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116B1 -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116B1
KR100446116B1 KR10-2002-0032333A KR20020032333A KR100446116B1 KR 100446116 B1 KR100446116 B1 KR 100446116B1 KR 20020032333 A KR20020032333 A KR 20020032333A KR 100446116 B1 KR100446116 B1 KR 100446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oupled
locking groove
height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5434A (ko
Inventor
박형준
김철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바트
Priority to KR10-2002-003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116B1/ko
Publication of KR20030095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작업대의 높이조절작업을 간편하게 하는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장치는 작업대(40)의 저면에 고정되는 중공의 상부지지대(50)와, 상부지지대(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하부지지대(60)와, 하부지지대(6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록킹홈(9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록킹블럭(90)과, 일단부가 상부지지대(5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록킹홈(91)에 결합되는 록킹돌기(82)가 형성된 회동부재(80)와, 록킹돌기(82)가 록킹홈(91)에 결합유지되도록 회동부재(80)를 록킹블럭(90)측에 밀착유지시키는 스프링수단과, 록킹돌기(82)를 록킹홈(91)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시키는 작동노브(7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장치는 작동노브(70)가 상부지지대(5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작업대(40)와 인접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작업대와 함께 작동노브의 파지를 가능하게 하므로 작업대의 높이조절을 이용자 혼자서도 할 수 있게 하여 조절작업을 편리하고 간편하게 한다.

