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146B1 -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146B1
KR102099146B1 KR1020190139720A KR20190139720A KR102099146B1 KR 102099146 B1 KR102099146 B1 KR 102099146B1 KR 1020190139720 A KR1020190139720 A KR 1020190139720A KR 20190139720 A KR20190139720 A KR 20190139720A KR 102099146 B1 KR102099146 B1 KR 102099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chair
frame
support assembl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주)베스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툴 filed Critical (주)베스툴
Priority to KR1020190139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 A47C7/58Hinges, e.g. for mounting chairs in a curved r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의자의 좌판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좌판부가 회전하여 하강하는 경우에 좌판부의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Rotation-supporting assembly and Chai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의자의 좌판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좌판부가 회전하여 하강하는 경우에 좌판부의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가구에 해당하며, 가정, 사무소를 비롯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의자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부를 구비하게 된다.
이 경우, 의자를 사용하지 않거나 의자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좌판부에 의해 의자가 차지하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의자의 경우 좌판부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하지만, 좌판부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경우 좌판부가 하부를 향해 회전하여 하강하는 경우에 좌판부의 자중에 의해 좌판부의 하강속도가 빨라져서 좌판부에 파손 또는 손상이 발생하거나,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나아가 좌판부를 회전하여 하강시키는 경우에 좌판부의 하강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의 좌판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부를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좌판부가 지면을 향해 하강하는 경우에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지지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며, 외주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된 홀더와, 상기 홀더를 감싸면서 상기 좌판부에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가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좌판부의 하강 속도가 조절되는 고정브라켓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좌판부의 하면에 연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홀더가 내측에 삽입되는 절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부는 상기 절곡부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초기홈부와, 상기 초기홈부에 연결되며 폭이 상기 초기홈부에 비해 작은 속도조절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초기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좌판부가 하강하여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초기홈부를 거쳐 상기 속도조절홈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좌판부의 하강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에는 내측에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상부홀더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하부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회전지지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나아가 좌판부를 회전하여 하강시키는 경우에 좌판부의 하강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볼캐스터 어셈블리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볼캐스터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볼캐스터 어셈블리의 측 단면도,
도 5는 탄성부의 사시도,
도 6은 중간커버의 도면,
도 7은 볼캐스터 어셈블리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서 좌판부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홀더가 연결지지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도,
도 10은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1은 고정브라켓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좌판부를 회전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외측하우징과 중간하우징이 서로 연결되어 등받이부 및 의자의 프레임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중간하우징의 내측에 내측하우징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6에서 커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볼캐스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자(10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의자(1000)는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130)과, 상기 프레임(130)의 상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100)와, 상기 프레임(130)의 중간지지부(134)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0)은 상기 의자(1000)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며,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하중을 견디고 지지할 수 있는 적절한 강도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30)의 상부에는 등받이부(100)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100)는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3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11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6)의 내측으로 상기 프레임(13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100)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지지부(1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등지지부(110)는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에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메시(mesh)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통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100)에는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에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팔걸이부(300A, 300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팔걸이부(300A, 300B)는 상기 등받이부(1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등받이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30)의 중간지지부(134)에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좌판부(120)는 상기 중간지지부(13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좌판부(120)는 곡선진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판부(120)는 상기 프레임(13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좌판부(12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의자(1000)를 열을 지어 포개어 보관하여 보관 장소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30)의 하부에는 상기 의자(1000)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레그(132A, 132B, 132C, 132D)가 구비될 수 있다.
