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8072A -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 Google Patents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8072A
KR20140038072A KR1020120104312A KR20120104312A KR20140038072A KR 20140038072 A KR20140038072 A KR 20140038072A KR 1020120104312 A KR1020120104312 A KR 1020120104312A KR 20120104312 A KR20120104312 A KR 20120104312A KR 20140038072 A KR20140038072 A KR 20140038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member
backrest
bracket
link
sof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주
Original Assignee
이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주 filed Critical 이선주
Priority to KR1020120104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8072A/ko
Publication of KR20140038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80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을 수납하였다가 필요시에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소파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소파의 등받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전방부가 개방되어 있는 등받이프레임,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연결되는 경첩부재, 상기 경첩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내측으로 수납되거나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전방으로 펼쳐지는 테이블부재 및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연결되어 상부로 들려질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전방부를 덮는 등쿠션부재를 포함하는 등받이부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Back device having a shelf and the Sofa having it}
본 발명은 테이블을 수납하였다가 필요시에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소파에 관련된 것이다.
소파는 등받이가 있는 긴 의자이면서, 시트의 쿠션을 천이나 가죽 등으로 싼 형태의 의자를 의미한다. 소파는 서구화된 일상 생활에서 텔레비전 시청, 가족 모임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소파의 특징 중 하나인 쿠션은, 비록 메이커의 선택에 따라 쿠셔닝 정도에서 차이가 있으나, 사무용 의자보다 풍부하게 적용된다. 쿠션의 풍부함에 의해 소파에 앉게 되는 사용자의 안락함은 크게 증가하지만, 쿠션의 출렁 거림에 의해 소파에 어떤 물건을 안정되게 올려 놓기가 어려워진다. 일례로, 쏟아지기 쉬운 음식물 접시나 음료수 잔을 소파에 그대로 올려 놓고 소파에 앉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와 같은 물건들을 안정되게 놓기 위해서 소파 앞에는 물건을 놓기 위한 별도의 탁자를 함께 사용한다.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캐주얼 타입의 소파에 앉으면, 풍부한 쿠션에 의해 몸이 깊숙이 묻히기 때문에 탁자에 놓인 물건을 잡으려면 몸을 일으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차량에는 등받이에 수납되었다가 회전하여 좌판에 올려지는 암레스트가 있었다. 암레스트는 단순한 힌지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탑승자의 팔을 잠시 올려 놓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접철식 암레스트에는 컵홀더 등을 구비하여, 물건을 안정되게 올려 놓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있다.
차량의 좌석은 소파에 비하여 단단한 쿠션을 구비한다. 적절한 쿠션으로 탑승자에게 어느 정도의 안락함을 제공하지만, 안전을 이유로 하여 소파와 같이, 풍부한 쿠션을 제공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차량 좌석의 등받이에 수납된 암레스트의 일부가 등받이에서 노출되어 있더라도 별다른 이질감을 주지 않는다. 수납된 암레스트의 노출면에 단단한 쿠션을 형성해두면, 등받이 부분과 쿠션감의 이질적인 차이를 가져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좌석의 암레스트 구조를 그대로 소파에 채용하면, 쿠션감에 문제가 있게 된다. 소파의 풍부한 쿠션감을 위해서는 적정한 두께의 쿠션 패드가 필요한데,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암레스트 구조에서는 두꺼운 쿠션을 부착할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18480호 (1999.06.0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1251호 (2006.11.10)
본 발명은 수납되었을 때에는 소파의 쿠션감의 저하를 최소화하고, 전개되었을 때에는 소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테이블을 제공하는 수납식 테이블을 갖춘 소파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소파의 등받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전방부가 개방되어 있는 등받이프레임,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연결되는 경첩부재, 상기 경첩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내측으로 수납되거나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전방으로 펼쳐지는 테이블부재 및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연결되어 상부로 들려질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전방부를 덮는 등쿠션부재를 포함하는 등받이부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수납된 상기 테이블부재의 노출면 하부에는 허리쿠션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내측으로 테이블부재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허리쿠션부재의 