Description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a worktable}
본 발명은 작업대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체크기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있도록 한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조절노브를 작동하기 위한 힘의 방향과 높이조절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높이조절작업을 간편하게 한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학생용 책상 또는 작업대들은 학생 또는 작업자들의 신체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될 것이 요구되고 있고, 이러한 요구에 따라 책상 또는 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다양한 조절장치들이 출원되고 있다.
이러한 조절장치의 일예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55714호에 개시되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 조절장치는 책상판(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부다리봉(21)과, 상부다리봉(21)의 단부에 연결되고 일정간격으로 홈(30)이 형성된 삽입봉(24), 삽입봉(2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다리봉(22)을 구비한다. 하부다리봉(22)에는 고정볼트(28)가 결합되는 통공(36)이 형성되어서 고정볼트(28)의 조임에 의해서 상기홈(30) 사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책상판(10)을 상하로 이동시켜 조절할때 삽입봉(24)이 하부다리봉(22)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고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볼트(28)를 조임하여 높이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책상판(10)의 높이를 조정하고자 할때에 책상판(10)을 적정한 높이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28)의 조임작업을 하여야 되므로, 책상판(10)을 일정높이로 유지시키는 작업자와 고정볼트를 조임하는 작업자등 적어도 조절작업자가 2인이 요구된다.
둘째, 삽입봉(24)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홈(30)의 위치와 고정볼트(28)의 위치를 일치시켜 고정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이의 일치작업이 번거롭다.
세째, 고정볼트(28)을 조임하기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고, 고정볼트의 이탈에 따른 분실의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첫째, 1인이 작업대의 높이조절을 할 수 있도록 개량된 작업대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작업대의 높이를 원하는 위치에서 간편하게 위치고정할 수 있도록 한 작업대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세째, 작업대의 위치고정작업을 별도의 공구없이도 가능하게 한 작업대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네째, 작업대의 높이조절방향과 조절노브의 작동힘의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조절작업을 간편하게 한 작업대 높이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높이조절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높이조절장치가 채용된 책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높이조절장치가 채용된 책상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7a내지 도 7c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작업대 50...상부지지대
55...고정플레이트 60...하부지지대
70...작동노브 75...연동블럭
80...회동부재 82...록킹돌기
90...록킹블럭 91...록킹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는 작업대의 저면에 고정되는 중공의 상부지지대와,
상기 상부지지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록킹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록킹블럭과,
일단부가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록킹홈에 결합되는 록킹돌기가 형성된 회동부재와,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홈에 결합유지되도록 상기 회동부재를 록킹블럭측에 밀착유지시키는 스프링수단과,
상기 록킹돌기를 상기 록킹홈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대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블럭은 그 일측면에 상기 결합장공에 결합되는 결합리브와 타측면에 상기 록킹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록킹홈과 록킹홈사이에는 상기 록킹돌기가 슬라이딩 안내되는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스프링수단은 양단이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고 그 중앙부분이 상기 하부지지대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원호형의 판스프링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면에 고정되며 그 하측에 상기 회동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편과 그 상측에 결합보스가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결합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을 가지는 작동노브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노브와 함께 회전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회동부재의 상면 일측을 가압하는 연동돌기가 형성된 연동블럭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설명한다.
본 발명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는 작동노브를 조작함과 동시에 작업대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작업은 사용자 1 인이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장치가 채용된 책상을 나타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작업대(40)의 저면에 고정되는 중공의 상부지지대(50)와, 상기 상부지지대(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하부지지대(60)와, 상기 작업대(40)의 저부에 고정되어 책등이 수납되는 수납대(45)를 구비한다. 이러한 책상은 사용자의 신체크기에 따라 본 발명 조절장치의 조작으로 작업대(40)를 상하로 승강시켜 원하는 높이로 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높이조장치는 상기 하부지지대(60)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록킹홈(9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록킹블럭(90)과, 일단부가 상기 상부지지대(5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록킹홈(91)에 결합되는 록킹돌기(82)가 형성된 회동부재(80)와, 상기 록킹돌기(82)가 상기 록킹홈(91)에 결합유지되도록 상기 회동부재(80)를 록킹블럭(90)측에 밀착유지시키는 스프링수단과, 상기 록킹돌기(82)를 상기 록킹홈(91)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시키는 작동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지지대(6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장공(61)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블럭(90)에는 일측면에 상기 결합장공(61)에 결합되는 결합리브(92)와 타측면에 상기 록킹홈(9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블럭(90)의 록킹홈(91)과 록킹홈(91)사이에는 상기 록킹돌기(82)가 슬라이딩 안내되는 경사진 안내면(93)이 형성된다. 이때 안내면의 경사도는 상측이 높고 하측이 낮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수단은 양단이 상기 회동부재(80)에 결합되고 그 중앙부분이 상기 하부지지대(60)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원호형의 판스프링(85)이다.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상부지지대(50)의 상면에 고정되며 그 하측에 상기 회동부재(8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편(55b)과 그 상측에 결합보스(55a)가 형성된 고정플레이트(55)와, 상기 결합보스(55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71)을 가지는 작동노브(70)와, 상기 회전축(71)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노브(70)와 함께 회전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회동부재(80)의 상면(81) 일측을 가압하는 연동돌기(75a)가 형성된 연동블럭(75)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회동부재(80)는 결합핀(83)으로 지지편(55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연동돌기(75a)는 결합핀(83)을 중심으로 판스프링(85)이 결합된 회동부재(80)의 타측 상면(81)을 가압한다. 따라서 연동돌기(75a)에 의해 가압된 회동부재(80)는 결합핀(83)을 중심으로 판스프링(85)을 탄성변형시키면서 회전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회동부재(80)의 록킹돌기(82)는 록킹블럭(90)의 록킹홈(91)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게 된다.
높이조절장치가 채용된 책상에 있어서, 상기 작동노브(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40)의 가장자리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서 작업대(40)을 파지한 상태에서 작동노브(70)의 회전조작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노브(70)를 가지는 높이조절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40)의 양측에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장치가 채용된 책상을 사용자의 신체크기에 따라 높이조절 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양손으로 작업대(40)의 양측 가장자리와 작동노브(70)를 동시에 파지한다. 이때 작동노브(70)는 상방향으로 회전되어 연동블럭(75)을 함께 회전시키고, 동시에 연동돌기(75a)는 회동부재(80)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켜 록킹돌기(82)가 록킹홈(9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이때 판스프링(85)은 가압되어 탄성변형되게 된다. 이때 작업대(40)의 높이조절방향과 조절노브(70)의 작동힘의 방향이 일치됨으로써 조절작업을 간편하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파지한 작업대(40) 및 작동노브(70)를 원하는 높이로 상하 이동시킨다. 이때 상부지지대(50)는 하부지지대(60)를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원하는 높이에서 파지하였던 작동노브(70)를 해제시키게 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록킹홈(91)에 록킹돌기(82)가 결합되어 작업대(40)의 높이를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록킹돌기(82)는 판스프링(85)의 복원력으로 록킹홈(91)에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원하는 높이에서 작동노브(70)를 해제시킬때,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돌기(82)가 록킹홈(91)에 결합되지 아니하고 안내면(93)에 위치되더라도, 안내면(93)이 경사형성됨으로써 그 하측의 록킹홈(91)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 말 할 것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첫째, 작동노브가 상부지지대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작업대와 인접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이용자가 작업대와 함께 작동노브의 파지를 가능하게 하므로 작업대의 높이조절을 이용자 혼자서도 할 수 있게 하여 조절작업을 편리하고 간편하게 한다.
둘째, 종래 볼트조임을 위한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였던 것과는 달리, 작동노브의 조절로 높이 작업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공구없이도 조절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세째, 작업대의 높이조절방향과 조절노브의 작동힘의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조절작업을 간편하게 한다.