종래 의자를 지지하는 구조를 살펴보면, 의자를 단순히 지지하는 고정형 지지구조와 의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이동형 지지구조로 나눌 수 있다. 상기 고정형 지지구조는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나, 의자의 이동 시에 레그의 하단부가 바닥에 닿게 되어 레그의 손상 또는 사무실 바닥 등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이동형 지지구조는 의자를 편안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나,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에 미끄럼 또는 슬립(slip) 등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착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미끄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나아가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경우에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캐스터 어셈블리(150)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볼캐스터 어셈블리(15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볼캐스터 어셈블리(150)는 전술한 의자(1000)의 레그(132A, 132B, 132C, 132D)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캐스터 어셈블리(150)는 사용자가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하지 않는 경우에 이동 가능하게 상기 의자(1000)를 지지하며, 사용자가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하는 경우에 상기 의자(1000)가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볼캐스터 어셈블리(150)는 볼(1540)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볼(1540)이 상기 볼캐스터 어셈블리(150)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이동성을 제공하며, 반면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는 상기 볼(1540)이 상기 볼캐스터 어셈블리(15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후술하는 하부커버(1550)에 의해 상기 의자(1000)를 미끄럼없이 지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캐스터 어셈블리(150)는 상기 레그(132A, 132B, 132C, 132D)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1510)과, 상기 하우징(15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하우징(1510)의 하부에서 돌출되며,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1510)의 하부에서 돌출하지 않는 볼(1540)과, 상기 하우징(151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볼(1540)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하부커버(1550) 및 상기 하부커버(155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볼(1540)에 하방을 향해 탄성을 가하는 탄성유닛(153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10)은 상기 레그(132A, 132B, 132C, 132D)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510)의 상단부에는 나사부(1512)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부(1512)가 상기 레그(132A, 132B, 132C, 132D) 하단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나사부(1512)가 수나사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레그(132A, 132B, 132C, 132D) 하단부의 내측에는 이에 대응하는 암나사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상기 하우징(1510)의 상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레그(132A, 132B, 132C, 132D)의 하단부의 내측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1510)은 상기 의자(10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적절한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510)은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특별히 재질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하우징(1510)의 몸체부(1514)는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도록 적절한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514)는 하부를 향해 부피 또는 단면적이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1514)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구성요소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1516)(도 4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볼캐스터 어셈블리(150)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510)의 하단부에는 볼(1540)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1540)은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하우징(1510)의 하부에서 돌출되며,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1510)의 하부에서 돌출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1510)의 내측 홈부(1516)의 하부에는 상기 볼(1540)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하부커버(15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550)는 상기 하우징(1510)의 홈부(1516)에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커버(1550)는 상기 볼(1540)이 삽입되는 관통구(1554)가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1554)는 상기 볼(1540)의 직경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볼(1540)의 직경보다 일정량만큼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1540)을 상기 관통구(1554)에 삽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관통구(1554)가 상부에서 하부까지 모두 일정한 내경을 가지게 되면 상기 볼(1540)은 상기 관통구(1554)의 하단부에서 빠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1554)의 하단부 가장자리(1552)는 내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볼(1540)이 외부로 빠지지 않고 상기 하부커버(1550)의 내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하부커버(1550)의 내측에는 상기 볼(1540)을 향해 아래쪽 또는 하방을 향해 탄성을 가하는 탄성유닛(153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1535)에 의해 상기 볼(1540)이 상기 하우징(1510)의 하단부에서 일부가 돌출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탄성유닛(1535)의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면서 상기 볼(1540)이 상기 하우징(1510)의 내측으로 수납되어 돌출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유닛(1535)은 상기 하부커버(1550)의 내측 관통구(1554)에 삽입되어 상기 볼(1540)을 향해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1520)와, 상기 탄성부(15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볼(1540)이 맞닿는 안착부(1534)(도 6 참조)가 형성된 중간커버(153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탄성부(15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상기 탄성부(1520)의 상방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상기 탄성부(1520)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1520)는 적절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PU(Thermal Poly Uretan)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520)는 상부의 헤드부(1522)와, 상기 헤드부(1522)의 하부에 구비된 단턱부(1524)와, 상기 단턱부(1524)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된 연장부(15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5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510)의 내측 홈부(1516)의 걸림턱(1518)과 상기 하부커버(1550)의 상단부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1520)의 상단부는 상기 하우징(1510)의 내측 홈부(1516)에서 위치 또는 높이가 고정되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연장부(1526)는 후술하는 중간커버(153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1526)의 하단부에는 절개부(152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볼(1540)이 상기 하우징(151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연장부(1526)의 하단부가 보다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술한다.
