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352A - 접을 수 있는 침대 - Google Patents

접을 수 있는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0352A
KR20030090352A KR1020020028623A KR20020028623A KR20030090352A KR 20030090352 A KR20030090352 A KR 20030090352A KR 1020020028623 A KR1020020028623 A KR 1020020028623A KR 20020028623 A KR20020028623 A KR 20020028623A KR 20030090352 A KR20030090352 A KR 20030090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d
support
cabinet
upr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열
Original Assignee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0352A/ko
Publication of KR20030090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03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65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forward tiltable back-rest, e.g. back cushion
    • A47C17/1655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forward tiltable back-rest, e.g. back cushion forming top surface of the bed with non-rotatable seat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37Changing sofas or the like into beds by means of furniture other than seats 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을 수 있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매우 작은 공간만을 사용하는 소파로 사용할 수 있고, 수면을 취할 때는 별도의 복잡한 조작이 필요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침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을 수 있는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와 소파를 사용하면서도 침실 또는 원룸의 생활 공간이 충분히 유지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수면시에도 충분한 면적의 침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을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실등의 벽면 일측에 직립되어 있는 캐비넷(1)과, 상기한 캐비넷(1)의 저면측에서 회전 수단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상면에 매트리스(M)가 안착되어 침대를 이루는 프레임(3)과, 상기한 프레임(3)이 침대 상태가 되었을 때 타단을 지지하도록 프레임(3)에 회전 자재하게 설치된 지지대(4)와, 상기한 프레임(3)이 침대 상태가 되었을 때 일단을 지지하도록 캐비넷(1)에 연결 설치된 안착부(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을 수 있는 침대{FOLDABLE BED}
본 발명은 접을 수 있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매우 작은 공간만을 사용하는 소파로 사용할 수 있고, 수면을 취할 때는 별도의 복잡한 조작이 필요없이 간단한 조작만으로 침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을 수 있는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거실에 앉을 수 있는 소파를 위치시키고, 침실에는 수면을 위한 침대를 배치하게 되지만, 침실이 비교적 크면 침실에 침대와 작은 소파를 위치시키게 된다.
즉, 침실이 소정 넓이 이상이 되면 침실에 침대, 작은 소파, 작은 탁자를 놓고, 필요할 때는 침실에서 커피등을 마시거나 책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원룸인 경우에는 거실겸 침실에 침대, 소파, 탁자등을 놓고 사용하게 되는 바, 상기한 원룸인 경우에는 공간이 작기 때문에 침대, 소파, 탁자를 비교적 작은 것을 사용하거나 배치를 공간 축소 지향적으로 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침실에 침대와 탁자, 소파를 놓거나 또는 원룸에 침대, 소파, 탁자를 놓고 사용하게 되면, 상기한 침대와 소파의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상기한 침대와 소파를 사용하는데 따른 공간 낭비가 심하게 되어 나머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침실이나 원룸이나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장소이기 때문에, 침대와 소파를 들여놓고 이를 사용하게 되면 나머지 공간이 매우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대와 소파를 사용하면서도 침실 또는 원룸의 생활 공간이 충분히 유지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수면시에도 충분한 면적의 침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을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거실등의 벽면 일측에 직립되어 있는 캐비넷과, 상기한 캐비넷의 저면측에서 회전 수단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어 침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한 프레임이 침대 상태가 되었을 때 타단을 지지하도록 프레임에 회전 자재하게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한 프레임이 침대 상태가 되었을 때 일단을 지지하도록 캐비넷에 연결 설치된 안착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침대를 소파 사용 상태로 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서 침대 사용 상태인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3a는 도1에 따른 단면도,