상부에 상기 등쿠션부재가 올려진 형상으로 안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경첩부재는 상기 테이블부재의 좌우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경첩을 구비하고, 상기 경첩은 상기 등받이테이블에 연결되는 제1브래킷, 상기 테이블부재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2브래킷, 일단부는 상기 제1브래킷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브래킷의 중간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 및 일단부는 상기 제1브래킷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브래킷의 연결지점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브래킷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링크의 일측에는 스톱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링크의 타단부가 상기 스톱퍼홈에 접촉하면서 상기 테이블부재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이블부재에는 상단부가 상기 테이블부재의 배면측에 힌지결합되어 있어 상기 테이블부재가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자중력에 의해 상기 테이블부재에서 인출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테이블부재에는 사각 단면을 가지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다리부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 측면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베어링들, 상기 바디의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회전축의 외측면을 탄성 있게 가압하는 탄성편, 상기 탄성편의 일부를 물어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블록체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성편이 상기 회전축의 평탄한 면을 지지하여 상기 다리부가 상기 테이블부재의 바닥면과 수직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부재에는 상기 다리부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방석쿠션부재가 구비되는 좌석부와, 전술한 실시예의 등받이부를 구비하는 소파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전방으로 펼쳐진 상기 테이블부재의 바닥은 상기 좌석부의 상단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블부재가 수납되면 등쿠션부재가 풍부한 등 쿠션을 제공하므로, 테이블부재가 구비된 소파에서 등 쿠셔닝의 저감 우려가 해소된다. 테이블부재가 인출됨으로써 리모컨, 음식물 접시, 컵 등을 올려 놓을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증진된다.
제시하는 경첩부재를 이용함으로써, 테이블부재의 노출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테이블부재가 좌석보다 높게 매달린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등쿠션부재와 허리쿠션부재는 안락한 쿠션감을 제공하면서, 수납된 테이블부재를 완전히 가리게 되어, 소파의 외관 이미지와 소파의 쿠셔닝 기능을 해치지 않는다. 더하여 허리쿠션부재는 전개된 테이블부재의 하단부를 받치게 되어 테이블부재의 안정감을 증대시킨다.
다리부가 더 구비된 경우에는 테이블부재를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경첩부재가 부담하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어 경첩부재의 파손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파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등받이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등받이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등받이부의 다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등받이부에 채용된 경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경첩부재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다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를 상호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은 본 발명의 설명 전체를 거쳐 서로 다른 구성들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제1구성'과 '제2구성'은 엄연히 서로 다른 구성요소의 의미로 사용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파와 등받이부에 관련된 도면들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파(100)가 도시되어 있다.
소파(100)는 사용자가 앉는 좌석부(20)와, 등을 기대는 등받이부(10)를 포함한다. 좌석부(20)에는 방석쿠션부재가 구비되며, 등받이부(10)에는 등쿠션부재(4)와 허리쿠션부재(5)를 포함한다.
허리쿠션부재(5)는 사용자의 허리를 받치는 부분으로 좌석부와 동일하거나 보다 높게 위치된다. 등쿠션부재(4)는 허리쿠션부재(5)의 상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등과 어깨 등을 지지한다.
방석쿠션부재는 좌석부와 함께 마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거나, 좌석부와 분리 가능한 별도의 쿠션 부재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소파 중 일부분에서 허리쿠션과 등쿠션부재는 하나로 합쳐질 수 있다.
소파(100)는 몇 개의 구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소파는, 5명의 인원이 사용할 수 있도록 5개의 구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 중 가운데의 등받이부(10)에서 테이블부재(2)가 돌출되어 있다.
테이블부재(2)의 바닥은 좌석부(20)의 상단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테이블부재(2)는 소파(100)의 등받이부(10)에 일단부가 매달린 상태가 된다. 전개된 테이블부재(2)의 높이는 소파(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팔 높이에 대응하는 것으로, 테이블부재에 물건을 쉽게 올리거나 취할 수 있게 한다.
