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630B1 -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 - Google Patents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630B1
KR101566630B1 KR1020140098915A KR20140098915A KR101566630B1 KR 101566630 B1 KR101566630 B1 KR 101566630B1 KR 1020140098915 A KR1020140098915 A KR 1020140098915A KR 20140098915 A KR20140098915 A KR 20140098915A KR 101566630 B1 KR101566630 B1 KR 101566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ackrest
wire
sea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이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욱 filed Critical 이상욱
Priority to KR1020140098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1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 A47C1/12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having tipping-up seats tipping-up sidew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4Separate chairs, connectible together into a r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6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stowable in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에 팔걸이부를 갖으며 축홈이 형성된 고정캠이 마련된 한쌍의 고정다리와, 관람자가 착석하도록 상기 고정다리들을 연결하며 설치되고, 상기 축홈에 끼움되어 회전되도록 회전축이 형성된 안착부와, 관람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다리들을 연결하며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등받이로 이루어진 공연장용 좌석으로서, 상기 등받이는 양측면에 체결홈을 갖는 등받이 본체와 상기 체결홈에 끼움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고정다리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축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고정다리에 끼움되는 작동샤프트가 형성된 안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다리에는 상기 등받이를 일정각도로 회동 후 고정시키도록 각도조절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작동샤프트의 끝단이 회동되게 힌지결합되고, 콕크를 갖는 헤드가 형성된 축부가 상기 고정다리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쇼크업소버부와, 상기 축부의 헤드에 회전되게 축결합되어 상기 콕크를 가압하는 작동바와, 상기 고정다리에 설치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와 상기 작동바를 연결하며 설치되는 와이어부로 이루어져, 공연이 끝난 후 관람자가 안착부에서 일어서면 회전되는 안착부에 의해 등받이가 자동으로 복귀되어, 등받이를 복귀시키는 인력이 필요없이 인건비가 절감되고, 공연관람을 위한 청소 및 준비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 { seat for public performance }
본 발명은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은 관람자가 착석하는 안착부에 관람자의 하중이 없을 경우 회전되게 구성되고, 고정다리에 각도조절장치가 마련되어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공연을 관람할 수 있게 되며, 공연이 끝난 후 관람자가 안착부에서 일어서면 회전되는 안착부에 의해 등받이가 자동으로 복귀되어, 등받이를 복귀시키는 인력이 필요없이 인건비가 절감되고, 공연관람을 위한 청소 및 준비시간이 단축되는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장은 일면에 화면이나 무대를 주시하기 위해 바닥면이 층계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층계에 다수의 좌석이 연결,배치되어 공연을 관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공연장용 좌석은 층계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유지하면 고정다리이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다리은 하부에 층계의 바닥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다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팔걸이부와 음료거치부가 형성되며, 관람자가 착석하도록 고정다리을 연결하며 쿠션을 갖는 안착부와 등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연장용 좌석은 등받이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볼트체결되거나 용접되어 고정되므로,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 체형이 제각각인 관람자가 장시간 착석하여 공연을 관람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0-2011-0060862호에 의해 공연좌석의 등받이가 회동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등받이를 일정각도로 조절한 후 볼트로 고정시키게 되므로 관람자가 직접 조작할 수 없어 체형에 맞는 각도를 조절하기 어려움 문제점이 있으며, 각도가 조절된 등받이를 수동으로 조절하여 원위치 시켜야 하는 불편함과 