도3b은 도2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도3a에서 제한 수단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5a는 도1에서 받침대를 동작시키는 동작 수단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5b는 도5a에서 침대가 하향되어 받침대가 침대 받침 역할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동작 수단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캐비넷2: 안착부
3: 프레임4: 지지대
5: 선반 부재6: 손잡이
7: 고정판8: 힌지 브라켓
9: 힌지10: 링크
11: 걸림부12: 제한 부재
13: 관통공14: 고정부재
15: 고정부16: 걸림부재
17: 와이어18: 가이드 롤러
19: 랙20: 제1치
21: 제2치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을 수 있는 침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침실또는 거실등의 벽면 일측에 직립되어 있는 캐비넷(1)과, 상기한 캐비넷(1)의 전면 저면에 배치되어 돌출 설치되고 그 상면에 소파(S)가 안착되는 안착부(2)와, 상기한 캐비넷(1)의 저면측에서 회전 수단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상면에 매트리스(M)가 안착되어 침대를 이루는 프레임(3)과, 상기한 프레임(3)이 침대 상태가 되었을 때 타단을 지지하도록 프레임(3)에 회전 자재하게 설치된 지지대(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지지대(4)에는 프레임(3)이 직립되어 소파(S)를 사용하는 상태가 될 때, 선반을 이루도록 선반 부재(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선반 부재(5)에는 손으로 이를 잡아당겨 침대를 내릴 수 있도록 손잡이(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매트리스(M)가 안착되어 있는 프레임(3)을 수직 상태로 세우게 되면 상기한 지지대(4)가 프레임(3) 저면에 밀착되면서 선반 부재(6)가 선반의 역할 및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되고, 프레임(3)이 수평 상태가 되어 침대의 역할을 하게 되면 프레임(3)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회전 수단은 도3a와 도3b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의 저면에 설치된 금속재인 고정판(7)과, 상기한 고정판(7)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 브라켓(8)과, 상기한 힌지 브라켓(8)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프레임(3)에 힌지(9)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링크(10)와 힌지 브라켓(8)의 사이에는 프레임(3)의 회전 중심을 변화시켜 매트리스(M)가 수평, 수직 상태에서 각각 캐비넷(1)에 밀착되도록 제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이는 힌지 브라켓(8)에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단이 절개되어 걸림부(11)가형성된 제한 부재(12)와, 상기한 링크(10)의 중간 부분에 돌출 결합됨과 아울러 소정 직경의 와이어 관통공(13)이 형성된 고정 부재(14)와, 상기한 고정 부재(14)의 와이어 관통공(13)을 통해 삽입되어 일단이 고정되도록 고정부(15)가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걸림부(11)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걸림부재(16)가 결합된 와이어(17)와, 상기한 와이어(17)의 중간 부분을 지지하여 프레임(3)의 회전 운동에 따른 지지를 하도록 프레임(3)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18)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지지대(4)에는 프레임(3)이 하향될 때 직립되면서 프레임(3) 일측 저면을 지지하고, 프레임(3)이 직립되면 접혀지면서 프레임(3)에 밀착되어 선반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연동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도2와 도5a와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의 일측면에 수납되어 이동 자재하는 랙(19)과, 상기한 랙(19)에 치합되어 랙(19)이 이동과 함께 지지대(4)가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대(4)에 일체로 구성된 제1치(20)와, 상기한 지지대(4)와 대향되는 방향인 랙(19)의 타단에 치합되도록 링크(10)의 일단에 형성된 제2치(21)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한 프레임(3)의 회전 운동에 따라 제2치(21)와 맞물린 랙(19)이 이동하게 되면 제1치(20)가 회전되면서 지지대(4)를 직립시켜 프레임(3)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침대를 사용하지 않고 소파를 사용할 때에는 도1과 같이 프레임(3) 및 매트리스(M)가 직립된 상태에 있는 바,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침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선반 부재(5)에 형성된 손잡이(6)를 잡고 당기게 된다.
손잡이(6)를 잡고 당기게 되면, 상기한 선반 부재(5) 및 프레임(3)이 힌지 브라켓(8)과 링크(1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단이 하향되는 바, 이때 상기한 프레임(3)의 회전 상태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프레임(3)이 힌지 브라켓(8)의 배면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프레임(3)과 링크(10)의 연결 부분인 힌지(9)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힌지(9)를 중심으로 프레임(3)이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 롤러(18)가 와이어(17)를 당기는 상태가 되는 바, 상기한 와이어(17)가 당겨지면서 제한 부재(12)에 걸림 부재(16)가 걸리게 되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프레임(3)의 회전 운동이 와이어(17)에 의해 제한되면 상기한 프레임(3)의 회전 중심이 힌지 브라켓(8)이 됨으로써, 상기한 프레임(3)이 실질적으로 전면으로 이동하면서 회전운동하는 것이 되어 캐비넷(1)과의 간섭이 없어진다.