한편, 도 6은 상기 중간커버(15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상기 중간커버(1530)의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상기 중간커버(1530)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중간커버(153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홈부(1536)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간커버(1530)는 측벽(1532)과, 상기 측벽(1532) 하부에 구비된 안착부(153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간커버(1530)는 상기 하부커버(1550)의 내측 관통구(1554)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1520)와 상기 볼(154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1520)의 연장부(1526)는 상기 중간커버(1530)의 홈부(1536)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중간커버(1530)의 안착부(1534)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안착부(1534)의 하면은 상기 볼(1540)의 상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534)의 하면은 상부를 향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착부(1534)의 하면에 상기 볼(1540)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 또는 접촉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볼캐스터 어셈블리(150)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의 (A)는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를 도시하며, 도 7의 (B)는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상기 탄성부(1520)의 연장부(1526)의 하단부가 상기 안착부(1534)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볼(1540)은 상기 하우징(1510)의 내측으로 삽입 및 수용되고,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볼(1540)은 상기 탄성부(1520)의 탄성에 의해 상기 하우징(1510)의 하부에서 돌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1000)에 착석하게 되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하우징(1510)에 하부를 향해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볼(1540)은 지면(B)에 의해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510)이 하부를 향해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거리 내려오게 되면, 상기 탄성부(1520)의 연장부(1526)의 하단부가 압축 변형되면서 상기 볼(1540)과 안착부(1534)가 상대적으로 상부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1526)의 변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연장부(1526)의 하단부에 절개부(1528)가 형성된다.
상기 볼(1540)이 상기 하우징(1510)의 내측으로 삽입 및 수용되면 상기 하부커버(1550)의 하단부가 지면(B)에 닿게 되어 상기 의자(1000)가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1550)의 하부에는 펠트(15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펠트(1560)는 상기 의자(10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바닥(B)에 손상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하부커버(1550)의 하부에는 상기 펠트(1560)를 대신하여, 또는 상기 펠트(1560)와 함께 미끄럼 방지를 위한 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부재는 미끄럼 방지(anti-slip)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의자(1000)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의자(1000)에 착석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7의 (B)와 같이 사용자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탄성부(1520)의 탄성에 의해 상기 볼(1540)이 상기 하우징(1510)의 하단부에서 일부 돌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커버(1550) 및 펠트(1560)는 지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볼(1540)의 하부가 지면에 닿게 되어 사용자는 의자(1000)를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20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에서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부(120)가 회전하여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2000)는 상기 좌판부(120)가 상기 프레임(21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좌판부(120)가 상기 프레임(213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면, 상기 의자(20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좌판부(120)를 회전시켜 세워서 배치함으로써 상기 의자(2000)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여 보관을 위한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좌판부(120)를 회전시켜 세우는 경우에는 자중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기 좌판부(120)를 회전시키게 된다. 