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844Y1 -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 Google Patents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844Y1
KR200495844Y1 KR2020200003387U KR20200003387U KR200495844Y1 KR 200495844 Y1 KR200495844 Y1 KR 200495844Y1 KR 2020200003387 U KR2020200003387 U KR 2020200003387U KR 20200003387 U KR20200003387 U KR 20200003387U KR 200495844 Y1 KR200495844 Y1 KR 2004958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rmrest
chair
rot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3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689U (ko
Inventor
김진경
Original Assignee
삼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3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844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6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6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8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의 착석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팔걸이구조로서, 상기 의자에 설치되는 팔걸이본체와, 상기 팔걸이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한쌍의 회동패널들로 구성된 확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패널들은 상기 팔걸이본체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되어, 의자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팔을 거치하도록 된 팔걸이본체에 회동가능하게 확장부를 마련하도록 함으로써, 확장부를 펼쳐 음료나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어 활용성이 향상되고, 확장부를 접어서 팔걸이본체의 상부에 배치시킬 수 있어 공간활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 Armrest structure for chair with folding structure }
본 고안은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팔을 거치하도록 된 팔걸이본체에 회동가능하게 확장부를 마련하도록 함으로써, 확장부를 펼쳐 음료나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어 활용성이 향상되고, 확장부를 접어서 팔걸이본체의 상부에 배치시킬 수 있어 공간활용이 용이하게 되는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장은 일면에 화면이나 무대를 주시하기 위해 바닥면이 층계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층계에 다수의 좌석이 연결,배치되어 공연을 관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공연장용 좌석은 층계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유지하면 고정다리이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다리는 하부에 층계의 바닥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다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팔걸이부와 음료거치부가 형성되며, 관람자가 착석하도록 고정다리을 연결하며 쿠션을 갖는 안착부와 등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가 설치된다.
또한, 종래의 공연장용 좌석은 안착부가 고정다리에 회전되게 축결합되고, 축을 안착부의 선단부 방향으로 편중되게 배치시켜, 상기 축을 중심으로 선단부 보다 뒷부분을 무겁게 함으로서,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직립된 상태로 배치시키게 되고, 사용자가 직립된 상태의 안착부를 회전시켜 지면과 수평의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착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좌석은 팔걸이가 마련되어 사용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안하게 공연을 관람할 수 있게 되고, 컵의 하부를 끼울 수 있도록 홈구조의 홀더가 팔걸이에 마련되어 컵을 들고 공연을 관람하는 불편한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좌석의 팔걸이는 사용자의 팔을 올려놓거나 컵을 거치하는 기능 이외에 가방과 같은 별도의 물품이나 음식물을 놀려놓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가방과 같은 물품이나 음식물을 공연 관람중 들고 있거나 바닥에 내려놓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566630호
본 고안은 최근의 소비자의 요구조건에 부응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의자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팔을 거치하도록 된 팔걸이본체에 회동가능하게 확장부를 마련하도록 함으로써, 확장부를 펼쳐 음료나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어 활용성이 향상되고, 확장부를 접어서 팔걸이본체의 상부에 배치시킬 수 있어 공간활용이 용이하게 되는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의자의 착석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팔걸이구조로서, 상기 의자에 설치되는 팔걸이본체와, 상기 팔걸이본체에 체결되는 한쌍의 회동패널들로 구성된 확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패널들은 상기 팔걸이본체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패널들에는 반원형의 홀더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팔걸이본체에는 상면에 연결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연결패널에 상기 회동패널들 회전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연결패널에는 상면에 상기 회동패널의 홀더홈과 연통되도록 수용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패널의 홀더홈에는 반원형의 마감패널이 더 끼움되며,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회동패널의 측면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홀더홈의 내면에는 체결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마감패널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끼움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에는 탄성압착패드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팔걸이본체에는 양측면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자성바가 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회동패널에는 상기 팔걸이본체에 설치되는 상기 자성바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충돌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탄성형 자력고정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형 자력고정수단은 상기 회동패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회동패널의 결합홈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자성바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금속부착패널과, 상기 회동패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작동홈과, 상기 작동홈에 일단이 끼움되고 타단이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탄성완충코일스프링과, 상기 탄성완충코일스프링의 타단에 고정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성완충패널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패널이 회전시 상기 자성바에 상기 금속부착패널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회동패널을 고정시키고, 상기 탄성완충코일스프링과 상기 탄성완충패널에 의해 상기 회동패널이 