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077Y1 - 캐비넷 침대 - Google Patents

캐비넷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077Y1
KR200149077Y1 KR2019960030254U KR19960030254U KR200149077Y1 KR 200149077 Y1 KR200149077 Y1 KR 200149077Y1 KR 2019960030254 U KR2019960030254 U KR 2019960030254U KR 19960030254 U KR19960030254 U KR 19960030254U KR 200149077 Y1 KR200149077 Y1 KR 200149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cabinet
pressure
opening
tor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0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156U (ko
Inventor
마석균
Original Assignee
제응룡
고명산업주식회사
마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응룡, 고명산업주식회사, 마석균 filed Critical 제응룡
Priority to KR2019960030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077Y1/ko
Publication of KR960036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1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0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캐비넷 침대에 관한 고안으로서, 침상의 개폐동작을 지원하는 하중 감쇄용 토션스프링 및 선단의 지각겸용 커버 패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고안은 커버용 캐비넷의 수용부 저부에 개폐용 침상을 횡축으로 설치하여 침대사용시 침상을 개방하고 침대 비사용시 침상을 닫아두며 침상의 개폐부에 개폐지원 수단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침대의 개폐 지원수단은 캐비넷에 양단을 부착한 횡축: 및 횡축에 일단을 부착하고 타단의 압력이 침상을 부상할수 있게 설치한 토션스프링; 으로 구성하며, 침상은 선단에 지각패널을 경첩으로 부착하며; 지각패널은 침상 개방시 접혀서 지각이 되고 침상을 닫았을 때 저판에 연속되는 커버판으로 전개되며 , 침상에 압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의 압력단에 압력조절장치를 부가하며, 압력조절장치는 침상에 부착되는 압력조절편의 다단계흠에 토션스프링의 압력단을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캐비넷침대이다.