인력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람자가 착석하는 안착부에 관람자의 하중이 없을 경우 회전되게 구성되고, 고정다리에 각도조절장치가 마련되어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공연을 관람할 수 있게 되며, 공연이 끝난 후 관람자가 안착부에서 일어서면 회전되는 안착부에 의해 등받이가 자동으로 복귀되어, 등받이를 복귀시키는 인력이 필요없이 인건비가 절감되고, 공연관람을 위한 청소 및 준비시간이 단축되는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에 팔걸이부를 갖으며 축홈이 형성된 고정캠이 마련된 한쌍의 고정다리와, 관람자가 착석하도록 상기 고정다리들을 연결하며 설치되고, 상기 축홈에 끼움되어 회전되도록 회전축이 형성된 안착부와, 관람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다리들을 연결하며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등받이로 이루어진 공연장용 좌석으로서, 상기 등받이는 양측면에 체결홈을 갖는 등받이 본체와 상기 체결홈에 끼움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고정다리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축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고정다리에 끼움되는 작동샤프트가 형성된 안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다리에는 상기 등받이를 일정각도로 회동 후 고정시키도록 각도조절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작동샤프트의 끝단이 회동되게 힌지결합되고, 콕크를 갖는 헤드가 형성된 축부가 상기 고정다리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쇼크업소버부와, 상기 축부의 헤드에 회전되게 축결합되어 상기 콕크를 가압하는 작동바와, 상기 고정다리에 설치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와 상기 작동바를 연결하며 설치되는 와이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바에는 상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바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캠에는 하부에 부채꼴 형상의 작동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작동홈의 하부에는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작동홈에서 이동되도록 회동캠이 설치되어, 상기 관퉁구를 통해 상기 작동홈으로 인입된 상기 연장바의 단부를 상기 회동캠이 가압하여 상기 작동바를 회전시켜 상기 콕크를 가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캠은 상부에 원형의 회전패널과 상기 회전패널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역삼각형 형상의 뾰족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작동바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헤드에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과 상기 버튼부 사이의 상기 와이어를 감싸는 보호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에는 상기 와이어가 이동하는 과정에는 상기 관통공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게 나팔안내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은 관람자가 착석하는 안착부에 관람자의 하중이 없을 경우 회전되게 구성되고, 고정다리에 각도조절장치가 마련되어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공연을 관람할 수 있게 되며, 공연이 끝난 후 관람자가 안착부에서 일어서면 회전되는 안착부에 의해 등받이가 자동으로 복귀되어, 등받이를 복귀시키는 인력이 필요없이 인건비가 절감되고, 공연관람을 위한 청소 및 준비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에 있어, 고정다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에 있어, 고정다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10)(이하 설명의 편의상 공연장용 좌석이라 명명함)은 관람자에 의해 회전된 등받이가 자동복귀되도록 하는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공연장용 좌석(10)은 고정다리(20)와 안착부(30)와 등받이(40)와 각도조절장치(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다리(20)는 한쌍을 이루며 공연장의 바닥면에 나사체결 또는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에 팔걸이부(21)를 갖으며 축홈(222)이 형성된 고정캠(22)이 내부에 배치되거나 내측면에 나사체결 또는 용접고정되고 상기 축홈(222)과 대응되게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30)는 관람자가 착석하도록 상기 고정다리(20)들을 연결하며 설치되고, 상기 축홈(222)에 끼움되어 회전되도록 양측면에 회전축(31)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저면에 지지패널과 양측면에는 상기 지지패널과 연결되게 고정패널이 용접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지지패널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지패널의 상부에는 쿠션패널이 배치되며, 상기 지지패널, 상기 쿠션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을 감싸면서 외피가 더 체결된다.
이러한, 안착부(30)는 관람자의 하중이 없을 경우 회전되는 통상의 안착부(30)로서, 상기 안착부(30)의 무게중심이 상기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상기 등받이 쪽으로 이동되어 있어, 하중이 없을 경우 상기 안착부(30)가 회전된다.