회전되면서 상기 자성바에 상기 금속부착패널이 부착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이나 소음을 완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는 의자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팔을 거치하도록 된 팔걸이본체에 회동가능하게 확장부를 마련하도록 함으로써, 확장부를 펼쳐 음료나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어 활용성이 향상되고, 확장부를 접어서 팔걸이본체의 상부에 배치시킬 수 있어 공간활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사시사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평면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사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사시사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평면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사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의자용 팔걸이구조라 명명함)는 의자(100)의 착석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팔걸이구조(10)로서, 이에 이와같은 팔걸이구조(10)는 팔걸이본체(20)와 확장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팔걸이본체(20)의 의자(100)의 좌석이 고정되는 프레임의 상측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팔걸이본체(20)는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팔걸이본체(20)는 도면에서와 같이 직사각형의 패널구조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확장부(30)는 상기 팔걸이본체(20)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한쌍의 회동패널(31)들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패널(31)들은 상기 팔걸이본체(20)의 양측면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회동패널(31)은 직사각형의 패널형성으로 형성되며, 상기 팔걸이본체(20)의 양측면에 각각 회동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회동패널(31)은 도면에서와 같이 접은 후 팔걸이본체(20)의 상면에 배치시키게 되며, 사용시 펼친 후 상면에 음식물이나 물품을 올려놓게 됨으로써, 상기 팔걸이본체(20)와 함께 상기 회동패널(31)이 음식물이나 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어,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되고 불필요시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패널(31)의 상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흡수패널을 더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회동패널(31)을 접어 상기 팔걸이본체(20)의 상부에 보관시 상기 팔걸이본체(20)와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저감시키게 되고,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흡수패널의 상면에는 마찰돌기들을 일체로 더 형성시켜, 상부에 올려놓는 물품이 마찰돌기에 걸림되거나 마찰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패널(31)의 저면에는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211)을 더 형성하여, 회동되어 상기 팔걸이본체(20)의 상부에 배치된 회동패널(31)의 수용홈(211)에 음식물을 넣어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패널(31)들에는 반원형의 홀더홈(311)이 더 형성되어, 상기 회동패널(31)을 상기 팔걸이본체(20)의 상면에 접어서 배치시 상기 홀더홈(311)에 의해 원형의 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홀더홈(311)들에 컵이나 음료용기를 끼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팔걸이본체(20)에는 상면에 연결패널(21)이 배치되고, 상기 연결패널(21)에 상기 회동패널(31)들 회전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연결패널(21)에는 상면에 상기 회동패널(31)의 홀더홈(311)과 연통되도록 수용홈(211)이 더 형성되어, 컵이나 음료용기를 끼울 수 있어 상기 홀더홈(311)과 함께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패널(21)에 상기 회동패널(31)들 힌지결합되고, 상기 회동패널(31)은 상기 팔걸이본체(20)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회동패널(31)을 이동 후 나사체결하여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팔걸이본체(20)에는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결합홈(41)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패널(21)의 저면에는 상기 결합홈(41)중 어느하나에 끼움되도록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회동패널(31)이 체결된 상기 연결패널(2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패널(31)의 홀더홈(311)에는 반원형의 마감패널(312)이 더 끼움되며, 상기 마감패널(312)은 상기 회동패널(31)의 측면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홀더홈(311)의 내면에는 체결돌기(311a)가 더 형성되고, 상기 마감패널(312)에는 상기 체결돌기(311a)가 끼움되도록 체결홈(312a)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311a)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압착패드(311a')가 상기 체결돌기(311a)를 감싸면서 부착되어, 상기 홀더홈(311)에 끼움된 컵이나 용기가 상기 탄성압착패드(311a')에 가압되거나 마찰되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마감패널(312)을 끼워 상기 마감패널(312)의 상측에 음식물이나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압착패드(311a')에 의해 상기 체결홈(312a)에 상기 체결돌기(311a)가 끼움시 억지끼움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311a)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패널(312)의 상면에는 슬릿홈을 더 형성하여, 휴대폰의 하단부를 끼워 보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슬릿홈에 손가락을 인입시켜 상기 마감패널(312)을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림홈의 내측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고정탄성패널을 부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슬릿홈에 끼움된 휴대폰이 상기 고정탄성패널과 마찰되거나 가압되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걸이본체(20)에는 양측면에 안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2)에는 자성바(23)가 끼움되어 고정되고, 상기 회동패널(31)에는 상기 팔걸이본체(20)에 설치되는 상기 자성바(23)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충돌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탄성형 자력고정수단(4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탄성형 자력고정수단(40)은 상기 회동패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41)과, 상기 회동패널(31)의 결합홈(41)에 끼움되어 나사체결되거나 부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자성바(23)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금속부착패널(42)과, 상기 회동패널(31)의 측면에 형성되는 작동홈(43)과, 상기 작동홈(43)에 일단이 끼움되어 내면에 부착 또는 나사체결되고 고정되고, 타단이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탄성완충코일스프링(44)과, 상기 탄성완충코일스프링(44)의 타단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고정패널(45)과, 상기 고정패널(45)의 일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탄성완충패널(46)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패널(31)이 회전시 상기 자성바(23)에 상기 금속부착패널(42)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회동패널(31)을 고정시키고, 타단이 상기 회동패널(31)에서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상기 탄성완충코일스프링(44)과 상기 탄성완충패널(46)의 탄성에 의해 상기 회동패널이 회전되면서 상기 자성바(23)에 상기 금속부착패널(42)이 부착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이나 소음을 완충시키도록 되고, 서서히 자력에 의해 상기 탄성완충코일스프링(44)이 압축되면서 상기 작동홈(43)으로 인입되어, 자력에 의해 자성바(23)에 상기 금속부착패널(42)이 부착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팔걸이구조