Description

캐비넷 침대
이 고안은 캐비넷 침대에 관한 고안으로서, 침상의 개폐동작을 지원하는 하중 감쇄용 토션스프링 및 지각겸용 커버 패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캐비넷 타입 침대(또는 월타입 침대)는 침상을 캐비넷의 저부에 횡축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때 침상을 전개시키고 사용하지 아니할 때 침상을 닫아두게 되므로 낮 활동 시간에 침상이 실내 공간을 차지 하는 비효율성을 개선하는 침상 개폐식 침대이다.
이러한 침상 개폐식 캐비넷 침대는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는 반면 무거운 침상을 개폐할 때 수고가 따르며 특히 개방시 충돌 위험이 따르므로 안전한 이용을 위하여 개폐지원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것이다.
캐비넷 침대의 종래 개폐지원수단은 개스압 실린더를 침상에 설치하되 개스압이 침상의 임계 개폐하중에 접근하도록 설치하므로 침상을 닫을 때 침상의 하중을 가볍게 하며 침상을 열때 침상에 의한 충격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개스압 실린더는 기계적 요소가 침상을 열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어 침실의 분위기에 적합치 못하며 반복 사용으로 개스압이 감소하여 침상의 개폐부하를 증가시키는 결점을 가진다.
이 고안은 위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는 고안으로서, 고안의 목적은 토션 스프링으로 되는 개폐지원수단을 구성하므로 한복 사용으로 개폐부하를 증가시키지 않게 되며 제작비용은 감소하고 개폐지원수단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되어 디자인의 개선효과를 가져오게 하는 캐비넷 침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침상의 선단에 설치한 지각 패널을 가동식으로 구성하므로 침상을 열었을 때 지각구실을 하는 패널이 침상을 닫았을 때 커버패널의 기능가지도록 하는 캐비넷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침상의 무게 변동에 대응할수 있도록 개폐지원수단의 개폐지원 압력을 조절할수 있는 압력조절장치를 부가하는 캐비넷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이 고안 침대와 사용상태도.
제2도는 이 고안 침대와 비사용 상태도.
제3도는 침대사용상태의 종단면도.
제4도는 A부분 확대 단면도.
제5도는 토션스프링의 설치상세도.
제6도는 B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압력조절장치와 설치 상세도.
제8도는 압력조절편의 측면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횡축 12 : 지지단
13 : 압력단 토션스프링 21 : 지각패널
22 : 경첩 23 : 저판
31 : 압력조절장치 32 : 압적조절편
33 : 다단계홈
이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침상을 개방하여 침대로 사용하는 캐비넷침대의 사시도, 제2도는 침상이 닫혀 침대가 단순한 캐비넷 형태로 정리된 캐비넷 침대이다.
캐비넷 침대는 커버용 캐비넷(1)의 수용부(2) 저부에서 개폐용 침상(3)을 횡축으로 설치하여 침대사용시 침상(3)을 개방하고 침대 비사용시 침상(3)을 닫아두게 구성하며 침상(3)의 개폐부에 개폐지원 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한다.
이 고안 침대의 개폐 지원수단은 캐비넷(1)에 양단 브라케트(11')브라켓을 부착한 횡축(11); 및 횡축(11)에 지지단(13)을 부착하고 압력단(13)이 침상(3)을 가압하여 침상을 닫을 때 침상에 부상력을 가할수 있게 설치한 토션스프링(14); 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횡축(11)은 침상(3)저부에 부착한 프레임(17)의 지지판(16)을 통해 침상(3)에 결합된다. 침상(3)의 선단에 지각패널(21)을 경첩(22)으로 부착하며; 지각패널 (21)은 침상(3) 개방시 접혀서 지각이 되고 침상(3)을 닫았을 때 전개시켜 침상 저판(23)에서 연속되며 캐비넷(1) 상부홈(15)에 끼워지므로 커버판(21')의 구실을 하도록 구성하였다.
침상(3)을 닫았을 때 저판(33)은 캐비넷의 도어(23')처럼 보이는 장식판이다. 지각패널(21)에 손잡이(24)를 구비하여 침상(3)을 열 때 잡을수 있게 한다. 또한 이 고안은 침상 개폐지원용 토션스프링에 압력조절장치(31)를 부가할수 있다. 압력조절장치(31)는 침상(3)에 압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14)의 압력단(13)에 설치한다.
압력조절장치(31)는 침상에 부착되는 압력조절편(33)의 다단계홈(33)에 토션스프링(14)의 압력단(13)을 삽입할수 있게 극성 하므로 압력단(15)을 다단계홈(33)에서 이동시켜 암력단(13)의 가압력을 조절한다.
압력조절편(32)는 침상측에 부착하지 위한 브라케트(32')를 가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이 고안은 횡축(20)이 캐비넷(1)에 부착되고 횡축(20)에 일단이 부착된 토션스프링(14)의 압력이 침상(3)을 밀어올리게 되어 침상의 개폐 동작이 경쾌하게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 고안 토션스프링(14)은 탄성계수가 거의 불변적 이므로 개폐지원 압력이 변동되지 아니하여 반복 사용으로 인한 침상의 개폐부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침상을 닫았을 때 지각패널(31)이 캐비넷(1)의 상부을 커버하는 것이고 또한 침상의 개폐지원수단이 은폐되어 이 고안은 전체적으로 간결한 외양을 유지할수 있는 것이다.
이 고안에서 토션 스프링의 압력조절장치(31)를 부가 하므로 침대 시트를 교환하는 등 그 무게가 변동한 경우에도 개폐지원수단의 압력을 적절한 압력으로 조절하여 개폐부하를 경쾌하게 조절할수 있는 것이다. 개폐지원수단의 개폐압력 조절은 토션스프링(14)의 압력단(13)을 압력조절편 (32)의 다단계홈(33)에서 이동설치하는 것으로 압력을 조절한다.
이와같이 이고안은 토션 스프링으로 개폐지원수단을 구성하므로 반복 사용으로 개폐부하를 증가시키지 않게 되며 제작비용은 감소하고 개폐지원 수단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되어 디자인의 개선효과를 가져오게 하는 것이고, 침상의 선단에 설치한 지각 패널을 가동식으로 구성하여 침상을 열었을 때 지각구실을 하는 패널이 침상을 닫았을 때 커버패널의 기능가지게 되는 것이며, 침상의 무게 변동에 대응할수 있도록 개폐지원수단의 개폐지원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장치를 부가할수 있는 캐비넷 침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커버용 캐비넷의 수용부 저부에 개폐용 침상을 횡축으로 설치하여 침대사용시 침상을 개방하고 침대 비사용시 침상을 닫아두며 침대의 침상의 개폐부에 개폐지원 수단을 설치한 것에 일어서, 침대의 개폐 지원수단은 캐비넷에 양단을 부착한 횡축; 및 횡축에 일단을 부착하고 타단의 압력이 침상을 부상할수 있게 설치한 토션스프링; 으로 구성하며, 침상은 선단에 지각패널을 경첩으로 부착하며; 지각패널은 침상 개방시 접혀서 지각이 되고 침상을 닫았을 때 제한에 연속되는 커버판으로 전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 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침상 지지용 횡축이 침상저부에 부착한 프레임의 지지판을 통해 침상에 결합되게 구성한 캐비넷 침대.
  3. 제 1항에 있어서, 침상에 압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의 압력단에 압력조절장치를 부가하며, 압력조절장치는 침상에 부착되는 압력조절편의 다단계홈에 토션스프링의 압력단을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비넷침대 .
KR2019960030254U 1996-09-20 1996-09-20 캐비넷 침대 KR200149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254U KR200149077Y1 (ko) 1996-09-20 1996-09-20 캐비넷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0254U KR200149077Y1 (ko) 1996-09-20 1996-09-20 캐비넷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156U KR960036156U (ko) 1996-12-16
KR200149077Y1 true KR200149077Y1 (ko) 1999-06-15