테이블부재(2)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등받이부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수납될 수 있다.
테이블부재가 수납되면, 테이블부재가 전개되었던 등받이부는, 다른 구간의 등받이부와 마찬가지로, 등쿠션부재와 허리쿠션부재만이 노출되는 형태가 된다.
테이블부재가 수납되거나 전개되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부는,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된 소파에서 전체 등받이부에 구비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등받이부에만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와 관련된 도면들이다.
등받이부(10)는 등받이프레임(1), 테이블부재(2), 등받이프레임과 테이블부재를 연결하는 경첩부재(3) 및 등받이프레임에 연결되는 등쿠션부재(4)를 포함한다.
등받이프레임(1)은 소파의 골조(도시 생략)에 고정되는 것인데, 전방부가 개방되어 있다.
등받이프레임(1)은 후판(11)과, 후판(11)의 양 측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나란히 전방으로 돌출되는 측판들(12)을 구비한다. 측판(12)의 상단부는 라운드처리되어 있다.
이러한 등받이프레임(1)은 목재나 금속재 등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등받이프레임은 스펀지와 같은 탄성부재가 대어진 후 가죽이나 직물로 마감처리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테이블부재(2)의 상면에는 각종 물건을 올려 놓기 위한 선반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선반구조는 함몰된 홈(21)이나 컵홀더(22), 수납함 등 이다. 나아가 테이블부재(2)에는 어떤 전자장비에 대한 리모컨 장치, 스피커, 조명 장치 등 다양한 전자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면을 제외한 테이블부재의 면들은 소파의 동일한 재질의 직물이나 천으로 감싸질 수 있다. 이러한 테이블부재는 소파와의 일체감을 증대시킨다.
경첩부재(3)는 테이블부재(2)를 등받이프레임(1)의 내부로 수납시키거나, 등받이프레임(1)에 대해 테이블부재(2)를 전방으로 펼쳐지게 하는 것이다.
등받이프레임(1)에 수납된 테이블부재(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프레임(1)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아니한다. 이로써 등받이프레임의 전방에 놓인 등쿠션부재가 주변의 다른 구간의 등쿠션부재와 동일한 정도로 돌출될 수 있다.
경첩부재(3)에 의해 테이블부재(2)가 전개되는 경우, 테이블부재(2)는 단순히 회전될 뿐만 아니라 등받이프레임(1)의 전방으로 어느 정도 이동된다. 도 6에 도시된 테이블부재(2)의 끝단 위치와 도 8에 도시된 테이블부재(2)의 끝단 위치를 대비해보면, 테이블부재(2)가 회전함과 동시에 전방(도 6 내지 도 8에서 오른쪽 방향)으로도 이동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5에는 테이블부재를 회전시면서 전후 방향으로도 이동시키는 경첩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경첩부재(3)는 테이블부재(2)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경첩을 구비한다. 도 5에서 우측에 결합되는 경첩을 분해한 것과, 좌측에 결합되는 조립된 경첩을 함께 도시하고 있다.
경첩은 등받이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브래킷(31), 테이블부재에 고정되는 제2브래킷(32), 그리고 제1브래킷(31)과 제2브래킷(32)을 연결하는 제1링크(33)와 제2링크(34)를 포함한다.
제1브래킷(31)의 상단부에는 제1링크(33)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제2링크(34)의 일단부가 힌지 결합된다.
제1링크(33)는 직선형으로 제2링크(34)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1링크(33)의 타단부는 제2브래킷(32)의 중간부분에서 제2브래킷(32)과 힌지 결합된다.
제1링크(33)의 일측에는 스톱퍼홈(3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톱퍼홈(331)은 후술하는 제2링크(34)의 타단부와 제2브래킷(32)이 힌지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한다.