20 : 팔걸이본체
21 : 연결패널
211 : 수용홈
22 : 안착홈
23 : 자성바
30 : 확장부
31 : 회동패널
311 : 홀더홈
311a : 체결돌기
311a' : 탄성압착패드
312 : 마감패널
312a : 체결홈
40 : 탄성형 자력고정수단
41 : 결합홈
42 : 금속부착패널
43 : 작동홈
44 : 탄성완충코일스프링
45 : 고정패널
46 : 탄성완충패널
100 : 의자

Claims (5)

  1. 의자의 착석자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팔걸이구조로서,
    상기 의자에 설치되는 팔걸이본체; 및
    상기 팔걸이본체에 체결되는 한쌍의 회동패널들로 구성된 확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패널들은 상기 팔걸이본체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되는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본체에는 상면에 연결패널이 배치되고, 상기 연결패널에 상기 회동패널들 회전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연결패널에는 상면에 상기 회동패널의 홀더홈과 연통되도록 수용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패널들에는 반원형의 홀더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패널의 홀더홈에는 반원형의 마감패널이 더 끼움되며,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회동패널의 측면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홀더홈의 내면에는 체결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마감패널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끼움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에는 탄성압착패드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본체에는 양측면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자성바가 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회동패널에는 상기 팔걸이본체에 설치되는 상기 자성바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충돌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키도록 탄성형 자력고정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탄성형 자력고정수단은,
    상기 회동패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회동패널의 결합홈에 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자성바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금속부착패널과,
    상기 회동패널의 측면에 형성되는 작동홈과,
    상기 작동홈에 일단이 끼움되고 타단이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탄성완충코일스프링과,
    상기 탄성완충코일스프링의 타단에 고정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일면에 형성되는 탄성완충패널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패널이 회전시 상기 자성바에 상기 금속부착패널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회동패널을 고정시키고, 상기 탄성완충코일스프링과 상기 탄성완충패널에 의해 상기 회동패널이 회전되면서 상기 자성바에 상기 금속부착패널이 부착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이나 소음을 완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KR2020200003387U 2020-09-17 2020-09-17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KR200495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387U KR200495844Y1 (ko) 2020-09-17 2020-09-17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3387U KR200495844Y1 (ko) 2020-09-17 2020-09-17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89U KR20220000689U (ko) 2022-03-24
KR200495844Y1 true KR200495844Y1 (ko) 2022-08-31

Family

ID=8093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3387U KR200495844Y1 (ko) 2020-09-17 2020-09-17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84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177Y1 (ko) 2004-06-14 2005-03-11 박원일 분리대가 있는 객석용 의자의 접이식 공용팔걸이
JP2012201140A (ja) 2011-03-24 2012-10-22 Fuji Heavy Ind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16199068A (ja) 2015-04-07 2016-12-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回動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6630B1 (ko) 2014-08-01 2015-11-09 이상욱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177Y1 (ko) 2004-06-14 2005-03-11 박원일 분리대가 있는 객석용 의자의 접이식 공용팔걸이
JP2012201140A (ja) 2011-03-24 2012-10-22 Fuji Heavy Ind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16199068A (ja) 2015-04-07 2016-12-0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回動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689U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0157B1 (en) Floppy desk
US7093904B1 (en) Chair with fold-down arms for providing additional seating
US10499743B2 (en) Disassemblable folding chair
US8434415B1 (en) Deployable furniture table
US7631934B2 (en) Foldable portable stadium chair
US20190313799A1 (en) Foldable director chair
RU2003130742A (ru) Трансформируемая в кровать сидячая мебель
KR200495844Y1 (ko)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KR102293833B1 (ko) 수납 공간이 구비되는 모듈형 소파
US20130193722A1 (en) Foldable Chair
US20080054687A1 (en) Reclining office chair
KR101004755B1 (ko) 접이식 의자
KR100650083B1 (ko) 메모대가 구비된 의자
US20080296937A1 (en) Seat with retractable tray
KR101878610B1 (ko) 컵홀더가 구비되는 의자
US6345861B1 (en) Compact transportable folding chair
KR20140038072A (ko)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US20130119740A1 (en) Foldable chair
US2691409A (en) Convertible chair lounge
CN219594154U (zh) 沙发、沙发扶手及其折叠机构
JP3234095U (ja) 椅子
CN219845701U (zh) 一种带有扶手的多功能组合户外椅
CN108652299A (zh) 一种带小桌板的可折叠椅子
KR200474547Y1 (ko) 다기능 소파
KR101398978B1 (ko) 편의성 향상 연결식 관람용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