Family

ID=1946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0254U KR200149077Y1 (ko) 1996-09-20 1996-09-20 캐비넷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0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352A (ko) * 2002-05-23 2003-11-28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352A (ko) * 2002-05-23 2003-11-28 희훈아티퍼니처 주식회사 접을 수 있는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156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78233B (zh) 车顶窗结构及挡风板
KR19980027994A (ko) 자동차의 후드 오버슬램범퍼 완충장치
KR200149077Y1 (ko) 캐비넷 침대
EP1402809B1 (en) Device for balancing the door of a dishwasher appliance
KR200181036Y1 (ko) 캐비넷 침대
KR100646422B1 (ko) 크기조절이 용이한 차량용 차광기
CN207420286U (zh) 开关柜铰链
KR20240000033U (ko) 무드 독서등
KR100526975B1 (ko) 차량의 시트백용 포켓구조
JP2978109B2 (ja) 両扉同時開閉可能な観音開き扉
KR100307141B1 (ko) 트렁크리드토션바장력조정장치
KR0139677Y1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포켓구조
KR0129811Y1 (ko) 자유경첩
KR100307142B1 (ko) 트렁크리드의토숀바
EP1172284B1 (en) Cab for agricultural vehicle
KR0122294Y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힌지구조
KR200235380Y1 (ko) 냉장고핸들의높낮이조절장치
KR0135852Y1 (ko) 후드 완충장치
KR100277340B1 (ko) 높이조절이가능한선바이저
KR100203597B1 (ko) 자동차의 쉬라우드 틸트 커법 힌지
JPH064286U (ja) 折戸のライナー支持装置
KR20010019692A (ko) 캐비넷 침대
RU38351U1 (ru) Механизм стеклоподъемника двер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20220055839A (ko) 도어 트림
EP1762682B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uspended cabinet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