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868B1 -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 Google Patents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868B1
KR102004868B1 KR1020190027721A KR20190027721A KR102004868B1 KR 102004868 B1 KR102004868 B1 KR 102004868B1 KR 1020190027721 A KR1020190027721 A KR 1020190027721A KR 20190027721 A KR20190027721 A KR 20190027721A KR 102004868 B1 KR102004868 B1 KR 102004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delete delete
leg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종
Original Assignee
(주)아모스아인스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스아인스가구 filed Critical (주)아모스아인스가구
Priority to KR1020190027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의실이나 강당 등에서 상판을 펼치거나 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첩식 테이블을 구성하기 위한 다리고정구의 상부에 별도의 받침부재를 구비하고, 상기의 받침부재는 상판의 조립상태에 따른 유격에 대응하도록 상판의 하측에서 상,하로 승강 및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상판의 하측에 위치한 받침부재가 상판을 상측으로 계속하여 밀어 올려줌에 따라 상판의 흔들거림이나 끄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판의 흔들거림이나 끄덕거림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소음을 방지함에 따라 학습 효과의 향상은 물론 집중력에 방해를 받지 않는 것이며, 상호 간섭으로 인한 마찰이나 마모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절첩식 테이블에 대한 사용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Description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Folding table}
본 발명은 강의실이나 강당 등에서 상판을 펼치거나 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의 상판이 상판 잠금수단 내의 유격 및 간극으로 인해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하여 절첩식 테이블에 대한 더욱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의실이나 강의실 또는 식당 등에서는 좌석의 개수와 위치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4개의 다리 하단에 캐스터(caster)가 달린 이동식 테이블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식 테이블을 이용한 좌석 배치시에는 캐스터에 의하여 테이블을 손쉽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고, 좌석의 배치가 완료된 후에는 캐스터가 구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브레이크가 구비된 캐스터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브레이크형 캐스터는 다리 하단에 수평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스터 프레임과, 이 바퀴 프레임의 양측에 수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와, 상기 캐스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양측 바퀴를 제동하거나 제동 해제하기 위한 브레이크 레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이동식 테이블에 더하여 상기 테이블의 상판이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회전되도록 한 절첩식 테이블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절첩식 테이블은 하부 지지대로부터 힌지 고정된 상판이 수직 또는 수평 상태로 회전되는 동시에 수평 상태의 상판이 고정수단에 의해 잠금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수평 상태의 상판을 통해 기존의 테이블과 같은 작용 및 목적을 수행하는 한편 이동이 필요하거나 한쪽으로 모아 둘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최소의 점유 공간만을 차지하도록 상기의 상판을 수직 방향으로 세워둘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절첩식 테이블은 등록특허 제0361156호와 같이, 기둥 및 받침부재와 상기 기둥의 선단으로부터 회전하는 상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둥 및 받침부재들을 관통하여서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도록 설치되는 작동링크를 어느 한쪽의 이동바퀴에 근접되도록 하고 별도 구비의 스토퍼를 함께 설치하여, 상판을 펼쳐서 사용할 때에 기둥 및 받침부재가 건들거리거나 흔들림없이 정지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켜 주도록 한 절첩식 테이블용 이동받침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0317721호와 같이 기둥 및 받침부재들을 지지체로 하여 작동링크 및 승강부재들이 서로 협동하여서 그 승강부재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바닥면을 향하여 동작시켜 주도록 구성하여, 첫째 보드를 펼쳐서 사용할 때에 정지상태를 확실하게 유지시켜서 안정성을 도모하여 주며, 둘째 이동이나 정지되도록 조작할 때에 사용자의 수고와 번거로움을 줄여주어서 편의성을 제고하여 주며, 셋째 무리한 조작을 회피하여서 사용수명을 대폭적으로 연장시켜 신뢰성을 제고하여 주는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이어, 등록특허 제0652529호와 같이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며 원가절감과 조립생산성 향상을 기할 수 있으면서도 테이블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며, 테이블이 쉽게 넘어지지 않도록 하고, 바닥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도 별도의 종이나 나무 등으로 고이지 않고 자체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절첩식 테이블의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되도록 한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절첩식 테이블은 수직기둥 또는 지지각의 선단으로부터 힌지 결합된 상판이 수평 상태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판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도 상판의 흔들거림이나 