한편, 제2링크(34)의 타단부는 제1링크(33)와 상기 제2브래킷(32)의 연결지점(35)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2브래킷(32)에 힌지결합된다. 도 5에서 제1링크(33)는 제2브래킷(32)의 중간에 연결되고, 제2링크(34)는 제1링크(33)와 상기 제2브래킷(32)의 연결지점(35)보다 제1브래킷(31)에 가까운 위치에서 제2브래킷(32)에 연결되어 있다.
직선형의 제1링크(33)와 달리 제2링크(34)는 2회 굴곡진 형상이다. 이로써 제2브래킷(32)에 연결되는 제2링크(34)의 타단부가 경사진 직선의 형태가 된다.
도 6 내지 도 8에는 경첩부재의 작용으로 테이블부재가 전개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 테이블부재(2)는 등받이프레임(1)에 수납되어 있다. 테이블부재(2)는 등받이프레임(1)의 측면 경사에 맞추어 회전되어 있으며, 등받이프레임(1)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어 있지 아니하다.
도 7의 테이블부재(2)는 인출하는 과정이다. 회전하는 테이블부재(2)를 따라 제2브래킷(32)도 회전되며, 동시에 제1링크(33)와 제2링크(34)에 의해 제2브래킷(32)이 등받이프레임(1)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도 8에서 테이블부재(2)는 완전히 전개된 상태이다. 테이블부재(2)의 바닥은 사실상 수평하게 된다. 제1링크(33)의 스톱퍼홈(331)에 제2링크(34)의 타단부가 접촉함에 따라, 제2브래킷(32)은 더 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스톱퍼홈(331)의 함몰 깊이와 제2링크(34) 타단부의 반경을 조절함으로써, 제2브래킷(32)의 최대 회전 각도를 달리할 수 있다.
제2링크(34)는 굴곡에 의해 비스듬한 각도로 연장된 타단부가 스톱퍼홈(331)에 접촉하게 된다. 제2링크(34)의 비스듬한 각도는 제1링크(33)의 스톱퍼홈(331)에 대한 제2링크(34)의 접근 경로를 확보하여, 스톱퍼홈(331)을 제외한 부분에서 제1링크(33)와 제2링크(34)의 간섭을 방지한다.
스톱퍼홈(331)과 제2링크(34)가 접촉하면서 제2브래킷(32)의 회전이 억제됨에 따라, 제2브래킷(32)에 연결된 테이블부재(2)도 사실상 수평되게 위치가 고정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등쿠션부재(4)는 등받이프레임(1)에 연결되어 상부로 들려질 수 있으며, 등받이프레임(1)의 전방부를 덮는 쿠션 부재이다.
등쿠션부재(4)는 내부에 채워지는 스펀지 등의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겉을 감싸는 직물이나 가죽을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등쿠션부재(4)는 등받이프레임(1)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가죽이나 직물로 둘러싼 등받이프레임(1)의 후판에서 직물이나 가죽이 연장되어, 등쿠션부재(4)와 연결된다.
따라서 등쿠션부재(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프레임의 상단을 회전 축으로 하여 상부로 들려질 수 있게 된다.
테이블부재(2)를 전개하거나 수납하기 위하여 등쿠션부재(4)를 잠시 들어올려 테이블부재(2)의 이동에 간섭하지 않게 한다. 테이블부재(2)를 전개하거나 수납한 후에는 등쿠션부재(4)를 내려 등받이프레임(1)의 개방된 전방을 가리도록 한다.
등쿠션부재(4)의 상하 길이는, 등쿠션부재(4)를 내렸을 때에 그 끝단부가 전개된 테이블부재(2)의 상부에 접하게 되는 길이가 적당하다.
만일 등쿠션부재의 상하 길이가 지나치게 길게 되면, 등받이쿠션의 하단부가 테이블부재의 상부에 접하면서 등받이프레임의 측면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등쿠션부재(4)의 좌우폭은 등받이프레임(1)의 좌우 폭과 동일하거나, 보다 큰 것이다. 따라서 등쿠션부재(4)가 등받이프레임(1)의 내측으로 들어가지 아니하게 된다.