즉, 상기한 캐비넷(1)의 배면과 매트리스(M)와의 간격D이 비교적 작아도 상기한 프레임(매트리스)(3)가 회전 운동 및 직선 운동을 함께 함으로써, 캐비넷(1)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한 프레임(3)이 직립되거나 수평 상태가 되었을 때 캐비넷(1)과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회전 수단 및 제한 수단에 의해 캐비넷(1)과 매트리스(M)의 간격이 직립 시 또는 수평 시 매우 작아지게 되면, 상기한 침대 겸용 소파의 외관 품질이 대폭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한 선반 부재(5)를 잡고 계속 당기게 되면, 상기한 힌지브라켓(8)을 중심으로 프레임(3)이 회전되고, 상기한 링크(10)의 일단에 형성된 제2치(21)에 의해 랙(19)이 캐비넷(1)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랙(19)이 캐비넷(1) 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 상기한 랙(19)의 일단에 맞물려 있는 제1치(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한 지지대(4)가 프레임(3)에 직립된 상태가 되면서 프레임(3)의 저면 일측을 지지하게 된다.
지지대(4)가 자동적으로 직립되면서 프레임(3) 저면을 지지하게 되면, 상기한 프레임(3)이 일측을 지지대(4), 타측은 링크(10)가 지지하게 됨으로써, 매트리스(M)에 누울 때 안정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소파(S)는 프레임(3)의 저면으로 위치됨으로써, 프레임(3)의 저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프레임(3)을 직립시켜 소파(S)를 사용하려고 하면, 상기한 프레임(3)을 잡고 들어 올리면서 상기한 캐비넷(1)으로 밀착되게 한다.
이때, 상기한 프레임(3)은 힌지 브라켓(8)의 배면 위치가 되는 바, 상기한 링크(10)가 0∼90도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한 프레임(3)이 캐비넷(1)측으로 밀착되는 힘을 받게 되어 상기한 프레임(3)을 소정 힘으로 당기지 않으면 앞으로 넘어지지 않게 된다.
즉, 상기한 힌지 브라켓(8)의 배면으로 무게 중심이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한 프레임(3)이 앞으로 넘어지지 않게 되어, 별도의 고정 장치가 필요없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프레임(3)이 직립 상태가 되면 상기한 랙(19)이 제2치(21)에 의해 밀려 나게 됨으로써, 상기한 지지대(4)가 다시 프레임(3)에 밀착되어 선반의역할의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한 소파(S)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여기에 앉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침대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직립 상태인 캐비넷에 밀착시켜 점유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소파를 사용하도록 하고, 침대 사용시에는 보다 넓은 공간에서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7)

  1. 거실등의 벽면 일측에 직립되어 있는 캐비넷과, 상기한 캐비넷의 저면측에서 회전 수단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상면에 매트리스가 안착되어 침대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한 프레임이 침대 상태가 되었을 때 타단을 지지하도록 프레임에 회전 자재하게 설치된 지지대와, 상기한 프레임이 침대 상태가 되었을 때 일단을 지지하도록 캐비넷에 연결 설치된 안착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대에는 프레임이 직립될 때, 선반을 이루고 침대 상태가 되었을 때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선반 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회전 수단은 지지대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 금속재인 고정판과, 상기한 고정판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한 힌지 브라켓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프레임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링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침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링크와 힌지 브라켓의 사이에는 프레임의 회전 중심을 변화시켜 매트리스가 수평, 수직 상태에서 각각 캐비넷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제한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한 수단은 힌지 브라켓에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단이 절개되어 걸림부가 형성된 제한 부재와, 상기한 링크의 중간 부분에 돌출 결합됨과 아울러 소정 직경의 와이어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 부재와, 상기한 고정 부재의 와이어 관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일단이 고정되도록 고정부가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걸림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걸림부재가 결합된 와이어와, 상기한 와이어의 중간 부분을 지지하여 프레임의 회전 운동에 따른 지지를 하도록 프레임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침대.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대에는 프레임이 하향될 때 직립되면서 프레임 일측 저면을 지지하고, 프레임이 직립되면 접혀지면서 프레임에 밀착되어 선반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연동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침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동 수단은 프레임의 일측면에 수납되어 이동 자재하는 랙과, 상기한 랙에 치합되어 랙이 이동과 함께 지지대가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대에 일체로 구성된 제1치와, 상기한 지지대와 대향되는 방향인 랙의 타단에 치합되도록 링크의 일단에 형성된 제2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침대.