끄덕거림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집중력에 방해가 되는 것은 물론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절첩식 테이블은 상판의 하측에 고정된 상판고정체로부터 별도의 걸림핀이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기둥 혹은 지지각의 선단에는 상기 걸림핀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한 걸림홈을 갖는 걸림레버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상판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핀이 걸림레버의 걸림홈으로 삽입되면서 상기의 상판에 대한 잠금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레버는 회전 가능 상태로 축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축과의 체결 유격이 필요한 것이고, 상기 걸림레버 내 걸림홈과 상기 걸림핀 간에도 상호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기 위한 유격 및 공차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상판 자체의 회전축부에서 제시된 끼움공차 및 허용오차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들 다양한 부위에서 적용된 끼움공차 및 허용오차의 누적으로 인해 상기의 상판은 잠금상태에서도 흔들거림 및 끄덕거림이 계속하여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흔들거림 및 끄덕거림은 상판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집중력에 상당한 방해를 줄 뿐만 아니라 필기 및 메모를 하는데 불편함을 주게 되는 것이고, 상판의 흔들림과 끄덕이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상호 간섭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면서 사용자 자신은 물론 주변에까지 피해를 주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361156 (2002.11.01.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893947 (2001.12.04.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652529 (2006.11.24.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절첩식 테이블을 구성하기 위한 다리고정구의 상부에 별도의 받침부재를 구비하고, 상기의 받침부재는 상판의 조립상태에 따른 유격에 대응하도록 상판의 하측에서 상,하로 승강 및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판이 수평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재를 밀어올려 고정함에 따라 상판의 흔들거림을 억제하거나, 상판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받침부재를 가압하면서 잠금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받침부재가 갖는 지지력 및 탄발력에 의해 수평 상태의 상판이 흔들거리지 않도록 한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단에 캐스터가 각기 장착된 수직형다리와 절곡형다리가 상부의 다리고정구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좌,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다리고정구의 일측에 고정된 지지편에 힌지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판이 결합되어 상기 다리고정구로부터 상판과 함께 회전되게 한 상판지지대를 구비하며, 상기 다리고정구의 일측에는 걸림홈을 갖는 걸림레버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상판지지대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으로 삽입되는 걸림핀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직형다리의 내부에는 상부에 가압지지구와 하단에 브레이크패드가 결합된 브레이크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지지구와 수직형다리의 상부 사이에는 브레이크로드가 삽입된 탄발스프링이 구비된 절첩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구의 상부에는 탄력재로 된 받침부재가 다리고정구의 상부로부터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구성하되, 걸림레버의 걸림홈에 상판지지대의 걸림핀이 삽입 구속되며 상판이 수평 상태로 회전된 경우 상기 상판의 저면에 의해 상기 받침부재의 상부가 하향 가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받침부재의 탄발력으로 인해 상판의 흔들림이 억제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상판의 하측에 위치한 받침부재가 상판을 상측으로 계속하여 밀어 올려줌에 따라 상판의 흔들거림이나 끄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상판의 흔들거림이나 끄덕거림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소음을 방지함에 따라 학습 효과의 향상은 물론 집중력에 방해를 받지 않는 것이며, 상호 간섭으로 인한 마찰이나 마모 등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절첩식 테이블에 대한 사용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의 측면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유동방지구조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대한 단면 및 작용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유동방지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대한 단면 및 작용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유동방지구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대한 단면 및 작용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유동방지구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대한 단면 및 작용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의 상판 유동방지구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대한 단면 및 작용 설명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의 측면 전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테이블은 한 쌍의 수직형다리(110)와 절곡형다리(110')가 상부의 다리고정구(10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좌,우 이격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리고정구(100)를 이용하여 평평한 형태의 상판(130)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수직형다리(110)와 