한편, 등받이프레임(1)에 수납된 테이블부재(2)의 노출면(도 3의 23 참고, 전개된 상태에서는 테이블부재의 바닥에 해당됨) 하부에는 허리쿠션부재(5)가 결합될 수 있다. 허리쿠션부재(5)는 소파의 다른 구간의 허리쿠션부재와 마찬가지로, 직물이나 가죽 재질의 외피 내부에 스펀지와 같은 탄성부재를 채워 넣은 것이다. 허리쿠션부재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프레임(1) 내측으로 테이블부재(2)가 수납된 상태에서, 허리쿠션부재(5) 위에 등쿠션부재(4)가 올려진 형상으로 안치된다. 이러한 등쿠션부재(4)와 허리쿠션부재(5)의 위치와 돌출 정도는, 소파의 다른 구간의 등쿠션부재 및 허리쿠션부재와 동일한 것이다.
나아가, 허리쿠션부재(5)는 테이블부재(2)와 함께 회전되어, 전개된 테이블부재(2)와 소파의 좌석부 사이에 끼이게 된다. 이로써 허리쿠션부재(5)가 테이블부재(2) 및 테이블부재에 오른 물건의 하중을 일부 지지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팔을 전개된 테이블부재에 올려 놓은 경우에, 테이블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경첩부재와 허리쿠션부재가 분산 지지함으로써, 경첩부재에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경첩부재에 작용하는 하중 부담을 덜어 줄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에 관련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는 등받이프레임(1), 테이블부재(2) 및 경첩부재(3)를 포함한다. 더하여 허리쿠션부재(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의 기술적 특징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테이블부재(2)에는 테이블부재(2)의 회전에 따라 중력에 의해 회전되어 전개된 테이블부재(2)를 받치는 다리부(6)를 더 포함하고 있다.
다리부(6)는 상단부가 테이블부재(2)의 노출면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테이블부재(2)가 회전하면, 자중력에 의해 다리부(6)의 하단부가 테이블부재(2)에서 멀어지도록 회전하여, 소파의 좌석부 위에 올려진다.
펼쳐진 다리부(6)는 테이블부재에 작용하는 하중 중 일부를 좌석부로 전달하여, 경첩부재의 하부 지지 부담을 저감시킨다.
도 9를 참고하면, 테이블부재(2)의 노출면에는 다리부(6)가 수납되는 수납홈(24)이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6)는 테이블부재(2)가 등받이프레임(1)의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에서는, 수납홈(24)에 들어가 있으므로, 테이블부재(2)의 노출면은 평탄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0에는 다리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테이블부재(2)에 형성된 수납홈(24)에는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회전축(25)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축(25)은 사각 단면을 가진다. 사각 단면 중 하나의 변은 테이블부재(2)의 노출면(23)과 평행한 것이고, 다른 변은 노출면(23)과 수직한 것이다. 따라서 회전축(25)에는 테이블부재의 노출면과 평행한 하나의 면(251)과, 이 면과 수직되게는 또 다른 면(252)이 구비된다. 이러한 2 면(251,252)을 포함하는 회전축(25)의 단면은 사각형 외에 다각형이거나 비원형일 수 있다.
도 10에는 다리부의 주요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다리부(6)는 바디(61), 베어링들(62), 탄성편(63) 및 블록체(64)를 포함한다.
바디(61)는 다리부(6)의 외형을 이루는 데, 대략 육면체의 형상이다. 도면을 기준으로, 바디(61)의 상단부는 회전이 용이하도록 곡면으로 형성하였다.
베어링(62)은 바디(61)의 양측에 하나씩 결합되며, 비원형 단면인 회전축(25)에 결합된다. 베어링(62)에 의해 회전축(25)을 중심으로 하여 바디(61)가 회전할 수 있다.
탄성편(63)과 블록체(64)는 바디(61)의 내부에 구비된다.
탄성편(63)은 얇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되는데, 하단부가 블록체(64)에 물려 고정되어 있다. 탄성편(63)의 상단부는 탄성 있게 휘어질 수 있으며, 바디(61)의 내부를 통과하는 회전축(25)의 평탄한 외측면을 탄성있게 가압하고 있다.