반면에, 상기 좌판부(120)를 회전시켜 지면을 향해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좌판부(120)가 자중에 의해 하부를 향해 회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좌판부(120)가 회전하여 하강하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부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2000)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상기 좌판부(120)를 상기 프레임(21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좌판부(120)가 지면을 향해 하강하는 경우에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지지 어셈블리(21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지지 어셈블리(210)는 상기 좌판부(120)를 상기 프레임(2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나아가 상기 좌판부(120)를 회전시켜 하강시키는 경우에 상기 좌판부(120)가 자중에 의해 회전속도가 빨라지는 것을 방지하고 서서히 하강할 수 있도록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지지 어셈블리(210)는 상기 프레임(2130)에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며, 외주를 따라 돌출부(2512)(도 10 참조)가 형성된 홀더(2400, 2500)와, 상기 홀더(2400, 2500)를 감싸면서 상기 좌판부(120)에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2512)에 대응하는 홈부(2325)(도 11 참조)가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120)가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2512)가 상기 홈부(2325)에 삽입되면서 상기 좌판부(120)의 하강 속도가 조절되는 고정브라켓(230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지지 어셈블리(210)는 상기 좌판부(120)의 하부에 한 쌍이 구비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우측에 배치된 회전지지 어셈블리(210)는 조립된 상태로 도시하고, 좌측에 배치된 회전지지 어셈블리(210)는 분해된 상태로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상기 회전지지 어셈블리(210)는 상기 프레임(213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2130)의 중간지지부(2134)를 서로 연결하는 보조지지부(2137)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2137)는 상기 중간지지부(2134)와 연결되는 연결지지부(2135)와 상기 연결지지부(2135)를 서로 연결시키며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지지부(2136)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지지 어셈블리(210)는 상기 연결지지부(2135)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2400, 2500)는 상기 연결지지부(2135)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홀더(2400, 2500)가 상기 연결지지부(2135)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2400, 2500)는 상기 프레임(2130)에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홀더(2400, 2500)는 상기 프레임(2130)의 상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상부홀더(2400)와, 상기 프레임(2130)의 하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돌출부(2512)가 형성된 하부홀더(2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홀더(2400, 2500)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조립 및 제작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홀더(2400)와 하부홀더(2500)로 제작하여 조립하게 된다.
도 10은 상기 상부홀더(2400) 및 하부홀더(2500)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의 (A-1)은 상기 상부홀더(2400)의 정면도, 도 10의 (A-2)는 상기 상부홀더(2400)의 측면도, 도 10의 (B-1)은 상기 하부홀더(2500)의 정면도, 도 10의 (B-2)는 상기 하부홀더(2500)의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홀더(2400)는 상기 프레임(2130)의 외주에 대응하여 곡선형으로 형성된 상부몸체부(2410)와, 상기 상부몸체부(241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지지부(2135)의 고정구(137)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상부돌기(2420)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홀더(2500)는 상기 프레임(2130)의 외주에 대응하여 곡선형으로 형성된 하부몸체부(2510)와, 상기 하부몸체부(2510)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지지부(2135)의 고정구(137)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돌기(25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홀더(2400)와 하부홀더(2500)의 상부돌기(2420)와 하부돌기(2520)가 각각 고정구(137)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후술하는 고정브라켓(2300)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상기 상부홀더(2400)와 하부홀더(2500)는 상기 프레임(2130)에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홀더(2500)의 외주를 따라 돌출부(25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512)는 후술하는 고정브라켓(2300)의 홈부(2325)에 삽입되어 상기 좌판부(120)가 회전하여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좌판부(120)의 하강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2512)의 선단부에는 내측에 절개부(25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2514)는 상기 돌출부(2512)의 선단부가 보다 용이하게 변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돌출부(2512)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2300)의 홈부(2325)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절개부(2514)에 의해 상기 돌출부(2512)가 안쪽으로 가압되어 변형이 보다 쉽게 이루어져 상기 돌출부(2512)가 상기 홈부(2325)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술한다.
도 11은 상기 고정브라켓(23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의 (A)는 상기 고정브라켓(2300)의 정면도이고, 도 11의 (B)는 상기 고정브라켓(2300)의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브라켓(2300)은 상기 좌판부(120)의 하면에 연결되는 몸체부(2310)와, 상기 홀더(2400, 2500)가 내측에 삽입되는 절곡부(2320)를 구비할 수 있다.