KR1020020028623A 2002-05-23 2002-05-23 접을 수 있는 침대 KR200300903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623A KR20030090352A (ko) 2002-05-23 2002-05-23 접을 수 있는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8623A KR20030090352A (ko) 2002-05-23 2002-05-23 접을 수 있는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0352A true KR20030090352A (ko) 2003-11-28

Family

ID=32384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623A KR20030090352A (ko) 2002-05-23 2002-05-23 접을 수 있는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035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213Y1 (ko) * 2010-11-16 2012-06-29 (주)렉스 연결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침대
CN107183933A (zh) * 2017-07-13 2017-09-22 宁波市百斯麦瑞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船用多功能折叠储物架
CN110638251A (zh) * 2019-10-29 2020-01-03 景发(福建)家具有限公司 一种多功能隐形床
KR102167334B1 (ko) 2020-04-21 2020-10-19 (주)누림건축 접이식 침대
KR102167335B1 (ko) 2020-04-21 2020-10-20 (주)누림건축 소파 겸용 접이식 침대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0234U (ko) * 1987-06-10 1989-03-02 정종화 침대의 절첩장치
KR920000203Y1 (ko) * 1986-05-30 1992-01-15 후아낙크가부시끼가이샤 산업용 로보트의 케이블 처리장치
KR980000502U (ko) * 1997-11-06 1998-03-30 고명산업주식회사 캐비넷 침대
KR200144052Y1 (ko) * 1995-11-20 1999-06-15 허진호 벽고정용 절첩식 침대
KR200149077Y1 (ko) * 1996-09-20 1999-06-15 제응룡 캐비넷 침대
US6058798A (en) * 1997-11-07 2000-05-09 Recticel Internationale Bettsysteme Gmbh Infinitely adjustable lifting mounting
KR20010019692A (ko) * 1999-08-30 2001-03-15 김창업 캐비넷 침대
US6312052B1 (en) * 1999-01-25 2001-11-06 Elio Engineering Inc. Adjustment mechanism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203Y1 (ko) * 1986-05-30 1992-01-15 후아낙크가부시끼가이샤 산업용 로보트의 케이블 처리장치
KR890000234U (ko) * 1987-06-10 1989-03-02 정종화 침대의 절첩장치
KR200144052Y1 (ko) * 1995-11-20 1999-06-15 허진호 벽고정용 절첩식 침대
KR200149077Y1 (ko) * 1996-09-20 1999-06-15 제응룡 캐비넷 침대
KR980000502U (ko) * 1997-11-06 1998-03-30 고명산업주식회사 캐비넷 침대
US6058798A (en) * 1997-11-07 2000-05-09 Recticel Internationale Bettsysteme Gmbh Infinitely adjustable lifting mounting
US6312052B1 (en) * 1999-01-25 2001-11-06 Elio Engineering Inc. Adjustment mechanism
KR20010019692A (ko) * 1999-08-30 2001-03-15 김창업 캐비넷 침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213Y1 (ko) * 2010-11-16 2012-06-29 (주)렉스 연결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침대
CN107183933A (zh) * 2017-07-13 2017-09-22 宁波市百斯麦瑞电器设备有限公司 一种船用多功能折叠储物架
CN110638251A (zh) * 2019-10-29 2020-01-03 景发(福建)家具有限公司 一种多功能隐形床
KR102167334B1 (ko) 2020-04-21 2020-10-19 (주)누림건축 접이식 침대
KR102167335B1 (ko) 2020-04-21 2020-10-20 (주)누림건축 소파 겸용 접이식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65498A (en) Folding bed assembly
KR101524151B1 (ko) 절첩 가능한 보조상판을 갖는 테이블
US4779539A (en) Wall-mountable folding table
JPH1170032A (ja) 家 具
JP2007175333A (ja) 昇降棚装置
AU716512B2 (en) Combined table and chair assembly
KR20030090352A (ko) 접을 수 있는 침대
US3592146A (en) Suspended table
JP3787843B2 (ja) トイレ用台装置とトイレシステム
US5352013A (en) Combination table and leg rest for reclining chair
JP2003310386A (ja) 壁面取り付け用折畳み椅子
KR200414710Y1 (ko) 접이식 의자용 테이블구조
JP2002065398A (ja) 折畳椅子
JP4243496B2 (ja) 可動式家具
JPH077812Y2 (ja) ソファー兼ベッド
KR200378221Y1 (ko) 수납식 침대
KR200377293Y1 (ko) 접철식 탁자
KR200284798Y1 (ko) 접을 수 있는 식탁
EP0182672A2 (en) Convertible furniture
CN215820688U (zh) 一种组合浴室柜
JP2605311Y2 (ja) 折りたたみ式テーブル
KR20090050774A (ko) 공간 절약형 다기능 가구
KR200235510Y1 (ko) 의자가 구비된 침대
JP2013154043A (ja) 折畳み椅子
JP2001269227A (ja) 机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