블록체(64)는 하중이 큰 금속블럭 등으로 제작되며, 바디(61)의 하단부에 위치한다. 블록체(64)에 의해 다리부의 무게는 바디(61)의 하부로 크게 편중되어 있다.
도 11에는 테이블부재(2)의 회전에 따라 다리부(6)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다리부(6)의 무게 중심은 바디(6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테이블부재(2)가 수직되게 세워지지 아니하고 경사지거나 수평으로 위치되면 수납홈(24)에서 다리부(6)가 인출된다.
탄성편(63)이 회전축(25)의 평탄한 면을 지지하더라도 탄성편(63)에 의한 가압력을 초과하는 회전력이 블록체(64)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므로, 다리부(6)는 중력방향으로 회전된다.
테이블부재(2)가 수평에 이르도록 회전되면, 탄성편(63)이 회전축(25)의 평탄한 외측면을 가압하면서 다리부(6)가 테이블부재(2)의 바닥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강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다리부(6)는 테이블부재(2)와 수직하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테이블부재(2)를 회전시켜 등받이프레임(1)으로 수납하는 경우, 테이블부재(2)가 세워지면서 탄성편(63)의 가압력에도 불구하고, 다시 블록체(64)의 하중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다리부(6)가 회전된다.
테이블부재(2)가 수직으로 세워지면, 탄성편(63)이 회전축(25)의 또 다른 평탄한 외측면을 가압함에 따라 다리부(6)는 테이블부재(2)의 수납홈(24)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편과 각진 회전축을 이용하여 다리부가 테이블부재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납홈으로 완전히 삽입되게 하는 작동 신뢰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테이블부재는 등받이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된 후, 그 위에 등쿠션부재가 덮게 된다. 등받이쿠션은 소파에서 요구하는 풍부한 쿠션감을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수용된 테이블부재에도 불구하고 풍부한 쿠션감을 제공받는다.
테이블부재는 경첩부재에 의해 회전되면서 수평 방향으로도 전진 이동되며 전개된다. 단순 힌지 결합되어 회전만 하는 경우에 비하여, 테이블부재는 더 돌출되므로 테이블부재의 상면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경첩부재는 테이블부재를 좌석부의 상단에서 이격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팔 높이에 맞춘 높이로 테이블부재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허리쿠션부재는 테이블부재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허리쿠션으로 사용하였다가, 테이블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테이블부재의 하부를 받치는 것이다.
다리부는 테이블부재의 일부 하중을 좌석부에서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더하여 각진 회전축과 탄성편에 의해서 다리부는 테이블부재의 바닥과 수직되게 펼쳐져 안정되게 테이블부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100 : 소파
20 : 좌석부 10 : 등받이부
1 : 등받이프레임
11 : 후판 12 : 측판
2 : 테이블부재
21 : 홈 22 : 컵홀더 23 : 노출면
24 : 수납홈 25 : 회전축 251,252 : 면
3 : 경첩부재
31 : 제1브래킷 32 : 제2브래킷 33 : 제1링크
331 : 스톱퍼홈 34 : 제2링크 35 : 연결지점
4 : 등쿠션부재 5 : 허리쿠션부재
6 : 다리부
61 : 바디 62 : 베어링 63 : 탄성편 64 : 블록체

Claims (8)

  1. 소파의 등받이를 구성하는 것으로,
    전방부가 개방되어 있는 등받이프레임,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연결되는 경첩부재,
    상기 경첩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내측으로 수납되거나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전방으로 펼쳐지는 테이블부재 및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연결되어 상부로 들려질 수 있으며,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전방부를 덮는 등쿠션부재를 포함하는 등받이부.
  2. 제1항에서,
    상기 등받이프레임에 수납된 상기 테이블부재의 노출면 하부에는 허리쿠션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내측으로 테이블부재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허리쿠션부재의 상부에 상기 등쿠션부재가 올려진 형상으로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부.