싱기 고정브라켓(2300)은 상기 홀더(2400, 25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좌판부(120)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브라켓(2300)의 몸체부(2310)에는 복수개의 체결공(23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230)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2300)을 상기 좌판부(120)의 하면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2310)에는 상기 홀더(2400, 250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수용부(2322)를 제공하는 절곡부(23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310)의 일부 영역에는 절곡부(23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곡부(2320)의 내측 영역이 상기 홀더(2400, 2500)가 안착되는 수용부(2322)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절곡부(2320)의 내측에는 홈부(23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2325)는 테두리부(232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2325)는 전술한 돌출부(2512)에 대응하는 형상 또는 폭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2512)가 상기 홈부(2325)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홈부(2325)는 상기 돌출부(2512)가 삽입되는 초기홈부(2327)와, 상기 초기홈부(2327)에 연결되며 폭이 상기 초기홈부(2327)에 비해 작은 속도조절홈부(2326)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기홈부(2327)의 폭(W2)은 상기 돌출부(2512)의 선단부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속도조절홈부(2326)의 폭(W1)은 상기 돌출부(2512)의 폭에 비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512)가 상기 초기홈부(2327)를 거쳐 상기 속도조절홈부(2326)에 삽입되면, 상기 속도조절홈부(2326)의 폭(W1)이 상기 돌출부(2512)의 폭에 비해 더 작으므로 상기 속도조절홈부(2326)의 가압 및 마찰력에 의해 상기 좌판부(120)의 하강하여 회전하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지게 된다.
도 12는 상기 좌판부(120)를 회전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의 (A)는 상기 좌판부(120)가 회전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2130)에 대해 서있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12의 (B)는 상기 좌판부(120)가 회전하여 하강하여 상기 프레임(2130)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판부(120)가 회전하지 않고 상기 프레임(2130)에 대해 서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2512)의 선단부는 상기 초기홈부(2327)의 입구에 삽입된 상태에 위치한다.
이어서, 도 12의 (B)와 같이 상기 좌판부(120)가 하강하여 회전하기 시작하면 상기 돌출부(2512)의 선단부가 상기 초기홈부(2327)를 거쳐 상기 속도조절홈부(2326)의 내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속도조절홈부(2326)의 폭(W1)이 상기 돌출부(2512)의 폭에 비해 더 작으므로 상기 속도조절홈부(2326)의 가압 및 마찰력에 의해 상기 좌판부(120)가 하강하여 회전하는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지게 된다.
한편, 상기 돌출부(2512)가 상기 속도조절홈부(2326)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2512)의 절개부(2514)에 의해 상기 돌출부(2512)의 선단부가 안쪽으로 가압되어 용이하게 변형되어 상기 속도조절홈부(2326)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2000)도 레그(2132A, 2132B, 2132C)의 하단부에 볼캐스터 어셈블리(1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볼캐스터 어셈블리(150)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30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판부(120)를 생략하여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의자(3000)는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3130)과, 상기 프레임(3130)의 상부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100)와, 상기 프레임(3130)의 중간지지부(134)(도 15 참조)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부(120)(도 15 참조) 및 상기 등받이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팔걸이부(300A, 300B)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3000)는 전술한 의자와 비교하여 상기 팔걸이부(300A, 300B)가 상기 등받이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팔걸이부(300A, 300B)가 상기 등받이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면 상기 팔걸이부(300A, 300B)에 손상 등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등받이부(100) 전체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팔걸이부(300A, 300B)만 분리하여 수리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팔걸이부(300A, 300B)는 외측하우징(3200A, 3200B)과, 상기 외측하우징(3200A, 3200B)의 내측에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부(100) 및 의자(3000)의 프레임(3130)에 연결되는 중간하우징(3100A, 3100B)과, 상기 중간하우징(3100A, 3100B)의 내측에 연결되는 내측하우징(3300A, 3300B)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4는 상기 외측하우징(3200A, 3200B)과 중간하우징(3100A, 3100B)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100) 및 의자(3000)의 프레임(3130)에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상기 중간하우징(3100A, 3100B)의 내측에 상기 내측하우징(3300A, 3300B)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조립되는 순서대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외측하우징(3200A, 3200B)의 내측에 상기 중간하우징(3100A, 3100B)이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외측하우징(3200A, 3200B)과 중간하우징(3100A, 3100B)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후크(미도시)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측하우징(3200A, 3200B)과 중간하우징(3100A, 3100B)이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부(100) 및 의자(3000)의 프레임(3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간하우징(3100A, 3100B)에는 상기 등받이부(100)에 연결되는 제1 체결부재(3400A, 3400B)가 체결되는 제1 체결구(3110A)와, 상기 프레임(130)의 상단부(3138A, 3138B)에 연결되는 제2 체결부재(3500A, 3500B)가 체결되는 제2 체결구(3120A, 312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등받이부(100)에는 상기 프레임(3130)의 상단부(3138A, 3138B)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연결부(311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3130)의 상단부(3138A, 3138B)가 상기 연결부(3116)의 하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연결부(3116)의 상부에 상기 팔걸이부(300A, 300B)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하우징(3200A, 3200B)과 중간하우징(3100A, 3100B)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3116)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3400A, 3400B)가 상기 제1 체결구(3110A)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3116)에 체결된다.