상기 등받이(40)는 관람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다리들을 연결하며 회전되게 축결된다. 이러한 등받이(40)는 양측면에 체결홈을 갖는 등받이 본체(41)와 상기 체결홈에 끼움되는 체결돌기(421)가 형성되고 일면에 상기 고정다리(20)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끼움되는 축(422)이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고정다리에 형성되는 장공에 끼움되는 작동샤프트(423)가 일체로 형성된 금속재의 안내부재(4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체결공에는 베어링을 배치하고 상기 베어링에 상기 축이 회전되게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조절장치(50)는 공연장용 좌석(10)의 상기 고정다리(20)에는 상기 등받이(40)를 일정각도로 회동시킨 후 고정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각도조절장치(50)는 상기 작동샤프트(423)에 끝단이 회동되게 힌지결합되고, 콕크(511)를 갖는 헤드(512)가 형성된 축부(513)가 상기 고정다리(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고정패널(23)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쇼크업소버부(51)와, 상기 축부(513)의 헤드(512)에 회전되게 축결합되어 상기 콕크(511)를 가압하는 작동바(52)와, 상기 고정다리(20)에 설치되는 버튼부(53)와, 상기 버튼부(53)와 상기 작동바(52)를 연결하며 설치되는 와이어부(54)로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안착부(30)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버튼부(53)를 눌러 가압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부(54)의 와이어(541)가 당겨지면서 상기 작동바(53)가 회동하여 상기 콕크(511)를 가압하게 되고 사용자가 안착부(30)에 앉은 상태에서 등으로 등받이(40)를 가압하여 상기 축(422)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되며, 상기 축부(513)가 상기 쇼크업소버부(51)에 인입되면서 쇼크업소버부(51)의 내부압력을 높이게 된다.
이후, 버튼부(53)의 가압을 해제하면 와이어(541)가 복귀되면서 작동바(52)를 회동시켜 가압된 콕크(511)에서 분리시키게 됨으로서, 콕크(511)가 복귀되면서 쇼크업소버부(51)의 내부압력이 외부보다 높이진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다음, 사용자가 등받이(40)를 원위치시키고자 할 경우 등받이(40)를 가압하는 것을 종료한 상태에서 재차 버튼부(53)를 가압하여 와이어(541)를 당겨 상기 작동바(52)가 콕크(511)를 가압하게 되면, 쇼크업소버부(51)의 높은 내부압력에 의해 축부(513)가 인출되면서 등받이(40)를 회동시켜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한 쇼크업소버부(51)는 상기 축부(513)가 가압에 의해 인입시 밀어내도록 구성된 통상의 쇼크업소버(51)로서, 보다상세한 구성 및 작용의 설명의 생략한다.
상기 버튼부(53)는 버튼(531)을 가압시 힌지구조로 설치된 회동바(532)가 회동하면서 회동바의 단부에 연결된 와이어부(54)의 와이어(541)를 당기게 되고, 가압을 해제하면 버튼부(53)에 내장되고 가압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도시생략)이 탄성에 의해 버튼을 가압한 반대방향으로 밀어내어 당겨진 와이어(541)가 복귀되는 구조로서, 이러한 버튼부(53)는 와이어(541)를 당기거나 풀때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작동바(52)에는 상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바(521)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캠(22)에는 하부에 부채꼴 형상의 작동홈(221)이 더 형성되며, 상기 작동홈(221)의 하부에는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1)에는 상기 작동홈(221)에서 이동되도록 회동캠(311)이 설치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작동홈(221)으로 인입된 상기 연장바의(521) 단부를 상기 회동캠(311)이 가압하여 상기 작동바(52)를 회전시켜 상기 콕크(511)를 가압하도록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40)가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관람자가 등받이(40)를 복귀시키지 않고 안착부(30)에서 일어서게 되면 안착부(30)가 회전함과 아울러 안착부(30)의 회전축(31)에 체결된 회동캡(311)이 회전하면서 연장바(521)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게 되고, 연장바(521)와 연결된 작동바(52)가 콕크(511)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버튼부(53)를 가압할때와 같이 축부(513)가 쇼크업소버부(51)에서 인출되면서 등받이(40)를 회동복귀시켜 사용자가 일어나면서 등받이(40)를 복귀시키지 않아도 등받이(40)가 반자동으로 복귀됨으로서, 등받이를 복귀시키기 위한 인원이 불필요하여 인건비가 절감되고, 공연관람을 위한 청소 및 준비시간이 단축된다.