  3. 제1항에서,
    상기 경첩부재는
    상기 테이블부재의 좌우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경첩을 구비하고,

    상기 경첩은
    상기 등받이테이블에 연결되는 제1브래킷,
    상기 테이블부재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2브래킷,
    일단부는 상기 제1브래킷의 상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브래킷의 중간부에 힌지결합되는 제1링크 및
    일단부는 상기 제1브래킷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브래킷의 연결지점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브래킷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링크의 일측에는 스톱퍼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링크의 타단부가 상기 스톱퍼홈에 접촉하면서 상기 테이블부재가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등받이부.
  4. 제1항에서,
    상기 테이블부재에는
    상단부가 상기 테이블부재의 배면측에 힌지결합되어 있어 상기 테이블부재가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자중력에 의해 상기 테이블부재에서 인출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등받이부.
  5. 제4항에서,
    상기 테이블부재에는 사각 단면을 가지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다리부는
    바디,
    상기 바디의 양 측면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는 베어링들,
    상기 바디의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회전축의 외측면을 탄성 있게 가압하는 탄성편,
    상기 탄성편의 일부를 물어 고정하고 있으며, 상기 바디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블록체를 포함하고 ,
    상기 다리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성편이 상기 회전축의 평탄한 면을 지지하여 상기 다리부가 상기 테이블부재의 바닥면과 수직되게 회전시키는 등받이부.
  6. 제4항에서,
    상기 테이블부재에는
    상기 다리부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형성되어 있는 등받이부.
  7. 방석쿠션부재가 구비되는 좌석부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등받이부를 구비하는 소파.
  8. 제7항에서,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전방으로 펼쳐진 상기 테이블부재의 바닥은 상기 좌석부의 상단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소파.
KR1020120104312A 2012-09-20 2012-09-20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KR201400380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312A KR20140038072A (ko) 2012-09-20 2012-09-20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312A KR20140038072A (ko) 2012-09-20 2012-09-20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8072A true KR20140038072A (ko) 2014-03-28

Family

ID=5064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312A KR20140038072A (ko) 2012-09-20 2012-09-20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80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96Y1 (ko) * 2017-11-22 2018-07-11 강병석 필기와 수납이 가능한 의자
KR102134670B1 (ko) * 2019-05-07 2020-07-16 조장원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96Y1 (ko) * 2017-11-22 2018-07-11 강병석 필기와 수납이 가능한 의자
KR102134670B1 (ko) * 2019-05-07 2020-07-16 조장원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8072A (ko)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KR20140008054A (ko) 의자로 변형되는 테이블
US20050121949A1 (en) Sofa lovers' sofa
KR20140058198A (ko)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의자
KR101062371B1 (ko) 침대 겸용 의자
KR101423870B1 (ko) 침대 및 테이블을 겸용하는 다용도 가구
KR20170001591U (ko) 소파
KR101066241B1 (ko) 접이식 좌의자
KR20170024691A (ko)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형 좌식 의자
JP3234095U (ja) 椅子
KR102298021B1 (ko) 회전식 선반이 구비된 영화관용 소파
KR200429165Y1 (ko) 소파 겸용 침대
KR200414598Y1 (ko) 접이식 의자용 팔걸이구조
KR20130004781U (ko) 접철식 캠핑 의자
KR200476707Y1 (ko) 침대 겸용 소파
CN108272269A (zh) 一种带头枕的扶手翻转沙发
CN108294535A (zh) 一种多功能休闲沙发
KR200495844Y1 (ko)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KR101062216B1 (ko) 의자
KR20120008126A (ko) 테이블로 변환 가능한 벤치
JP7291529B2 (ja) 什器及び連結椅子
CN207125546U (zh) 一种沙发床
KR200170106Y1 (ko) 마사지용 침대
RU19353U1 (ru) Кресло с откидным сиденьем
KR200254614Y1 (ko) 의자의 시트백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