이 경우, 상기 팔걸이부(300A, 300B)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3400A, 3400B)가 체결되는 제3 체결구(115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하우징(3200A, 3200B)과 중간하우징(3100A, 3100B)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3116)의 상부에 안착된 경우에 상기 제2 체결부재(3500A, 3500B)에 의해 상기 프레임(3130)의 상단부(3138A, 3138B)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체결부재(3500A, 3500B)를 상기 제2 체결구(3120A, 3120B)에 체결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체결부재(3500A, 3500B)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3116)에 삽입된 상기 프레임(3130)의 상단부(3138A, 3138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재(3500A, 3500B)는 상기 제2 체결구(3120A, 3120B) 및 상기 연결부(3116)의 제4 체결구(114A, 114B)를 지나 상기 프레임(3130)의 상단부(3138A, 3138B)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부(100)를 상기 프레임(3130)에 연결하여 고정하는 경우에 상기 팔걸이부(300A, 300B)의 제2 체결부재(3500A, 3500B)에 의해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간하우징(3100A, 3100B)의 내측에 상기 내측하우징(3300A, 3300B)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측하우징(3300A, 3300B)이 상기 중간하우징(3100A, 3100B)의 내측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내측하우징(3300A, 3300B)은 상기 중간하우징(3100A, 3100B)의 내측 및 상부를 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하우징(3300A, 3300B)에 의해 상기 중간하우징(3100A, 3100B)의 내측에 형성된 제1 체결구(3110A) 및 제2 체결구(3120A, 3120B)를 가리게 되어 상기 팔걸이부(300A, 300B)의 외관을 매끄럽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측하우징(3300A, 3300B)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중간하우징(3100A, 3100B)에 연결되거나, 또는 후크(미도시)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40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의 팔걸이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상기 등받이부(4100)를 상기 프레임(4130)에 연결하게 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등받이부(4100)를 상기 프레임(4130)에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프레임(4130)의 상단부(4138A, 4138B)를 상기 등받이부(4100)의 연결부(4116)에 삽입하여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4116)의 상부에는 각각 제5 체결구(4110A)와 제6 체결구(411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5 체결부재(4120A) 및 제6 체결부재(4120B)가 각각 상기 제5 체결구(4110A)와 제6 체결구(4110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5 체결부재(4120A) 및 제6 체결부재(4120B)는 상기 제5 체결구(4110A)와 제6 체결구(4110B)를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4130)의 상단부(4138A, 4138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부(4100)를 상기 프레임(4130)에 연결하는 경우에 상기 제5 체결부재(4120A) 및 제6 체결부재(4120B)에 의해 견고히 연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연결부(4116)의 상부를 커버부(4400A, 4400B)로 마감하여 내측의 구성요소가 보이지 않게 가리게 된다.