절곡형다리(110')의 하단에는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을 위한 캐스터(111)(111')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다리고정구(100)는 금속판재를 일측 개방 형태인 평면상 "U"자 형태로 절곡 형성하여 상기 다리고정구(100)의 내측으로 수직형다리(110)의 상부와 절곡형다리(110')의 상부가 각기 삽입 및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각각의 다리고정구(100) 내측면에는 상기의 상판(130)을 축 결합하기 위한 지지편(120)이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상판(130) 저면에는 좌,우로 이격 고정된 한 쌍의 상판지지대(14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상판지지대(140)의 측부를 상기 지지편(120)과 축 결합함에 따라 상기의 상판(130) 및 상판지지대(140)가 상기 지지편(120)과의 축 결합부를 통해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다리고정구(100)의 내측면에는 상기의 지지편(120)과 간섭되지 않도록 힌지 결합된 걸림레버(150)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걸림레버(150)에는 일측 개방 형태의 걸림홈(1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의 걸림홈(151)으로는 전기한 상판지지대(14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핀(141)이 회전을 통해 삽입 및 계지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형다리(110)의 내부에는 별도의 브레이크로드(16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로드(160)의 상부에는 수직형다리(110)의 상부를 통해 다리고정구(100)의 상부로 돌출되게 한 가압지지구(161)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로드(160)의 하단에는 바닥면을 향하도록 브레이크패드(162)가 결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형다리(110)의 상부와 가압지지구(161)의 사이에는 탄발스프링(170)을 삽입하여 계지시킴에 따라 상기의 브레이크로드(160)와 가압지지구(161) 및 브레이크패드(162)는 항상 상향의 가압력을 받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 상태로 세워져 있는 상판(130)을 사용자가 들어올려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의 상판(130)과 함께 상판지지대(140)가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상판지지대(140)의 측부로 돌출된 걸림핀(141)은 상기 걸림레버(150)의 걸림홈(151)으로 삽입 계지되는 동시에 상기의 가압지지구(161)를 하측으로 강하게 누르게 된다.
이에, 상기의 걸림핀(141)은 상기의 가압지지구(161)를 눌러 브레이크로드(160) 및 브레이크패드(162)를 하강시켜 바닥에 견고하게 밀착 지지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걸림핀(141)이 걸림레버(150)의 걸림홈(151)으로 삽입 계지됨에 따라 상기의 상판(130)은 수평 상태로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판(130)의 수평 상태로의 회전 및 고정과 동시에 상기의 브레이크패드(162)가 하강하면서 바닥 간의 간섭 저항력을 연출하므로 상기의 절첩식 테이블은 이동하거나 움직임이 제한되어 더욱 편하고 안정감 있게 강의 또는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의 공지된 절첩식 테이블은, 상판(130)과 지지편(120)과의 결합 간극과 상판지지대(140)의 걸림핀(141)과 걸림레버(150)의 걸림홈(151) 간 계지 간극 등으로 인해 수평 상태로 회전된 상판(130)의 흔들거림 및 끄덕임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상판(130) 저면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받침부재(200)를 구비함에 따라 수평 상태로 회전 및 고정된 상판(130)이 흔들거리거나 끄덕이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의 받침부재(200)는 다양한 높이 조절 및 고정수단을 통해 상판(130)의 저면을 받쳐줄 수 있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은 나사봉(210)에 의한 높이 조절수단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의 받침부재(200)는 우레탄이나 고무 혹은 실리콘과 같이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있는 재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 및 두께와 모양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받침부재(200) 하측에는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별도의 나사봉(210)을 구비하되, 상기 받침부재(200)의 하측과 상기 나사봉(210)의 상부를 축핀 등에 의해 서로 힌지 결합하여 구성함에 따라 상기의 받침부재(200)는 나사봉(210)으로부터 상기 축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유동될 수 있는 결합 상태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의 나사봉(210) 하측은 다리고정구(100)의 상부를 통해 다리고정구(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고, 상기 다리고정구(100)의 내측에 고정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211)의 나사지지부(212)에 상기의 나사봉(210)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다리고정구(100)에 대한 나사봉(210)의 결합 및 받침부재(200)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리고정구(100)의 상부에는 별도의 마감커버(30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마감커버(300)에는 상기 나사봉(2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 끼움공(301)을 수직으로 관통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지지판(211)은 다리고정구(100)의 내면에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고정된 것이고, 상기 나사지지부(212)는 나사봉(210)의 견고한 나사 결합을 위해 소정의 높이를 갖는 암나사부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상판(130)을 수직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판지지대(140)의 걸림핀(141)이 걸림레버(150)의 걸림홈(151)으로 삽입 계지되도록 하여 상판(130)의 수평 상태가 이루어지면, 작업자 혹은 사용자는 상기 받침부재(200) 및 나사봉(210)을 회전시켜 받침부재(200)가 상승하여 상기의 상판(130) 저면을 강력하게 가압 밀착할 수 있도록 세팅하게 된다.
