 테이블
KR200489308Y1 (ko) * 2018-10-08 2019-05-30 조정권 공간 활용성 개선 구조의 컴퓨터 결합 책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076Y1 (ko) 1998-06-05 2000-11-15 김영길 컴퓨터용 책상
KR100427467B1 (ko) 2001-02-02 2004-04-3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전력 변환 장치
KR20050055457A (ko) * 2003-12-08 2005-06-13 주식회사 지엔아이이십일 컴퓨터 내장형 파티션
KR200363147Y1 (ko) 2004-06-17 2004-09-22 이용주 컴퓨터책상
KR200427456Y1 (ko) * 2006-07-12 2006-09-27 정길준 상단의 본체 수납대를 갖는 pc방용 컴퓨터 테이블
KR200489308Y1 (ko) * 2018-10-08 2019-05-30 조정권 공간 활용성 개선 구조의 컴퓨터 결합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125B1 (ko) 공간 활용도를 높인 피씨방용 컴퓨터 책상
US20090231808A1 (en) Enclosure For Flat Panel Monitors
KR102141943B1 (ko) 컴퓨터 책상
KR102096665B1 (ko) 컴퓨터 책상
KR102211446B1 (ko) 컴퓨터책상
US20150330560A1 (en) Base component
CN211298834U (zh) 一种电脑桌的拼接结构
KR101836107B1 (ko) 피씨방용 모니터 행거장치
US10278494B2 (en) System for a combination furniture and display unit
KR20170130871A (ko) Pc방용 컴퓨터 책상
KR101895357B1 (ko) 컴퓨터 본체 및 이를 수납하는 컴퓨터 책상
KR200476349Y1 (ko) 컴퓨터 수납이 가능한 피씨방용 책상
JP2015085032A (ja) テーブル装置
US20170105528A1 (en) Neat Shelf
KR102205036B1 (ko) 선반형 컴퓨터시스템
JP2003009967A (ja) 化粧天板付きキャビネット
KR20170000398U (ko) 인터넷 카페용 매립형 책상
KR200180130Y1 (ko) 다용도 책상
JP2000139581A (ja) パソコン収納家具
CN103445492B (zh) 桌子及其桌面支撑架
JP6899310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什器
CN210810191U (zh) 一种可与服务陈列柜拼接的半高陈列柜
JP6102163B2 (ja) 机と収納キャビネットの組合せ家具
KR20110081508A (ko) 양방향 조립식선반
JPH1175969A (ja) 机並設式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