상기 회동캠(311)은 상기 회전축(31)의 단부에 끼움체결 또는 용접결합되며 상부에 원형의 회전패널(311a)과 상기 회전패널(311a)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역삼각형 형상의 뾰족부(311b)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부(54)는 상기 버튼부(53)와 상기 작동바(52)를 연결하는 와이어(541)와,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헤드(512)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고, 상기 와이어(541)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패널(542)과, 상기 지지패널(542)과 상기 버튼부(53) 사이의 상기 와이어(541)를 감싸는 보호관(54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패널(542)에는 상기 와이어(541)가 이동하는 과정에는 상기 관통공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게 나팔안내부(544)가 용접 또는 접착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공연장용 좌석 20 : 고정다리
30 : 안착부 40 : 등받이
50 : 각도조절장치
21 : 팔걸이부 22 : 고정캠
221 : 작동홈
222 : 축홈 23 : 고정패널
31 : 회전축 311 : 회동캠
311a : 회전패널 311b : 뾰족부
41 : 등받이 본체 42 : 안내부재
421 : 체결돌기 422 : 축
423 : 작동샤프트
51 : 쇼크업소버부 511 : 콕크
512 : 헤드 513 : 축부
52 : 작동바 521 : 연장바
53 : 버튼부
531 : 버튼 532 : 회동바
54 : 와이어부 541 : 와이어
542 : 지지패널 543 : 보호관
544 : 나팔안내부

Claims (5)

  1. 상부에 팔걸이부를 갖으며 축홈이 형성된 고정캠이 마련된 한쌍의 고정다리와, 관람자가 착석하도록 상기 고정다리들을 연결하며 설치되고, 상기 축홈에 끼움되어 회전되도록 회전축이 형성된 안착부와, 관람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도록 상기 고정다리들을 연결하며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등받이로 이루어진 공연장용 좌석으로서,
    상기 등받이는 양측면에 체결홈을 갖는 등받이 본체와 상기 체결홈에 끼움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고정다리에 회전되게 체결되는 축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고정다리에 끼움되는 작동샤프트가 형성된 안내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다리에는 상기 등받이를 일정각도로 회동 후 고정시키도록 각도조절장치가 더 설치되되,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작동샤프트의 끝단이 회동되게 힌지결합되고, 콕크를 갖는 헤드가 형성된 축부가 상기 고정다리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쇼크업소버부;
    상기 축부의 헤드에 회전되게 축결합되어 상기 콕크를 가압하는 작동바;
    상기 고정다리에 설치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와 상기 작동바를 연결하며 설치되는 와이어부로 이루어진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에는 상향으로 돌출되게 연장바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캠에는 하부에 부채꼴 형상의 작동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작동홈의 하부에는 일측에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작동홈에서 이동되도록 회동캠이 설치되어,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작동홈으로 인입된 상기 연장바의 단부를 상기 회동캠이 가압하여 상기 작동바를 회전시켜 상기 콕크를 가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캠은 상부에 원형의 회전패널과 상기 회전패널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역삼각형 형상의 뾰족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버튼부와 상기 작동바를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헤드에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과 상기 버튼부 사이의 상기 와이어를 감싸는 보호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에는 상기 와이어가 이동하는 과정에는 상기 관통공에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게 나팔안내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
KR1020140098915A 2014-08-01 2014-08-01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 KR101566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915A KR101566630B1 (ko) 2014-08-01 2014-08-01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915A KR101566630B1 (ko) 2014-08-01 2014-08-01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630B1 true KR101566630B1 (ko) 2015-11-09