그러므로, 탄력재로 된 받침부재(200)가 나사봉(210)과 함께 상승하면서 상판(130)의 저면 각도에 알맞게 나사봉(210)으로부터 받침부재(200)가 유동하여 받침부재(200)의 상면 전체를 통해 상판(130)을 지속적으로 밀어 올려주게 되므로 상기의 상판(130)은 흔들거림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허용 공차 및 간극 유동을 삭제 또는 최소화하게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상기의 상판(130)의 흔들거림이나 끄덕임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걸림레버(150)를 회전시켜 걸림홈(151)으로부터 상판지지대(140)의 걸림핀(141)이 빠져나가도록 하면 상기의 상판(130)은 복귀스프링(도면에서는 생략함) 또는 편심 힌지축에 의한 자중으로 인해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고, 다시 상기의 상판(130)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의 받침부재(200)는 이미 높이가 세팅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것이므로 별도의 조정 작업 없이 수평 상태로 된 상판(130)의 흔들거림이나 끄덕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마감커버(300)에 의해 다리고정구(100)의 상부에 대한 마감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부재(200)를 통해 조립 과정에서의 허용 오차 등으로 인해 끄덕임이 발생하는 상판(130)의 흔들거림을 해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에, 상기의 상판(130)은 지속적인 받침부재(200)의 탄력적인 상향 가압력을 받고 있어, 상판(130) 결합부 혹은 잠금부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허용오차 및 간극에 의한 상판(130)의 흔들림이나 끄덕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가압 지지 작용으로 인해 사용자는 더욱 편안하고 정숙한 상태로 절첩식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다리고정구
110 : 수직형다리 110' : 절곡형다리
111,111' : 캐스터
120 : 지지편 130 : 상판
140 : 상판지지대 150 : 걸림레버
160 : 브레이크로드 170 : 탄발스프링
200 : 받침부재 201 : 나사홈부
210 : 나사봉
300 : 마감커버 301 : 끼움공

Claims (11)

  1. 하단에 캐스터(111)(111')가 각기 장착된 수직형다리(110)와 절곡형다리(110')가 상부의 다리고정구(100)에 의해 결합된 상태로 좌,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다리고정구(100)의 일측에 고정된 지지편(120)에 힌지 결합되고 상부에는 상판(130)이 결합되어 상기 다리고정구(100)로부터 상판(130)과 함께 회전되게 한 상판지지대(140)를 구비하며, 상기 다리고정구(100)의 일측에는 걸림홈(151)을 갖는 걸림레버(150)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상판지지대(140)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151)으로 삽입되는 걸림핀(141)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직형다리(110)의 내부에는 상부에 가압지지구(161)와 하단에 브레이크패드(162)가 결합된 브레이크로드(160)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지지구(161)와 수직형다리(110)의 상부 사이에는 브레이크로드(160)가 삽입된 탄발스프링(170)이 구비된 절첩식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구(100)의 상부에는 탄력재로 된 받침부재(200)가 다리고정구(100)의 상부로부터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결합하여, 전기한 걸림레버(150)의 걸림홈(151)에 상판지지대(140)의 걸림핀(141)이 삽입 구속되면서 상판(130)이 수평 상태로 회전된 경우 상기 상판(130)의 저면에 의해 상기 받침부재(200)의 상부가 하향 가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받침부재(200)의 탄발력으로 인해 상판(130)의 흔들림이 억제되도록 구성하되,