상기 커버부(4400A, 4400B)는 한 쌍이 구비되는데 도 17에 하나의 커버부(4400A)가 도시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4400A)는 상기 제5 체결부재(4120A) 또는 제6 체결부재(4120B)가 삽입되는 삽입공간(4412A)을 제공하는 삽입부(4410A)와, 상기 연결부(4116)에 연결되는 돌출연결부(4420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4400A)를 상기 연결부(4116)의 상부에 마감하는 경우에 상기 삽입부(4410A)의 삽입공간(4412A)에 상기 제 제5 체결부재(4120A) 또는 제6 체결부재(4120B)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4400A)를 상기 연결부(4116)의 상부에 마감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연결부(4420A)가 상기 연결부(4116)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4116)의 상부에는 상기 돌출연결부(4420A)에 대응하는 걸림턱(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3000, 4000)도 레그(132A, 132B, 132C, 132D)의 하단부에 볼캐스터 어셈블리(1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볼캐스터 어셈블리(150)에 대해서는 이미 상술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3000, 4000)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좌판부(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 어셈블리(21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 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등받이부
120 : 좌판부
130 : 프레임
150 : 볼캐스터 어셈블리
210 : 회전지지 어셈블리
300A, 300B : 팔걸이부
1000, 2000, 3000, 4000 : 의자
1510 : 하우징
1520 : 탄성부
1530 : 중간커버
1540 : 볼
1550 : 하부커버
1560 : 펠트

Claims (8)

  1. 의자의 좌판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되,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부를 프레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좌판부가 지면을 향해 하강하는 경우에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지지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의 중간지지부를 서로 연결하는 보조지지부에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상부홀더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외주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된 하부홀더를 구비하는 홀더; 및
    상기 홀더를 감싸면서 상기 좌판부에 연결되며,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좌판부가 하강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면서 상기 좌판부의 하강 속도가 조절되는 고정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지지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좌판부의 하면에 연결되는 몸체부와, 상기 홀더가 내측에 삽입되는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지지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절곡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지지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초기홈부와, 상기 초기홈부에 연결되며 폭이 상기 초기홈부에 비해 작은 속도조절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초기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좌판부가 하강하여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초기홈부를 거쳐 상기 속도조절홈부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좌판부의 하강 속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지지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에는 내측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지지 어셈블리.
  7. 삭제
  8.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에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회전지지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KR1020190139720A 2019-11-04 2019-11-04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2099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720A KR102099146B1 (ko) 2019-11-04 2019-11-04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720A KR102099146B1 (ko) 2019-11-04 2019-11-04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146B1 true KR102099146B1 (ko) 2020-04-09

Family

ID=7027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720A KR102099146B1 (ko) 2019-11-04 2019-11-04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1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535A (ja) * 2004-02-04 2005-08-18 Okamura Corp 椅子
KR101101874B1 (ko) * 2011-09-29 2012-01-05 주식회사 코아스 틸팅용 프레임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535A (ja) * 2004-02-04 2005-08-18 Okamura Corp 椅子
KR101101874B1 (ko) * 2011-09-29 2012-01-05 주식회사 코아스 틸팅용 프레임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263B1 (ko) 의자의 좌판부 슬라이드 구조
KR101538342B1 (ko) 의자
KR102075533B1 (ko) 테이블용 연결용 자동 정렬의자
WO2022148486A1 (zh) 连接结构及座具
KR102099146B1 (ko)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2115033B1 (ko) 팔걸이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의자
JP6382501B2 (ja) 椅子
US5160183A (en) Combination table and leg rest for reclining chair
KR101691858B1 (ko) 의자 어셈블리
KR200289426Y1 (ko) 낚시용 의자의 높이조절구
KR102468097B1 (ko) 의자
KR102107679B1 (ko) 볼캐스터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JP4183679B2 (ja) リクライニングチェア
KR101941528B1 (ko) 좌판 이동이 가능한 의자
KR20120043331A (ko) 바닥 긁힘 방지수단이 구비된 의자
JP6777281B2 (ja) 椅子
KR200427731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ITBZ20010008U1 (it) Mobile di seduta imbottito.
KR20200076849A (ko) 회전 소파
KR200342419Y1 (ko) 의자용 승강 팔걸이
JP6927730B2 (ja) 椅子用荷重支持部材
KR102205600B1 (ko) 다목적 가구
KR20140038072A (ko)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KR100949775B1 (ko) 버튼식 리클라이닝 사무용 의자
JPH045083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