Family

ID=5460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915A KR101566630B1 (ko) 2014-08-01 2014-08-01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63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506B1 (ko) 2018-08-27 2019-04-25 이상욱 감속회전장치를 갖는 공연장용 좌석
KR102103210B1 (ko) 2020-01-14 2020-05-29 삼광산업 주식회사 회전축 원터치 체결구조를 갖는 댐퍼장치
KR102256041B1 (ko) 2020-12-03 2021-05-25 삼광산업 주식회사 회전제어기능을 갖는 공연좌석용 캠장치
KR102256044B1 (ko) 2020-12-03 2021-05-25 삼광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체결구조를 갖는 관람의자용 경첩
KR102256038B1 (ko) 2020-12-03 2021-05-25 삼광산업 주식회사 승강식 회전제어기능을 갖는 공연좌석용 캠장치
KR20220000689U (ko) 2020-09-17 2022-03-24 삼광산업 주식회사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KR20230089788A (ko)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삼광엔시팅 시트의 회전 제어 락 기능을 구비한 좌석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703Y1 (ko) 2005-09-05 2005-11-21 주식회사 인팩 차량 와이어케이블의 안내관
KR100531030B1 (ko) 2005-01-13 2005-11-24 혜성산업(주) 완충기능을 갖는 절첩식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030B1 (ko) 2005-01-13 2005-11-24 혜성산업(주) 완충기능을 갖는 절첩식 의자
KR200401703Y1 (ko) 2005-09-05 2005-11-21 주식회사 인팩 차량 와이어케이블의 안내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506B1 (ko) 2018-08-27 2019-04-25 이상욱 감속회전장치를 갖는 공연장용 좌석
KR102103210B1 (ko) 2020-01-14 2020-05-29 삼광산업 주식회사 회전축 원터치 체결구조를 갖는 댐퍼장치
KR20220000689U (ko) 2020-09-17 2022-03-24 삼광산업 주식회사 절첩구조를 갖는 의자용 팔걸이구조
KR102256041B1 (ko) 2020-12-03 2021-05-25 삼광산업 주식회사 회전제어기능을 갖는 공연좌석용 캠장치
KR102256044B1 (ko) 2020-12-03 2021-05-25 삼광산업 주식회사 이동식 체결구조를 갖는 관람의자용 경첩
KR102256038B1 (ko) 2020-12-03 2021-05-25 삼광산업 주식회사 승강식 회전제어기능을 갖는 공연좌석용 캠장치
KR20230089788A (ko)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삼광엔시팅 시트의 회전 제어 락 기능을 구비한 좌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630B1 (ko) 회동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
US8573687B2 (en) Zero-wall clearance linkage mechanism for providing additional layout
US10966526B2 (en) Reclining chair
US9022474B2 (en) Adjustable foundation for a seating unit
US9700140B2 (en) Zero-wall clearance linkage mechanism including a single drive link
WO2010132420A1 (en) Improved recliner ottoman linkage with unique secondary ottoman
JP7138010B2 (ja) 肘掛け、背凭れおよび椅子
US8172315B2 (en) Device for a reclining chair
CN101485522A (zh) 用于高腿座椅单元的零墙壁间隙的连杆机构
CN105520409B (zh) 异形凳联动装置
JP2010528749A (ja) 揺動式バックレスト付椅子
CA2927593A1 (en) Zero-wall clearance linkage mechanism for providing additional layout
US9173492B1 (en) Self-reclining chair
CN1956666A (zh) 弹簧曲肘家具机构
CN104337258A (zh) 椅子
US9549615B1 (en) Retractable leg rest for chair
US20070152477A1 (en) Seating and/or reclining furniture for use outdoors or in wet areas, especially lounger or the like
KR101566631B1 (ko) 등받이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공연장용 좌석
CN105795761B (zh) 一种座椅休闲搁脚装置
KR100953413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관람식 의자
KR101854427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의자
KR102112403B1 (ko)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
KR102135866B1 (ko) 통로 확보가 용이한 연결식 의자의 좌판 구조
KR200299201Y1 (ko) 사무용 의자의 등받이 절첩장치
CN105832038A (zh) 一种搁脚架的伸缩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5