    받침부재(200)의 하측에는 별도 구비의 나사봉(210)을 구비하여 상기 받침부재(200)의 하부와 나사봉(210)의 상부를 서로 힌지 결합함에 따라 상기 받침부재(200)가 상판(130)의 저면 각도에 맞춰 나사봉(210)으로부터 유동되며 상판(130)의 저면을 받쳐주도록 구성하고, 상기 나사봉(210)은 다리고정구(100)의 상부 내측에 삽입 고정된 지지판(211)의 나사지지부(212)에 결합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다리고정구(100)의 상부에는 상기 나사봉(210)이 삽입되게 한 끼움공(301)이 형성된 마감커버(300)를 결합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27721A 2019-03-11 2019-03-11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KR102004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21A KR102004868B1 (ko) 2019-03-11 2019-03-11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21A KR102004868B1 (ko) 2019-03-11 2019-03-11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868B1 true KR102004868B1 (ko) 2019-07-29

Family

ID=6748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721A KR102004868B1 (ko) 2019-03-11 2019-03-11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8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156B1 (ko) 2000-03-16 2002-11-22 명 수 이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KR100652529B1 (ko) 2006-03-16 2006-12-04 명 수 이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
KR100893947B1 (ko) 2008-09-04 2009-04-22 장대식 건축용 천정판
KR101792635B1 (ko) * 2017-06-14 2017-11-20 주식회사 대명산업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1156B1 (ko) 2000-03-16 2002-11-22 명 수 이 절첩식 테이블의 이동받침
KR100652529B1 (ko) 2006-03-16 2006-12-04 명 수 이 캐스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절첩식 테이블
KR100893947B1 (ko) 2008-09-04 2009-04-22 장대식 건축용 천정판
KR101792635B1 (ko) * 2017-06-14 2017-11-20 주식회사 대명산업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2848B2 (en) Table with swingable stools
KR101792635B1 (ko) 브레이크 조정구조가 적용된 절첩식 테이블
KR101484975B1 (ko) 탁자의 의자 회전장치
KR102004866B1 (ko)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수직 지주형 절첩식 테이블
KR102004868B1 (ko)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US20100090511A1 (en) Stationary anchoring foot for chairs positioned at desks
KR100549523B1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결합구조
CA2530225C (en) Low profile baseframe with vertical ballbearing slides
KR100608995B1 (ko) 이동바디가 구비된 회전바퀴
KR101987829B1 (ko) 개선된 구조를 갖는 각도 조절 이동식 책상
KR20140101715A (ko) 스톨테이블용 의자 인입출구
US6186591B1 (en) Table with self-adjusting midframe support
KR102129395B1 (ko) 스툴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
KR102276564B1 (ko) 착석 유동방지 기능을 구비한 의자
KR101913665B1 (ko) 가구용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CN113796684A (zh) 一种稳固的折叠椅
KR101484653B1 (ko) 의자용 팔걸이
JP4518649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KR20220008566A (ko) 침대 어셈블리
KR102270058B1 (ko) 개선된 작동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 테이블
KR100469772B1 (ko) 다리가 없는 의자
KR200377293Y1 (ko) 접철식 탁자
JP3004449U (ja) 椅子用キャスター
KR102258998B1 (ko) 의자 자동 수납 테이블용 의자 탄지장치
CN221076008U (zh) 一种可快速调节角度的脚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