Claims (4)

  1. 작업대의 저면에 고정되는 중공의 상부지지대와,
    상기 상부지지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의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내측면에 결합되며 록킹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록킹블럭과,
    일단부가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록킹홈에 결합되는 록킹돌기가 형성된 회동부재와,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록킹홈에 결합유지되도록 상기 회동부재를 록킹블럭측에 밀착유지시키는 스프링수단과,
    상기 록킹돌기를 상기 록킹홈에 록킹 또는 록킹해제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록킹블럭은 그 일측면에 상기 결합장공에 결합되는 결합리브와 타측면에 상기 록킹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록킹홈과 록킹홈사이에는 상기 록킹돌기가 슬라이딩 안내되는 경사진 안내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의 높이 조절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수단은 양단이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되고 그 중앙부분이 상기 하부지지대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원호형의 판스프링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면에 고정되며 그 하측에 상기 회동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편과 그 상측에 결합보스가 형성된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결합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을 가지는 작동노브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노브와 함께 회전되며 그 외주면에 상기 회동부재의 상면 일측을 가압하는 연동돌기가 형성된 연동블럭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의 높이 조절장치.
KR10-2002-0032333A 2002-06-10 2002-06-10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KR100446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333A KR100446116B1 (ko) 2002-06-10 2002-06-10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333A KR100446116B1 (ko) 2002-06-10 2002-06-10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621U Division KR200287642Y1 (ko) 2002-06-10 2002-06-10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434A KR20030095434A (ko) 2003-12-24
KR100446116B1 true KR100446116B1 (ko) 2004-09-01

Family

ID=3238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333A KR100446116B1 (ko) 2002-06-10 2002-06-10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6149B (zh) * 2022-07-05 2022-09-09 山西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可升降的脚手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434A (ko)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6457B2 (en) Apparatus for securing a workpiece
US6116557A (en) Keyboard support system
US8282088B2 (en) Parallel clamp and accessories therefor
EP1893364B1 (en) Tubing bender and method
DE602004004027T2 (de) Haltevorrichtung für ein kraftbetriebenes Handwerkzeug, mit einem verstellbaren Wagen mit Behälter
JP4908795B2 (ja) 手工具装置
AU2008288542B2 (en) Clamp and method for producing a clamp
CN100531985C (zh) 往复式锯和滑动支座锁定机构
US7338354B2 (en) Working platform of tool cabinet
JPH07100801A (ja) プランジ型ルータ
US5950999A (en) Support device having an angle adjusting mechanism
US20230389693A1 (en) Workstation including simplified leg attachment
TWI224544B (en) Multi-direction adjustable laser marking device for cutting machine
US7210742B2 (en) Distance adjustment device for chair
KR200287642Y1 (ko)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KR100446116B1 (ko) 작업대의 높이조절장치
CN110505951B (zh) 用于电动工具调节的锁定装置
US6416046B1 (en) Clamping device for a workbench
US7690121B2 (en) Invertible punch tool
CN104369145B (zh) 螺钉夹持装置
GB2311485A (en) Tile cutter of hole cutting type
US20070089584A1 (en) Saw table apparatus
JP3036631U (ja) 折畳み式作業台
PT852924E (pt) Dispositivo de peensao para utensilio de cozedura
JPH011446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